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23:19:55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0년대 이스라엘- 시아파 갈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발단: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colbgcolor=#009000><colcolor=#FFF> 對이란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對헤즈볼라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2024년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테러 · 북쪽 화살 작전 · 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對후티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Operation Prosperity Guardian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여파 및 홍해 위기의 일부
기간
2023년 12월 18일[1] ~ 현재
장소
홍해 전 지역
원인
후티의 민간 선박 다수 공격
교전 국가 및 세력

[[예멘|]][[틀:국기|]][[틀:국기|]] ( 최고정치위원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영국|]][[틀:국기|]][[틀:국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호주|]][[틀:국기|]][[틀:국기|]]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바레인|]][[틀:국기|]][[틀:국기|]]

[[그리스|]][[틀:국기|]][[틀:국기|]]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

[[스리랑카|]][[틀:국기|]][[틀:국기|]]
지원 국가 및 세력

[[이란|]][[틀:국기|]][[틀:국기|]]

[[세이셸|]][[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유럽연합|]][[틀:국기|]][[틀:국기|]]
피해
최소 16명 사망
보트 3대 격침
수도 사나를 포함한 군사시설 및 민간인 거주지역
4명 사망
FA-18 1기
MQ-9 10여기 이상

1. 개요2. 교전3. 영향
3.1. 미국 및 서방3.2. 중동
3.2.1. 사우디아라비아3.2.2. 이집트3.2.3. 이란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3년 10월에 알아크사 홍수 작전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스라엘이 예비군을 소집하여 전열을 재정비한 후 가자 지구에 대대적으로 철검작전을 시행하고 있었다. 서방은 하마스 박멸은 찬성하되 가자 통치는 불허하는 상황에서 후티[2][3]가 이스라엘에 전쟁을 선포하며 홍해상에서 이스라엘 국적 선박은 물론 친이스라엘 성향 국적의 선박을 나포하겠다고 선포했다.[4]

이에 첫 제물로 외국산 자동차를 실은 일본 국적 화물선박이 후티에게 나포되었고 이후에도 1세계권 선박들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지면서 이로 인해 수에즈 운하를 통한 홍해 이용률이 급감하였고 웬만한 선박들이 다시 희망봉을 돌아가야 하는 바람에 늘어난 9,000km분의 해운료는 각 국가의 물가상승으로 이어졌다.

이에 미국은 후티의 납치를 막고 항로를 정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미영 해군을 주축으로 캐나다, 네덜란드[5], 스페인[6]이 합류 선언을 했고 이 외에도 한국[7]을 포함한 서방국가에게도 합류를 제안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후티 반군의 피랍을 막고 군함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는 군사작전이다.

다만 NATO나 EU의 정식 결정이 아니라서 자발적으로 참가하려는 유럽 국가들도 적고 무엇보다도 이 작전 중에 후티의 해상봉쇄는 여전해서[8][9] 희망봉으로 가거나 홍해 운항중지 등은 현재 진행 중이라 이 작전의 실효성에 대해 별로 좋은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다. 이후 EU에서는 본 작전과 별개의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을 개시했다.

후티의 공격, 미국의 공습이 서로 반복되는 와중에 홍해를 이용하는 선박의 물동량은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

2024년 연합 함대 측은 장기간의 작전에 따른 피로와 소모되는 비용 그리고 후티의 여전한 해상 봉쇄로 사실상 작전 실패라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10] 결국 홍해에 면한 주요 이스라엘 항구인 에일라트항이 후티반군의 봉쇄에 따른 영향으로 결국 같은 해 7월 파산 신청을 하는 등,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11]

2. 교전

2.1.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이후

덴마크 국적의 세계 2위 해운회사 MAERSK 항저우호 공격 사건 이후 다시 홍해 통행을 중단하며 희망봉을 통해 돌아가는 것으로 선회하면서 운임료를 상승시켰다. 이후 미국은 후티에 다시 한 번 경고를 날리며 날을 세웠는데 경고를 던진 날 후티의 후원국이자 뒷배 역할을 하는 나라인 이란의 해군 소속 구축함 한 척이 홍해에 진입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한국 시간 1월 5일 후티는 미 해군에 고속보트 3척을 침몰당한 후 무인 자폭 고속정을 홍해에서 미 해군과 상선이 뒤섞인 곳에 보내 공격을 시도하였다. 다행히 피해는 없었지만 제대로 극대노한 미국은 '불법공격 즉각 중단 및 피랍한 선박과 선원 석방'을 요구하였고 바이든 행정부는 "이 성명이 최후 경고"라며 최후통첩을 날렸다.

2.3. 2024년 예멘 공습

결국 미국과 영국은 예멘을 보복 공격하기 시작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예멘 공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2024년 예멘 공습 이후

미국과 영국의 대대적인 예멘 공습이 벌어진 이후 정식 정부인 대통령지도위원회는 지지 메시지를 보내는 한편 후티측은 미영의 공격에 더더욱 분노를 표출하며 홍해 봉쇄를 지속하며 서방 국가의 무역선은 물론 미 해군 함정을 향한 지속적인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한편 유럽연합은 번영의 수호자 작전과 별개의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 개시 단계에 들어가면서 유럽의 군함들이 홍해로 다수 파견되기 시작했다. 이러자 후티 측은 해도를 올리며 또 다른 공격을 암시를 하고 있다. 문제는 이 해도에 그려진 선들이 현재 글로벌 인터넷을 연결하는 해저 인터넷 케이블망 선이라는 것이다. 무려 세계의 17%에 가까운 트래픽이 오가는 해저선인데 이를 끊을 시 전 세계에 트래픽 문제는 물론 인터넷 장애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이란의 지원을 받아도 후티의 장비로는 끊지 못 하니까 그냥 블러핑이라는 예측도 강하지만, 후티가 진짜로 끊는 순간 엄청난 대혼란이 야기될 전망이다.

3월 6일 소식으로, 결국 후티가 해저 케이블을 절단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조사된 바로 해저 케이블은 이미 전달인 2월 24일 절단된 것으로 보이지만, 절단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밝혀진 바가 없다. 이로 인해 홍해를 지나는 인터넷 통신량의 25%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한다. 후티 측에서는 이 절단 사건이 본인들에 의한 것이 아니고 미영 군사작전으로 인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 해군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후티 측 대함 순항미사일이 겨우 1마일(1.6Km)까지 접근하여 펠렁스를 비롯한 대공무기들이 동원되어 위기를 모면할 정도로 긴장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3. 영향

3.1. 미국 및 서방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팔레스타인 지지를 선언한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을 지지 및 지원한다고 후티측이 판단한 국적의 선박들을 공격하거나 피랍하여 수에즈가 사실상 마비되어[12] 9000km나 되는 희망봉 우회 경로를 통해 해운료가 급상승해 물가에도 치명적이니 당연히 곱게 보일리가 없다.

그 결과 이 작전에 미국과 영국 외에도 캐나다, 싱가포르 등 물론 여러 서방 국가가 참여를 약속했고 아프리카 섬나라 세이셸도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다만 이후 진행을 보면 프랑스는 유럽주의자 마크롱이 AUKUS 사건 이후로 미국과 영국 주도를 거부하는 중이라 독자 작전을 하겠다며 번영 수호 작전에 불참, 호주는 외부 위협 때문에 함선 파견을 거부[13]하며 소수의 무관 파견에 그쳤고, 스페인은 EU나 NATO의 결정이 아니라며 참가를 확약하지 않았다며 정정했고, 네덜란드 또한 NATO의 정식 결정이 아니기에 10여 명 정도의 무관 파견에 그쳤다. 그나마 덴마크는 자국 기업인 머스크 해운이 피해를 입어 군함을 보냈고, 영국도 함선을 파견해 참가했다.

2024년 1월 말부터 EU 주도 홍해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이 준비되면서 상당수 유럽 국가들은 번영의 수호자 작전이 아닌 이쪽에 전력을 투입하려하고 있다.

미군 3명이 사망하는 일이 일어났음에도 공습만 할 뿐, 본격적인 지상전을 할 예정이 전혀 없기에 후티는 계속해서 상선을 공격중에 있다. 미국 입장에서도 지상전을 벌이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주 잘 알기 때문에 함부로 지상전은 시작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예멘 공습 이후 한국은 이번 조치에 대한 지지를 표하였고 공식적인 참여는 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현재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하며 파견된 청해부대가 속한 함선은 후티 반군의 자폭 드론이나 자폭 무인 고속보트에 대응할 수단이 없어서 참여할 방도가 없다.

세계 1위 크루즈 운영사인 카니발 코퍼레이션은 후티 반군의 무장 행위로 인해 2024년 5월에 예정되어 있던 12척의 크루즈 운행에 있어 홍해를 배제하고 일정을 조정시켰다. 이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미국과 서방이 원하는 완전한 항행의 자유는 후티 반군이 지상전에 의해 완전히 소탕되지 않는 한 불가능한 상황인데, 이미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개입, 대IS 군사 개입 등 20여년에 거친 중동 개입에 지칠대로 지친 서방이 지상군을 투입할 여력이 없다.

3.2. 중동

대체로 하마스를 비난, 이스라엘을 지지 및 지원하는 미국 주도의 홍해 해안 치안유지 작전을 지지하기에는 좀 그렇다는 반응이 많아서 후티를 향해 불쾌함을 표하기만 할 뿐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고 중동 지역에서는 바레인이 공식 참가했다.

3.2.1. 사우디아라비아

허구한날 후티에게 처참히 패배한 탓에 악연이긴 하지만, 6년 뒤 개최할 리야드 엑스포를 대비해야하고 중국과 협약을 맺은 대로 도시 개발을 비롯한 내부 문제도 해결하는등 내정에 전력을 다하는 중이라 외부의 일에 대해선 대체로 관망으로 일관하고 있다.[14]

3.2.2. 이집트

어쩌다보니 본 사태의 최대 피해국이 되었다. 이집트 해군이 중동에서 가장 강한 해상전력을 가진 나라라곤 하지만, 친미를 주장하자니 반미감정이 들끓는 국내 민심과 주변국의 시선이 문제고, 반미를 주장하자니 관광산업과 수에즈 운하 통행료가 외화벌이의 대다수인 이집트 입장에서 주요 고객인 서방쪽 회사와 고객들의 발길이 끊겨버리니 국가 재정에 치명적이다.

결국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애써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지만,[15] 그런만큼 서방쪽 해운사들이 수에즈를 통하지 않고 희망봉쪽 우회를 가느라 여러모로 손해를 보고 있다.

3.2.3. 이란

후티의 홍해 봉쇄를 지지하였다. 이후 주적인 미국과 영국이 번영수호자 작전 시행 및 다국적군 창설을 선포하자 오히려 미국, 영국과 이에 합류한 국가들을 향해 강력한 비난을 하며 후티를 지지하는 중이다.

4.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파일:영국 국장.svg 영국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대북방전쟁
,1700 ~ 1721,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베틴).svg.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7년 전쟁
,1754 ~ 1763,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1775 ~ 1782,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미국 독립전쟁기.svg 미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제국
제2차 영국-마라타 전쟁
,1803 ~ 1805,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1817 ~ 1818,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39 ~ 1842,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제1차 아편전쟁
,1840 ~ 184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시크 전쟁
,1845 ~ 1849,
파일:시크 왕국 국기.png 시크 왕국
크림 전쟁
,1853 ~ 185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페르시아 전쟁
,1856 ~ 1857,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852~1906).svg 이란 숭고국
세포이 항쟁
,1857 ~ 1858,
파일:영국 동인도 회사 깃발(1801-1858).svg 세포이 반란군 파일:무굴 제국.png 무굴 제국
사쓰에이 전쟁
,1863 ~ 1864,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쓰마 번
시모노세키 전쟁
,1863,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 ~ 1880,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줄루 전쟁
,1879,
파일:Conjectural_flag_of_Zululand_(1884-1897)_by_Roberto_Breschi_taken_from_The_South_African_Flag_Book_by_A.P.Burgers.png 줄루 왕국
제1차 보어 전쟁
,1880 ~ 1881,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마흐디 전쟁
,1881 ~ 189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영국-이집트 전쟁
,1882,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 아라바 파샤 반란군
영국-잔지바르 전쟁
,1896,
파일:잔지바르 술탄국 국기.svg 잔지바르 술탄국
파쇼다 사건
,189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티베트 침공
,1903 ~ 1904,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아일랜드 독립전쟁
,1919 ~ 19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국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19,
파일:Flag_of_Afghanistan_(1919–1921).sv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012169> 서부 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영국-이라크 전쟁
,1941,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페르시아 침공
,1941,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제1차 대구전쟁
,1958 ~ 1961,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아덴 비상사태
,1963 ~ 1967,
파일:남예멘 민족해방전선.png NLF 파일:남예멘 국기.svg FLOSY
베트남 전쟁
,1964 ~ 1975,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제2차 대구전쟁
,1972 ~ 1973,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제3차 대구전쟁
,1975 ~ 1976,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포클랜드 전쟁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시에라리온 내전
,2000 ~ 2002,
파일:Sl_RUF.png RU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캐나다 국장.svg 캐나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da291c;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f> 마흐디 전쟁
,1881 ~ 1889,
<colbgcolor=#fff,#19191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4,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호주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 [[극동 공화국|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뉴질랜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네덜란드 국장.svg 네덜란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9900>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1601 ~ 1661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640-1667).svg.png 포르투갈 왕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9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79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벨기에 혁명기(1830).svg 벨기에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국민의 왕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colbgcolor=#ff9900> 서부전선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트리코라 작전
1961 ~ 196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소련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노르웨이 국장.svg 노르웨이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 교전국
<colbgcolor=#00205b> 스웨덴-노르웨이 전쟁
,1814,
<colbgcolor=#fff,#191919>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노르웨이 침공
,1940,
콩고 위기
,1960 ~ 1964,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코소보 전쟁
,1998 ~ 1999,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5,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그리스 국장.svg 그리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D5EAF> 그리스 독립 전쟁
,1821 ~ 1829,
<colbgcolor=#fff,#191919>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그리스-오스만 전쟁
,1897,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발칸 전쟁
,1912 ~ 1913,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발칸 전쟁
,191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그리스 침공
,1940 ~ 1941,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키프로스 전쟁
,197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1] 미국 정부가 선포한 시점 [2] 말이 반군이지 수도 사나를 비롯해 교역량 많은 대도시를 대거 점령한 상태고 공식 예멘정부인 대통령지도위원회 정부는 아랍권의 지지와 미국의 지원으로 버티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란을 제외한 사실상 모든 국가가 대통령지도위원회 정부를 합법정부로 인정하고 있고 후티는 인정하지 않기에 반군세력으로 분류된다. [3] 참고로 대통령지도위원회는 ' 북예멘'이라고 할 수 없는 게, 대통령지도위원회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주 근거지가 구 남예멘 동부 하드라마우트 일부 지역이고, 정작 구 북예멘의 알짜 지역을 지배하고 있는 세력은 후티다. [4] 실상은 중립국 스위스 선박도, 하마스를 규탄한 일본 선박도, 이란행 선박도 공격하였다. [5] 장교 10여명 파견. [6] 정작 스페인은 본인들과의 협의없이 한 미국의 독자 발표라고 주장하며 EU나 NATO 차원의 참가결정이 있을 때에만 동참하겠다고 했다. [7] 실현되지 않음 [8] 다만 후티 측이 이스라엘과 관련 없는 제3국의 선박 통과는 허용했기 때문에 여전히 중국 국적이나 러시아 국적 등 홍해를 운항 중인 선박들이 어느 정도 있다. [9] 미,영의 공습 이후로는 미국과 영국 선박이 주로 후티반군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10] 적 본거지에 대한 지상전을 뺀 승리는 불가능하다는 것은 베트남전에서도 이미 입증되었기도 하다. [11] 봉쇄전 14만대 가량의 차량을 하역해 내륙으로 보내던 항구가 봉쇄후 0 대로 줄어둘 정도로 타격이 컸다. [12] 선박 운항이 절반정도 줄어들었으나 시간 비용 문제로 중-소규모 운송사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여전히 통과중이다 [13] 호주 해군은 일단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을 견제하는 최전방 군대이고 프랑스와 미국, 영국의 사이가 완전히 갈라진 AUKUS 체결 의의도 호주 해군에게 핵잠수함을 도입시켜서 중국 해군의 압박을 위함이었다. 게다가 중국이 솔로몬 제도와 군사기지 설치를 합의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자 친미 정부가 들어선 필리핀과 연계하여 남중국해 동시 순찰을 하는 등 해군을 보낼 여력이 없다. [14] 실제로 이런 이유로 예멘 내전에서도 발을 빼고 있다. [15] 그나마 공식적으로 발언한게 수에즈 운하 관리국 명의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는 성명을 내며 후티에게 경고를 보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