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22:02:12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919 Hybrid에서 넘어옴

파일:포르쉐 로고.svg
파일:포르쉐 워드마크.svg
파일: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로고.png [1]

1. 개요2. 역사3. 파생형
3.1. 919 하이브리드 에보3.2. 919 스트리트
4. 제원5. 미디어6. 둘러보기


Porsche 919 Hybrid[2]

1. 개요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Porsche 919 Hybrid)는 2014년 포르쉐가 르망 24시에 복귀하면서 발표한 LMP1 레이스카이다. 2014년 데뷔해 2015, 2016, 2017년 르망 24시에서 3연패 종합우승, WEC 월드 챔피언을 차지하며 더블 월드 챔피언을 차지했다.

2. 역사

919 트리뷰트 : 전설의 시작

911 GT1 이후 워크스 팀을 꾸렸던 포르쉐는 철수한 이후 RS 스파이더나 911 GT2 등으로 꾸준히 내구 레이스에 참가하고 있었다. 이후 2010년대 들어 아우디의 르망 연승 행진이 이어졌고 ACO가 룰을 조정해 하이브리드 기술을 전면에 내세우게 되자 르망의 양상은 아우디의 디젤과 하이브리드 프로토타입들이 대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여기에 닛산, 도요타, 포르쉐가 참전하게 된 것이다.

919는 2000cc V형 4기통 터보 가솔린 엔진에 하이브리드 시스템 조합이라는 당시로서는 독특한 구성의 파워트레인을 갖추었다. 그리고 이 파격적인 구성은 전기모터의 출력을 자유자제로 쓸 수 있던 당시 르망 하이브리드 규정상 해가 갈수록 퍼포먼스면에 우수함이 입증되어[3] 토요타가 이전의 방식을 버리고 포르쉐 처럼 전기모터의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데뷔 첫 해인 2014년 르망 24시에서는 여러 트러블이 겹쳐 포디움에 단 한 대도 세우지 못하고 아우디 R18에게 우승을 내줬다. 하지만 2015년부터 내리 3년을 모두 싹쓸이 하면서 르망 최강자의 자리를 다시 한 번 지키게 되었다. 이전까지 아우디도 많은 연승으로 포르쉐의 르망 최다승을 위협했지만 포르쉐의 르망 복귀 이후 2015, 2016년 르망 1위 수성에 실패하면서 2017년에 철수하였다.

919 Hybrid의 레이스 첫 우승은 14번 차량이 2014 WEC 브라질 6시에서 달성하였다. 이는 포르쉐 2010년 ALMS 이후 첫 프로토타입 클래스 우승이다. 그러나 이날 20번 차량은 경기 종료 30분을 남기고 GTE-AM 클래스의 페라리 458과 충돌하여 리타이어 하였다. 충격규모가 굉장히 커서 919는 반파되고, 엔진엔 불이 붙었다.

그리고 919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르망에서 3번 우승하는 동안, 2번은 그야말로 극적인 드라마를 썼다. 자세한 내용은 르망 24시 연도별 레이스 항목을 참조. 2015년은 토요타가 배틀 구도에 끼지 못하고 닛산은 그야말로 폭망한 와중 아우디와 배틀을 하여, 19번이 1위, 17번이 2위, 18번 5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뒀다. 여담으로 이 때 19번 차량 소속으로 참가하러 왔던 니코 휠켄베르크 본업에서 달성하지 못한 우승을 여기서 달성한 나머지, 체커기를 받을 때 울었다고 한다.

2016년에는 토요타 TS050 5번 차량이 1위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대로 가면 919의 연속우승을 완벽히 저지함과 동시에 르망 첫 우승을 기록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그런데...
"No power! I have no power!!!"[4]
최종 1랩을 남겨두고 파워트레인이 고장나버린 것. 토요타 개러지는 그야말로 초상집이 된 반면, 포르쉐 개러지는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그렇게 TS050 5번차량은 완주를 하지 못하면서 그대로 리타이어 했고 2위로 달리던 919 2번 차가 우승을 하였다.

2017년에는 토요타가 심기일전하여 TS050을 무려 3대나 투입하는 물량전을 보였다. 이 때부터 아우디는 철수했고 유일한 논 하이브리드 차량이였던 바이콜레스의 LMP1이 일찍 리타이어했기에 919만 완벽히 견제하면 우승은 도요타의 것이었다. 하지만 보기 좋게 실패했다. 2대가 리타이어[5]하고 남은 1대는 8위를 기록한 것이다.

포르쉐도 위기는 있었다. 1위로 달리던 919 1번 차량이 318랩에 엔진 블로우 문제로 리타이어 해버린 것. 2번차도 일찍이 차량문제 때문에 개러지에서 한동안 나오지 못했다. 이대로 가면 LMP2에서 르망 우승팀이 나오는 시나리오가 작성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포르쉐에게는 아직 선두권 경쟁이 가능한 차량이 있었으니, 아이러니하게도 레이스 초반 입고되어 한 시간이나 뒤로 나가떨어졌던 2번 차량이 다시 나섰다! 그야말로 새옹지마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경우였는데, 레이스 초반에 일찌감치 입고되어 선두권 경쟁이 사실상 불가능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트랙에 다시 복귀한 뒤에도 열심히 랩타임을 끌어올려가며 분발했기에 가능한 위치였다. 물론 이 때 919 2번은 선두권에 약 13랩 정도 뒤처져 있었으나, 피트 스탑 횟수나 퍼포먼스 격차로 따지면 2번 차량이 선두를 따라잡는 것이 산술상 가능하기는 했기 때문에 다시 경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슬로우 존이 계속 발동되면서 사람들은 성룡[6]이 우승하는 것 아니나며 기대하기도 했다.

하지만... 919 2번의 집념은 대단한 것이어서, 차가 뻗는 것이 아닐까 하는 오버페이스로 계속해서 빠르게 페이스를 높이더니, 결국 약 한시간 정도를 남기고 선두로 나서면서[7] LMP1과 포르쉐의 자존심을 겨우겨우 회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겨우 수리받고 나온 2번차가 역주를 하였고 그대로 Jackie Chan DC Racing의 LMP2 38번 차를 추월, 그대로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2번 차량이 1위로 우승하였다. 2,3위는 LMP2 성룡 팀이 모두 차지.

이렇게 919로 3번의 우승을 추가하면서 르망 누적 승수 19승을 기록, 다시 오를 수 없는 산을 만들게 되었다. 아우디는 2009년 푸조에게 한 방 먹긴 했지만 10년 넘게 르망을 지배 중이었고 도요타도 WEC 종합 우승을 할 만큼 패기가 넘쳤다. 하지만 2015년부터 2017년 3년 동안 르망 24시와 WEC를 포르쉐 919가 제패했다는 점은 상기할 만하다.

그렇게 919 하이브리드는 4년의 활동기간을 마치고 2018년, 르망 철수 선언을 하게 된다. 그리고 포르쉐와 아우디가 없는 상황에서 2018년 르망 24시가 열렸다. 토요타는 F1에서 1차 은퇴를 선언했던 페르난도 알론소를 영입하였고, 단 한대도 리타이어 없이[8] 1,2위로 들어와 르망 24시 첫 우승을 기록했다.

이후 2017 시즌 919 하이브리드 차량은 919 Tribute Tour라는 이름 아래 파리, 샌프란시스코, 방콕 등 해외 유명 지역들을 주행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포르쉐의 승리와 철수를 기념하였다. 그로부터 6개월 뒤 타이칸이 출시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놈을 다시 꺼내 서킷에서 주행하며 주행 사운드를 녹음 및 편곡해 가상 엔진 사운드로까지 넣어놨다.

이후 2020년, 2016 시즌 우승 차량이 르망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3. 파생형

3.1. 919 하이브리드 에보

2017년을 끝으로 919의 공식 WEC 활동은 끝났다. 포르쉐는 이 차량을 개발하면서 얻은 전기차 기술력을 활용하여 타이칸을 출시하게 되었다.

파일:porsche-919-hybrid-lead-1544468527.jpg

팬서비스 차원과 자사 기술 실험의 목적으로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에보 (Porsche 919 Hybrid EVO) 차량을 만들었다. 목적은 정식 내구 레이스 투입이 아닌 자체적인 서킷 랩타임 도전용. 포르쉐는 LMP1 클래스 규정에서 강제하는 파워트레인 출력과 에어로다이나믹 규정을 무시했으며, 타임 트라이얼 주행을 주간에만 실시할 것이기에 헤드라이트를 제거하였다. 엔진은 V4 터보차저 하이브리드 엔진을 그대로 유지하였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는 다분히 F1을 의식하고 한 발언으로 보이며 실제로 아래에서 서술된 것처럼 F1 레이스 카들과의 랩타임을 비교하며 성능을 과시했다.

일각에서는 919 에보를 두고 '규제가 다 해제된 차'라고 주장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저히 규정에 의거되어 제작된 F1 레이스 카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919 에보가 아닌 F1 레이스 카를 치켜세웠으나 오류가 2가지 있다. 첫번째로 WEC 포뮬러 1은 레이스의 방식이 많이 다르다. 만약 단거리 스프린터와 같은 F1 차량들이 최소 6시간 이상 진행되는 WEC에 참가한다면 전부 순위를 받기는 커녕 몇랩 달리지도 못하고 리타이어 할 것이다. F1은 주행 거리가 모든 레이스에서 300 km 내외로 설정되며, 경기 시간이 3시간 이상 넘어가면 규정상 경기가 중단된다. 내구 레이스에서는 오래, 그리고 많은 랩을 주행하면서도 빠른 차를 요구하며 실제로 르망 24시 레이스의 주행거리 신기록이 세워졌던 2015 시즌 919 하이브리드 기준으로는 5,580 km, 포디엄이나 포인트권에 드는 차량들까지 감안한다면 평균적으로 주행거리가 5500 km 남짓 된다. 이 때문에 르망 24시를 비롯한 내구 레이스가 마라톤이라면 F1은 2~3km 단거리 스프린트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일부 실력 좋은 마라톤 선수가 단거리 육상 선수와 비슷한 스피드로 달릴 수 있는 것처럼 내구 레이스용 차량을 튜닝할 시 F1 만큼 빨리 주행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두 번째로, 규정에 따라 제작되었다고 하지만 엔진 회전수(RPM)에서 차이가 난다. 포뮬러 1과 다르게 LMP1 차량들은 엔진회전수가 더 낮을 수밖에 없다. 상술한 내구성 문제로 인해서 포뮬러 1에 비해 엔진회전수가 더 낮은 편이다. 실제로 919의 노르트슐라이페 주행 영상을 보면 화면 하부에 표시되는 주행정보들 중 F1과 다르게 레드존이 8천 RPM부터 걸리는 것만 봐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현행 F1의 파워트레인 규정인 1.6L V6 싱글 터보 하이브리드 유닛은 규정상 최대 회전수가 15,000 RPM이며, 일반적으로 11,000 RPM[9] 내외에서 변속이 이루어진다.[10]

포르쉐는 V4 엔진의 기존 성능인 500마력에서 720마력으로 끌어올렸는데, 내구성을 비교적 덜 고려하는 포뮬러 1의 1.6L V6 싱글 터보 하이브리드 유닛은 대체적인 최고 출력은 1,000마력[11] 정도이다. 즉, 르망 역시 제약 사항들이 절대 유리하지 않다. F1은 레이스 특성상 상황적인 제약이 덜 뒤따르고 FIA 측에서 정한 규정의 제한이 더 크지만 WEC의 르망 24시는 내구성이라는 상황적인 제약이 더 크다. 따라서 그로 인한 설계상의 한계를 감안했을 때 내구 레이스가 가진 족쇄는 결코 가볍지 않다. 즉, 919 EVO가 WEC의 규정보다 성능이 업그레이드 된 것은 사실이나 내구 레이스용 차량의 태생적인 한계를 감안했을 때 919 하이브리드의 성능은 대단한 것이라고 할 만하다.

랩타임 결과는 그야말로 충격적. 스파-프랑코샹 서킷에서 1:41.770의 기록을 세웠다.[12] 이는 2017년에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W08로 폴 포지션을 달성한 랩타임인 1:42.553보다 빠른 기록이었는데 포르쉐 팬들은 그야말로 환호하였다. 하지만 이 기록은 2018 벨기에 그랑프리 예선전 Q2에서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SF71H로 1:41.501을, 2020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루이스 해밀턴이 메르세데스 W11로 1:41.252를 기록하면서 F1의 숏런 성능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지만, 이후 규정이 바뀌어 차량들의 랩타임이 전체적으로 대폭 느려진 2022 시즌의 벨기에 그랑프리 폴 포지션 랩타임은 막스 베르스타펜이 주행한 레드불 레이싱 RB18의 1:43.665로 현행 F1 차량들과 비교할 시에는 919 EVO가 더 빠른 랩타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2018년 6월 29일,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쉽게 깨지지 않을 무시무시한 대기록을 수립하였다.[13]

5 : 1 9 : 5 4 6
뉘르부르크링 온보드 영상[14]

현재 뉘르부르크링에서 유일한 5분대 기록이다. 마지막 직선구간에서 기록한 최고 속도는 무려 369 km/h.(...) 당시 2위였던 맥라렌 P1 LM 프로토타입이 기록한 6분 43초 22보다 1분 30초 이상 빠른 비교도 안되는 기록이다. 더불어, 1983년 956[15]이 기록한 6분 11초보다 52초 빠른 기록으로 노르트슐라이페의 제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재미있는 점은 노르트슐라이페는 안전을 위해 GT3보다 상위 클래스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 당연히 LMP1 클래스 차량은 규정으로 인해 노르트슐라이페 주행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차량을 개조하면서 LMP1의 규정을 벗어났고, 이로 인해 LMP1으로 분류되지 않으면서 주행이 가능하였다.

이후 모기업인 폭스바겐에서 919 EVO의 랩타임을 깨겠다며 파익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 클라임 대회에서 신기록을 세웠던 전기차 폭스바겐 I.D. R을 개조하여 도전하였지만, 5분 19초는 커녕 이보다 약 45초 느린 6분 5초 336을 기록하여 굴욕을 맛봤다. 다만 폭스바겐과 포르쉐는 사실상 한몸으로 폭스바겐 광고 차원에서 도전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919 EVO의 기록을 깨진 못하였지만 전체 랩타임중 2위를 차지하므로 결코 느린 차는 아니다.[16]

3.2. 919 스트리트

파일:919스트리트.jpg

919 하이브리드를 베이스로 제작한 양산형 하이퍼카 모델. 900마력 하이브리드 파워팩을 사용하고 목업까지 만들어 놓은 상태였으나 파워팩 관리에서 무리가 있다 판단해 개발이 취소되었다. #

그리고 목업 모델이 아시아 최초로 2022년 4월 DDP에서 개최된 '포르쉐 이코넨 서울'이라는 기념 행사에 전시되었다. 굳이 한국에서 최초로 전시한 이유는 한국에서 포르쉐가 아주 잘 팔려서 그에 대한 보답으로 데려왔다고. 2014년 출전차량의 목업도 같이 전시되었다.

비록 개발이 취소되기는 했으나 919 스트리트의 개념 자체는 LMP1의 후신인 르망 하이퍼카로 이어져 플로이드 반월 레이싱 팀이 자사의 반더벨 680을 기반으로 반월 1000을 개발했고, 글리켄하우스 레이싱 또한 007을 베이스로 007S를 개발하고 있어 현실화되었다.

4. 제원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모델 919 하이브리드 919 하이브리드 에보
최초 생산년도 2014년 2017년
엔진형식 V4 2.0L 직분사 터보차저 + 전기모터( KERS)
미션형식 7단 전기-유압 작동식 시퀀셜
구동방식 AWD
배기량 2,000 cc
최대출력 엔진 500 hp + 전기모터 400 hp
도합 900 hp
엔진 720 hp + 전기모터 440 hp
도합 1,160 hp
전장 4,650 mm
전폭 1,900 mm
전고 1,050 mm
공차중량 875 kg 849 kg
이전 모델 포르쉐 RS 스파이더
후속 모델 포르쉐 963

5. 미디어

6. 둘러보기

포르쉐
레이스카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현역 차량 퇴역 차량
911 기반 911 GT3 컵 · 911 GT3 R 934 · 935 · 911 GT1 · 911 GT2 RS 클럽스포트 · 911 RSR
카이맨 기반 718 카이맨 GT4 RS 클럽스포트 718 카이맨 GT4 클럽스포트
포뮬러 1 - 787 · 804
포뮬러 E 99X 일렉트릭 -
LMDh 963 -
LMP1 - 919 하이브리드
LMP2/LMP - WSC-95 · LMP2000 · RS 스파이더
인디카 - 2708
스포츠카 - 550 · 718 · 904 · 906 · 910 · 907 · 908
909 베르그스파이더 · 917 · 934 · 935 · 936
그룹 C - 956 · 962
그룹 B - 953 · 961
그룹 GT1 - 다우어 962 르망 · 911 GT1
포르쉐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르망 24시 로고.jpg 르망 24시
종합 우승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셰나드 & 월커
셰나드 & 월커 타입 U3 15CV 스포트
파일:영국 국기.svg
더프 & 알딩턴
벤틀리 3 리터 스포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렌-디트리히
로렌-디트리히 B3-6 스포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렌-디트리히
로렌-디트리히 B3-6 르망
파일:영국 국기.svg
벤틀리
벤틀리 3 리터 스피드
파일:영국 국기.svg
벤틀리
벤틀리 4½ 리터
파일:영국 국기.svg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6
파일:UEFA FRA.png 앙드레 라가슈
파일:UEFA FRA.png 르네 레오나르
파일:UEFA GBR.png 프랭크 클레먼트
파일:영국령 캐나다 원형 국기.png 존 더프
파일:UEFA FRA.png 제라르 드쿠르셀
파일:UEFA FRA.png 앙드레 로시뇰
파일:UEFA FRA.png 로베르 블로크
파일:UEFA FRA.png 앙드레 로시뇰
파일:UEFA GBR.png 더들리 벤저필드
파일:UEFA GBR.png 새미 데이비스
파일:UEFA GBR.png 울프 바너토
파일:UEFA AUS.png 버나드 루빈
파일:UEFA GBR.png 울프 바나토
파일:UEFA GBR.png 헨리 버킨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파일:영국 국기.svg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6
파일:영국 국기.svg
얼 하우
알파 로메오 8C 2300 LM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레몽 소메르
알파 로메오 8C 2300 LM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레몽 소메르
알파 로메오 8C 2300 MM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루이지 키네티/필리프 에탕슬랭
알파 로메오 8C 2300 MM-LM
파일:영국 국기.svg
폭스 & 니콜
라곤다 M45R 래피드
프랑스 노동자 파업 사태
파일:UEFA GBR.png 울프 바나토
파일:UEFA GBR.png 글렌 키드슨
파일:UEFA GBR.png 헨리 버킨
파일:UEFA GBR.png 얼 하우
파일:UEFA ITA.png 루이지 키네티
파일:UEFA FRA.png 레몽 소메르
파일:UEFA ITA.png 타치오 누볼라리
파일:UEFA FRA.png 레몽 소메르
파일:UEFA ITA.png 루이지 키네티
파일:UEFA FRA.png 필리프 에탕슬랭
파일:UEFA GBR.png 루이스 폰테스
파일:UEFA GBR.png 조니 힌드마시
1937 1938 1939 1940 ~
1948
1949 1950 195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저 라브릭
부가티 타입 57G 탱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외젠 샤부와 장 트레물레
들라이예 135CS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위밀
부가티 타입 57C 탱크
2차 세계 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셀스던 경
페라리 166 MM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스 로지에
탈보 라고 그랜드 스포트 T26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워커
재규어 XK-120C
파일:UEFA FRA.png 로베르 베노이스트
파일:UEFA FRA.png 장피에르 위밀
파일:UEFA FRA.png 외젠 샤부
파일:UEFA FRA.png 장 트레물레
파일:UEFA FRA.png 피에르 베롱
파일:UEFA FRA.png 장피에르 위밀
파일:UEFA USA.png 루이지 키네티
파일:UEFA GBR.png 피터 미첼톰슨
파일:UEFA FRA.png 장루이 로지에
파일:UEFA FRA.png 루이 로지에
파일:UEFA GBR.png 피터 워커
파일:UEFA GBR.png 피터 화이트헤드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파일:독일 국기.svg
다임러-벤츠
메르세데스-벤츠 300 SL W194
파일:영국 국기.svg
재규어
재규어 C-타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375 플러스
파일:영국 국기.svg
재규어
재규어 D-타입
파일:영국 국기.svg
에큐리 에코스
재규어 D-타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58
파일:UEFA GER.png 헤르만 랑
파일:UEFA GER.png 프리츠 리스
파일:UEFA GBR.png 덩컨 해밀턴
파일:UEFA GBR.png 토니 롤트
파일:UEFA ARG.png 호세 프로일란 곤살레스
파일:UEFA FRA.png 모리스 트랭티냥
파일:UEFA GBR.png 아이버 부에브
파일:UEFA FRA.png 마이크 호손
파일:UEFA GBR.png 론 플록하트
파일:UEFA GBR.png 니니언 샌더슨
파일:UEFA GBR.png 아이버 부에브
파일:UEFA GBR.png 론 플록하트
파일:UEFA BEL.png 올리비에 장드비앵
파일:UEFA USA.png 필 힐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비드 브라운 레이싱
애스턴 마틴 DBR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59/6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I/6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I/LM 스파이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EFAC
페라리 250 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EFAC
페라리 275 P
파일:미국 국기.svg
NART
페라리 250 LM
파일:UEFA GBR.png 로이 살바도리
파일:UEFA USA.png 캐롤 셸비
파일:UEFA BEL.png 폴 프레르
파일:UEFA BEL.png 올리비에 젠더비앙
파일:UEFA BEL.png 올리비에 장드비앵
파일:UEFA USA.png 필 힐
파일:UEFA ITA.png 로렌초 반디니
파일:UEFA ITA.png 루도비코 스카르피오티
파일:UEFA FRA.png 장 기셰
파일:UEFA ITA.png 니노 바카렐라
파일:UEFA USA.png 마스튼 그레고리
파일:UEFA USA.png 에드 허거스
파일:UEFA AUT.png 요헨 린트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파일:미국 국기.svg
셸비 아메리칸
포드 GT40 Mk. II
파일:미국 국기.svg
셸비 아메리칸
포드 GT40 Mk. IV
파일:영국 국기.svg
존 와이어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포드 GT40 Mk. I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포르쉐 KG 잘츠부르크
포르쉐 917KH 쿠페
파일:독일 국기.svg
마티니 레이싱 팀
포르쉐 917KH 쿠페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에퀴페 마트라-심카 쉘
마트라-심카 MS670
파일:UEFA NZL.png 크리스 아몬
파일:UEFA NZL.png 브루스 맥라렌
파일:UEFA USA.png A. J. 포이트
파일:UEFA USA.png 댄 거니
파일:UEFA BEL.png 뤼시앵 비앙키
파일:UEFA MEX.png 페드로 로드리게스
파일:UEFA BEL.png 재키 익스
파일:UEFA GBR.png 재키 올리버
파일:UEFA GBR.png 리처드 애트우드
파일:UEFA GER.png 한스 헤르만
파일:UEFA AUT.png 헬무트 마르코
파일:UEFA NED.png 헤이스 판레넵
파일:UEFA GBR.png 그레이엄 힐
파일:UEFA FRA.png 앙리 페스카롤로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에퀴페 마트라-심카 쉘
마트라-심카 MS670B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에퀴페 지탄
마트라-심카 MS670C
파일:영국 국기.svg
걸프 리서치 레이싱
미라지 GR8-코스워스
파일:독일 국기.svg
마티니 레이싱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76 스파이더
파일:독일 국기.svg
마티니 레이싱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77 스파이더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노 스포트
르노 알핀 A442B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쉐 크레머 레이싱
포르쉐 935 K3
파일:UEFA FRA.png 제라르 라루스
파일:UEFA FRA.png 앙리 페스카롤로
파일:UEFA GBR.png 데릭 벨
파일:UEFA BEL.png 재키 익스
파일:UEFA BEL.png 재키 익스
파일:UEFA NED.png 헤이스 판레넵
파일:UEFA GER.png 위르겐 바르트
파일:UEFA USA.png 헐리 헤이우드
파일:UEFA BEL.png 재키 익스
파일:UEFA FRA.png 장피에르 조소
파일:UEFA FRA.png 디디에 피로니
파일:UEFA GER.png 클라우스 루트비히
파일:UEFA USA.png 빌 위팅턴
파일:UEFA USA.png 돈 위팅턴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론도
론도 M379B-코스워스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81
파일:독일 국기.svg
로스만스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56
파일:독일 국기.svg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56
파일:독일 국기.svg
요스트 레이싱
포르쉐 956B
파일:독일 국기.svg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62C
파일:UEFA FRA.png 장피에르 조소
파일:UEFA FRA.png 장 롱도
파일:UEFA GBR.png 데릭 벨
파일:UEFA BEL.png 재키 익스
파일:UEFA USA.png 헐리 헤이우드
파일:UEFA USA.png 앨 홀버트
파일:UEFA AUS.png 번 슈팬
파일:UEFA GER.png 클라우스 루트비히
파일:UEFA FRA.png 앙리 페스카롤로
파일:UEFA ITA.png 파올로 바릴라
파일:UEFA GER.png 클라우스 루트비히
파일:UEFA GER.png "존 윈터"
파일:UEFA GBR.png 데릭 벨
파일:UEFA USA.png 앨 홀버트
파일:UEFA GER.png 한스요아힘 슈투크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파일:독일 국기.svg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62C
파일:영국 국기.svg
실크 컷 재규어
재규어 XJR-9LM
파일:독일 국기.svg
팀 자우버 메르세데스
자우버 C9/88-메르세데스-벤츠
파일:영국 국기.svg
실크 컷 재규어
재규어 XJR-12 LM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마쓰다스피드
마쓰다 787B
파일:프랑스 국기.svg
푸조 탈보 스포트
푸조 905 에보 1B
파일:UEFA GBR.png 데릭 벨
파일:UEFA USA.png 앨 홀버트
파일:UEFA GER.png 한스요아힘 슈투크
파일:UEFA GBR.png 조니 덤프리스
파일:UEFA NED.png 얀 라머르스
파일:UEFA GBR.png 앤디 월리스
파일:UEFA SWE.png 스탠리 디킨스
파일:UEFA GER.png 요헨 마스
파일:UEFA GER.png 마누엘 로이터
파일:UEFA GBR.png 마틴 브런들
파일:UEFA USA.png 프라이스 코브
파일:UEFA DEN.png 욘 닐센
파일:UEFA BEL.png 베르트랑 가쇼
파일:UEFA GBR.png 조니 허버트
파일:UEFA GER.png 폴커 바이들러
파일:UEFA GBR.png 마크 블런델
파일:UEFA FRA.png 야니크 달마스
파일:UEFA GBR.png 데릭 워릭
파일:UEFA FRA.png 크리스토프 부쉬
파일:UEFA AUS.png 제프 브라밤
파일:UEFA FRA.png 에리크 엘라리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파일:독일 국기.svg
르망 포르쉐 팀
다우어 962 르망-포르쉐
파일:영국 국기.svg
코쿠사이 카이하츠 레이싱
맥라렌 F1 GTR-BMW
파일:독일 국기.svg
요스트 레이싱
TWR 포르쉐 WSC-95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쉐
포르쉐 911 GT1-98
파일:독일 국기.svg
팀 BMW 모터스포트
BMW V12 LMR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8
파일:UEFA ITA.png 마우로 발디
파일:UEFA FRA.png 야니크 달마스
파일:UEFA USA.png 헐리 헤이우드
파일:UEFA FRA.png 야니크 달마스
파일:UEFA FIN.png JJ 레토
파일:UEFA JPN.png 세키야 마사노리
파일:UEFA USA.png 데이비 존스
파일:UEFA GER.png 마누엘 로이터
파일:UEFA AUT.png 알렉산더 부르츠
파일:UEFA ITA.png 미켈레 알보레토
파일:UEFA SWE.png 스테판 요한손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FRA.png 로랑 아이엘로
파일:UEFA GBR.png 앨런 맥니시
파일:UEFA IDN.png 스테판 오르텔리
파일:UEFA FRA.png 야니크 달마스
파일:UEFA ITA.png 피에르루이지 마르티니
파일:UEFA GER.png 요아킴 빙켈호크
파일:UEFA GER.png 프랑크 비엘라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ITA.png 에마누엘레 피로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8
파일:영국 국기.svg
팀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8
파일:일본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재팬 팀 고우
아우디 R8
파일:미국 국기.svg
챔피언 레이싱
아우디 R8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0 TDI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0 TDI
파일:UEFA GER.png 프랑크 비엘라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ITA.png 에마누엘레 피로
파일:UEFA ITA.png 리날도 카펠로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GBR.png 가이 스미스
파일:UEFA JPN.png 아라 세이지
파일:UEFA ITA.png 리날도 카펠로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FIN.png JJ 레토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GER.png 마르코 베르너
파일:UEFA GER.png 프랑크 비엘라
파일:UEFA ITA.png 에마누엘레 피로
파일:UEFA GER.png 마르코 베르너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0 TDI
파일:프랑스 국기.svg
푸조 스포트 토탈
푸조 908 HDi FAP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5 TDI 플러스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8 TDI
파일:독일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8 e-트론 콰트로
파일:UEFA ITA.png 리날도 카펠로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GBR.png 앨런 맥니시
파일:UEFA AUS.png 데이비드 브라밤
파일:UEFA ESP.png 마르크 헤네
파일:UEFA AUT.png 알렉산더 부르츠
파일:UEFA GER.png 티모 베른하르트
파일:UEFA FRA.png 로맹 뒤마
파일:UEFA GER.png 마이크 로켄펠러
파일:UEFA SUI.png 마르셀 페슬러
파일:UEFA GER.png 안드레 로테러
파일:UEFA FRA.png 브누아 트렐뤼예
파일:UEFA FRA.png 로이크 뒤발
파일:UEFA DEN.png 톰 크리스텐센
파일:UEFA GBR.png 앨런 맥니시
파일:UEFA SUI.png 마르셀 페슬러
파일:UEFA GER.png 안드레 로테러
파일:UEFA FRA.png 브누아 트렐뤼예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파일:독일 국기.svg
팀 포르쉐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쉐 LMP 팀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파일:UEFA NZL.png 얼 밤버
파일:UEFA GER.png 니코 휠켄베르크
파일:UEFA GBR.png 닉 탠디
파일:UEFA FRA.png 로맹 뒤마
파일:UEFA SUI.png 닐 야니
파일:UEFA GER.png 마크 리브
파일:UEFA NZL.png 얼 밤버
파일:UEFA GER.png 티모 베른하르트
파일:UEFA NZL.png 브렌던 하틀리
파일:UEFA ESP.png 페르난도 알론소
파일:UEFA SUI.pn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UEFA JPN.png 나카지마 카즈키
파일:UEFA SUI.pn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UEFA NZL.png 브렌던 하틀리
파일:UEFA JPN.png 나카지마 카즈키
파일:UEFA GBR.png 마이크 콘웨이
파일:UEFA JPN.png 고바야시 카무이
파일:UEFA ARG.png 호세 마리아 로페즈
2022 2023 2024
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라리 AF 코르세
페라리 499P
파일:UEFA SUI.pn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UEFA NZL.png 브렌던 하틀리
파일:UEFA JPN.png 히라가와 료
파일:UEFA GBR.png 제임스 칼라도
파일:UEFA ITA.png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파일:UEFA ITA.png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파일:UEFA DEN.png 니클라스 닐슨
파일:UEFA ITA.png 안토니오 푸오코
파일:UEFA ESP.png 미겔 몰리나
}}}}}}}}}}}} ||

[1] 위 사진은 2017 시즌 리버리이다. [2] 사진은 2017 마지막 시즌 차량이다. [3] 포르쉐는 타 제조사들이 4, 6MJ를 쓰는 동안 혼자 8MJ까지 전기모터 출력을 뽑아썼다. V4 엔진으로 500마력 전기모터로 500마력을 생성해냈다. 경기 영상을 보면 코너를 빠져나갈때 로켓 같은 가속력을 보여주는 장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전기모터의 출력 때문이다. [4] 목소리의 주인공은 나카지마 카즈키. [5] 7번은 차량 블로우로, 9번은 LMP2 차량과의 사고로 리타이어했다. [6] 선두의 LMP2 클래스가 성룡이 공동 오너인 팀이었다. [7] 경기 시간 중 19시간 반이 소요되었을때 레이스에 복귀할 때 순위가 56위였고, 주행중인 차량들 중 끝에서 두번째로 장장 18시간을 달려 1위까지 올라온 것이다. [8] 물론 자잘한 문제와 몇번의 위기는 있었는데, 특히 막판에는 토요타 TS050 1대가 연료 부족으로 피트 레인까지 전기구동으로 돌아왔고, 연료 규정 위반으로 패널티까지 받았다. [9] 규정상 최대 RPM 제한은 15000 RPM이지만, 연료 유량 제한 규정 때문에 10500 rpm 즈음을 넘어가면 효율이 떨어진다. [10] 여담으로, 당시 919의 라이벌 중 하나였던 아우디 R18은 디젤 엔진을 이용한 관계로 무려 4500RPM에서 레드존이 걸렸다. [11] 내연기관 출력 850hp + 모터 출력 160hp [12] 드라이버는 당시 포르쉐 팩토리 드라이버였던 닐 야니 [13] 참조 [14] 드라이버는 당시 포르쉐 팩토리 드라이버였던 티모 베른하르트 [15] 그렇다고 956이 느리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뉘르부르크링 1위의 자리를 35년동안 지켜왔고, 거기에 919 트리뷰트는 LMP1-H의 규정에 맞게 설계된 차량을 개량한 차량이지만, 956가 참가한 그룹 C는 사실상 제한규정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괴물이다. [16] I.D. R의 뉘르부르크링 직선 코스 속도는 247km/h였는데, 이는 369km/h를 기록한 919 EVO보다 100km/h 이상 느린 것이다. I.D. R은 극단적인 코너링 성능으로 2위 기록을 올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