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1:01:53

코마이누

고마이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홀로라이브 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키리누키 제작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코마이누(애니메이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사신 청룡 <colbgcolor=#b84a63> 주작 백호 <colbgcolor=#616264> 현무
오룡 {{{#!wiki style="margin: -16px -10px" 청룡 <colbgcolor=#b84a63> 적룡 황룡 백룡 흑룡 }}}
사령 응룡 봉황 기린 영귀
사흉 도철 궁기 도올 혼돈
그 외
<colbgcolor=#fff,#000> 용생구자 · 이무기 · 강철이 · 촉룡 · 계룡 · 교룡
인면조 · 짐조 · 비익조 · 삼족오 · 삼두일족응 · · 상양 · 청조 · 선학 · 앵무 · 가릉빈가
수생
삼족섬 · 인어 · 목어 · 비목어 · 저파룡
기타
달두꺼비 · 뇌수 · 해태 · 구미호 · · 불가사리 · 백택 · 천구 · 텐구 · 옥토끼 · 예티 · 신구 · · 신록 · 추인 · 요정 · 시사 · · 코마이누
{{{#!wiki style="margin:-15px -10px;"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external/www.okeihan.net/komainu.jpg

코마이누상(왼쪽)과 사자상(오른쪽)을 비교하는 일본의 사진. 오른쪽 아래에 고려(高麗)에서 유래했다는 내용을 담은 서술이 보인다.

1. 개요2. 유래3. 이외의 더 다양한 사진4. 대중문화에서

1. 개요

[ruby(狛犬, ruby=こまいぬ)][1]

일본 대부분의 신사에 늘어서 있는 개와 유사한 형태의 동물 조각상.[2] 보통 수호견/수호수라는 의미에서 신사 주변에 배치해두거나 한다.[3]

한자가 달라졌지만 고(구)려(코마)에서 기원했다 하여 코마이누라는 이름이 붙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고마이누'이다.

일부 코마이누상에 뿔이 있는 점은 해태 원판과 유사하지만, 한국의 해태(해치)[4]의 모습과 비슷하다. 일본에서는 이런 한국의 해태를 지금도 '高麗犬(코마이누, 고려견)'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2. 유래

최초의 원형은 고대 서아시아 일대의 사자 조각 및 기원전 3세기경 인도 마우리아 왕조 아소카 대왕이 세운 돌기둥 꼭대기의 사자상이 당나라로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5] 이후 중국풍 사자상, 해태상과 한국( 고구려)의 사자 또는 해태상의 영향을 받고, 일본만의 특색이 가미된 것이 현재의 코마이누이다.

한국에서 일본, 그리고 오키나와로 전래되었고, 처음 조각상을 접한 당대 일본인들은 이를 고구려(' 코마')에서 넘어왔으니 코마이누라 부르게 되었다. 상술했듯이 한자 표기는 다른 걸 썼지만, 이는 현재까지 코마이누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다. 다른 이름으로는 '카라이누(韓犬)'로도 부른다.[6]

일본에서는 신사와 동시에 코마이누는 그 역사가 깊은데, 나라 시대 동안에는 코마이누 한 쌍은 항상 두 개의 사자로 구성되었다. 14세기까지 실내에서만 사용되었는데 주로 나무로 만들었다. 8세기 건립된 도지에서 나온 유물에 따르자면, 이미 당대부터 코마이누상과 사자상은 흡사하다.
파일:external/www.kyohaku.go.jp/koma01_l.jpg 파일:external/www.kyohaku.go.jp/koma02_l.jpg
코마이누상 사자상

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입을 벌린 것을 동물과 닮았기 때문에 아(阿)형, 입을 다문 것을 운(吽)형[7]이라고 불렀다.[8]

이때부터 명칭이 굳어져 코마이누(狛犬) 또는 '고구려 개'라고 불리게 되었고 점차 모습도 다양해지며 우스꽝스러운 모습부터 근육돼지 같은 야수의 모습이 되거나 때로는 머리에 단 하나의 뿔로 만들어질 만큼 변해갔지만, 동물의 외형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는 않았기에 공통적으로 풍성한 머리결이 조각상에 나타난다.

파일:external/www.greenshinto.com/IMG_0770.jpg
기묘한 포즈의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greenshinto.com/DSCN2508.jpg
마치 사자 같은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greenshinto.com/DSCN0621.jpg
굳센 모습의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greenshinto.com/DSCN0641.jpg
우습게 생긴 코마이누.

센고쿠 시대에서부터 각기 신사에 보편적으로 자리매김되었으나 주로 입구에서만 사용되었는데, 이는 해태와 비슷하게 삿된 것을 내쫓고 악한 것들로부터 건물을 지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코마이누는 관습적으로 문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일본의 습윤한 기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마이누는 점차 목재에서 석재로 새겨지기 시작한다.

에도 시대부터 사자 또는 개 대신에 야생동물, 호랑이, 용, 여우, 토끼 따위 동물상을 대신 사용하기도 하고, 개(코마이누)와 다른 동물상을 함께 설치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코마(狛)'를 앞에 붙이고 해당 동물상의 동물 명칭을 붙여 불렀다.[9] 신사에 안치된 신(神)에 따라 코마상의 종류와 모습도 다르다.

파일:external/img.photobucket.com/Fushimi-Inari-Shrine-04_zpshvpxktvv.jpg
교토 이나리 대사에 있는 코마이누 대신으로 세워진 여우상[10]

3. 이외의 더 다양한 사진

파일:external/www.greenshinto.com/P1010008-1024x768.jpg
효고현의 니시노미야(西宮神社) 신사의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japanvisitor.com/komainu-1.jpg
시마네현 야에야마 신사의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japanvisitor.com/komainu-3.jpg
이즈모 로쿠쇼 신사의 코마이누.

파일:external/www.japanvisitor.com/komainu-5.jpg
시코쿠의 코타히라 신사의 코마이누. 오카자키 양식이라고 하여 근대에 제작된 코마이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파일:external/www.yasaka-jinja.com/un.jpg
키타규슈 야사카 신사(八坂神社)의 코마이누.

4. 대중문화에서



[1] 한국어 한자 독음으로는 "박견"이라 읽는다. [2] 아래의 유래를 보면 알겠지만 '개' 라고 칭해지면서도 개보다는 해태를 더 많이 닮은 듯한 모습이 눈에 띈다. [3] 정작 이름을 직역하면 고(구)려(에서 온)개라는 뜻이 된다. 다만 이 용래로 쓰이기보단 보통 문이나 신사의 수호견이라는 의미로 통용된다. [4] 한국의 해태, 특히 조선왕실에서 쓰인 해태에 이 없는 이유는 당시 제후국으로 있던 조선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태 문서를 참조. [5] 실크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변형된 사자상은 독특한 개성을 얻게 되었고, 이것이 중국에 도착하여 후대 해태의 형태 정립에 영향을 미쳤다. [6] 카라(韓)는 원래 가야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고대 일본은 가야와 교역을 가장 많이 했기 때문에 카라는 한반도의 물산은 물론이고 그냥 외국 물산 자체의 대명사가 되기도 했다. 예를 들자면 중국에서 왔던 물산을 표기하던 경우에도 한자로는 唐(당)이라 써놓고 훈독으로는 카라라 읽었다. [7] 吽자를 한국식 한자음으로는 '훔', 일본식 독음으로는 '운'이라고 읽는다. [8] 산스크리트어의 첫 글자가 아, 마지막 글자가 '훔'이라고 한다. 신비적으로 해석하여 각각 우주의 시작과 끝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래서 불교 영향을 받은 종교상에서 입을 벌린 것을 아, 닫은 것을 훔이라고 부르며 한 쌍으로 배치한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 석굴암의 금강역사상도 입을 벌린 것과 닫은 것이 있어서 각각을 아 금강역사, 훔 금강역사라고 구분한다. [9] 코마도라(狛虎: 호랑이), 코마기츠네(狛狐: 여우)라고 부르는 식이다. [10] 이나리신-여우처럼 어느 특정 신의 권속이나 사자(使者)로 여겨지는 동물을 신시(神使, しんし)라고 부르는데, 해당 신령의 신사에 코마이누 대신 이런 신시의 석상이 있는 경우가 있다. 다른 예시로 사이타마현 지치부시의 신사들에서는 코마이누 대신 늑대를 신시로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