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6:17

가변차로

갓길차로제에서 넘어옴
1. 개요2. 운영 방식
2.1. 형태
3. 통행 방법4. 가변차로제가 시행중인 도로
4.1. 일반 도로
4.1.1. 폐지된 구간
4.2.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5. 장점6. 단점
6.1.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7. 사건·사고8. 둘러보기


可變車路 | Reversible Lane

1. 개요

도로교통법에서 규정된 절차에 따라서 갓길 및 반대편 차로를 가변적으로 운영하는 통행 방식이다. 양방향 도로의 통행량이 일정하지 않을 때 1차로 또는 2차로의 통행 방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차로이다. 가변차로제는 자동차 교통의 혼잡성을 줄이기 위해 규정되었다.

도로 양쪽의 가장자리나 갓길 등을 '가변', '가변차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틀린 표현이다. 가변차로의 가변은 변할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완전히 다른 뜻이다. 도로의 가장자리나 갓길을 칭하는 표현으로는 '노변', '도로변', '가로변', '노측', '노견' 등이 있다. '가'와 '변'이라는 말이 측면을 연상시키거나 고속도로에서 갓길을 가변차로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등이 잘못된 표현의 기원으로 보인다.

2. 운영 방식

일반 도로에서는 중앙선 넘어 반대편의 최상위 차로를 이용하여 가변차로제를 시행한다. 이 구간에서는 중앙선도 실선이 아닌 점선이나 복점선으로 도색되어 있고 교통량에 따라서 각 방향의 차로수가 조절된다. 도로가 좁거나 하는 경우 복선 대신 단선을 써도 상관없다.

고속도로 및 고속화도로에서는 갓길을 활용하여 가변차로제를 시행한다. 보통 때는 여타 다른 갓길과 똑같이 운영하지만, 통행량이 늘어나면 이 차로를 소형차[1] 한정 가변차로로 운영하여 차로를 늘리는 효과를 낸다. 모든 고속도로에서 갓길을 가변차로로 이용하지는 않으며, 가변차로로 쓸 구간에는 따로 차량 대피 구간을 만들어 놓아야 하기에 이 구간 확충 공사 없이 갓길 운영을 하는 것은 어렵다.

2.1. 형태

파일:가변차로1점선.png 파일:가변차로2점선.png 파일:가변차로3.png
도로가 좁을 때 설치되는 방식 도로가 넓을 때 설치되는 방식 가변차로를 2개 운영하는 경우

3. 통행 방법

이들 구간은 가변차로 운영 여부를 알리는 신호등이 있으며, 신호등의 표시가 파일:trafficG6.svg 으로 바뀔 때에만 통행이 가능하다. 파일:trafficRX.svg 신호일 때 가변차로로 주행할 경우 역주행이기 때문에 마주오는 차량과의 정면충돌 교통 사고 위험이 매우 높으며 범칙금 벌점 12대 중과실 처벌을 받게 된다. 단 구급차, 소방차, 경찰차 등 법으로 정해진 긴급자동차파일:trafficRX.svg 신호일 때도 통행이 가능하다. 구난차는 긴급자동차가 아니므로 불가능하다.

중앙 가변차로가 운영 중인 도로의 중앙선은 통행이 허용된 차로의 왼쪽 황색점선을 실제 중앙선으로보고 나머지 황색점선은 백색점선(일반 차선)으로 본다.

4. 가변차로제가 시행중인 도로

4.1. 일반 도로

주로 뉴욕, 샌프란시스코, 필라델피아, 로스앤젤레스, 베이징, 난징, 톈진, 상하이, 런던, 맨체스터, 파리, 마르세유,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베를린, 함부르크, 토론토, 시드니, 오클랜드, 도쿄, 오사카,[2]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 가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왕복 10차로가 있는데 한쪽 차로가 막혔다. 그러면 5차로씩으로 나눴을 때 막히는 5차로를 안 막히는 반대편 차로에서 떼어 7~8차로로 확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물론 거기에 따른 신호등이 있고 타임이 정해진다.

한국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 도로에서 시행되고 있다.

4.1.1. 폐지된 구간

4.2.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는 일반 도로와 다르게 중앙분리대가 가로막고 있어서 반대편 차로 이용을 못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말하는 가변차로는 갓길 부분을 활용해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차로를 말한다. 다만 확장이전 남해2지선 (구)서부산TG~사상IC 구간은 중앙차선을 넘는 방식의 가변차로를 시행한 전력이 있다.[4] 현재는 왕복 8차선 확장개통으로 본 구간의 가변차로제가 폐지되었다.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갓길 가변차로에도 운영 여부를 알리는 신호등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파일:trafficG6.svg 신호 일때만 이용이 가능하다. 파일:trafficRX.svg 신호일 때 통행하면, 갓길 통행금지 위반이 아닌 신호위반으로 처리되며, 범칙금 6만원, 벌점 15점이 부과된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5조(신호 및 지시 위반)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운영하는 가변차로는 기본적으로 모든 차종 이용 가능하며, 별도의 제한 규정은 따로 없다.[5] 그러나 이러한 도로에서 시행되는 가변차로는 일반차로에 비해 도로의 폭이 좁은 경우가 많고 터널 구간에서는 차고 높이에 제약이 크므로 사실상 경차, 승용차, 승합차만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에서는 아예 가변차로에 승용차 및 소형차 전용 차로라고 표기하기도 한다.[6]

반대로 미국 중국의 경우 고속도로에 있는 가변차로를 보기 힘들다. 미국의 경우 뉴욕 주와 캘리포니아 주, 중국의 경우 허베이 성과 장쑤 성 일대에 주로 분포하여 있으며, 출퇴근시간대에만 운영하는 것이 보통이다. 사실 미국과 중국은 비행기 고속열차를 굉장히 많이 이용하는 비행기&고속열차 초강세 나라들이다보니 자동차의 경우 단거리 위주로 운행하지 장거리 위주로 운행하는 경우는 없다.[7] 오히려 미국의 경우에는 카풀 전용 차선을 별도로 건설하거나 특정 구간 갓길 진입이 가능하다던지, 카풀 전용 나들목이 있는 등, 가변차로보단 카풀 정책을 밀고 있다.

대한민국 고속도로에서 갓길을 가변차로로 운영하는 대표적인 구간은 다음과 같다.

5. 장점

6. 단점

6.1.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7. 사건·사고

8. 둘러보기

🚦 도로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c8123> 도로 고속국도 · 국도 · 지방도 · 시도 · 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강변로 · 산복도로 · 순환로 · 비포장도로 · 임도 · 제방도로 · 측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이면도로 · 단지내도로 · 사실상도로
시설 <colbgcolor=#808080> 도로의 횡단구성 중앙분리대 · 차도 · 갓길 · 측대 · 측구 · 도로경계석 · 식수대 · 자전거도로 · 보도
전용시설 전용차로 · 자동차전용도로 · 자전거전용도로 · 다인승전용차로 · 오토바이전용차로 · 노면전차 전용로 · 버스전용차로
교차로 평면교차로 · 회전교차로 · 입체교차로 · 나들목 · 분기점 · 88도로 · 램프
횡단시설 건널목 · 지하차도 · 고가차도 · 교량 · 터널( 해저터널) · 암거 · 횡단보도 · 대각선 횡단보도 · 자전거횡단도 · 육교 · 지하도 · 생태통로
안전시설 신호등( 신호등/대한민국, 점멸등, 감응신호, 수신호) · 도로교통표지판( 도로교통표지판/대한민국) · 교통노면표시( 중앙선, 차선, 정지선, 노면 색깔 유도선) · 무인단속장비 · 포장 · 가드레일 · 안전지대 · 교통섬 · 갓길 · 가로등 · 비상제동시설 · 졸음알리미 · 출차주의등 · 도류화 · 오르막차로 · 테이퍼 · 클린로드 · 럼블 스트립
편의시설 휴게소( 고속도로 휴게소) · 졸음쉼터 · 버스 정류장 · 가로수 · 주차장
규칙 제도 통행방향 · 지정차로제 · 안전속도 5030 · 견인 · 거주자 우선 주차 · 도로 통행금지 · 어린이보호구역 · 노인보호구역 · 장애인보호구역 · 가변차로 · 일방통행 · 교통정온화
위법 행위 음주운전 · 속도위반 · 신호위반과 지시위반 · 예측출발 · 끼어들기 · 꼬리물기 · 불법주차 · 12대 중과실 · 좌측 방향지시등 우회전
운전 규칙 주차 · 양보 · 서행 · 일시정지 · 앞지르기 · 비보호 좌회전 · 적신호시 우회전 · 유턴 · 훅턴
특례 교통수단 긴급자동차 · 어린이보호차량 · 자전거 · 개인형이동장치 · 보행자
도로명주소 대로 · ·
법률 도로법 · 농어촌도로 정비법 · 사도법 · 유료도로법 · 도로교통법 ·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 농어촌도로의 구조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 도로의유지ㆍ보수등에관한규칙 ·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 · 도로명주소법 · 도로표지규칙 · 한국도로공사법
기관 도로관리청
기타 오프로드 · 병목 현상 · 엇갈림구간 · 로드킬 · 교통 체증 · 방어운전 · 캥거루 운전 · 비상활주로 · 요금소 · 컬드색 · 한국 교통 문제점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여기에서 소형차란 차 급이 작은 차를 뜻하는게 아닌, "승용차, 15인승 이하 승합차(소형승합), 1.5톤 이하 화물차(소형화물)"이다. [2] 일본에서는 2000년대 이후로 가변차로가 폐지되었다. [3] 2023년 신설 [4] 왕복 4차선 구간 평시 2+2, 가변시 3+1 [5] 한국도로공사 교통처 교통계획팀이 직접 답변한 내용이다. [6] 여기에서 의미하는 소형차는 승용자동차, 15인승 이하 승합자동차, 1.5톤 이하 화물자동차이다. 하지만, 소형차 초과 급 차량이 통행하더라도 별도의 제한 규정이 없는 만큼 딱히 처벌 규정은 없다. [7] 그래서 미국의 대도시들과 중국의 대도시들은 왕복 10차로 이상인 도로들이 굉장히 흔해터진 대한민국의 대도시들과는 달리, 왕복 6차로 이하인 도로들이 굉장히 많다. 미국과 중국은 아무리 늦어도 1800년대에 근대화를 성공하고 다른 나라들보다도 훨씬 일찍 발전됐기 때문이다. [8] 이 경우 사실상 도로 확장이나 대체도로 개통 밖에는 답이 없으며, 이 사례로는 앞서 언급된 한국고속도로 유일의 가변차로였던 남해2지선 서부산낙동강교 구간을 예로 들 수 있다. 당시 중앙분리대가 없는 80km/h 제한의 4차선 구간이었는데 양쪽 통행량 모두가 장난이 아닌 관계로 확장 공사를 시작해 옆쪽으로 4차선 대교를 하나 더 지어 해결했다. 부산방향은 구 교량을 그대로 사용해 과거 가변차로의 흔적이 있었으나(2, 3차선이 복선의 실선으로 차선이 그여져 있었다.), 40년 가까이 사용된 교량인지라 교량 보수 이후 완전히 재포장되면서 그 흔적이 사라졌다. [9] 그런데 여기 가변차로는 기아 K3, 기아 프라이드, 현대 아반떼 등의 소형 세단을 운전하는 사람들도 옆차로의 차량과 닿을까봐 아찔해한다. [10] 사소하지만 꽤 큰 문제로, 본디 고속도로 및 고속화된 도로는 갓길에 가까울수록 교통 흐름이 느린 차선으로, 주로 화물차 주행차선이 되지만 갓길 가변차로를 소형차 전용으로 둘 경우 가장 하위 차선인 가변차로가 상위차선보다 교통 흐름이 상대적으로 빠른 차선이 되는 모순이 생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