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2:35

카라칼파크인

카라칼파크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이라크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

중앙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카자흐인 키르기스인 우즈베크인 카라칼파크인 투르크멘인
타지크인 아이마크인 파슈툰인 파미르인 칼라쉬인
하자라인 모골인 슈그니족 사리콜인 와키인
발루치인 브라후이족 위구르인 부하라 유대인 누리스탄인
야그노비인 구자르인 러시아인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고려인 파샤이인 독일인 아프가니스탄인 쿠르드족
중앙아시아 아랍인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바시키르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파일:Karakalpaki.jpg
카라칼파크인 유목민(1932)

1. 개요2. 역사3. 현황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ccc,#1f2023> 카라칼파크어 Qaraqalpaqlar
우즈베크어 Qoraqalpoqlar
카자흐어 Qaraqalpaqtar
러시아어 Каракалпа́ки
영어 Karakalpaks, Qaraqalpaqs }}}}}}}}}
카라칼파크인은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자치공화국 카라칼팍스탄에 주로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언어는 카라칼파크어를 사용한다. 종교는 대다수가 수니파( 하나피파) 이슬람을 믿으며 수피파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2. 역사

카라칼파크인은 고고학적 근거를 통해 15~16세기 후반의 카자흐인 소군단(카자흐어: Жүз / Jüz, 영어: Lesser Horde)과 가까웠던 시르다리야 강 튀르크 부족 연합체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외에도 약 11세기에 존재했던 카라칼파크 또는 초르니예 클로부키(러시아어: Чёрные Клобуки, 영어: Chorni Klobuky)[1]라 불린 튀르크 연맹을 그 기원으로 보고 있으나 이들이 카라칼파크인들과 명칭의 의미가 같다는 것 이외에는 고고학적, 역사적으로 어떠한 관계인지에 대해선 제대로 된 증거가 없는 상태이다.

3. 현황

공화국에 거주하는 카라칼파크인의 상황은 영 좋지 않은데 카라칼팍스탄의 환경, 경제 문제로 인해서 국경 넘어 카자흐스탄 등 외국에서 외화벌이를 하는 이주 노동자들이 많다.[2] 이들에 대한 정부의 관리는 방치에 가까울만큼 허술하다. 당국이 공식적으로 추산한 카자흐스탄 거주 카라칼파크인은 2009년 기준으로 2800명 수준이다.[3] 하지만 비공식 자료는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한 카라칼파크인은 최소 2만 또는 50,000명 에서 200,000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4][5] 사실 이런 이주 노동자들은 영구적인 이주를 목적으로하는 사람들도 있고 한철 장사처럼 따뜻한 계절에 일하러 카자흐스탄에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얼마나 되는 사람이 카라칼팍스탄을 떠났는지 추산하기 어렵다. 여기에 우즈베키스탄 당국이 자국민 이주 노동자 문제에 전혀 무관심한 것도 한 몫을 더하고 있다.

카자흐인, 키르기스인과 매우 가까운 관계지만 이들에 비하면 백인 외형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 편이다.


[1] 러시아어로 '검은 모자들'이라는 뜻이며, 당시 키예프 루스 용병에 속해있기도 했다. [2] 이는 카라칼팍 자치공화국 뿐 아니라 우즈베키스탄 전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우즈베키스탄보다 경제상황이 양호한 러시아나 카자흐스탄으로 따뜻한 계절에 돈벌러 떠나는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이 많다. 상당수는 '비합법적인 경로'로 일하기 때문에 공식 통계에 잘 잡히지 않지만 보통 이주 노동자의 수는 100만에서 300만 또는 200만에서 무려 800만까지 추산하기도 한다. [3] 최성규(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카자흐스탄 카라칼팍 민족 디아스포라의 선교적 의미와 사역 방향(복음과 선교 제46집), 333pp [4] 이채문(경북대학교), 아랄해의 환경문제와 고려인의 이주․정착 및 지역성 변화:우즈베키스탄 카라칼팍스탄 공화국의 사례를 중심으로(한국동북아논총 제70호, 2014년), 209pp [5] Retreating Aral Sea displaces Karakalpak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3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