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화명역(도시철도) 문서 참고하십시오.
화명역 | ||
서울 방면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
물 금 ← 9.4 ㎞ |
구 포 3.4 ㎞ → |
|
경전선 무궁화호 |
||
목포 방면 | 부전 방면 | |
동대구 출발
삼랑진 27.7 ㎞ → |
부산 방면
구 포 3.4 ㎞ → |
|
2호선 도시철도로 갈아타기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화명 Hwamyeong 華明 / 华明 / [ruby(華明, ruby=ファミ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북구 학사로 135 (화명동)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 구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부선 | 1999년 3월 10일 | |
무궁화호 | 2004년 4월 1일 | |
2024년 5월 1일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물 금 ← 9.4 ㎞ |
경부선 화 명 |
부산 방면
구 포 3.4 ㎞ → |
현 역사(1999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동체 공간
화명역은 1997년에 역사가 착공되어 1999년 3월 10일 신호장으로 영업을 개시, 2004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경부선 개통 당시에는 없었던 역으로 혼잡한 구포역의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넓고 긴 승강장이 있는 대규모 선상 역사로 설계 되었다. 역사 개통 초기에는 수요가 거의 없었지만 2004년 고속철도 개통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역사의 빈 공간을 활용한 오픈 스튜디오와 청년 창업가를 위한 공간 등으로 꾸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역사를 준비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화명역은 1997년에 역사가 착공되어 1999년 3월 10일 신호장으로 영업을 개시, 2004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경부선 개통 당시에는 없었던 역으로 혼잡한 구포역의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넓고 긴 승강장이 있는 대규모 선상 역사로 설계 되었다. 역사 개통 초기에는 수요가 거의 없었지만 2004년 고속철도 개통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역사의 빈 공간을 활용한 오픈 스튜디오와 청년 창업가를 위한 공간 등으로 꾸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역사를 준비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 부산광역시 북구 학사로 135 ( 화명동) 소재.
신호관제는 구포역에서 담당하고 있다.
2. 역 정보
경부선 하행 방면 부산광역시의 첫 번째 역이다. 본래 경부선은 이쪽으로 지나가지 않았지만 1990년대 화명동 일대가 화명 신시가지로 개발되면서 선로가 이쪽으로 이설되고 역이 신설되었다. 신호장으로 개업했다가 2003년 7월 통일호를 시작으로 여객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고 2004년 4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무궁화호 선택정차역 치고는 역사 규모가 대단히 크고 아름다운데 원래는 KTX 개통과 함께 낙후된 구포역의 기능을 일부 이 역으로 이전할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구포역 일대 주민들의 반대와 더불어 화명동 안쪽을 지나가지 못하고 낙동강변을 따라 스쳐 지나가는 특성상[1] 철도청에서는 일단 상황을 보고 결정한다는 반응을 보이다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2]
화명 신시가지가 점점 개발되며 여객영업 개시 후 이용객이 급증하자 2004년 12월 15일부터는 새마을호도 정차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이 역과 구포역에 모두 정차하는 새마을호도 있었고 아예 구포역을 통과하고 이 역에만 정차하는 새마을호도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2010년 11월부터 경부선 새마을호가 대령 감편되며 더이상 이 역에 정차하는 새마을호는 없다.
현재는 무궁화호가 일 왕복 10회 남짓 정차하고 경부선 누리로도 하행 1회 정차하는데, 시간표만 잘 맞춘다면 밀양, 대구로 가거나 부산 내에서 이동할 때 매우 유용하다. 특히 하행을 타면 부산역이나 부전역까지 20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고 중간 정차역도 구포역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화명동에서 부산역 주변 구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자주 이용한다. 지하철 화명역에서 부산역까지 50분 걸리는 걸 생각하면 천원 더 주고 30분을 아낄 수 있는 셈이다. 게다가 정기권을 이용하면 반값이 되어 오히려 지하철보다 싸진다!
2018년 9월 화명동과 금정구 장전동을 잇는 산성터널이 개통하며 금정구 쪽에서도 차타고 10분이면 이 역으로 올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금정구에는 버스터미널이 있지만 버스가 바로 가지 않는 곳을 가거나 무궁화호 타고 가고 싶을 땐 유용하다.
2017년 8월경 역사 오른편에 주차장이 완공되었다. 무인 주차장으로 신용(체크)카드나 교통카드 등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이용객수, 정차편수에 비해 역사가 매우 깔끔하고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는 편이며, 역무원도 배치되어있다. 다만 이용객이 적은 만큼 2층 대합실의 음료자판기를 제외한 상업시설은 없으며, 주요 역에 걸려있는 도착안내 전광판도 없다. 대신 2층 대합실에 청년 스타트업을 위한 사무공간이 마련되어있다.
3. 연계 교통
- 경부선 화명역·고용복지센터(정류장 번호: 08-222/08-223)
- 부산 버스 300 - 구포시장행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160명 | |
2005년 | 280명 | |
2006년 | 253명 | |
2007년 | 262명 | |
2008년 | 269명 | |
2009년 | 264명 | |
2010년 | 269명 | |
2011년 | 331명 | |
2012년 | 321명 | |
2013년 | 391명 | |
2014년 | 402명 | |
2015년 | 384명 | |
2016년 | 367명 | |
2017년 | 409명 | |
2018년 | 399명 | |
2019년 | 414명 | |
2020년 | 278명 | |
2021년 | 337명 | |
2022년 | 387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화명동 일대는 부산광역시 북구 지역의 상업,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는 2호선 화명역이 2호선 사상 이북구간에서 제일 수요가 많은 것에서 드러난다. 하지만 경부선 화명역은 잠재 배후 인구에 비해 여객수요가 미미하다. 그 이유는 역세권이 의외로 작기 때문. 배차간격이 좋은 구포역이 멀지 않은 곳에 있어 시외 수요를 대거 내주는 것이 제일 큰 이유다. 또한 화명동에서도 외진 곳에 있어 접근성이 은근히 좋지 않다. 가까운 정류장은 화명대로에 있는데 여기서 화명역 - 2호선 화명역 구간은 마을버스 7-2번과 시내버스 300번을 제외하고는 버스가 아예 없다. 마을버스는 화명동 일대만을 돌며 배차간격도 30분이고 시내버스의 경우는 주거지역으로 가지 않으므로 교통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대부분의 버스를 타려면 금곡대로로 가야하는데, 마을버스 환승이 아니라면 700m 가량을 걸어서 2호선 화명역까지 가야 한다. 만일 2호선 화명역과 가까이 있었거나 적어도 역이 금곡대로 상에 있었더라면 지금의 수요보다 더 많이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수요 구조는 중단거리 위주의 구성을 보인다. 부산역 방면 이용객이 제일 많으며 부산역에 승차객 기준 이용객의 3분의 1가량이 모인다. 그 외에 밀양, 동대구, 창원중앙 등이 주요행선지이다. 그 밖의 경전선 상의 역이나 경부선 동대구 이북 구간은 수요가 극히 미미하다. 승차량에 비해 하차량이 상당히 적은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전술한대로 배차간격 문제와 접근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출근 시간대에는 속달성을 어떻게든 활용하지만 퇴근시간대에는 이용률이 떨어진다. 행선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50~70% 수준에 그친다.
5. 승강장
물금 방향 승강장 |
구포 방향 승강장 |
↑ 구포 | ||||||
1 | ㅣ | ㅣ | ㅣ | ㅣ | 2 | ㅣ |
물금 ↓ |
1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구포· 사상· 부산 방면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구포· 사상· 부전 방면 | |
2 | 경부선 |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 |
경전선 | 마산· 순천· 목포 방면 |
5선 2면의 혼합식 승강장이며, 중간의 2선은 통과선이다. 2번 승강장 바깥쪽 선로는 비전철 선로다.
6. 기타
역명판 불을 종종 밤에도 켜지 않는다. 심지어 열차가 정차하는 시각에도 켜지 않을때가 있다.경부선 무궁화호를 이용할 때 부산역 대신 화명역을 이용하면 1,300원이나 아낄 수 있다. 특히 화명역~밀양역 구간은 기본운임인 2,600원을 받고 부산역~밀양역 구간은 1.5배인 3,900원을 받는다. 다만 배차 상태가 안 좋고 지하철역과 멀기 때문에 화명역보단 200원 더 내고 구포역을 이용하는 게 낫다.
이용객이 적다보니 옆에 있는 구포역과 다르게 택시가 대기하지 않는다. 어쩌다 많을 때도 화명역 근처의 아파트단지에 사는 사람들이라 다들 걸어서 간다. 다만 5분 정도 조금만 걸어가면 롯데마트 화명점 앞에 택시가 대기 중이다.
이용객은 구포역보다 적지만 역 주변 상점들은 구포역 주변 상점보다 오래 영업한다. 대체로 편의점이 아니더라도 22~23시까지 영업은 기본이다.
==#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사곡†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고속철도 | 경부고속선 | ||
일반철도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 |||
탑승 | ||||
<rowcolor=#fff> 행선지 | 등급 | 행선지 | ||
부산역 | · | 서울 | ||
수서 | ||||
서울 | ||||
동대구 | ||||
무궁화호 | 서울 | |||
부전역 | 서울 |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목포 | |||
구포역 | 서울 | |||
동대구 | ||||
무궁화호 | 서울 · 목포 | |||
신해운대역 | 서울 |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
사상역 | 무궁화호 | 서울 · 목포 | ||
화명역 | ||||
센텀역 | 무궁화호 | 청량리 · 동해 · 동대구 · 포항 | ||
기장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