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역 (안양예술공원) |
||
광운대 방면 석 수 ← 1.9 ㎞ |
1호선 (P146) |
서동탄
·신창 방면 안 양 2.4 ㎞ → |
역명 표기 | ||
경부선 |
관악 (안양예술공원) Gwanak (Anyang Art Park) 冠岳 / [ruby(冠岳, ruby=クァナク)]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1273번길 46 ( 석수동 110-2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과천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안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부선 | 1974년 8월 15일 | |
1호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복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석 수 ← 1.9 ㎞ |
경부선 관 악 |
부산 방면 안 양 2.4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P146번.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1273번길 46 ( 석수동 110-21) 소재.2. 역 정보
현 역사 (1974년 준공) |
맞이방 |
관악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관악산 삼막사를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
역명은 인근에 위치한 관악산에서 따와 붙였다.
현 역사는 2009년 8월경 리모델링 공사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2020년 하반기에 역명판이 교체되었다. 도로 위 육교는 철길 위와는 달리 육교 아래 부분이 철골 구조로 되어 있는데, 복복선화 과정에서 출구 형태를 바꾸면서 육교를 새로 건설한 것이다. 복선 시절에는 출구 계단이 안양역 방면으로 놓여 있었다.
리모델링 전의 모습 |
2015년 9월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2016년 시점에서 완공됐고 스크린도어가 상당히 뒤로 물러나 있다. 사람 1명이 스크린도어와 열차 사이에 넉넉하게 서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데 그 대신 플랫폼이 조금 좁게 느껴진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안양예술공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관악 역명만 방송한다.
명학역과는 정반대로 선상역사가 하행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쏠려 있으며 따라서 계단도 승강장마다 각 1개소밖에 없다. 1970년대 당시 지어진 역사들은 거의 이런 구조였는데, 이런 구조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IC가 관악역 바로 북쪽에 들러붙어 있다.1990년대 말부터 석수1동을 중심으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져 대형 아파트 단지가 다수 조성되어, 작은 역 규모에 비해 유동 인구가 매우 많은 편이다. 이 때문인지 2009년 확장 공사를 시행해 엘리베이터를 들여놓았으나, 지금도 역사가 비좁고 소요산 방면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아직도 없다.
이 역에서 안양역 방면으로 약 1km 지점에 옛 안양풀장역 자리가 있었다. 정확한 위치는 현 안양예술공원 지하차도 부근. 1970년대 중반까지 지하차도 자리에는 건널목이 존재했는데, 건널목 남측 선로에 플랫폼이 바로 위치해 있었다. 과거 안양예술공원의 수요를 잡기 위해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운영했던 임시승강장이다.
과거 이 역에서 안양역 방면으로 400m 지점에 성혜육교라는 육교가 존재했다. 1978년 완공된 이후 오랜 기간 인근 주민들의 통행로 역할을 해 왔으나, 2014년 6월 20일 같은 해 실시된 안전 점검에서 D등급을 받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후 2016년 말에 철거됨으로써 성혜육교는 38년의 세월을 뒤로 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관악역에서 광명역으로 가는 마을버스 1-1번을 탈 수 있다. 관악역 건너편 버스 정류장에서 6-2번 또는 20번을 타면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에 갈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1,663명 | |||
1975년 | 2,055명 | ||||
1976년 | 2,832명 | ||||
1977년 | 3,823명 | ||||
1978년 | 6,645명 | ||||
1979년 | 9,214명 | ||||
1980년 | 8,833명 | ||||
1981년 | 10,575명 | ||||
1982년 | 11,717명 | ||||
1983년 | 11,831명 | ||||
1984년 | 12,496명 | ||||
1985년 | 12,805명 | ||||
1986년 | 13,686명 | ||||
1987년 | 13,774명 | ||||
1988년 | 13,323명 | ||||
1989년 | 13,249명 | ||||
1990년 | 15,354명 | ||||
1991년 | 16,521명 | ||||
1992년 | 16,312명 | ||||
1993년 | 15,173명 | ||||
1994년 | 13,468명 | ||||
1995년 | 13,324명 | ||||
1996년 | 12,658명 | ||||
1997년 | 12,072명 | ||||
1998년 | 11,067명 | ||||
1999년 | 10,517명 | ||||
2000년 | 10,299명 | 비고 | |||
2001년 | 13,114명 | ||||
2002년 | 18,568명 | ||||
2003년 | 19,191명 | ||||
2004년 | 15,840명 | [1] | |||
2005년 | 16,130명 | ||||
2006년 | 15,906명 | ||||
2007년 | 15,916명 | ||||
2008년 | 16,687명 | ||||
2009년 | 16,686명 | }}}}}}}}} | |||
2010년 | 16,676명 | ||||
2011년 | 16,885명 | ||||
2012년 | 16,748명 | ||||
2013년 | 16,697명 | ||||
2014년 | 17,172명 | ||||
2015년 | 17,401명 | ||||
2016년 | 17,378명 | ||||
2017년 | 16,798명 | ||||
2018년 | 16,464명 | ||||
2019년 | 16,788명 | ||||
2020년 | 11,814명 | ||||
2021년 | 11,970명 | ||||
2022년 | 13,278명 | ||||
2023년 | 14,287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관악역은 2000년대 초중반부터 약 15년이 넘도록 이용객 숫자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2000년에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명에 걸쳐서 석수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수요가 저조한 곳이었다. 하지만 2001~3년에 관악산 현대홈타운, 석수경남아너스빌, 주공그린빌 등의 아파트가 약간의 시차를 두고 한꺼번에 지어져 이용객이 약 1.5배 늘어났고, 그 후 별다른 변동 없이 16,000여 명 선에서 숫자가 유지되고 있다.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주변의 역들과 비교했을 때 이용객이 다소 저조한 편인데, 그 이유로는 빈약한 역세권을 들 수 있다. 행정상으로는 석수동 한복판에 있지만, 역의 바로 북쪽에 제2경인고속도로가 가로막고 있어서 그 너머의 연현마을은 같은 석수동이지만 다른 소생활권으로 간주되고, 그 이남 지역의 인구 최대 밀집지인 석수 e-편한세상 단지와는 걸어다니기는 애매한 먼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단지의 북서쪽 끝이라 관악역 2번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120동 쪽 쪽문에서 2번 출입구까지만 해도 이미 500m나 된다. 여기에 관악역에서 그나마 가까운 아파트들도 안양역과의 연계성이 좋다 보니 급행이 정차하는 안양역으로 빠지는 수요가 굉장히 많다. 급행을 굳이 타지 않더라도 큰 역인 안양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꽤 많다.
다음 역인 안양역과는 2.4km 떨어져 있다. 안양교 부근에 새로운 역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가 꾸준히 들어오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5. 승강장
역명판 | 승강장 |
2면 4선의 쌍 섬식 승강장이다. 내선 승강장은 개폐식 안전펜스로 막아놨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 석수 | 석수 ↓ | ||||||
ㅣ | 1 | ㅣ | ㅣ | 2 | ㅣ | ||
↑ 안양 | 안양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구로· 영등포· 서울역· 청량리 방면 |
2 | 수원·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
이 역은 구배가 0퍼밀(평지)이다.
6. 기타
- 2010년 12월 6일에 방영되었던 위기탈출 넘버원 위험한 랭킹 오 마이 갓 코너 3위에서 정태호가 승강장에 있는 장면이 나왔는데 촬영 당시 스크린도어 설치 전 모습의 관악역에서 촬영되었다.
- 서울특별시 관악구와는 이름의 유래를 관악산으로 공유하고 있지만, 말 그대로 산을 끼고 있기 때문에 두 지역 사이의 교통은 거리에 비해서는 그리 원활하지 않다. 여기서 서울 관악구를 가려면 후행 열차를 타고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7호선을 타거나 신도림역에서 2호선을 타면 된다. 또는 남부순환로 연선으로 가는 경우 5530번을, 난곡이나 신대방역 근처로 가는 경우 20번을 탈 수 있다. 어떤 경로든지 간에[2]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거쳐가게 된다.
7. 사건 사고
2018년 2월 25일 오후 2시에 40대로 추정되는 남성이 역에 들어오던 용산행 새마을호 열차에 치여 숨졌다. 그 여파로 후행 열차들이 지연됐다.
2021년 9월 29일 오후 6시 51분에 서울발 동대구행 1305열차가 당역 진입 중에 사람이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당한 승객은 자리에서 숨졌으며, 후행 열차들이 약 15분 정도의 지연을 받게 되었다.[3]
[1]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2]
심지어 산을 뚫고 터널로 지나가는
강남순환로조차도 금천구 권역을 지나간다.
[3]
「관악역 승강장서 무궁화호 사상사고 발생…"선로운행 일부 지연"」, 프라임경제, 2021-09-29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