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이란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민족 | 인도이란인 | |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 페르시아인( 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 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 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 | |
누리스탄인 | ||
인도아리아인 | 다르드인( 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 사라이키인) | 벵골인( 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 라지푸트) | 힌두스탄인( 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 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 | |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 ||
독립국 | 타지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이란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인도 | 스리랑카 | 네팔 | 몰디브 | 모리셔스 | 남오세티야(미승인국)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쿠르디스탄( 로자바 |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발루치스탄(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 |
사회문화 | ||
언어 | 인도이란어파 | |
사상 |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 |
신화 |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 |
캅카스의 민족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조지아인 | 아르메니아인 | 아제르바이잔인 | 오세트인 | 체첸인 | |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
쿠미크인 | 발카르인 | 아바르인 | 레즈긴인 | ||
다르긴인 | 카라차이인 | 산악 유대인 | 인구시인 | 탈리시인 | ||
압하스인 | 루툴인 | 라크인 | 타바사란인 | 아굴인 | ||
차후르인 | 타트인 | 노가이인 | 캅카스 독일인 | 우비흐인 | ||
라즈인 | 아자르인 | 우디인 | 체즈인 | 히날루그인 | ||
바츠인 | 안디인 | 부두흐인 | 크리츠인 | 아르치인 | ||
제크인 | 훈지브인 | 히누흐인 | 베즈타인 | 흐와르시인 | ||
메그렐인 | 스반인 | 인길로이인 | 투르크멘인 | 흑해 그리스인 | ||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인 | 카자크 | 아바자인 | 샵수그인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1. 개요
탈리시인은 인도유럽어족 북서이란어파 타트어군 계열의 탈리시어를 쓰는 이란계 민족으로 아제르바이잔과 이란 접경 카스피해에 주로 거주한다. 이란 내 43~60만여 명 정도가 거주하며 아제르바이잔 내 거주 인구는 아제리인과의 통혼과 동화 등의 이유로 제대로 집계되지는 않지만 최소 11만에서 최대 50만여 명 정도로 추산된다.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도 2천여 명 정도가 거주한다.이란인 및 아제르바이잔인들과 마찬가지로 시아 12이맘파 이슬람을 믿고 있으며, 자신들이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에 정복된 카스피해 서부에 카두시인의 후손이라는 구전 전승을 가지고 있다.
2. 역사
탈리시라는 명칭은 아랍 역사학자 앗 타바리(839~923)가 이들을 타일라산(Al Tailasan)이라 기록한데서 비롯되었다 한다. 앗 타바리에 의하면 당시 탈리시인들은 길란인과 흡사하며 아바스 칼리프에 복속하지 않은 상태로 척박한 고산 지대에서 독립적인 삶을 영위했다 한다.함달라 카즈바니(1281~1344)에 의하면 이들은 당시에도 아르다빌 일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라시드 앗 딘 팟줄라(1247~1318)도 카스피해 서부에 탈리시인들이 군락을 이루며 모여 산다는 기록을 남겼다.
이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시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확실한 것은 아제르바이잔에서 사파비 왕조가 발흥한 이후 이들도 쉬아 12이맘파로 개종했다는 사실이다. 사파비 왕조와 카자르 왕조는 이들이 가난하면서 반항적이라는 이유로 방치하는 편이었으며, 탈리시인들은 주로 캅카스 내 다른 민족들과 꾸준히 교류하면서 고유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켰다.
이란에서 이들이 사는 지역에 잠시 길란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이 들어섰으나 탈리시인을 비롯한 현지인들의 반발로 금세 해체되었다.
또한 아제르바이잔에서는 1993년 잠시 탈리시-무간 자치 공화국이 존재하였으나 한달만에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