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1:11:45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MH370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문서의 제목을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으로 바꾸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문서의 제목을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으로 바꾸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참고: 9.11 테러 아프리칸 항공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rowcolor=#ffffff> 순위 이름 사고 기종 사망자 수 사고 분류/원인 발생일 및 위치 비고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1 테네리페 참사 보잉 747-121팬암
보잉 747-206BKLM
583명 지상 충돌 / 조종사 과실 1977년 3월 27일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로스 로데오 공항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2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보잉 747SR-46 520명 벌크헤드 폭발 / 정비 불량 1985년 8월 12일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군마현 타노군 우에노무라 다카마가하라산 능선
단일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3 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보잉 747-168B사우디아
일류신 Il-76TD카자흐스탄
349명 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 1996년 11월 12일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하리아나 차르키 다드리
공중충돌 사고 사망자수 1위
4 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346명 화물칸 도어 폭발 / 기체 결함 1974년 3월 3일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에르메농빌 숲
5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보잉 747-237B 329명 폭탄 테러 1985년 6월 23일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코크 남쪽 190km 지점
6 사우디아 항공 163편 화재 사고 록히드 L-1011-200 301명 기내 화재 1980년 8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제공항
불시착 후 항공기 전소
7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보잉 777-2H6/ER 298명 민항기 오인 격추 2014년 7월 17일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흐라보베
8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 에어버스 A300B2-203 290명 민항기 오인 격추 1988년 7월 3일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페르시아 만 호르무즈 해협 해상
9 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 일류신 Il-76MD 275명 불명 2003년 2월 19일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케르만 지역 산악지대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10 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271명탑승객
2명지상
엔진 이탈 / 정비 불량 1979년 5월 25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일리노이주 디스 플레이네스
11 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보잉 747-121 259명탑승객
11명지상
폭탄 테러 1988년 12월 21일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로커비
12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보잉 747-230B 269명 격추 / 조종사 과실 1983년 9월 1일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사할린, 모네론 섬 부근 해상
대한민국 항공사고 사망자 수 1위
13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605R 260명탑승객
5명지상
수직꼬리날개 이탈 / 비행규정 미비,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2001년 11월 12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뉴욕시 퀸스 벨 하버 인근 주택가
14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264명 실속 / 조종사 과실 1994년 4월 26일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코마키 국제공항
15 나이지리아 항공 2120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1 261명 공중 폭발 / 정비 불량 1991년 7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16(공동) 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257명 CFIT / 조종사 과실 1979년 11월 28일
[[남극|
파일:남극 국기.svg
남극]] 로스 섬 에레부스 화산
화이트아웃으로 인한 추락
16(공동) 2018년 알제리 공군 IL-76 추락 사고 Il-76 257명 이륙 직후 추락 2018년 4월 11일
알제리 국제공항 인근
17 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3 256명 실속 / 날개 결빙, 과적, 조종사 과실 1985년 12월 12일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삼림
18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보잉 777-2H6/ER 239명 불명 2014년 3월 8일
인도양 해상(추정)
항공기 실종으로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19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152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220 234명 CFIT / 조종사 과실 1997년 9월 26일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메단 폴로니아 국제공항 북서48km 지점
20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 보잉 747-131 230명 공중 폭발 / 기체 결함 1996년 7월 17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 동모리츠 남쪽 13km 지점
21 스위스에어 11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11 229명 기내 화재 / 기체 결함 1998년 9월 2일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핼리팩스 인근 대서양
22(공동)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보잉 747-3B5 228명 CFIT /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1997년 8월 6일
[[괌|
파일:괌 기.svg
괌]] 니미츠 힐
22(공동)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30-203 228명 실속 /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2009년 6월 1일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인근 대서양 해상
23 중화항공 611편 공중분해 사고 보잉 747-209B 225명 공중분해 / 정비 불량 2002년 5월 25일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펑후현 대만해협 상공
24 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에어버스 A321-231 224명 폭탄 테러 2015년 10월 31일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시나이 반도
25 라우다 항공 004편 추락 사고 보잉 767-3Z9(ER) 223명 실속 / 기체 결함 1991년 5월 26일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수판부리 주 단창 구 푸 토이 국립공원
26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 보잉 767-366/ER 217명 자살 비행 1999년 10월 31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매사추세츠 낸터킷섬 남쪽 100km 지점
부기장의 고의 추락
27 에어 인디아 855편 추락 사고 보잉 747-237B 213명 실속 /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1978년 1월 1일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뭄바이 앞바다
28 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196명탑승객
7명지상
CFIT / 조종사 과실 1998년 2월 16일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타이완성 타오위안시
29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B-2 200명 실속 / 조종사 과실 1985년 7월 10일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우즈베크 SSR 우치쿠두크
30 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에어버스 A320-233 187명탑승객
12명지상
활주로 이탈 / 조종사 과실, 활주로 배수 문제 2007년 7월 17일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상파울루 상파울루 콘고냐스 공항
활주로 오버런으로 인해 건물과 충돌
31(공동) 라이온 에어 610편 추락 사고 보잉 737 MAX 8 189명 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교육부족, 정비불량 2018년 10월 29일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서자바 까라왕 리젠시(군.)앞바다
31(공동) 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 보잉 757-225 189명 조종사 과실, 정비 실수 1996년 2월 3일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 플라타
북동쪽 16km 지점 부근
32 1975년 로얄 에어 모로코 보잉 707-321C 추락 사고 보잉 707-321C 188명 CFIT, 조종사 과실 아간다
33 LOT 5055편 추락 사고 Il-62M 183명 제조 결함으로 인한 엔진 고장 바르샤바 카바티 숲
34 아비앙카 항공 011편 추락 사고 보잉 747-283B 181명 조종사 과실 마드리드 메호라다 델 캄포
35 드니프로제르진시크 상공 공중충돌 사고 Tu-134A아에로플로트 몰도바
Tu-134AK아에로플로트
178명 공중충돌 우즈베크 SSR 드니프로제르진스크 인근 상공
36(공동)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 보잉 737-8KV(WL) 176명 민항기 격추 테헤란 상공
36(공동)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2 176명 조종사 과실 요한 아돌프 펜겔 국제공항 부근
36(공동) 자그레브 상공 공중충돌 사고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B영국항공
맥도넬 더글라스 DC-9-32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176명 공중충돌 자그레브
36(공동) 나이지리아 항공 보잉 707-3D3C 추락 사고 보잉 707-3D3C 176명 기어 탈락/악천후 카노 국제공항
37(공동) 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Tu-154M 170명 조종사 과실, 실속 도네츠크주 수카 발카
37(공동) UTA 772편 폭파 사건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170명 폭탄 테러 은자메나 테레네 사막
38 케냐항공 431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10-304 169명 조종사 과실 아비장 대서양
39(공동)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203 167명 CFIT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 부근
39(공동) 멕시카나 항공 940편 추락 사고 보잉 727-264 167명 기내 화재 시에라 마드레 옥시덴탈 산
40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20-216 162명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탄정 판단 인근 자바해 해상 }}}}}}}}}

사고기 사진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20911_215226.png
사고 발생 8일 전 2014년 2월 28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의 모습
파일:20230531_213531.png
사고 발생 하루 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의 마지막 착륙 모습.[1]
이후 쿠알라룸푸르에서 이륙해 베이징으로 가는 비행에서 실종됐다.


Penerbangan 370 Penerbangan Malaysia
Malaysia Ailrlines Flight 370 (MH370 / MAS370)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14년 3월 8일
유형 실종, 미제사건
▲ 사고기의 통신 두절 위치
발생 위치 통신두절:
[[베트남|]][[틀:국기|]][[틀:국기|]] 인근 상공
추락: 인도양 해상(추정)
탑승인원 승객: 227명
승무원: 12명
사망자 탑승객 239명 전원 사망[2]
기종 Boeing 777-2H6/ER
항공사 말레이시아 항공
기체 등록번호 9M-MRO
출발지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도착지
[[중국|]][[틀:국기|]][[틀:국기|]]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1. 개요2. 탑승객3. 전개
3.1. 교신 두절과 레이더 항적 포착3.2. 추락 예상 지점 수색3.3. 잔해 발견
4. 최종 조사 결과
4.1. 하이재킹 테러 가능성 조사4.2. 사고기를 둘러싼 여러가지 미스터리4.3. 기장의 자살 비행인가?
5. 수색 참여국6. 기타
6.1. 말레이시아 당국의 주술사 기용6.2. 연합뉴스TV의 김현희 초청 극대형 사고6.3. 말레이시아 정부의 혼선 야기와 수색 지연6.4. 사건 4개월 뒤 재발한 비행기 참사6.5. 넷플릭스발 미군 소행 음모론6.6. 싱가포르 코미디언 희화화 사건
7. 여담

[clearfix]

1. 개요

2014년 3월 8일 오전 12시 41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이륙하여 중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으로 가던 말레이시아 항공 MH370편[3]여객기(기체 등록번호: 9M-MRO)가 미상의 이유로 인도양에서 실종 사건.

당시 MH370편은 약 7시간 반 정도 비행할 수 있는 연료를 탑재하고 있었으므로( #) 지상에 착륙하지 않은 이상 추락한 것이 확실하지만 동체가 발견되지 않았고 최종적인 항적, 추락 장소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사라진 이유가 무엇인지 베일에 싸여 있다. 복수의 매체에서 제기한 가설에 따르면 조종사의 자살비행이 원인으로 추정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물증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고 직후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합동 수색단을 지원하여 남부 태평양에서부터 광활한 인도양 해저를 샅샅이 뒤졌으나 결국 수색이 큰 성과 없이 중단되었고 말레이시아 당국은 명확한 사건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훗날 파도로 인해 항공기의 동체와 블랙박스 및 사망자의 시신이 육지로 떠내려와서 발견되지 않는 한 영원히 미제사건으로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 탑승객

해당 사고기에는 승객 227명(유아 2명 포함), 승무원 12명이 탑승하고 있었고, 승객은 모두 15개의 국적으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외교부는 사고기에 한국인 탑승자는 없다고 밝혔다.
국적 인원 수 비고

[[중국|]][[틀:국기|]][[틀:국기|]]
152명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50명 승객 38명, 승무원 12명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7명

[[호주|]][[틀:국기|]][[틀:국기|]]
6명

[[인도|]][[틀:국기|]][[틀:국기|]]
5명

[[프랑스|]][[틀:국기|]][[틀:국기|]]
4명

[[미국|]][[틀:국기|]][[틀:국기|]]
3명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2명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2명

[[캐나다|]][[틀:국기|]][[틀:국기|]]
2명

[[이란|]][[틀:국기|]][[틀:국기|]]
2명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1명

[[대만|]][[틀:국기|]][[틀:국기|]]
1명

[[러시아|]][[틀:국기|]][[틀:국기|]]
1명

[[홍콩|]][[틀:국기|]][[틀:국기|]]
1명
총 인원 239명

3. 전개

3.1. 교신 두절과 레이더 항적 포착

파일:말레이시아항공 370편 실종사건 항적+수정.png
370편의 미스터리한 항적. 번호 순서대로
1 - 보조감시 레이더(SSR; 트랜스폰더 이용)에서의 마지막 위치
2 - 주 감시 레이더(PR; 반사 이용)에 포착된 180도 선회
3 - 주 감시 레이더에서의 마지막 위치
4 - 전문가들이 추정하는 예상 이동 범위
5 - 위성 통신 기록으로 계산된 비행기의 추락 지점
말레이시아 수방 항공관제소는 새벽 2:40( 대한민국 시각 새벽 3:40)에 교신이 완전히 두절되었다고 발표했으며 이 소식은 곧바로 언론에 의해 보도되었다. 말레이시아 항공에서도 비행기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사고기는 현지시각 새벽 12시 41분에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하여 베이징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당초 MH370편의 트랜스폰더(항공기 간 식별을 위한 통신 장치)와 교신했던 보조 레이더(Secondary radar) 기록에 따르면 새벽 1시 6분경 쿠알라룸푸르 공항과 교신을 마친 MH370편은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사이 공역인 IGARI 지점 (6°56′12″N 103°35′6″E)을 지나던 도중 갑자기 트랜스폰더 장비가 꺼졌고 그대로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이때가 1시 22분이었다. 보조 레이더는 항공기 위치를 전파 수신에 의존하여 파악했으므로 비행기에서 신호를 보내 주지 않아 더 이상 위치를 추적할 수 없었다.

2014년 3월 12일 말레이시아 군 당국이 대외비였던 주 레이더(Primary radar) 기록을 공개했다. 자료는 충격적이었는데 보조 레이더에서 사라졌던 비행기는 그대로 베트남으로 올라가지 않고 갑자기 서쪽으로 방향을 바꾼 뒤 다시 말레이 반도로 접근하여 그대로 피낭 섬 위를 선회해 말라카 해협으로 날아갔다는 것이다. 항공기는 주 레이더의 한계 탐지 거리까지 날아간 뒤 새벽 2시 22분경 그대로 영영 종적을 감췄다. 이후 다른 어떤 레이더도 항공기를 포착했다는 소식이 없었다. 결국 항공기가 바다 어딘가에 추락한 것으로 파악되어 여러 나라에서 수색 작업을 시작했다.

3.2. 추락 예상 지점 수색

인도양에 위치한 몰디브에서는 '일부 주민이 집에서 뛰쳐나올 정도로 굉음을 내며 낮게 비행하는 비행기를 목격했다'는 증언도 잇따랐다. 실종기와 외견도 비슷하다고 밝혀서 연관되었는지 주목을 받았다. 수색범위는 최초 베트남 남부 및 말레이 서부 해상에서 사실상 인도양 전체로 기하급수적으로 넓어졌다. 미 국방부는 실종 항공기 수색에 250만 달러를 투입했으며 추가로 400만 달러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
파일:Inmarsat-3.gif 파일:1280px-Map_of_search_for_MH370.png
370편과 교신한 영국의 INMARSAT 위성. 응답 신호의 수신 속도로 추정한 위성과 항공기의 거리를 나타낸 원.
당시 지상에서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370편에 연락하려는 시도는 모두 항공기 측에서 받지 않아 실패했으나 장치의 응답 대기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는 수신되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인공위성이 떠 있었던 위치를 중심으로 전파가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과 도플러 효과에 따른 파장의 차이를 역산하여 비행기가 있었을 법한 예상 반경을 추정해냈다. 이걸 이용하면 인공위성과 위성 수신기 사이의 각도가 얼만큼 벌어져 있는가를 계산할 수 있다. 속도와 감도가 가장 좋은 거리는 당연히 인공위성이 바로 머리 위에 있을 때(90도)일 테고, 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각도는 점점 줄어들고 추정 위치는 인공위성에서 점점 멀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을 쓰면 당시 위성에서 항공기가 얼마나 떨어져 있었나만 추측이 가능할 뿐 정확한 좌표는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몇 가지 변수를 더 추가했다. 만약 370편이 마지막 레이더 포착 지점에서 그대로 대륙 쪽으로 올라갔다면 곧바로 다른 나라의 지상 레이더에 다시 잡혔을 것이므로 수사 당국은 아무것도 없는 인도양 망망대해 쪽으로 내려갔을 거라고 추측하였다. 여기에 비행기가 탑재했던 연료의 양과 역학적 이동 모델을 고려해 데이터를 산출한 결과 호주 서부 해역의 한 개 원호(圓弧)로까지 예상 범위를 좁히는 것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 호의 길이만 해도 수천 킬로미터에 달했기 때문에 모든 지역을 수색하는 것은 어려웠다.

파일:external/thumbnews.nateimg.co.kr/PYH2014032012570034000_P2.jpg

때마침 3월 20일 호주 서쪽 인도양 남부 해상에서 항공기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 2개가 위성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호주 수상이 발표했고 호주 당국은 해당 항공기의 날개로 추정되는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하지만 위 발표 이후 이틀에 걸쳐 해당 지점을 수색했으나 성과는 없었다. 해당 위성사진이 일주일 전인 3월 16일에 촬영된 것으로, 잔해 발견 사실을 공표한 시점에는 이미 수백 km를 떠내려간 것으로 추정되었다.( #)

3월 24일, 조사 당국은 항공기가 인도양 남부에 추락했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물론 이것은 단순히 위성 기록 계산을 통해 산출한 것이며 이 당시에는 잔해 등 실질적 증거를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계산을 신뢰하여 베트남 남부 해상과 말라카 해협은 수색 범위에서 공식적으로 배제되었으며 대신 호주 서부의 원호 지역에 수색이 집중되었다.

3월 26일 말레이시아 국방장관(겸 교통장관)이 기자회견을 통해 추락 기체의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 122개가 찍힌 사진을 공개했다.( #) 파편은 호주 퍼스에서 남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서 23일에 촬영된 것으로 그동안 잔해가 발견된 지점과 다르지 않아서 실종기의 발견에 희망을 가지게 했다.

일본 위성과 태국 위성, 뉴질랜드와 중국 정찰기들도 호주 서쪽 해역에서 사고기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들을 잇달아 포착했고 사고기의 비행 예상 경로와 속도 등으로 추정해본다면 이 일대에 사고기가 추락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3월 30일, 해당 지점에서 부유물들을 수거하여 확인했더니 대부분 쓰레기나 어구(漁具)여서 관계자들이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수색에 나선 이들은 크게 낙심했지만 호주는 비행기 수색에 시간 제한은 없다며 찾을 때까지 수색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

4월 6일, 드디어 블랙박스의 전파 신호가 감지되었다. 블랙 박스가 위치한 곳은 원호의 북쪽 끄트머리 지역으로 추정되었는데 계산이 얼추 맞았던 것이다. 중국이 최초로 블랙 박스 주파수인 37.5kHz를 감지한 데 이어 호주도 해당 주파수를 감지했다. 하지만 감지한 위치가 미묘하게 달라 어느 쪽이 맞는지는 몰랐다. 호주는 미국으로부터 장비 지원을 받아 해당 지역의 확인에 나섰다. 4월 11일에 이르러서는 다수의 신호를 확인했으며 이에 따라 수색 범위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블랙박스 배터리가 4월 12일에 방전되리라고 예상되었기 때문에 수색에 박차를 가했다.

하지만 4월 14일, 배터리가 결국 방전되면서 위치 추적 조사는 중단되었으며 구조 당국은 블랙박스 신호가 감지된 장소 주변에 잠수정을 투입해 잔해 수색에 들어갔으나 안타깝게도 아무 성과도 얻지 못했다. 수색에 대한 비관론이 고조되었고 # 4월 19일에는 "호주 당국이 1주일 이내에 수색을 종료할 것이다."라고 발표하였다 #.
파일:MH370_SIO_search.png
각국 정부에서 위성 사진, 수중 음향 탐지 장치 등 모든 것을 동원해 수색을 펼쳤다.
결국, 4월 말을 기점으로 해상 수색은 사실상 끝났다. 한 호주 탐사업체는 비행기가 인도양 남서쪽이 아니라 벵골 만 쪽에 추락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 이 업체에 의하면 인공위성과 항공기 사진을 이용해 비행기가 추락했을 만한 200만 제곱킬로미터의 영역을 추적해 봤더니 비행기의 구성물질과 흡사한 알루미늄, 티타늄, 합금강 등의 물질을 벵골만 해저에서 찾아냈다는 것. 3월 5일 이전에는 벵골만에서 이런 물질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게 이 업체의 주장이다.

2014년 5월 27일 말레이시아는 실종된 지 약 3개월 만에 위성 기록과 함께 수색작업을 민간업체로 넘기겠다고 밝혔다.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은 실종기 수색을 주도할 민간 업체를 찾고 있었으며 선정되면 6만㎢에 이르는 남인도양 해역 수색을 지휘하게 될 예정이다. #

2017년 1월 17일자로 수색 작업이 무기한 중단되었으나 정확히 9개월이 지난 10월 17일 수색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그리고 2018년 1월 24일에 수색 작업이 재개되었다. 미국 해양탐사업체인 오션 인피니티가 참여하여 90일간 진행하기로 하였다.

2018년 3월 4일 중간보고에서 수색작업을 6월까지 종료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성과는 없었다. # 결국 수색을 종료하기로 했다.

사고 발생 5년만인 2019년 1월 16일, 자신이 이 미스테리한 항공기 추락 사고의 목격자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 2019년 1월 17일 프리말레이시아투데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어민 루슬리 후스민(42)은 전날 말레이시아 슬랑오르주 수방자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4년 3월 8일 오전 믈라카 해협 서쪽 입구 주변에서 조업하다가 MH370편으로 추정되는 여객기가 약 2㎞ 떨어진 해상에 추락하는 모습을 봤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현지 비영리 기구 소비자권익보호단체 카사 말레이시아가 주선했다.
루슬리는 당시 상황에 대해 “비행기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날아왔다”며 “비행기는 짙은 연기를 내고 있었다. 망가진 연처럼 좌우로 움직이다가 천천히 바다에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 사건이 세계적인 이슈가 됐음에도 그동안 나타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루슬리는 “(자신이) 비웃음거리가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항구로 돌아와 목격한 내용을 당국에 알리려 했지만 제대로 연락이 닿지 않았고 오히려 비웃음만 당했다”고 주장했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추락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가 발견되면 수색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표했다.
루슬리는 MH370편의 추락 장소 좌표를 카사 말레이시아에 전달했다. 마지막으로 레이더가 포착된 지점이 푸켓 인근 상공으로 루슬리가 주장한 추락 좌표와 멀지 않았는데 # 목격자가 주장한 추락 지점과 잔해가 떠내려온 지점 및 인공위성 신호 분석 결과로 나타난 추정 추락 지점이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 목격자의 말은 신빙성이 매우 낮았다. 결국 목격자가 주장한 지역에서 항공기가 추락하였다는 증거가 새로이 발견되지는 않았고 사건은 해프닝으로 끝났다.

3.3. 잔해 발견

사고 후 1년 4개월이 지난 2015년 7월 29일 보잉 777-200ER 여객기의 잔해로 보이는 물체(보조날개 조각)가 동아프리카 인근의 프랑스 레위니옹 섬에서 발견되었다. 이때 여행가방 조각도 발견되었고 이 보조날개 조각은 즉시 프랑스 본토로 옮겨 조사에 들어갔다.

파일:/image/001/2015/07/30/GYH2015073000040004400_P2_99_20150730115212.jpg

파일:/image/001/2015/08/06/PEP20150730120201003_P2_99_20150806092907.jpg

사고기의 플래퍼론이라는 잔해물 사진이다. 이것은 날개에 붙어 있는 조종장치의 일부다. 대략적인 위치는 아래 사진 참고.

파일:external/static3.businessinsider.com/boeing-777-mh370.jpg

잔해물에 대한 최종 조사 결과 발견된 물체는 보잉 777의 잔해로 확인되었다. 잔해는 인도양에서 해류를 따라 들어온 게 확실시되었고 이에 따라 호주 교통안전국은 수색에 자신감을 보였다.

이후 태국 남부에서 MH370의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가 발견되었으나 자세히 조사해 본 결과 위성 발사용 로켓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또한 MH370 수사 팀이 19세기 인도양에서 난파된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 하나를 발견했다. 또 뜬금없이 가수 싸이의 인형이 레위니옹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실종된 비행기 잔해 빼고는 다 찾은 꼴이니 유족들의 속은 타들어갈 듯했다.

심지어 해저 수색 과정에서 인도양에서 새로운 해저 화산이 최초로 발견되기도 했다. 그 덕분에 인도양 해저지도가 완성되기엔 시간이 좀 걸린다고 한다. 항공기 실종 해저 조사 덕분에 해저지도가 발간된다.

2016년에는 모리셔스에서 잔해가 발견되었다.

2022년 11월에 랜딩기어 도어의 잔해가 발견되었다. 2017년 마다가스카르의 한 어부가 해변에서 처음 발견해 2022년 11월 미국의 블레인 깁슨과 영국 엔지니어인 리처드 가드프리가 발견하기까지 5년이라는 세월 동안 빨래판으로 사용해 왔다고 한다. 추락 직전 사고기의 랜딩 기어가 전개되었고 이것이 충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부러 내렸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고 원인을 밝히는 주요 단서가 될 가능성이 크다.

4. 최종 조사 결과

2018년 7월 30일 말레이시아 정부 당국은 충분한 증거가 없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원인을 명확히 특정하지 못했다.는 요지의 495쪽에 달하는 공식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고 수색포기를 선언하면서 # MH370편 실종사건은 영구 미제사건이 되었다. 유가족들을 생각하면 여러모로 안타까운 결론이다. 에어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 처럼 블랙박스만 발견했어도 사고원인을 알 수 있었는데, 추락 위치도 알 수 없는데 넓은 인도양을 수사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4] 내린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한다.
훗날 파도로 인해 항공기의 동체와 사망자의 시신이 육지로 떠내려와서 발견되지 않는 한 영원히 인도양 어딘가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1. 하이재킹 테러 가능성 조사

처음에는 사고기에 탑승한 승객 중 두 명이 분실된 여권을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나 이들에 의한 테러 공격을 받았을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해당 여권은 분실된 지 7개월이 지난 이탈리아 국적 여권과 분실된 지 무려 2년여가 지난 오스트리아 국적의 여권 총 2장이며 둘 다 태국에서 분실된 여권이다. 이들 여권의 실제 주인은 사고기에 탑승하지 않았으며 모두 무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거기에 분실된 두 여권의 탑승 티켓이 함께 구매되었다는 점 역시 수사의 대상이 되었다. 만약 하이재킹이 사실이라면 이들은 빈틈을 노려 콕핏에 진입한 후 조종석을 탈취하는 데 성공하고 기장과 부기장을 협박해 트랜스폰더를 끄도록 지시했을 것이다. 긴급 신호를 발신하지 않은 점 역시 납치범들이 항로와 항공 지식에 해박해 아예 손을 쓰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라 설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분실 여권을 사용한 두 인물 중 한 명은 본명이 Pouria Nourmohammadi Mehrdad인 이란 국적의 젊은 남성으로, 독일로 이주할 예정이었다고 하며 테러 조직과의 연계성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타임즈 3월 11일 보도 참고) 미국 정보 기관은 위의 두 인물이 단순 밀입국자일 가능성이 높으며 테러의 가능성은 낮다고 발표하였다. 또 말레이시아 당국 역시 이 두 사람이 테러리스트와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말레이시아 당국은 단순히 기기 고장 등으로 발생한 사고가 아닌 의도적인 추락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수사 방향을 전환하여 기장과 부기장의 자택을 수색하기도 했다(하술 참조).

한편 '중국순교자여단'이라는 단체가 성명을 발표하였는데 성명문에서 '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이라는 이름도 혼용된 터라 실제로 테러인가, 이 단체가 실존하는가, 이 두 단체가 동일 단체인가 등의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성명문에서 어떤 방식으로 테러를 일으켰는가에 대한 언급이 없기에 중국 당국은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성명문에서 이들은 위구르족에 대한 말레이시아 정부와 중국의 탄압에 대한 보복, 쿤밍역 칼부림 테러 이후의 중국 당국의 태도등에 반발하여 이번 테러를 일으켰다고 밝혔으나 확인된 바는 없다.

4.2. 사고기를 둘러싼 여러가지 미스터리

4.3. 기장의 자살 비행인가?

이 사고가 기장의 자살 비행이었다고 추측하는 전문가가 상당히 많다. 여러 기록을 종합했을 때 승객에 대한 조치[5]+조종석 탈취+트랜스폰더 전원 차단[6][7]+오토파일럿 경로수정+ ACARS [8] 차단을 완전히 하는 데 겨우 1분여 만에 끝내고 이후 7시간을 유유히 비행하다 인도양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9] 이 조건을 갖춘 사람은 위의 압수수색 후 증거물에 따른 정황상 기장이 유력하다는 것이다.

또한 해당항공기가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중립영공을 지나는 묘한 시점에서 이 모든 조작이 행해졌기 때문에 전자 및 기계 결함이 아닌 인위적 조작이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항공기가 중립영공을 지날때는 어느 국가의 영공통제도 받지 않으며, 동시에 감시도 받지 않는다.

물론 말레이시아 당국이 발표한 최종 보고서에는 결국 미제로 사고가 종결되었기 때문에 지금 와서는 범인이 기장이 아니라 부기장 혹은 기장도 부기장도 아닌 누군가가 조종석을 점거하는 데 성공한 것일 가능성 역시 존재하며 블랙박스 회수에 실패했기 때문에 당시 기내 상황을 알아낼 길이 없어 모든 것이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다큐멘터리 항공 사고 수사대에서는 이러한 추정을 토대로 기내 화재, 테러의 가능성과 함께 자살 비행 시나리오를 그리기도 했다. 해당 시나리오는 부기장이 잠시 조종실 밖으로 나간 사이를 틈타 기장이 조종실 문을 잠근 후 트랜스폰더의 전원을 끄고 항로를 수정한 뒤 여압장치를 조작해 조종실 밖의 모든 승객들을 기절시키고 오토파일럿을 따라가다가 마지막에는 연료고갈로 인도양에 추락했다는 시나리오였다.
사고 당시 재직했던 토니 애벗 전 호주 총리도 스카이뉴스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MH370: 숨겨진 이야기'에서 자살비행인 것 같다는 주장을 하였다. # 한편 기장의 아들은 아버지가 자살 비행을 했다는 일각의 추측에 대해 강하게 부정했다. 그러나 뉴질랜드 헤럴드와 인터뷰를 한 기장의 동료는 기장이 아내와의 불화로 자살을 결심한 것이라고 주장해 엇갈린 주장들이 난무했다. 심적으로는 거의 확실시 되는 분위기인데 하필 물증이 전혀 없어 결국 이 시나리오를 최종으로 채택하지는 못했다.

아무튼 출근!에서 확인된 내용에 따르면 조종사들의 잇따른 자살 비행 사건( 저먼윙스 9525편 사건, 중국동방항공 5735편 사건,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으로 인해 항공사들이 결국 조종석 내 상시 2인 대기 규정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조종사 중 한 명이 자리를 비울 때 사무장 등 다른 크루가 조종석에 들어와 남은 한 명을 감시해야 한다. 과거 항공 기관사가 있었을 때에는 한 명이 자리를 비우더라도 감시가 가능했기에 유명무실하고 필요 없는 규정이었으며 실제로 항공 기관사가 있었던 시절에는 자살비행으로 인한 사고가 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10]

그러나 말레이시아 측의 최종 발표에서는 # 조종사의 혐의를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타 조종사의 자살비행 사례와 달리 기장은 아무런 징후도 보이지 않았으며 자살비행이라면 교신이 끊긴 후에도 한참 동안 비행했다는 사실이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는 것. 대표적인 자살 비행인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에서는 부기장이 조종석을 점거하자마자 바닥으로 내리꽂았다.

5. 수색 참여국

수색에 참여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출처마다 보도한 바가 다르므로 수색에 관련해 언급된 국가는 모두 기재되었다.
국적 지원 항공기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P-3

[[대만|]][[틀:국기|]][[틀:국기|]]
C-130, 쳉궁급 프리깃 8번함 Tian Dan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해군 P-3C, 공군 C-130H

[[라오스|]][[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50번함 Kidd, P-8A 포세이돈, 각종 항공기

[[미얀마|]][[틀:국기|]][[틀:국기|]]

[[방글라데시|]][[틀:국기|]][[틀:국기|]]

[[베트남|]][[틀:국기|]][[틀:국기|]]

[[브루나이|]][[틀:국기|]][[틀:국기|]]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
C-130, SH-60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영국|]][[틀:국기|]][[틀:국기|]]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

[[인도|]][[틀:국기|]][[틀:국기|]]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CASA C-212 Aviocar

[[일본|]][[틀:국기|]][[틀:국기|]]
P-3C, C-130H(P-3C 2기,C-130H 3기)

[[중국|]][[틀:국기|]][[틀:국기|]]
Il-76, Xue Long(쇄빙선)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키르기스스탄|]][[틀:국기|]][[틀:국기|]]

[[태국|]][[틀:국기|]][[틀:국기|]]

[[투르크메니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필리핀|]][[틀:국기|]][[틀:국기|]]
C-130, Fokker F27 Friendship

[[호주|]][[틀:국기|]][[틀:국기|]]
C-17A, C-130J, P-3
3월 14일 대한민국 정부도 인도적 차원에서 해군 P-3 대잠초계기 1대와 공군 C-130 수송기 1대를 말레이시아에 보내 수색에 참여할 것을 발표했다.( #)

6. 기타

6.1. 말레이시아 당국의 주술사 기용

파일:/image/001/2014/03/13/PAP20140312137701034_P2_59_20140314115207.jpg

파일:/image/020/2014/03/14/61697520.1_59_20140314075002.jpg

3월 10일 말레이시아 당국이(총리 주도로) 현재 비행기의 여부를 알아낸답시고 50년 경력의 전문 주술사를 불러 사건을 알아내게끔 했다. 이 주술사는 말레이시아 당국에 자주 기용된 경력이 있다고 한다. 말레이시아 고위관직층이나 부유층 사이에서 몇 천만 원~몇 억대씩 돈을 받고 점을 치거나 주술을 행했다고 한다.

이 전문 주술사 "이브라함 마트 진"(예명은 "라자 보모"라고 한다)은 자신이 데려온 세 명의 제자와 함께 의식을 올리며 기묘한 방식들로 주술의식을 행했다. 코코넛을 부딪히며 주문을 외우고 노 저으며 물 퍼내는 시늉을 하고, 막대기 두개를 들고 망원경 같이 보는 시늉을 하고 그 옆에선 낚싯대에 매달린 통발 같은 것을 비행기 동체라 하고 "비행기는 아직 날고 있든가, 바다에 추락했든가 둘 중 하나다" 라는 황당무계한 발언을 했다. 이런 미신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이슬람권에서는 사형까지 가능한 미신 숭배가 된다. 이슬람이 동남아시아로 전해진 후 원래의 토속신앙과 결합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코타키나발루 지진 때도 지역 무슬림 성직자들이 이게 다 외국인들이 우루루 몰려와 성스러운 산에서 지랄발광을 떨어 산신령이 노해서 생긴 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다른 나라가 갖은 방법을 동원하고 구조와 수색에 힘을 기울이던 와중에 정작 이렇게 말도 안 되는 방법으로 대처한 말레이시아 정부 때문에 오히려 실종자들의 가족들은 분노를 금치 못했다. 그래서 몇몇 양덕들은 이렇게 실종자의 가족들을 구체적으로 도와줄 생각도 하지 않고 사고가 났음에도 수색작업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말레이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의미로 패러디한 사진들을 올리기도 했다. 영상, 노래 갑자기 뜬금없이 일본 제국 노래가 나오긴 하는데 이 노래는 말레이시아의 코미디 영화 Laksamana Do Re Mi(1972)에 등장한 패러디 애국행진곡이다. # 중간에 가사와 음정이 모두 바뀐다.

6.2. 연합뉴스TV의 김현희 초청 극대형 사고

대한민국의 보도 채널 연합뉴스TV에서 이 사고를 다루었는데 전문가라고 모신 사람이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의 테러범 김현희였다. 피해자들의 유족들에게는 트라우마가 남아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연시켜 각종 커뮤니티와 SNS 등 인터넷 등지에서는 엄청나게 난리가 났는데도 연합뉴스TV는 이렇다 할 입장 표명이나 다시보기 서비스 중단을 하지 않았다.

이렇듯 연합뉴스TV가 뻔뻔한 태도를 보이자, 네티즌들은 살인사건이 일어나면 전문가랍시고 황주연, 박종윤, 유영철, 성치영, 이준세를 초청해 모셔온다면 인정한다는 반응까지 있었다.

6.3. 말레이시아 정부의 혼선 야기와 수색 지연

상술된 주술사 기용도 그렇지만 수사 과정에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계속 잘못을 저질러 지탄을 받게 되었다. 하필이면 사고기의 기장이 당시 말레이시아 정권의 최대 정적이었던 안와르 이브라힘 전 부총리와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관계인 것이 드러나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기장을 용의선상에 올린 것이 안와르 전 부총리를 엮어 보려는 술책이 아닌가라는 비난이 터져나왔다.

안와르 측은 사고기 기장과 아는 사이인 것은 인정했으나 자신은 이 사건과 무관하다고 항변했지만 언론에서는 은근히 이 기장이 안와르의 열렬한 지지자이고 안와르에게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이 내려지자 이에 불만을 품고 사고기의 항로를 이탈한 게 아니냐는 추측을 쏟아내면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언플을 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다.

게다가 사고기가 항로를 이탈한 걸로 추정되는 시점에 말레이시아군이 정체불명의 비행체를 레이더로 포착했지만 적대적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 비행체를 내버려 둔 것으로 드러나 지탄을 샀다. 이 정체불명의 비행체가 사고기일 가능성도 있는 상황인데 말레이시아군이 정체불명의 비행체에 접촉을 시도해 보기라도 했다면 사건이 이렇게 커지진 않았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안와르 전 총리도 자신이 재무장관 시절에 도입한 레이더인데 기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레이더가 이 비행기를 포착하지 못한 건 이해가 안 된다고 정부를 질타했다. 말레이시아 공군은 이후 발표에서 사고기가 페낭쪽으로 비행하는 것을 포착했지만 사고기가 쿠알라룸푸르에서 이륙한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단순히 비행기에 뭔가 문제가 있어서 회항하는 것으로만 여겼다고 해명했다.

수사 과정에서도 오락가락하는 행보로 국제적 불신을 자초했다. 3월 11일에는 한창 남중국해를 수색하는 와중에 사고기가 기수를 틀어서 말라카 해협쪽으로 이동한 것 같다고 발표해 남중국해 수색을 혼란에 빠뜨렸고 3월 15일에는 사고기가 의도적으로 통신 시스템을 끄고 회항한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 신호음으로 미뤄볼 때 북부항로나 남부항로로 향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런데 중국이 남중국해를 1주일 넘게 수색하던 시점에 나왔고 중국은 이런 말레이시아 정부의 행보에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게다가 구체적인 수색 범위를 지정하지 못하고 두루뭉술하게 광활한 지역을 수색해 달라고만 해서 다른 나라들을 난감하게 만들었다. 결국 인도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수색 범위를 알려주기 전까지 수색을 중단한다고 선언했고 미국도 수색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선박수색은 중단하고 항공기 정찰 수색만 하겠다고 하는 등 수색에 나선 이들의 불신을 사고 말았다.

이 때문에 말레이시아 정부가 사고기의 행방을 알면서도 정치적 목적 때문에 숨기는 게 아니냐는 음모론적인 이야기까지 나돌았지만 안와르 전 총리조차도 그런 것 같지는 않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한편 말레이시아 왕비는 이 와중에 골프를 쳐서 비판을 받았다. #

6.4. 사건 4개월 뒤 재발한 비행기 참사

이 사건이 터진 지 4개월 뒤인 7월 18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상공에서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이 발생했다. 하필 동일한 말레이시아 국적기에, 동일한 보잉 777-200ER에, 말레이시아 항공 소속이었다. 안 그래도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이 어디로 갔는지 오리무중이라 뒷정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 또 다시 대형 참사가 터지자 결국 말레이시아 항공은 이용률이 급감하여 경영에 큰 타격을 받아 상장취소를 당하는 굴욕을 겪었다.

이후 두 사고의 트라우마로 말레이시아 항공은 보유하던 모든 보잉 777을 퇴역시켜 버렸다.[11]
쿠알라룸푸르 베이징 노선은 MH360으로 편명이 변경됐다.

6.5. 넷플릭스발 미군 소행 음모론

MH370 is not just an unsolved mass murder; it's potentially an act of war!
MH370편 사건은 단순히 미스터리한 대량학살 사건일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전쟁 행위입니다!
《MH370: The Plane That Disappeared》 다큐멘터리 中
수색이 종료된 지 한참 지난 후인 2023년, 넷플릭스에서는 《MH370: The Plane That Disappeared》라는 이름으로 해당 사건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예고편 그러나 이 다큐멘터리는 실제 항공 사고와 이후 사고 수색 과정에 대한 내용보다는 사건을 둘러싼 거대한 정치적 음모론에 더 비중을 두고 제작되었고 결과적으로는 미군의 대량 학살 행위라는 다소 받아들이기 어려운 소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시청할 필요가 있다. 구성 역시 정부 당국의 조사 보고서나 사건 직후 수 년에 걸쳐 다른 많은 언론 매체에서 다루었던 기존의 여러 가설은 매우 적게 소개하거나 생략하며 대신 하술할 '새로운 스토리'에 많은 러닝타임을 할애한다.

해당 다큐멘터리의 내용에 따르면 프랑스 탑승객의 유가족인 길랑 와트렐로(Ghyslain Wattrelos)는 비행기가 실종된 뒤 프랑스 정보 당국에서 일하는 '어떤 한 요원'에 의해 'MH370 실종은 말레이시아 인근의 미군기지에 배치된 AWACS라는 보잉의 정찰기와 연관이 있다고 하더라'는 것을 들었고 이후에는 이 가설을 바탕으로 실종된 MH370에 실린 반도체 관련 장비의 중국 유출을 우려한 미국 정부당국이 관여한 것이 아니냐는 것을 믿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당일 해당기에 실린 2톤 가량의 전자장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해당 전자기기는 Xray 검사등의 적법 절차를 거치지 않고 화물칸에 실렸다고 한다.

통상의 루트라면 쿠알라룸푸르 교신 센터와 마지막 교신 후에는 어느 나라의 영공 통제도 받지 않는 중립 영공을 통과해 베트남 영공에서 호치민 관제 센터와 교신을 해야 정상적이지만 해당 항공기는 선술한 중립 영공 구역에 진입하기까지 기다리던 미공군 정찰기에 의해서 격추되었다는 것이다. 해당 정찰기의 베이스는 호주령의 미군기지 버터워스(Butterworth)라고 하며 해당 민항기는 자의로든 타의에 의해서든 이 호주 공군기지를 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첨언하자면 두대의 AWACS가 민항기의 위 아래에서 완벽히 포개져서 날았고 AWACS는 민항기에서 송출/수신하는 전자 신호를 완벽히 차단(electrical jamming) 할 수 있는 정찰기이기 때문에 관제 센터 레이더 상에서 사라졌고 위성과 통신도 할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설은 실제로는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고 '미군 격추설'은 사건 극초기인 2014년에 일부 선동 세력에 의해 잠시 주장되었다가 수색이 진행됨과 함께 곧바로 사장된 이야기이다. 이를 2023년에 개봉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가 재조명하였을 뿐, 실제로는 미군이 뜬금없이 여객기 격추를 벌였다는 어떤 근거도 제시된 바 없다. 미국 정부는 군사기지가 있는 디에고 가르시아 인근에서 격추되었다는 음모론도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한 바 있다. #

한편 베트남에서는 베트남 정부의 구조 작업 참여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한 점이 문제가 되어 해당 다큐멘터리의 일부 에피소드 방영이 중지되기도 했다. #

다만 괜한 오해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서는 미국 연루 음모론만 다룬 것도 아니고 음모론을 지지하는 입장도 아니라는 점이다. 러시아 연루 음모론도 소개되는데 사실 이는 더 말이 안되는 허무맹랑한 음모론[12]이었음에도 상당한 시간 동안 다루었는데[13] 이를 보면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는 그냥 이런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수준에서 내용을 포함시킨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다른 전문가의 말을 빌려 러시아 연루 음모론이나 미국 연루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은 그냥 음모론자일 뿐이고 그 내용은 헛소리에 불과하다고 깐다.

6.6. 싱가포르 코미디언 희화화 사건

2023년 6월 싱가포르 코미디언 조슬린 치아는 미국의 코미디 방송에 출연하여 “40년 동안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를 방문하지 않는데, 말레이시아 비행기가 ‘날 수 없기 때문’. 왜? 말레이시아 항공이 실종되는 거, 웃기지 않나요? 어떤 농담은 착륙이 안된다(Some jokes don’t land)”고 말했다. 이에 싱가포르 외무 장관까지 나서서 사과해야 할 정도로 국제적으로 논란이 됐다. #

7. 여담


[1] 사고기가 이륙하기 9시간 전에 촬영되었다. [2] 발견이 안 된지 [age(2014-03-08)]년이 지난 실종상태이기 때문에 239명은 모두 사망자로 처리되었다 [3] 기종은 보잉 777-200ER. 중국남방항공 코드셰어 편명은 CZ748. [4] 또한 다른 바다로 떠내려갔을 가능성도 있다. [5] 유나이티드 항공 93편 테러 사건과 같이 승객들이 대항을 시도를 하지 못하게 하는 조치. 다만 9.11 테러 이후 조종석의 문은 객실에서 무슨 짓을 해도(심지어 수류탄을 터뜨려도) 절대 열 수 없도록 매우 튼튼하게 보강되었기 때문에 조종실에 혼자 남은 상태에서 문을 잠궈 버리기만 하면 그만이다. [6] 마지막 교신을 기점으로 1분 만에 트랜스폰더가 꺼졌다. 트랜스폰더 스쿽모드를 찰리에서 스탠바이로 바꾼 것으로 추정. 하지만 이건 고도와 속력,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폰더 한정이고, 엔진 관련 정보를 보내는 트랜스폰더는 조종실에서 끌 수 없으며 객실 아래의 항전실로 내려가 정확히 해당 트랜스폰더로 연결되는 퓨즈를 뽑아야 한다. [7] 서술한 대로 항전실로 내려가 퓨즈를 뽑는 데까지 1분이 걸렸다는 것은 단독 범행일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쪽도 의구심이 들기는 마찬가지다. [8] 지상과 자동으로 교신하는 활자 형태의 정보를 주고받는 프린터기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 기기를 통해 자사의 항공운항실과 소통을 하기도 하고, 관제센터와 이착륙시 주의사항과 날씨 든을 통보 받는다. [9] 레이더 기록과 몰디브 주민의 증언을 바탕으로. [10] 일본에서 기장이 자살비행을 시도하는 바람에 사망자가 나온 적은 있었으나 이때는 항공기관사가 제압한 덕분에 사망자는 소수였고 정작 자살을 시도한 기장 포함 승무원은 전원 생존했다. [11] 운항 중단된 보잉 777들의 일부는 아직도 쿠알라룸푸르 등에서 방치되고 있다. 이 회사가 보유했던 777은 모두 90년대 후반에 생산된 오래된 기체이기 때문에 사겠다는 항공사도 나타나지 않는다. 더구나 최근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구형 777을 모두 퇴역시키는 추세이기 때문에 어딘가에 팔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12] 요지는 승객으로 위장한 러시아 요원이 승객실에서 접근 가능한 항전실로 들어간 후 그곳에서 비행기를 장악하고 위성 신호를 조작하여 남쪽으로 향한 것처럼 꾸민 후 실제로는 북쪽으로 가서 카자흐스탄에 착륙시켰다는 건데 항전실에서 주요 시스템의 전원을 끌 수는 있어도 거기서 비행기의 조종까지 장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말이 안되는 내용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9.11 테러 이후 테러리스트가 기내에서 테러를 시도하더라도 조종실은 쉽게 장악하지 못하도록 강화된 보안 조치가 이루어졌는데 조종실을 무력화시킬 수 있게 항전실에서 쉽게 케이블 하나 꽂아서 노트북으로 연결해서 비행기 조종까지 가능하게 해 두었다? 이건 뭐 보잉이 테러리스트를 위해 마련한 선물도 아니고 말이 안 되는 얘기다. 게다가 숫적으로 훨씬 많은 항공사 직원과 승객들의 저항을 억제하려면 여압 기능을 꺼서 그들을 무력화시켜야 하는데, 그럼 동일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은 러시아 요원도 마찬가지이고 수 시간이 넘는 비행 시간을 버틸 수 있는 산소 탱크와 마스크가 필요한데 그건 대체 어떻게 비행기에 반입한다는 것인가? 그리고 행여 항전실로 들어가려고 시도하는 와중에 항공사 직원이나 다른 승객에게 발각되면 그에 따른 리스크는 어떻게 할 것인지 숱한 의문들만 더해지는 주장이다. [13] 또 MH370의 잔해로 추정되는 파편들이 마다가스카르와 아프리카 남동부 해안에서 발견되자 음모론자들은 러시아가 해체한 MH370의 일부를 잔해로 위장해서 그곳에 가져다 놨다거나 잔해를 발견한 사람이 러시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등의 주장을 했는데, 이에 대한 내용들도 고스란히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 다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