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10:51:53

민진원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제304대

이병모
제305대

심환지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제337대

이병모
제338대

심환지
제339대

이시수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민진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노론
老論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인
숙종
(1674 ~ 1720)
산당 한당
송시열 김수흥 민정중 김수항 김육
민유중 김만기 이세백 김만중 김우명
권상하 이여 이이명 민진원 김석주
경종
(1720 ~ 1724)
김창집 민진원 이건명 이이명 정호
조태채 김용택 윤지술
영조
(1724 ~ 1776)
준론 완론
낙당 화당 탕평론
정호 민진원 이병상 정언섭 홍치중
이관명 조관빈 이의현 원경하 홍계희
반탕평론 의리탕평론 조제탕평론
남당 동당 중당 북당
김상로 이천보 유척기 정휘량 홍봉한
홍계희 원경하 신만 홍인한
공홍론
남당, 청명당
양척론
동당, 중당
부홍론
북당
김상로 김귀주 유척기 정휘량 홍봉한
김치인 김종수 송명흠 김상복 홍인한
정조 - 순조 초기
(1776 ~ 1806)
벽파
(청명당)
북학파 시파
( 탕평당)
김종수 심환지 홍대용 서매수 한용구
김귀주 김관주 박지원 남공철 정민시
서용보 김달순 김조순 이조원
순조 초기 - 철종
(1807 ~ 1851)
반척신파
(청명당)
척신파
( 안동 김씨)
김노경 김정희 김조순 김유근 김좌근
조인영 권돈인 김홍근 김흥근 정원용
이지연 김로 김병국 김병학 홍직필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문충공(文忠公)
민진원
閔鎭遠
출생 1665년 2월 5일
(음력 1664년, 현종 5년 12월 21일)
사망 1736년 12월 28일 (향년 71세)
(음력 영조 12년 11월 27일)
시호 문충(文忠)
본관 여흥 민씨
성유(聖猷)
붕당 노론
부모 부친 -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
모친 - 은성부부인(恩城府夫人) 은진 송씨
형제자매 5남 7녀 중 차남
부인 파평 윤씨
자녀 장남 - 민창수(閔昌洙)
차남 - 민형수(閔亨洙)
3남 - 민통수(閔通洙)
장녀 - 덕수 이씨 이주진(李周鎭)의 처

1. 개요2. 생애3. 의외의 모습4. 여담5. 가족 관계6.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문관 관료.

민유중의 차남이자 인현왕후의 작은 오빠이며, 노론계의 최고 영수. 숙종의 작은 처남이다. 동춘당 송준길의 외손자.

2. 생애

훗날 노론 중에서도 최고 강경파가 되어 삼수의 옥으로 사대신이 모두 처형되어 무주공산이 된 노론의 수장 자리를 차지한다. 한때 여동생이 폐위된 것과 집안이 몰락한 것 때문에 남인에 대한 원한과 그 남인을 두둔해준 소론에게 한이 맺혔는지,[1] 영조 초반까지 매우 정력적으로 활동하며 소론과 개싸움을(...) 벌인다. 영조는 민진원을 불러 소론의 수장 이광좌와 손까지 잡게 하게 하며 화해를 중재했으나, 민진원은 영조의 간곡한 부탁을 그냥 씹었다.(...)[2] 결국 영조도 설득에 실패했고 영조 12년에 역시나 노론 강경파이자 공동 수장이었던 정호와 같이 세상을 떠났다. # 형인 민진후보다도 성향이 아주 비타협적이었다.

그의 세 아들인 민창수, 민형수, 민통수 역시 아버지의 성향을 이어받아 탕평에 적대적이었고, 아버지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이광좌를 공격했다 민형수가 삭출당한 후 함경관찰사로 내몰린지 얼마 안가 죽자 민창수가 아우의 상소는 자신이 같이 쓴 것이라며 죄를 청했고, 결국 그 역시 국문당한 후 유배된다.[3] 민통수의 경우 나름 관직에 진출해 높은 지위에 오르기는 했으나 탕평에 적대적이라 판서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못했다.

그의 가문은 후에 영조 중기 이후 홍봉한 등이 주도한 척신 정치에 참여했고, 심지어 정조를 끌어내리려는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된 사람도 두명이나 있었다.

3. 의외의 모습

민진원은 말년의 비타협적인 모습 때문에 노론의 최고 강경파로 이미지가 박혀 있으나, 1705년 장희빈을 옹호하다 유배를 간 전 영의정 남구만의 형을 감해달라고 직접 상소를 올린 적도 있다.[4]

아울러 1703년 40세 때 전라도 관찰사를 지내면서 서원 건립 경쟁으로 당파 싸움이 격렬해지는 것을 막으려, 서원 건립을 억제하자고 장계를 올린 적도 있었는데 의외로 당파의 대립에 문제 의식을 갖고 있던 면도 있었다.

1706년 43세 때 강화부 유수로서 서울 해상 방위를 책임지던 당시에는 섬과 섬을 이어 간척 사업을 벌여 성공시키고 농민들에게 무상으로 분배했다. 강화부에 내성을 쌓고 남문과 서문을 신축하며 강화의 청년들을 모아 책을 읽혔다.[5] 실학자가 할만한 일을 노론의 정치가가 해낸 셈. 나라를 다스리는 경륜에도 밝았다.

아울러 1712년의 사은부사, 1718년 주청사로 청나라에 다녀오는 외교관이었다.

경종 즉위 후에는 연잉군을 왕세제로 삼도록 경종을 직접 압박한다. 게다가 경종은 효심이 없으며 군주로서 자질이 부족하다고 공공연하게 디스를 했다. 이 때문에 1722년 경북 성주로 유배를 떠난다. 목숨 부지한걸 다행으로 여겨야[6]

영조가 즉위한 후 영조가 소론을 축출하고 노론 4대신을 복권시킬때 민진원도 다시 돌아와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지만 소론에 대한 지나친 보복을 고집하자 1727년 정미환국 때 다시 파직되었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난 직후, 정계에 복귀하여 65세 때 난이 진압되고 나서는 난에 참여하지 않았던 남인들을 용서하는 일에 극렬 반대하고 소론을 끝까지 배격하는데 앞장서게 된다. 물론 당시 조선의 풍토로는 일종의 연좌제때문에 난에 참여를 안 해도 이인좌나 김일경의 같은 당여로 보았기 때문이며[7], 이미 난을 일으킨 전례가 있어 잠정적 역적 취급을 했다는 것이다. 민진원의 이런 예측은 틀리지 않아 훗날 민진원이 죽고 소론 계열 잔당, 자제들이 주축이 돼 일으킨 나주 괘서 사건으로 남은 소론의 세력들이 싸그리 갈리고, 이미 죽은 조태구 이광좌의 관작이 추탈되고 덩달아 역신 취급을 받게 된다.

4. 여담

5. 가족 관계

6. 대중매체


[1] 인현왕후는 죽기 전에 민진원과 민진후에게 이런 말을 남겼다. 원래 궁중의 법도에 따르면 후궁에 속한 궁녀들이 내전에 드나들 수가 없는데, 장희빈의 궁녀들이 내전을 수시로 출입하고 창에 구멍을 내서 동태를 엿보는 등의 잘못을 많이 했다. 인현왕후 입장에서는 돌아가는 상황이 한심했지만 어쩔 수가 없었고, 지금 이렇게 몸이 아프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반드시 빌미가 있다'고 하는데 자신도 의심스럽다고 말했다는 것. 즉 인현왕후가 지내는 처소에 장희빈의 궁녀들이 다녀갔고, 자신의 병이 혹시 장희빈이 술수를 부린 게 아닌지 사람들이 말하는데 그런 말이 진짜같다는 소리다. 인현왕후가 한 말을 다르게 해석하면 인현왕후가 궁궐 안에서 입지가 얼마나 좁았는지 알 수 있다. 후궁을 모시는 궁녀가 왕비가 머무르는 처소 창문에 구멍까지 내면서 염탐하는 게 다른 시절 같으면 허용될 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말을 들은 민진원의 기분이 얼마나 참담할지, 그리고 장희빈에 대한 인현왕후의 감정이 어땠을지도 충분히 알 수 있다. [2] 그런데 사실 욕쟁이인 영조도 민진원을 그냥 귀양보내버리기도 힘들었을 것이다. 민진원의 여동생인 인현왕후가 자신의 생모인 숙빈 최씨와 어린 시절 자신을 잘 대해준 것도 있기 때문에... [3] 다만 2년만에 아버지의 산소를 돌보라는 이유로 유배에서 풀려나긴 한다. [4] 다만 남구만이 자기 외할아버지인 송준길의 제자였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남구만도 인현왕후 친척이자 자기 숙부였던 민정중과 인척이었다는 것도 감안을 해야 한다. [5] 이 모든 것들은 사실 조선시대 지방관들이 해야할 당연한 업무였다. 강화부는 고종시기에 2차례 양요가 일어났던 만큼 바다에서 한성으로 가는 길목이자 방책이였으며, 간척지 무상 분배는 자영농 육성으로 국가재정 확충을 위한 것이였고, 교육은 모든 목민관들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 중 하나였다.(해상 방위는 지역의 위치때문이니 제외하고, 간척지를 무상 분배했다는 것은 그가 비교적 청렴했던 인물임을 알려준다.<여동생이 그 유명한 인현왕후이고, 백부가 좌상 민정중으로 생전에 서인의 중진으로 명망이 높았다.(숙종의 母后 명성왕후는 대동법으로 유명한 김육<서인 한당>의 손녀였고, 숙종의 1번째 부인은 송시열의 스승 사계 김장생<서인 산당>의 고손녀였다.참고로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을 쓴 김만중이 김장생의 증손자다> 인현왕후는 바로 김장생의 고손녀의 뒤를 이어서 숙종의 부인이 되었다.) [6] 실제로 훗날 홍인한과 정후겸은 정조의 즉위를 막으려 했다가 제거당했고 김하재 역시 정조에 대한 욕을 담은 쪽지를 예방 승지에게 건네서 역률로 다스려져 죽었고, 윤구종은 경종에게 신하 노릇하기 싫었다고 하자 역시 국문을 받던 중 죽었다. 민진원은 정말 운이 좋았던 셈이다. [7] 즉 노론 입장에서는 준론 소론이나 완론 소론이나 거기서 거기였다. [8] 신흠(申欽)의 증손, 신익전(申翊全)의 손자, 신정(申晸)의 아들, 숭선군의 처조카 [9] 완남부원군 충정공 이후원(完南府院君 忠貞公 李厚源)의 손자, 이선(李選)의 아들, 김석주(金錫冑)의 처조카 [10] 김광찬(金光燦)의 외손자 [11] 민영휘의 아들과는 동명이인 [12] 영풍부원군 홍봉한(永豐府院君 洪鳳漢)의 차남 [13] 정조실록 8권, 정조 3년 8월 15일 병인 1번째기사 1779년https://sillok.history.go.kr/id/kva_10308015_001 [14] 김광찬(金光燦)의 외손자 [15] 인현왕후의 친정직계는 조카대에 유독 딸이 귀하였는데 폐비시절 왕후가 거두었다는 조카딸이 이주진의 처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