[clearfix]
1. 개요
명명권(命名權)은 인간과 사물, 시설, 캐릭터 등에 대해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명칭 사용권(名稱使用權) 혹은 네이밍 라이츠(Naming rights)라는 외국어를 쓰기도 한다.한국에도 몇몇 건물에 명명권이 부여되어 있는데 PCA생명이 명명권을 구매한 "강남PCA라이프타워", 메트라이프생명이 명명권을 구매한 "메트라이프 타워", NLB 결승이 열렸던 "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 등이 있다.[1]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대표적인 사례. 역 관련 정보/역명 논란 참고.
화학에서도 잘 쓰인다.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면 누가 먼저 발견했냐라는 설전을 벌이는 것도 먼저 발견한 사람이 해당 원소의 이름을 지을 권리가 주어지기 때문. 플루토늄 이후의 원소는 이런 명명권 싸움을 거친 것이다.
계약하기 나름이지만 돈이 오가는 방향은 정반대가 될 수도 있다. ㄱ이란 시설에 ㄴ이란 이름을 붙이는데 ㄴ이 ㄱ에 자기 이름을 붙이는 대가로 비용을 지불할 수도, 반대로 ㄱ이 ㄴ에 그 이름을 쓰게 하는 대가로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다.
2. 스포츠
스포츠계에서 볼 수 있는 명명권은 "프로 스포츠단이나 경기장 등의 명칭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후원하는 기업의 명칭 또는 기업의 브랜드명을 붙일 수 있는 권리"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다. 사람들은 대게 건축물이나 경기장 등에 붙는 정도만 생각하는데 서울 히어로즈가 메인 스폰서인 넥센타이어, 키움증권의 이름을 구단명에 넣어 넥센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라고 불리는 것 또는 한때 하이트맥주에서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명명권을 구매해 하이트 스파키즈& 하이트 엔투스라고 불렀던 것도 명명권 판매 사례에 해당한다. 구장 명명권의 경우 스타디움 네이밍 라이트(Stadium Naming Rights)라고 부른다. 구단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이지만 구단이나 구단의 홈구장 고유 명칭을 자본의 논리에 따라 팔아치우고 바꿔버리는 씁쓸한 현상이라는 평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2]
해외에서는 스포츠 시장 규모가 매우 커서 인기 구단의 경우에 구장 명명권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에는 대학 운동부의 홈구장도 이름을 기업에 파는 경우도 존재한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국제 기구가 주관하는 대회 ( FIFA 월드컵, UEFA 챔피언스 리그, IOC 올림픽 등) 에서는 여전히 본래의 이름[3][4]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런 대회는 공식 스폰서가 따로 있는데 이 기구와 스폰서 계약을 맺지 않고 구장과 기업만의 명명권 계약으로 홍보 효과를 누리는 것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대회를 개최할 경우 사용되는 경기장들이 대회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기업 냄새가 안 나는 중립적인 명칭을 사용한다.[5]
세계 최초의 구장 명명권은 어디서 시작한 것이냐는 꽤 여러 의견으로 나뉜다.
- 1912년 보스턴 레드삭스의 홈구장인 펜웨이 파크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유는 당시 구장 이름 변경 당시 인근 공원(The Fens)의 명명권 계약에 해당 야구장 명칭도 포함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 1926년에 시카고 컵스의 위그먼 파크(Weeghman Park)의 이름이 구단주의 이름인 윌리엄 리글리와 츄잉껌 회사로 유명한 리글리(Wrigley) 사(社)의 이름을 따 리글리 필드라고 바꾼 것을 그 시초로 보기도 한다.
- 1953년에 건설된 부시 스타디움을 그 시초로 보는 경향도 있다. 당시 세이트루이스 카디널스의 구단주 어거스트 부시는 홈구장에 자신이 소유한 기업인 버드와이저의 이름을 붙여 버드와이저 스타디움으로 지었으나 특정 맥주회사를 과도하게 홍보하면 다른 맥주회사들의 후원이 끊긴다는 메이저리그 사무국의 반대로 인해 철회했다. ‘삼성 갤럭시 파크’는 왜 안될까
여러 이야기가 있지만 현재처럼 구장 명칭을 돈을 받고 정당하게 판 첫 번째 사례는 1973년 NFL의 버팔로 빌스의 신구장이 건설되자 "리치푸드"라는 식료품 회사가 25년간 150만 달러에 구장 명명권을 구매해 "리치 스타디움(Rich Stadium)"으로 불린 것이다.[6] 한국에서는 2006년에 부산광역시가 사직 야구장의 명명권을 연간 8억 원에 판매를 시도한 것이 최초이며[7], 이후 2011년에 기존의 핸드볼 경기장을 SK그룹이 430억을 들여 리모델링을 한 후에 구장 명명권을 취득,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이라 부른 것이 한국 최초의 명명권 판매 경기장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2014년 개장한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의 경우 기아자동차 측이 구장 명명권을 구매하여 명칭에 "기아"가 들어갔으며, 이를 시작으로 KBO 리그에서 각 야구장 명명권 계약이 붐처럼 일어났다. 이후 DGB대구은행파크( K리그, 2019년),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한국프로농구, 2021년), 페퍼스타디움( V-리그, 2021년) 등 다양한 종목들에서도 명명권 계약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다만 대체적으로 기업 구단으로 운영되는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특성상 구단의 모기업이나 계열사가 구장 명명권을 사가기 때문에 MLB와 같이 다양한 기업의 이름이 명명권으로 들어가는 모습은 보기 힘들긴 하다.[8][9]
그리고 SK 와이번스가 2007년에 문학경기장역의 역명 부기권(驛名附記權)을 3년간 3,200만 원에 계약해 문학경기장역(SK와이번스)이라고 새긴 것도 명명권 중 하나고[10] 각 경기장에 존재하는 기업이나 브랜드명이 들어가는 특별 좌석도 일종의 명명권을 판매한 것이다.[11]
학교 체육관도 가끔씩 명명권 비슷한 것이 있는 듯 하다. 북경한국국제학교는 체육관 건설 시 삼성에서 5억 원을 지원받아 체육관 이름을 삼성체육관으로 정했다. 사실상 영구적인 명명권인 듯하다.
2.1. 구장 명명권을 적용한 구장
2.1.1. 국내
국내에는 DGB대구은행파크, 페퍼스타디움, BNK센터를 제외하면 야구장만 명명권을 팔고 있다. 제2 홈구장을 제외한 KBO 리그 1군 홈구장 9개 중 6개가 명명권이 팔렸다.[12]2.1.1.1. 현재 계약 중인 명명권
|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Gwangju- KIA Champions Field)
|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Suwon kt wiz Park)
|
-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Daejeon Hanwha Life Eagles Park)
|
- 인천 SSG 랜더스필드 (Incheon SSG Landers Field)
|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Daegu Samsung Lions Park)
|
- DGB대구은행파크 ( DGB Daegu Bank Park)
V-리그 여자부의 2021년 신생 구단인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의 홈구장. 본래는 염주종합체육관이라는 이름이었으나 구단의 모기업인 페퍼저축은행에서 명명권을 취득하며 이름을 페퍼스타디움으로 바꿨다.
한국프로농구 구단인 수원 KT 소닉붐의 홈구장. 본래는 서수원칠보체육관이라는 이름이었고 해당 이름으로 불릴 당시에는 수원 OK저축은행 읏샷이 임시 구장으로 사용했으나 이후 BNK금융지주가 구단을 인수하며 부산 BNK 썸으로 변경됨에 따라 본래 부산을 연고로 하던 부산 kt 소닉붐이 BNK와 사실상 서로 연고지를 맞바꿔 수원으로 올라온 뒤 수원시와 명명권 계약을 맺으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 고양 소노 아레나 (Goyang SONO Arena)
- 홈 구단: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구매 기업: 대명소노그룹
- 계약 기간: 비공개
- 계약 규모: 비공개
- 안양 정관장 아레나 (Anyang Jung Kwan Jang Arena)
- 홈 구단: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구매 기업: KGC인삼공사
- 계약 기간: 비공개
- 계약 규모: 비공개
2.1.1.2. 계약 종료된 명명권
- 현 명칭: 핸드볼경기장
경기장 명칭에 올림픽이 들어가는 부분 때문에 IOC에서 이의를 제기한 적이 있다.
2.1.2. 국외
해외의 경우는 오히려 안 판 곳을 찾는 게 더 빠를 만큼 구장 명명권이 돈 되는 장사다. 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경우,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성향[15] 때문에 뉴욕 양키스의 양키 스타디움, 보스턴 레드삭스의 펜웨이 파크,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의 에인절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다저 스타디움, 워싱턴 내셔널스의 내셔널스 파크처럼 거절하는 경우도 제법 있다.NBA나 NFL, NHL의 경우에는 경기장 이름을 팔 수 있으면 파는 편이며, 프로가 아닌 대학 스포츠의 경우에도 인기 구단은 홈구장 이름을 매각하기도 한다.
유럽의 경우에도 빅클럽들의 경우에 전통을 중시해 구단 이름 매각을 반기지 않는데 2010년대 이후로 선수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구단 수익을 확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자 구장 명명권 판매와 관련되어 진지한 논의가 오가는 중이다.
그리고 명명권이 아직 안 팔린 구장은 명명권/명명권이 없는 구장 항목에 따로 기술한다.
그러나 이런 명명권계약은 또다른 부작용을 낳기도 하는데 그건 바로 구장의 빈번한 명칭변경. 물론 이런 폐해를 막기 위해서 대부분의 경우 한번 계약 할 때 10년 이상의 장기 계약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불경기에 따라 명명권 계약할 때는 호기롭게 거액의 장기 계약에 나섰던 기업들도 파산이나 사업 축소, 브랜드 폐지 등 이런저런 사정으로 계약을 끝까지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어느 정도 생길 수밖에 없고 수년에 한번씩 이름이 갈려서 실은 같은 구장임에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마치 몇 년에 한번씩 구장을 옮긴 것마냥 오해를 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아니면 이미 기업은 망해서 사라졌음에도, 이미 그 전에 선불로 받아둔 돈이 있기 때문에 계약은 유지되어 망한 회사의 이름을 그대로 달고 운영되는 구장들도 있다. 그래서 홈구장의 명칭을 응원하는 팀의 정체성 중 하나로 여기는 열성 팬들 중에서는 이러한 구장의 명명권 계약을 달갑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폐해의 대표적인 예로는 NFL의 마이애미 돌핀스의 홈구장 하드록 스타디움.
2.1.2.1. 미국
전 세계에서 명명권 계약이 가장 빈번하고 가장 규모가 크게 이루어지는 동네다 보니 모든 홈구장 명명권을 이곳에 다 기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각 종목별 1위 홈구장의 명명권만을 기재하며, 그 외의 명명권 계약을 보려면
이곳을 참조하길 바랍니다.
-
소파이 스타디움 (SoFi Stadium)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램스와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의 공동홈구장인 이 구장은 학자금, 대출금 재융자 기업인 소파이(SoFi)와 20년간 6억달러, 연간 3,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로 약 6조원에 달하는 건설 비용으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경기장이라는 타이틀도 쥐고 있는 그야말로 천조국 돈지랄의 결정체.
-
시티 필드 (Citi Field)
뉴욕 메츠의 홈구장. 2009년 오픈하면서 명명권을 시티그룹에 20년 총 4억 달러(연간 2천 1만 달러=약 210억 원)에 낙찰되어 한때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이름의 구장 타이틀을 유지했다.[16] 현재까지도 MLB 구장 중에서는 가장 비싼 이름의 구장이다. 당시 시티그룹은 대침체 때 공중분해될 뻔했다가 금융 지원을 받고 기사회생한 형편에 명명권 입찰에 거액을 쏟아부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동안 욕을 원없이 먹어야 했다. 당시 명명권 입찰에는 삼성그룹이 참여하기도 했다. 참고 기사
-
바클리스 센터 (Barclays center)
브루클린 네츠의 홈구장. EPL 스폰서로 유명한 금융회사 바클리스에 20년 2억 달러(연간 2천만 달러/약 200억)에 명명권을 구매해 NBA에선 가장 비싼 이름의 구장. 2015년 뉴욕 아일런더스가 입주하면서 NHL에서도 가장 비싼 이름의 구장 등극.
-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스 필드 앳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United Airlines Field at Los Angeles Memorial Coliseum)
- KFC 염! 센터 (KFC Yum! Center)
-
뱅크 오브 캘리포니아 스타디움 (Banc of California Stadium)
로스앤젤레스 FC의 홈구장. 2018년 오픈하면서 뱅크 오브 캘리포니아와 15년간 1억 달러 상당에 명명권 계약을 채결하였다. 현재까지도 MLS 구장 중에서 가장 비싼 이름의 경기장이다.
2.1.2.2. 독일
독일은 여타 축구 리그와 달리 지역 기반 기업이 매우 강하고 구단과 연계도 잘 되어 있으므로 이런 기업명이 들어간 명명권 계약이 매우 흔합니다.[17]
-
알리안츠 아레나 (Allianz Arena)
독일 FC 바이에른 뮌헨의 홈구장으로 건설 비용 중 1100억을 뮌헨이 본사인 알리안츠 그룹에서 지급하는 대신 30년간 구장 명명권을 취득했다. 분데스리가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구장. 명명권을 인정하지 않는 FIFA, UEFA 주관대회에서는 푸스발-아레나 뮌헨(Fußball-Arena München)[18]이 정식 명칭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외벽의 색깔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경기장이다.
-
지그날 이두나 파크 (Signal-Iduna Park)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홈구장. 원래 베스트팔렌 슈타디온이라는 이름의 유서 깊은 홈구장이었으나 유서 2005년 재정난으로 파산 직전까지 몰린 상황에서 지역 유명 보험사인 지그날-이두나 사와 명명권 계약을 맺었다. 명명권을 인정하지 않는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본래 이름대로 베스트팔렌 슈타디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가, 현재는 BVB 슈타디온 도르트문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펠틴스 아레나 (Veltins Arena)
FC 샬케 04의 홈구장. 본래 명칭은 아레나 아우프 샬케였으나 유명한 필스너 맥주 회사인 펠틴스와 명명권 계약을 맺었다.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원래 명칭인 아레나 아우프 샬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Mercedes-Benz Arena)
VfB 슈투트가르트의 홈구장. 본래 이름은 네카어 슈타디온이었으나 2008년부터 독일 유명 자동차 회사인 메르세데스-벤츠와 명명권 계약을 맺었다. 벤츠의 기반 도시인 데다 이미 독일 국대 메인 스폰서이기도 한 벤츠이므로 지역을 대표하는 클럽인 슈바벤과의 협력 관계도 돈독하다.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더 이상 네카어 슈타디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도이체 방크 파르크 (Deutsche Bank Park)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홈구장. 원래 이름은 발트슈타디온이었으나 2005년에 독일 유명 은행인 코메르츠방크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코메르츠방크 아레나(Commerzbank-Arena)이름이 바뀌었으며, 명명권 계약이 종료된 후 2020년에 도이체방크와 명명권 계약을 새로 체결하면서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본래 이름인 발트슈타디온을 사용했다가 현재는 프랑크푸르트 스타디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2.1.2.3. 영국
-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Emirates Stadium)
아스날 FC의 홈구장. 본래 이름은 애슈버턴 그로브로, 에미레이트 항공이 건설 비용 1700억 원을 투자해서 15년간 명명권을 보유하게 되었다. EPL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구장이 되겠다. 2021년까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으로 사용되고 2021년에는 원래 이름인 애슈버턴 그로브로 환원될 예정이었으나 2018년 또 연장 계약을 체결해 2028년까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으로 불리게 된다. 명명권을 인정하지 않는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과거 하이버리 시절 홈구장 이름이던 아스날 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에티하드 스타디움 (Etihad Stadium)
맨체스터 시티 FC의 홈구장이다. 본래 이름은 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19]이었지만 셰이크 만수르 빈 자예드 알 나얀이 새로운 구단주가 되고 메인 스폰서가 에티하드 항공이 되면서 영국 안에서만의 이름을 에티하드 스타디움으로 바꾸었다. FIFA, UEFA 주관 대회에서는 본 명칭인 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bet365 스타디움 (bet365 Stadium)
2.1.2.4. 일본
-
반테린 돔 나고야 (バンテリンドーム ナゴヤ)
주니치 드래곤즈의 홈구장. 2020년 12월에 나고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의료용품 회사 코와에서 명명권을 구입했으며 구장명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사용하게 된다.[20]
-
후쿠오카 PayPay 돔 (福岡 PayPayドー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 일본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경기장이다. 모기업인 소프트뱅크의 자회사, 야후! 재팬이 2005년부터 연간 5억 엔(약 50억 원)을 지불하고 있다. 2012년까지는 후쿠오카 Yahoo! Japan 돔(福岡 Yahoo! Japanドーム)이었다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야후오쿠!(구 야후! 옥션)를 강조하기 위해 변경했다. 2020년부터는 자사 간편결제 서비스 홍보를 위해 PayPay돔이라는 이름을 쓴다.
-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エスコンフィールド北海道)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가 삿포로 돔을 벗어나 새롭게 정착하는 구장으로 부동산 개발투자사인 Es Con에게 경기장 명명권을 매각했다. 정확한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구단 관계자가 후쿠오카 야후 오쿠돔을 제치고 일본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스포츠건축물이 될 것이라고 한다.
-
ZOZO 마린 스타디움 (ZOZOマリンスタジアム)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구장. 2010년까지는 치바 마린 스타디움으로 불렸지만 홈쇼핑 업체인 QVC 재팬과의 명명권 계약으로 인해 'QVC 마린 필드'라는 이름을 거쳐 현재 인터넷 쇼핑몰 기업인 ZOZOTOWN과 계약을 맺어 현재와 같은 이름이 되었다.
-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楽天モバイルパーク宮城)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구장. 과거 제지회사 크리넥스에서 스폰서를 하기도 했으며, 2013년에 라쿠텐 KOBO에서 명명권을 사들였다. 그후 라쿠텐 그룹이 쭉 명명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년에 한번 꼴로 명명권 주체가 변경되어 이름이 바뀌고 있다. 가장 최근의 이름이 2023년부터 붙은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MAZDA Zoom-Zoom スタジアム広島)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구장으로 모기업인 마쓰다주식회사에서 명명권 계약을 맺었다. 규모는 5년간 11억엔.
-
베루나 돔 (ベルーナドー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홈구장. 일본의 패션브랜드인 베루나와 명명권 계약을 체결했다. 여러 번 명명권 계약이 체결되어 이름이 자주 바뀐 구장으로, 베루나 이전 2017-22년까지는 메트라이프 돔이라는 이름이었다.
-
교세라 돔 오사카 (京セラドーム大阪)
오릭스 버팔로스의 홈구장으로 2006년에 디지털 기업 교세라에서 명명권을 취득했고 2011년과 2014년에 각각 3년간 명명권 계약 연장을 실시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
홋토못토 필드 고베 (ほっともっとフィールド神戸)
오릭스 버팔로즈의 제2 홈구장. 2011년부터 도시락 업체인 홋토못토와 계약을 체결했다.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味の素スタジアム)
J리그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경기장이자, 일본 프로 스포츠 최초로 스타디움의 명명권이 적용된 구장. FC 도쿄와 도쿄 베르디의 홈구장으로, 2003년부터 아지노모토 그룹이 5년간 12억엔에 명명권을 사들였고 2013년에 2014년 3월 1일부터 5년간 10억 엔(약 100억 원), 연간 2억 엔(약 20억)을 지불하고 계약을 연장하기로 발표했다.
-
닛산 스타디움 (日産スタジアム)[21]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홈구장. 원래는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이라는 이름이었으나 팀의 모기업인 닛산자동차가 2005년부터 연간 47억 원을 지불하면서 명명권을 사들였다. 한때는 J리그에서 가장 비싼 이름을 가진 구장이었으나, 2009년에 경기 불황을 이유로 15억 원 규모로 축소 계약하면서 그 자리는 바로 위의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에게 넘겨줬다.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エディオンスタジアム広島)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홈구장. 본래 이름은 히로시마 빅 아치로, 2014년부터 유통업체인 에디온과 계약을 맺으면서 이름을 변경했다.
-
얀마 스타디움 나가이 (ヤンマースタジアム長居)
세레소 오사카의 홈구장. 원래 나가이 육상경기장이라는 이름이었으나 모기업인 얀마디젤에서 명명권을 취득했다.
-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パナソニック スタジアム 吹田)
감바 오사카의 홈구장으로 본래 명칭은 연고지인 스이타시에서 따온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市立吹田サッカースタジアム)'이었으나, 2018년부터는 팀의 모기업인 파나소닉과 5년간의 명명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경기장 이름을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Panasonic Stadium Suita)로 변경됐다.
-
상가 스타디움 by KYOCERA (サンガスタジアム by KYOCERA)
교토 상가 FC의 홈구장. 팀의 모기업이자 교토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향토기업 교세라에서 최신식 시설의 경기장 건설을 지원해주는 조건으로 명명권을 얻었다.
- NACK5 스타디움 오미야 (NACK5スタジアム大宮)
2.1.2.5. 싱가포르
-
OCBC
싱가포르 스포츠 허브 (OCBC Singapore Sports Hub)
로컬 은행인 OCBC가 15년간 50m(약 500억)을 지불하고 신축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을 중심으로 한 스포츠 컴플렉스의 명명권을 사들이며 싱가포르에서 가장 비싼 이름의 경기장이 되었다.
2.1.3. 명명권이 없는 구장
자세한 내용은 명명권/명명권이 없는 구장 문서 참고하십시오.2.1.4. 세계 최대의 경기장 명명권 계약
순위 | 경기장 | 구단 | 리그 | 금액 (1년 단위) |
1 | 소파이 스타디움 | 로스앤젤레스 램스 / 차저스 | NFL | $3,000만 |
2 | 얼리전트 스타디움 |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 NFL | $2,000~2,500만 |
3 | 시티 필드 | 뉴욕 메츠 | MLB | $2,100만 |
4 | 바클리스 센터 | 브루클린 네츠 | NBA | $2,000만 |
5 | AT&T 스타디움 | 댈러스 카우보이스 | NFL | $1,900만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뉴욕 자이언츠 / 제츠 | NFL | $1,900만 | |
7 | 체이스 센터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NBA | $1,500만 |
8 | 하드록 스타디움 | 마이애미 돌핀스 | NFL | $1,389만 |
9 | NRG 스타디움 | 휴스턴 텍산스 | NFL | $1,200만 |
메르세데스-벤츠 스타디움 | 애틀랜타 팰컨스 | NFL | $1,200만 | |
11 | 리바이스 스타디움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 NFL | $1,100만 |
글로브 라이프 필드 | 텍사스 레인저스 | MLB | $1,100만 | |
13 | 오라클 파크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MLB | $1,000만 |
트루이스트 파크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MLB | $1,000만 | |
15 | 페덱스 필드 | 워싱턴 레드스킨스 | NFL | $950만 |
16 | NRG 스타디움 | 휴스턴 텍산스 | NFL | $938만 |
17 | 메르세데스-벤츠 슈퍼돔 | 뉴올리언스 세인츠 | NFL | $890만 |
18 | US 뱅크 스타디움 | 미네소타 바이킹스 | NFL | $880만 |
19 | 스테이트팜 아레나 | 애틀랜타 호크스 | NBA | $875만 |
20 | 질레트 스타디움 |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 NFL | $850만 |
2.2. 명명권을 적용한 구단명
기업명을 사용하는 구단이면 대부분 명명권을 사용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 목록에서는 구단을 소유한 기업(또는 기업 집단)이 명명권을 스스로 행사하는 경우는 기재하지 않고 대신 구단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다른 기업이 명명권을 사들인 경우만 기재한다. 또 지역명을 사용하는 구단의 경우 단순히 연고지를 표기한 경우는 기재하지 않고, 아예 지방자치단체에 명명권을 부여한 경우만 기재한다. 지자체에 명명권을 주는 경우는 대개 예산 지원을 받았을 때 이뤄진다.2.2.1. 국내
2.2.1.1. 야구
-
우리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
KBO 리그)
대한민국에서 명명권으로 가장 유명한 구단. 2023년 현재 스폰서는 키움증권으로 매년 스폰서비로 100억이 지급된다. 창단 이후에는 우리담배의 스폰을 받아 우리 히어로즈였다가 2008년 8월 우리담배의 스폰서 계약 해지 이후 메인 스폰서를 못 찾아 그냥 히어로즈[23], 뒤이어 2009년에는 지명을 넣어서 서울 히어로즈라고 했다가 2010년부터 넥센타이어의 스폰을 받아 넥센 히어로즈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16년부터는 후원을 하지 않는다고 전해졌지만 결국 재계약에 성공해 2018년까지 명명권 계약을 연장했다. 넥센타이어와의 계약이 끝난 이후 2019년부터 키움증권의 스폰을 받아 키움 히어로즈로 변경했다. 히어로즈의 스폰서 계약이 끝날 즈음에는 항상 어디가 스폰서가 되느냐에 관심이 쏠리는데, 팬들의 공포감 또는 타 구단 팬/히어로즈 안티들의 기대감에 따라 차기 구단명이 무엇이 될 것인가에 관해 각종 이야기들이 횡행한다. 예컨대 원할머니 보쌈이 스폰서가 되어 '원할머니 히어로즈'가 되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대표적. 한편 2014년부터는 2군도 명명권을 적용했다. 아래 참고.
-
화성 히어로즈 /
고양 히어로즈 (
KBO 퓨처스리그)
바로 위에 있는 키움 히어로즈의 2군. 한국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1·2군의 이름을 달리하는 사례임과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에 명명권을 준 특이 사례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도 화성시의 지원을 받으면서 화성을 구단명에 넣게 했기 때문이다. 2019년부터 경기도 고양시로 연고 이전을 하여 고양시가 명명권을 취득, 고양 히어로즈가 되었다.[24]
-
고양 다이노스 (
KBO 퓨처스리그)
NC 다이노스 2군이 경기도 고양시에 있었던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썼던 구단명. 화성 히어로즈와 동일한 사례다. 참고로 고양 다이노스라는 구단명을 쓰기 전에는 NC 다이노스 C팀[25]이라고 불렸고, 1군(N팀) 연고지인 창원시로 이동한 2019년에는 다시 NC 다이노스 C팀이라고 부른다.
-
연천 미라클 (독립 야구단·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구단 공동 운영 주체인 연천군에서 명명권을 2억 원에 사들이며 ISG 미라클이라는 이름 대신 연천 미라클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
고양 원더스 (독립 야구단·KBO 퓨처스리그 번외 구단·해체)
이 경우는 구단이 '외부'에 명명권을 부여한 경우에 해당되는지 다소 애매하다. 화성 히어로즈처럼 지자체와 구단 사이에 예산 지원과 명명권만 트레이드한 게 아니고 고양시가 공동 운영 주체로 직접 참여했기 때문이다.
2.2.1.2. e스포츠
-
하이트 스파키즈(해체),
하이트 엔투스(해체)
하이트진로[26]가 온게임넷 스파키즈에 08-09 시즌부터 3년간 후원하면서 명명권을 얻었으나[27], 약 2년 후 온게임넷의 모기업인 온미디어가 CJ E&M에 흡수되고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이 터져 스파키즈가 공중분해되어 CJ 엔투스에 인수되어서 남은 1년 동안 CJ 팀의 명명권을 얻었다.CJ그룹이 하이트진로보다 훨씬 큰 회사인 건 넘어가자.
-
LG-IM(계약 종료)
LG전자가 프로게임단 Incredible Miracle의 명명권을 취득했다. 그리고 이 계약은 후원금 미지급 등의 흑역사를 남기며 명명권 계약의 안 좋은 사례가 된다.
-
MVP Ozone(해체),
삼성 갤럭시 오존(계약 종료)
구 MVP Ozone 시절 본 팀명은 MVP White 였으나 Ozone Gaming Gear의 네이밍 후원을 받은 뒤로 MVP Ozone으로 팀명이 바뀌고 삼성에서 이 프로게임단을 인수해 해체 후 재창단한 후에도 계약 기간이 남아 Samsung Galaxy Ozone이라는 팀명을 달고 활동했었다.
-
SBENU SonicBoom / SBENU KOREA(해체)
소닉 스타리그로 유명한 황효진이 운영하는 신발회사 스베누가 Prime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후원하면서 2015년 5월 19일에 등장한 팀이다. 2016년 챌린저스 강등 후 팀명이 SBENU KOREA로 변경되었고, 동년 10월 7일에 해체되었다. 참고로 2015년의 스베누와 2016년의 스베누 코리아는 별개의 법인이다.
-
SBENU(계약 종료 후 해체)
스베누는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인 스타테일도 후원했으나, 2015년 스베누 사태 이후 스베누의 경영 상태와 스베누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악화되면서 스타테일의 후원은 중단되었고 이후 아프리카TV에 인수되어 아프리카 프릭스로 바뀌었지만, 그 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끝나면서 해체되었다.
-
bbq 올리버스(계약 종료 후 해체)
본래 이름은 ESC Ever였지만, 2017년 1월 11일 제너시스와의 스폰서 계약으로 ESC Ever에서 bbq OLIVERS로 팀명을 바꾸고[28] 2019 롤챌스 서머 시즌까지 활동했으며, 2019년 12월 후원이 종료되면서 원래 팀명인 ESC로 돌아왔다.
-
네시삼십삼분(프로게임단)(매각),
오스카 드래곤즈(해체)
네시삼십삼분과 자회사 오스카 엔터테인먼트가 배틀그라운드 팀을 후원하여 명명권 계약을 했다.
-
Cloud9 KONGDOO(계약 종료)
오버워치 APEX 시즌 4 진행 중 프로게임단 Cloud9이 오버워치 리그 참가를 목적으로 KONGDOO PANTHERA와 명명권 계약을 체결했다. APEX 종료 이후 선수 4명이 오버워치 리그의 런던 스핏파이어로 이적했으며, C9의 스폰서쉽이 종료되고 단일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원래 팀명인 KONGDOO PANTHERA로 돌아왔다.
-
진에어 그린윙스(매각 후 해체)
진에어에서 제8게임단이었던 스타크래프트 2 팀과 ESG와 HGD를 인수창단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지원하며 명명권 계약을 했다. 게임단 소유권은 KeSPA가 가지고 진에어가 후원하는 구조로 운영되었다가, 2020년 진에어가 운영권을 완전 인수했다.
-
콩두 몬스터(매각) /
hyFresh BLADE / Fredit BRION(계약 종료) /
OK저축은행 브리온
나진 e-mFire를 운영하던 나진에서 운영을 그만둔 후[29] 기업명을 뺀 e-mFire라는 팀명으로 활동하다 e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 콩두컴퍼니(현 라우드코퍼레이션)와 파트너쉽 계약을 맺으며 명명권을 획득했고, 이후 2017년 콩두가 정식으로 팀을 인수했다.[30] 2018년 11월 20일 브리온컴퍼니에 인수되면서 BRION Blade로 팀명이 바뀌었고, 2020년 6월 한국야쿠르트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고 2020 롤챌스 서머에는 hyFresh BLADE로, 2020 KeSPA Cup부터 2022년까지 Fredit BRION 팀명으로 활동했다. 2023년 5월 18일 OK저축은행과 3년간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계약 종료)
한화생명e스포츠가 스틸에잇이 운영하는 게임단 Griffin 소속 카트라이더 팀과 명명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2019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부터 2021년 시즌 1까지 한화생명e스포츠 팀명으로 활동했으며, 2021년 6월 1일 계약 종료 후 감독 문호준에게 팀을 양도했다.
-
설해원 Prince(계약 종료)
APK 프린스가 강원도에 위치한 골프 리조트인 설해원과 명명권 계약을 맺으며 팀명이 설해원 Prince로 변경되었고, 2021년 1월 30일 계약이 종료되면서 APE Prince로 변경되었다.
-
AWESOME SPEAR(계약 종료)
Awesome 클랜을 이끌던 김목경 감독이 숙소를 구하던 SPEAR Gaming에게 공간을 대여해주는 조건으로 네이밍 스폰서가 되어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에 AWESOME SPEAR라는 팀명으로 참가했다. 이후 LCK 프랜차이즈 심사에서 탈락하고 아마추어 팀으로 전환하며 원래 팀명으로 돌아왔다.
-
Liiv SANDBOX(계약 종료)
SANDBOX Gaming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KB국민은행과 3년간 명명권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2021년에 피파 온라인 4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팀과도 추가적으로 명명권 계약을 체결, 레인보우 식스 시즈팀을 제외한 샌드박스 게이밍의 모든 팀이 Liiv SANDBOX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됐다. 2023년 12월 15일 명명권 계약이 종료되면서 FearX로 리브랜딩되었다.
-
DWG KIA / Dplus KIA
담원 게이밍과 기아가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DWG KIA로 변경되었고, 2023년 1월 9일 Dplus로 리브랜딩하면서 Dplus KIA로 변경되었다.
-
광동 프릭스
Afreeca Freecs와 광동제약이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광동 프릭스라는 팀명으로 활동한다.
-
PGxKT / kt 롤스터
kt 롤스터가 피파 온라인 4 프로게임단 PLAYGROUND를 후원하면서 팀명이 PGxKT로 변경되었고, 2023년부터는 kt 롤스터 팀명으로 활동하고 있다.[31]
-
DRX Shinhan Bank
신한은행이 메인 스폰서를 맡고 있는 DRX의 리그 오브 레전드 3군으로 특이하게 3군만 네이밍 스폰서를 달고 활동한다.
2.2.1.3. 기타 종목
-
고양 자이크로 FC (
K리그 챌린지·해체)
본래 고양 Hi FC[32]라는 이름이었으나 구단의 용품 스폰서를 맡고 있는 스포츠 브랜드 자이크로에서 명명권을 취득하여 고양 자이크로 FC로 개명하게 되었다.
-
OK저축은행 읏샷 (
한국여자프로농구)
이전에는 KDB산업은행에서 운영하고 있던 구리 KDB생명 위너스였으나, KDB에서 2017-2018 시즌을 끝으로 구단 운영을 포기하면서[33]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에서 위탁 운영을 맡게 되었다가 OK저축은행에서 한 시즌간 네이밍 스폰서로 후원하기로 결정하면서 구단명이 변했다. 이후 BNK금융지주가 팀을 인수하면서 부산 BNK 썸으로 구단명이 변경되었다.[34]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한국여자프로농구)
당초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가 원래 구단 명칭이었지만 2014 시즌부터 모기업이 제일기획으로 변경되면서 용인 삼성 블루밍스로 불렸으나, 1시즌 만에 삼성생명과 명명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다시 삼성생명으로 변경되었다.
-
웰컴론크레디트 코로사 (
핸드볼코리아리그·해체)
일본계 대부업체인 웰컴론과 계약해 구단명도 "HC 코로사"에서 "웰컴론크레디트 코로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경영 악화로 2015년 11월 팀이 해체되었다.
-
고양 캐롯 점퍼스 (
한국프로농구·계약 종료 후 해체)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가 2021-22 시즌을 끝으로 데이원자산운용에 인수되었고 캐롯손해보험이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고양 캐롯 점퍼스로 해체 후 재창단했다. 그러나 모기업 대우조선해양건설의 경영난으로 인해 각종 문제가 발생했고 결국 2023년 3월 21일 1시즌도 채우지 못하고 네이밍 스폰서 계약이 종료되었으며, 2023년 6월 16일 한국농구연맹이 데이원의 회원 자격을 박탈하면서 한국프로농구에서 제명되었다.
2.2.2. 해외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애너하임 에인절스 시절 모기업이었던 월트 디즈니 사가 애너하임 시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대신 구단명에 '애너하임'을 꼭 넣도록 했다. 애너하임 시에게 명명권을 준 셈. 그래서 구단을 매각할 때도 디즈니가 요구한 게 애너하임을 빼지 말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새 구단주인 모레노가 로스엔젤레스 쪽으로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 구단명의 '에인절스' 앞에 '로스앤젤레스'를 다시[35] 구단명에 집어넣되[36] 맨 뒤에 '오브 애너하임'을 추가하여 계약 위반을 회피하는 꼼수를 썼다. 애너하임 시는 당연히 이에 발끈해서 너 고소를 시전했으나, 디즈니 시절에 애너하임 시가 체결한 약정으로는 팀 이름에 애너하임을 포함하라고만 되어 있었기 때문에 패소했다. 그래서 현재의기괴한구단명이 유지되고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애너하임에 거주하는 팬들은 현재의 구단명을 싫어한다고 한다. 이런 이름은 애너하임에 있는 또다른 프랜차이즈이자 똑같이 디즈니가 가지고 있었던 마이티덕스 오브 애너하임의 사례를 가져온 것. 2017년부터는 사실상 이미 오브 애너하임을 떼어낸 걸로 간주하고 있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일본프로야구 -
퍼시픽 리그)
검은 안개 사건으로 인해 팀이 개박살나 성적과 인기가 곤두박질쳐 결국 1972년 원래 모기업이던 서일본 철도가 경영을 포기해 이후 1979년 세이부 철도가 팀을 인수하고 연고지를 후쿠오카에서 사이타마로 이전하기 전까지인 1973~1978년까지 명명권으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던 침체기를 보냈다. 넥센 히어로즈와 같은 운영 방식의 원조이다. 참고로 이때의 팀 이름은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1973~1976) -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1977~1978).
-
치바 롯데 마린즈 (
일본프로야구 -
퍼시픽 리그)
1963년 모기업이던 마이니치 신문이 경영에서 손을 떼 이후 도쿄 오리온즈로 이름을 바꾸고 1964년부터 1971년까지 롯데의 인수 전까지 명명권으로 팀을 유지하는 시절을 보냈다. 팀 이름이 롯데 오리온즈로 바뀐 건 1969년이었지만 롯데가 정식으로 팀을 인수한 건 1971년이었다. 2년간은 롯데가 도쿄 오리온즈의 명명권을 사는 방식으로 팀을 운영했다.
-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
일본프로야구[2군])
독립 리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있던 시절에는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니가타 알비렉스 BC)로 활동하였으나, 프로 진출 후 식품 통신판매 회사인 오이식스 라 다이치가 명명권을 획득하며 오이식스가 앞에 붙게 되었다.
-
쿠후 하야테 벤처스 시즈오카 (
일본프로야구[2군])
모기업이 도쿄에서 금융업과 벤처 기업 투자 사업을 하는 하야테 그룹인데, 여기에 벤처 기업인 쿠후 컴퍼니와의 자본 제휴를 통해 쿠후 또한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구단명에 쿠후와 하야테가 모두 들어갔으며, 공식 약칭도 '쿠후 하야테'다.
-
옌볜 푸더 (
중국 슈퍼 리그·해체)
본래 팀 이름은 백두산의 중국식 표현인 장백산을 넣은 옌볜 창바이산[39]이었지만 2015년 갑급 리그 우승을 통해 슈퍼 리그로 승격한 후 중국 보험사인 푸더 생명의 지원을 받아 개명했으나, 모기업 위기로 지원이 끊이고 2019년에 해체되었다. 이전에도 1990년대에 각각 현대그룹과 삼성그룹의 재정 지원을 받아 한때 옌볜 현대(1997~1999), 지린 삼성(1994~1996)이라는 명칭을 가지기도 했다.
-
대만 대학 스포츠
대만 대학 스포츠의 일부 강팀은 기업과 명명권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예전 농구대잔치처럼 실업과 대학이 함께 참여하는 대회에 나오는 대학 운동부가 명명권을 행사하고 있는데 야구의 경우 타이완중유, 푸본불스, 대만맥주, 대만스포츠로또가 대학명 대신 팀 이름으로 달고 나온다. 이런 현상은 사립과 국립을 가리지 않는데 앞서 언급한 대만맥주 야구단은 국립체육대 야구부다. 국립체육대 축구부 또한 롄홍기업과 명명권 계약을 통해 실업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명명권 구매를 통한 기업 홍보도 있지만 학원 스포츠를 후원한다는 명목도 있어서 명명권 계약 기간이 10년~20년으로 꽤 길다. 중국문화대학 야구부와 메이푸건설은 1988년부터 2020년까지 메이푸 자이언츠로 명명권 계약을 한 바 있다.[40] 최근에는 이런 명명권이 대만강철(타이난시청) 축구단이나 싱푸파건설(타이베이시청) 야구단 등 지자체가 운영하는 실업 구단에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고등학교 단위로 내려가면 명명권이 아닌 형태의 스폰서십도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아예 정부에서는 이를 권장 및 감독하고 있다.
본래 이 항목에는 대만 프로야구 중신 브라더스와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가 있었으나, 전자는 팀 인수 후 기존 팬덤 이탈 방지를 위해 명목상 10년짜리 명명권 계약을 체결하여 이전 모기업 이름인 슝디(兄弟)를 넣은 중신 슝디 브라더스였으나 실제로는 1년만 사용한 팀명이었다. 후자는 그래도 유니폼 전면에 세븐일레븐을 크게 부착하긴 했으나 세븐일레븐의 대만 라이센스를 보유한 곳이 퉁이그룹이고 이미 시장 과점 업체였기에 실질적인 명명권은 아니었다.
-
Azubu Taipei Assassins, Azubu Taipei Snipers /
CTBC J Team /
Taipei J Team (
e스포츠·대만)
대만의 유명한 e스포츠 게임단인 Taipei Assassins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에서 극적인 우승을 차지한 후 Azubu에서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 Taipei Assassins뿐 아니라 형제 팀인 Taipei Snipers에게도 네이밍 스폰서를 함께 제공했다. 2016년 주걸륜이 팀을 인수하면서 J Team으로 변경되었다가 2019 서머 시즌에는 대만의 CTBC Bank와 명명권 계약을 맺고 CTBC J Team 팀명으로 활동했으며, 2020 시즌부터는 타이베이시의 후원을 받아 Taipei J Team으로 활동 중이다.
-
Mega Bank Beyond Gaming (
e스포츠·대만)
대만의 프로게임단 Beyond Gaming이 조풍국제상업은행(Mega Bank)의 후원을 받으면서 팀명이 Mega Bank Beyond Gaming으로 변경되었다.
-
Gillette Infinity (
e스포츠·남미/계약 종료)
코스타리카의 프로게임단 Infinity Esports가 질레트의 후원을 받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Gillette Infinity로 활동했다.
-
fastPay Wildcats / DenizBank İstanbul Wildcats (
e스포츠·튀르키예)
튀르키예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İstanbul Wildcats가 2020년 데니즈 은행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fastPay Wildcats로 변경되었고, 2022년 중순부터는 DenizBank İstanbul Wildcats로 활동하고 있다.
-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e스포츠·중국)
중국의 프로게임단 Bilibili Gaming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핑안은행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2021 LPL 스프링부터 Bilibili Gaming Pingan Bank로 활동하고 있다.
-
TSM FTX (
e스포츠·북미/계약 종료)
북미 프로게임단 TSM이 2021년 6월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 FTX와 10년간 2억 1000만 달러 규모의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TSM FTX로 변경되었다. 단 리그 오브 레전드 팀과 발로란트 팀은 라이엇 게임즈가 암호화폐 거래소의 후원을 제한함에 따라 기존의 이름인 TSM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2022년 11월 FTX가 파산하면서 파트너십이 중단되었다. #
-
Dignitas QNTMPAY (
e스포츠·북미/계약 종료)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에 참가하는 프로게임단 Dignitas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2021년 6월 4일 디지털 은행 QNTMPAY(퀀텀페이)와 4년간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Dignitas QNTMPAY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2022 서머부터 스폰서명을 떼고 다시 Dignitas로 활동하고 있다.
-
JDG Intel Esports Club (
e스포츠·중국)
중국의 프로게임단 JD Gaming이 2021년 6월 6일 인텔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JDG Intel Esports Club으로 변경되었다.
-
Immortals Progressive (
e스포츠·북미)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에 참가하는 프로게임단 Immortals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2022년 1월 13일 미국의 보험사 Progressive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팀명이 Immortals Progressive로 변경되었다.
-
Team Liquid Honda (
e스포츠·북미)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에 참가하는 프로게임단 Team Liquid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2022년 혼다의 후원을 받으면서 팀명이 Team Liquid Honda로 변경되었다.
-
Weibo Gaming FAW Audi (
e스포츠·중국)
League of Legends Pro League에 참가하는 프로게임단 Weibo Gaming이 2022년 아우디의 후원을 받고, 중국 내에서 아우디와 합작 중인 디이자동차의 약칭 FAW가 팀명에 포함되어 Weibo Gaming FAW Audi으로 변경되었다.
-
Edward Gaming Hycan (
e스포츠·중국)
League of Legends Pro League에 참가하는 프로게임단 Edward Gaming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2022년 하이칸의 후원을 받으면서 팀명이 Edward Gaming Hycan으로 변경되었다.
-
Movistar R7 (
e스포츠·남미)
멕시코의 프로게임단 Rainbow7이 2022년 10월 텔레포니카의 이동통신 브랜드 Movistar의 후원을 받으면서 팀명이 Movistar R7로 변경되었다.
-
Evil Geniuses LG (
e스포츠·북미/해체)
Evil Geniuses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2023년 LG의 후원을 받으면서 팀명이 Evil Geniuses LG로 변경되었으나 2023년 11월 21일 LCS에서 퇴출되며 해체되었다.
[1]
이와 비슷한 것으로는 옥외 간판권(Signage right) 같은 것도 있다. 큰 빌딩에 간판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한두 개의 기업 이름을 건물에 설치해 소비자에게 노출하는 것.
63빌딩에 "한화생명" 글자가 박혀 있는 것이 한 예시다. 63빌딩의 소유자/입주자가 한화그룹이라서 당연한 소리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간판 설치 전후로 상당한 인지도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인 만큼 옥외 간판권을 적절하게 사용한 좋은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
일례로 NBA최고 명문인
보스턴 셀틱스의 홈구장은 1990년대까지 과거 1928년에 지어진 보스턴 가든(원래 이름은 "보스턴 매디슨 스퀘어 가든"이었으나 개명)이었다. 단순한 이름이지만 셀틱스였기에 그 구장과 이름 자체만으로 승리의 상징 같이 변했고 구장 천장에 걸린 수많은 배너가 경쟁 구단에게 압박을 주는 특별한 곳이었다. 그러나 1995년에 새로운 구장인 TD 가든이(당시 이름은 Fleet Center) 지어지면서 보스턴 가든은 철거되고 스폰서들인 Fleet Bank와 TD Bank의 이름이 붙었다. 오랜 셀틱스 팬들 중엔 셀틱스가 보스턴 가든이 아닌 "Fleet Center"에서 경기한다는 것 자체에 불만을 가진 이들이 많다. 셀틱스는 구단이 리그 출범과 함께 만들어진 1946년부터 50년 가까이 보스턴 가든에서만 경기해왔기 때문. 마찬가지로 NBA 최초의 팀 중 하나인
뉴욕 닉스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MSG)에서 계속 경기하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 물론 현 MSG는 오리지널 구장이 아니라 1968년에 지어진 것이며, 이미 매디슨 스퀘어 가든이 경기장/공연장으로 엄청난 브랜드 가치를 가진 것은 뉴욕 맨해튼 한가운데 지어졌다는 부동산 제1의 법칙인 입지 조건 끝판왕이라서기 때문에 맨해튼이 통째로 가라앉지 않는 한 MSG의 가치는 다른 홈구장보다도 몇 배는 높고(실제로 뉴욕 닉스의 구단 가치 중 상당 부분을 경기장이 차지한다) 때문에 새롭게 경기장이 지어져도 이 역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이라고 불릴 게 확실하다. 물론 이 점은 MSG는 공연장으로서 명성 역시 컸기 때문으로, 스포츠 구장으로서 정체성이 강한 보스턴 가든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 그리고 뉴욕과 보스턴이란 도시의 차이도 크다.
[3]
예를 들면
맨체스터 시티 FC의
시티 오브 맨체스터,
FC 바이에른 뮌헨의
푸스발 아레나 뮌헨,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베스트팔렌 슈타디온 등이 있다.
[4]
이것도 기구마다 달라서
WBSC나
남미 축구 연맹은 본래의 이름을 쓸 필요가 없다.
[5]
단, 해당 경기장의 기업이 대회를 유치하는 스폰서일 경우 사용이 가능하다.
[6]
해당 구장은 계약 종료 이후 잠시 동안 명명권을 팔지 않고 초대 구단주인 랄프 윌슨을 기리는 뜻으로 "랄프 윌슨 스타디움"으로 불리다가 2016년
뉴에라와 명명권 계약을 체결, 현재까지
뉴에라 필드로 불리고 있다.
[7]
실제로
넥센타이어가 접촉을 시도해 와서 이야기가 오고갔다고 한다. 다만 이 시도는 부산시가 재빨리 포기했는데 롯데 자이언츠 측에서 다른 기업이름이 붙는 것에 난색을 표했다고.
형보다 속이 좁다
[8]
일부 축구 팬들이
DGB대구은행파크는 다른 경우며 홈으로 쓰는
대구 FC는 모기업이 따로 없는 시민 구단이라서 가능한 계약이라는 말을 하기도 하지만, 이는 틀린 말로
대구은행은
대구광역시 시금고이면서 대구 FC 창단 당시 지분 9.19%를 소유한 대주주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대구시체육회 12.57%, 대구은행 9.19%, 기타 지역상공인 및 대구시민 78.24%이다.
[9]
사실 이건 미국이 유별난 편이고, 다른 나라들 역시 우리나라와 사정이 비슷하다. 이를테면 유럽권도 스폰서 기업이 명명권을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미국처럼 스폰서 이외의 기업이 명명권을 얻는 건 흔한 경우가 아니다.
[10]
물론 계약 연장을 하지 않아
2011년부터는 사라졌다.
[11]
일례로
인천 SSG 랜더스필드가 신세계 인수 전 와이번스일때 1루측에 존재했던 이마트 프렌들리존이나,
잠실야구장 테이블석 일부에 지정되어 있던 끌레도르존이 있다.
서울 SK 나이츠에서도 포카리스웨트석 등 명명권을 판매한 좌석을 운영하기도 했다.
[12]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사직 야구장,
고척 스카이돔은 명명권 판매를 하지 않고 있다. 서울특별시 소속 구장은 명명권 판매는 커녕 구장 광고권도 강탈해가는 등 홈 구단을 배려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고 사직 야구장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롯데 측이 모기업이 아닌 타 기업의 이름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13]
신세계의 야구단 인수는 기존 SK가 가지고 있던 기록을 모두 유지하는 쪽이다. 명명권 역시 인수 금액에 포함.
[14]
예외적으로 T1 vs. kt 롤스터 간 LCK 경기가 개최되었을 땐 고양체육관이라 부르지 않았다.
[15]
팬들 성향도 변화를 싫어하는데
펜웨이 파크의 경우 구단주가 "우리 구장 100년이 넘어서 너무 구림. 수리할 데가 많은데 차라리 그 돈 가지고 새로운 구장 만들겠음"이라고 하자 팬들이 벌떼 같이 들고일어나는 바람에 신축 구장 건설비에 가까운 2,000억 원을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하기도 했다. 아, 보스턴 팬덤 자체가 리그에서 가장 열혈 강성한 팬덤인 것은 논외로 하자
[16]
2019년에
소파이 스타디움이 20년간 6억달러, 연간 300억 원에 계약을 맺으며 1위 자리를 내주었다.
[17]
현
분데스리가 구단 중 기업 소유 형태의 구단인
VfL 볼프스부르크의 폭스바겐 아레나는 제외.
[18]
'뮌헨축구전용구장' 정도 되겠다.
[19]
City of Manchester Stadium, 약칭 CoMS.
[20]
반테린은 코와에서 생산하는 파스, 보호대 브랜드명이다.
[21]
미국에 동일한 이름의 경기장이 있다. 혼동 주의.
[22]
공개된 명명권 계약을 기준으로 정리
[23]
다만 2008 시즌은 8월 이후 기록도 우리 히어로즈로 기록되어 있다.
[24]
참고로 히어로즈(1·2군 모두 포함) 구단의 정식 기업명은 서울 히어로즈 프로야구단이고 한때 서울 히어로즈라는 구단명을 쓴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서울특별시에 명명권을 준 게 아니라 구단에서 자체적으로 명명한 것이다. 반면 화성 히어로즈와 고양 히어로즈의 경우 지원을 받는 대가로 각각 화성시와 고양시에 명명권을 준 경우다.
[25]
NC 다이노스는 고양 다이노스라는 명칭을 쓰기 전 1군, 2군을 다른 구단과 달리 각각 N팀, C팀이라고 불렀고 부상으로 재활 중인 선수단을 D팀이라고 불렀다. NC Dinos라는 명칭에 맞춘 것.
[26]
다만, 당시 사명은
하이트맥주였다. 그룹명을 바꾼 것은 명명권이 끝난 후.
[27]
다만, 주류 브랜드라는 점 때문인지
미성년자 선수에게는 로고에서 하이트가 빠진 유니폼을 입혔다.
[28]
원래 브랜드명은 대문자 BBQ이지만 팀명은 소문자인 bbq로 표기한다.
[29]
단 소유주는 이석진 나진 대표이사로 유지되었으며, 연습실도 기존의 나진 상가 내의 건물을 이용했다.
[30]
정식 인수 이전에도 콩두에서 연습실과 숙소를 마련하는 등 자체 운영에 가까운 지원을 해주었다.
[31]
kt가 정식으로 인수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32]
이 Hi의 뜻은 인삿말 Hi도 있지만 할렐루야 임마누엘의 머릿글자이기도 하다. 즉 이 개명은 종교색을 지우려는 구단의 속사정과 인지도를 높이려는 자이크로의 뜻이 서로 통했던 셈.
[33]
이에 따라 한 시즌 내에 새로운 모기업이나 네이밍 스폰서를 찾지 못했을 때에는 구단이 즉각 해체될 상황에 있었다.
[34]
다만
구단의 역사는 이어지지 않았다.
[35]
옛 구단명 중 하나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였다.
[36]
애너하임은 통계 등에서 Greater Los Angeles Area의 일부로 포함되긴 하는데 흔히 생각하는 '로스앤젤레스' 범위에 비춰봤을 땐 구단명 개정은 무리수였다.
[2군]
2024년 기준 1군 진출 없이
2군에만 참가 중이라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선택 여부는 추후 결정 예정이다.
[2군]
[39]
중국어 발음 기준으로, 한자 독음으로는 연변 장백산이 된다. 개명 후의 한자 독음은 연변 부덕이다.
[40]
중간에 6년 정도 다른 기업에 명명권을 양도하기는 했다. 문화대학 야구부는 1978년부터 기업과 명명권 계약을 해왔는데 2021년부터는 기업 이름 없이 문화대학으로 대학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