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민족 | |||
<colbgcolor=#fafafa,#1a1a1a> 핀우그 리아족 |
<colbgcolor=#fafafa,#1a1a1a> 핀페 름족 |
발트핀족 | 핀란드인 | 카렐인 | 잉그리아인 | 벱스인 | 크벤인 | 이조라인 | 에스토니아인( 버로인) | 세투인 | 리보니아인 | 보디인 | |
사미족 | 사미인 | |||
볼가핀족 | 모르드바인 | 마리인 | |||
페름족 | 우드무르트인 | 코미인 | |||
우고 르족 |
마자르족 | 헝가리인 | 세케이인 | ||
오브우 고르족 |
한티인 | 만시인 | |||
사모예드족 | 에네츠인 | 네네츠인 | 응가나산인 | 셀쿠프인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헝가리 | 핀란드 | 에스토니아 | |||
자치 지역 | 카렐리야 공화국 | 모르도비야 공화국 | 네네츠 자치구 | 코미 공화국 | 마리 엘 공화국 | 한티-만시 자치구 |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 |||
다수 거주지 | 라플란드 | 세케이푈드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우랄어족 | |||
사상 | 범우랄주의 | 범투란주의 | |||
신화 | 핀란드 신화 | 에스토니아 신화 | 헝가리 신화 | }}}}}}}}} |
1. 개요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 3,458명 정도가 존재한다.
2. 명칭
과거 러시아인들에 의해 1930년대까지 오스탸크(Остяки), 또는 오스탸크-사모예드인(Остяко-самоеды)이라고 불렸지만, 실제로는 저마다 자신을 지칭하는 말들이 달랐다.- 산림툰드라 지역에 사는 셀쿠프인은 스스로를 숄쿠프(Шолькуп, Сёлькуп) 또는 솔쿠프(Солькуп).
- 오늘날 톰스크 주와 크라스노야르스크 주의 서부에 거주해왔던 셀쿠프인은 ‘땅의 사람’이라는 뜻인 ‘출림-쿠프(Чулым-куп)’, 튜이쿰(Тюйкум).
- 케트 강 유역의 셀쿠프인은 ‘숲의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쇼스쿰(Шошкум) 또는 슈소굼(Сюссогум), ‘타이가의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수스-세쿰(Сус-секум)’.
3. 역사
셀쿠프인을 포함한 사모예드계 민족은 약 10세기 초반 시베리아 북부의 토착민들과 사모예드계 언어를 사용하는 종족들이 사얀 고원으로 건너와 오랜 시간 동안 교류하는 과정에서 형성됐다.이들의 조상은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주로 서시베리아의 나림 지역, 오브강 중류 부근에 거주했다. 유라시안이 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들은 사냥, 어업, 목축[2]에 종사했다.
17세기부터 이들 중 일부가 북부로 이주하면서 거주지가 확장됐다. 처음에는 북쪽의 타즈 강 상류 지역으로 이주했고, 그 이후 투루한 강까지 거주지를 넓혀갔다. 이러한 이주과정은 19세기까지 이어졌다.[3]
한편 남부 셀쿠프인은 북부로 떠난 셀쿠프인보다 러시아인과의 교류가 더 일찍 시작됐고, 이는 이후 러시아의 영토 확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16세기 시베리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던 러시아는 점점 동쪽으로 나아가면서 많은 시베리아 토착민족과 만나게 됐다.
셀쿠프인의 존재가 러시아인들에게 제대로 알려진 것은 17세기로 러시아측 문헌에서는 나림 강 유역의 셀쿠프-케트인의 부족연맹을 ‘페가야 칸국(Пегая орда, Skewbald Horde)’이라고 불렀다.[4][5]
1596년 페가야 칸국이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됐으며, 러시아가 점점 동쪽과 북쪽으로 나아가면서 북부 셀쿠프인들 역시 러시아의 일원이 되었다.
4. 언어
자세한 내용은 셀쿠프어 문서 참고하십시오.우랄어족의 사모예드어파에 속해있는 셀쿠프어를 사용했으며, 현재는 러시아어가 대체적으로 쓰이고 있다.
5. 관련 문서
[1]
케트족과
한티인도 마찬가지로 남성 인구의 대다수가 부계
하플로그룹 Q-M242를 보유한다.
[2]
특히
말을 사육하였다.
[3]
이로 인해 셀쿠프인은 크게 북부와 남부로 나뉘어졌으며, 이때 북부 셀쿠프인은 주로 이웃민족인
한티인,
케트족과 교류하고 민족 간의 결혼도 빈번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서로 의식주가 다르고, 의사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그 차이가 심했다고 한다.
[4]
‘페가야(Пегая)’는 ‘얼룩의’라는 뜻의
러시아어로, 이들이 입고 다니던 옷이 여러 동물의 모피로 만든 탓에 얼룩같이 울긋불긋한 색을 띠었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5]
페가야 칸국은
시비르 칸국 동쪽에 위치한
동맹국이자
이웃나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