要 요긴할 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襾,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かなめ, い-る
|
||||||
-
|
|||||||
표준 중국어
|
yāo, y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要는 '요긴할 요'라는 한자로, '요긴(要緊)하다', '중요(重要)하다', ' 필요(必要)하다', '요점(要點)'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요긴하다 | |
음 | 요 | ||
중국어 | 표준어 | yāo | <colbgcolor=#fff,#1f2023>yào |
광동어 | jiu1 | jiu3 | |
객가어 | yêu | yeu | |
민동어 | iĕu | iéu | |
민남어 | iau | iàu | |
오어 | iau (T1) | iau (T2) | |
일본어 | 음독 | ヨウ | |
훈독 | かなめ, い-る | ||
베트남어 | yêu | yếu |
유니코드에는 U+898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田女(MWV)로 입력한다.
원래 要는 여자가 양손을 허리춤에 놓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허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 의미가 파생되어 '중요하다', '요구하다'라는 뜻으로 가차되었으며, 본래의 '허리'라는 뜻은 옆에 肉(고기 육)을 붙인 腰(허리 요)로 넘어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요(要)
- 강요( 強要)
- 개요( 槪要)
- 대요( 大要)
- 소요( 所要)
- 수요( 需要)
- 역대병요( 歷 代 兵要)
- 요강(要 綱)
- 요건(要 件)
- 요구(要 求)
- 요긴(要 緊)
- 요령(要 領)
- 요망(要 望)
- 요새(要 塞)
- 요소(要 素)
- 요식(要 式)
- 요약(要 約)
- 요원(要 員)
- 요인(要 人/要 因)
- 요점(要 點)
- 요주의(要 注 意)
- 요지(要 地/要 旨)
- 요직(要 職)
- 요처(要 處)
- 요청(要 請)
- 요충(要 衝)
- 요해(要 害)
- 정관정요( 貞 觀 政要)
- 주요( 主要)
- 중요( 重要)
- 필요( 必要)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요선동(要 仙 洞)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 大要 里)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長要 里)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요룡리(要 龍 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要 光 里)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요고리(要 古 里)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도요리( 都要 里)
-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와요리( 瓦要 里)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四要 里)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매요리( 梅要 里)
3.5. 창작물
옛 서적의 제목에서 무언가를 요약했다는 뜻으로 要를 많이 사용했다.- 격몽요결( 擊 蒙要 訣)
- 고려사절요( 高 麗 史 節要)
- 동사찬요( 東 史 纂要)
- 무과총요( 武 科 總要)
- 삼국사절요( 三 國 史 節要)
- 성학집요( 聖 學 輯要)
- 창진방촬요( 瘡 疹 方 撮要)
3.6. 기타
3.7. 일본어
3.7.1. 훈독
-
要(い)る: 필요하다.
겉보기에는 1단동사 같지만 5단동사로 활용하는 특이한 경우이다. '필요하지 않다'는 要ない가 아니라 要らない가 되는 식이다.
-
要(かなめ): 사북.
부채의 사북 부분을 뜻한다.
3.7.2. 음독
よう.- 要約(ようやく): 요약
- 必要(ひつよう):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