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3:38:54

용적률


🏠 부동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부동산의 분류
협의
<colcolor=#000> 토지 지목에 따른 분류 · 상태에 따른 분류 · 용도지역 · 용도구역
정착물 건물( 집합건물 · 주택 · 상가 등) · 시설물( 도로 · 철도 · 교량 · 수도 등)
광의
공장재단 · 광업재단 · 선박 · 항공기 · 자동차 · 건설기계 · 어업 및 광업권 등
주택의 분류
공동주택
( /목록)
아파트( 대한민국) · 주상복합 · 타운하우스 · 도시형 생활주택 · 빌라 · 다세대주택 · 셰어하우스 · 기숙사
단독주택 단독주택 · 전원주택 · 모던 주택 · 원룸( 투룸 · 쓰리룸 · 포룸) · 협소주택 · 저택 · 별장 · 공관( 관저)
준주택 오피스텔 · 고시원 · 실버타운
부동산업
건설 건설사( 브랜드 · 컨소시엄 · 상위 30대 건설사)
매매 청약( 청약가점제 ·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 · 분양( 미분양) · 등기 · 부동산등기 · 모델하우스 · 전매 · 건축물대장
토지 지적( 지적재조사 · 지번) · 지목 · 필지 · 획지
임대차 임대료 · 전세( 전세권 · 전세 계약) · 반전세 · 월세 · 역월세 · 사글세
간접투자 리츠
가치평가 역세권 · 신축 · 구축 · 건폐율 · 용적률 · 판상형 · 타워형 · 커뮤니티 · 대단지 · 차 없는 아파트( 목록)
직업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주택관리사
관련 학과 부동산학과
법률
민사법 민법 · 농지법 · 부동산등기법 · 주택임대차보호법( 임대차 3법)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행정법 건축법 ·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 감정평가 및 감정평가사에 관한 법률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정책
공급 신규 택지개발 · 신도시( 1기 · 2기 · 3기) · 역세권개발사업 · 혁신도시 · 기업도시 · 밀리온프로그람
정비 빈집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 리모델링 · 도시재생 · 재건축 · 재개발( 공공재개발·공공재건축 · 뉴타운) · 지역주택조합
특수 특별공급 · 임대주택( 소셜믹스)
규제 세제 취득세 · 종합부동산세( 1주택자 과세 논란 · 다주택자 과세 논란) · 재산세 · 양도소득세
대출 담보인정비율(LTV) · 총부채상환비율(DTI)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가격 분양가상한제 · 고분양가심사제도 · 전월세상한제
부담금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지역 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지역
공시제도 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 · 공시가격( 공동주택공시가격 ·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공시가격)
기타 역대 정부별 대책 · 기부채납 · 토지거래허가제 · 토지공개념
관련 기관 법무부 · 국토교통부 · 등기소 · 한국부동산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택도시보증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경기주택도시공사 · 인천도시공사 · 대구도시개발공사
관련 속어·은어
속어·은어 갭 투자 · 깡통주택 · 알박기 · 영끌 · X품아( 초품아 · 지품아) · ○세권 · ○○뷰 · 항아리 상권
불법 기획부동산 · 다운계약서
관련 사이트·앱
국가 청약Home
민간 네이버 부동산 · KB Liiv ON · 부동산114 · 직방 · 다방 · 집토스 · 다음 부동산 · 바로바로 · 리치고 · 알스퀘어
부동산 스터디 · 부동산 갤러리 · 라이트하우스 ·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 집값 정상화 시민행동
기타
부동산 투기 · 계획도시 · 난개발 · 국민주택채권
}}}}}}}}} ||



1. 개요2. 설명3. 용적률 높은 아파트 (1,200% 이상)4. 같이 보기

1. 개요

/ floor area ratio

건물 연면적[1]을 땅의 넓이로 나눈 비율이다. 이해하기 쉽게 말한다면 건폐율 × 건축물 높이(지상층수)라고 봐도 되겠다.

2. 설명

파일:fdOk6ZC.jpg
파일:Ondcba5.jpg
용적률을 계산할 때는 지하층의 바닥면적과 지상층 중 주차장용도, 일정 기준[2] 이내의 베란다 면적, 초고층 빌딩( 마천루)의 피난 안전구역, 옥상부의 엘리베이터 기계실[3]의 면적은 제외한다. 그러나 무작정 제외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기준 이하만 제외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피난구역을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만들어 놓고 준공 후 타목적으로 전용하는 방법으로 용적률 규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민공동시설( 엘리베이터 등)의 면적은 본래 용적률에 삽입이었으나 2016년부터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 한해 용적률에서 제외한다. 이는 사실상 엘리베이터 면적을 용적률 삽입에서 제외한다는 의미인데, 이미 오래전부터 아파트의 엘리베이터는 장애인용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와 전용 버튼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비장애인-장애인 겸용 엘리베이터도 장애인용으로 분류된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대지면적 대비 건축연면적이 넓다는 것이고, 이는 곧 건물이 고층으로 올라간다는 말이다. 용적률이 높은 토지 부동산 가치가 용적률이 낮은 토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건물의 가치는 건물이 선 땅의 값 + 건축물의 값이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건물의 가치에서 건축물의 값의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건물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들은 건물이 선 땅에 대한 지분(대지지분)을 나눠갖는데, 용적률이 높을수록 1인당 대지지분은 작아질 수밖에 없다. 흔히 용적률이 낮으면 투자하기 좋다고 하는 이유는, 땅에는 감가상각이 없지만 건물에는 감가상각이 있기 때문이다.

아래 기준은 법률에 따른 제한이고, 해당 범주 내에서 각 지자체별로 최대치를 정한다. 최대치를 100% 이상으로 정한다는 뜻이지, 무조건 용적률 100% 이상으로 지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용도지역 건폐율 용적률
도시
지역
주거지역 제1종전용주거지역 5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제2종전용주거지역 50% 이하 100% 이상 150% 이하
제1종일반주거지역 60% 이하 100% 이상 200% 이하
제2종일반주거지역 60% 이하 100% 이상 250% 이하
제3종일반주거지역 50% 이하 100% 이상 300% 이하
준주거지역 70% 이하 200% 이상 500% 이하
상업지역 중심상업지역 90% 이하 200% 이상 1500% 이하
일반상업지역 80% 이하 200% 이상 1300% 이하
근린상업지역 70% 이하 200% 이상 900% 이하
유통상업지역 80% 이하 200% 이상 1100% 이하
공업지역 전용공업지역 70% 이하 150% 이상 300% 이하
일반공업지역 150% 이상 350% 이하
준공업지역 150% 이상 400% 이하
녹지지역 보전녹지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생산녹지지역 50% 이상 100% 이하
자연녹지지역 50% 이상 100% 이하
관리
지역
보전관리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생산관리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계획관리지역 4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미세분지역 보전관리지역과 동일
농림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자연환경보전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대한민국에서 용적률은 80~1500%[4]의 범위로, 도시의 주거지역은 최대 500%까지 올릴 수 있으나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의해 실질적으로 최종 결정된다. 보통 뉴타운 재개발 사업을 할 때 토지용도변경 등을 통해 건폐율과 용적률을 같이 조정하면서, 실질 용적률이 크게 높아진다.

용적률은 건폐율과 함께 도시개발 밀도 평가척도로 사용하며, 용적률과 건폐율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교통이나 환경 여건이기도 하지만, 문화적 요인이나 국민 정서도 크게 영향을 끼친다. 높으면 높을수록 더 높게 밀집해서 지을 수 있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에 따라 건축비용이 내려가니 좋지 않겠나 싶겠지만 용적률과 건폐율을 너무 높이면 닭장이라는 소리를 듣기 십상이고 이런 경우 일조권을 위시한 환경문제가 매우 심각해지기 때문에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런 과다한 용적률을 적용한 실제 사례는 홍콩이 대표적인데, 해당 문서에 보면 그 실상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홍콩은 구역에 따라 용적률 제한이 500%~1000%이기 때문에, 홍콩 또한 아무리 건물이 다닥다닥 붙어있다 한들 용적률이 1000%를 넘지는 않는다.

한국도 주거지역이 아닌 상업지역에 지어진 건물들은 용적률이 매우 높은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주변(심지어 바로 옆)에 일조권을 무시하고 건물을 올려도 법적인 문제가 없으며 행정관청은 환경문제 등을 들어 허가를 반려한다고 해도 법원에서 깨지므로 무조건 건물이 올라가게 된다. 또한 주거지역 인근의 상업지역도 이 규제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주거지역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 따라서 상업지역을 주거용으로 선택시에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실제 사례 서울스퀘어는 1100%를 넘는 용적률을 자랑한다.

서유럽은 전통적으로 용적률이 낮은 형태의 주거지역을 선호했는데, 지반이 연약하고[5] 공동주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나빠서이다. 하지만 도시구역은 기본적으로 건폐율이 높으므로 그에 따라 용적률이 높은 편이다. 실례로 파리의 용적률은 250%로, 서울의 160%에 비해 높다. #

3. 용적률 높은 아파트 (1,200% 이상)

단지명 용적률 아파트
세대수
오피스텔
세대수
입주일 소재지
범일동 한성기린프라자 1,450% 547세대 - 1997년 10월 부산시 동구 범일동
토성동경동리인타워 1,330% 452세대 - 2018년 7월 부산시 서구 토성동
브릿지타워 1,328% 31세대 - 2012년 2월 부산시 영도구 대교동
현대성우오스타코아루 1,296% 197세대 - 2012년 2월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포항자이 디오션 1,294% 212세대 - 2026년 10월 (예정)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항구동
빌리브어바인시티1BL 1,285% 264세대 - 2026년 1월 (예정) 경기도 이천시 안흥동
빌리브어바인시티2BL 1,285% 264세대 - 2026년 1월 (예정) 경기도 이천시 안흥동
보라매삼성쉐르빌 1,249% 246세대 - 2003년 1월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
서면유림노르웨이아침 1,241% 512세대 - 2004년 10월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동
서면지원더뷰파크 1,240% 216세대 72세대 2021년 7월 부산시 부산진구 부암동
롯데캐슬스카이 1,238% 132세대 - 2009년 2월 울산시 중구 성남동
양산유림노르웨이아침 1,234% 108세대 181세대 2018년 12월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촌리
한웅인터빌 1,233% 394세대 - 2004년 6월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동
롯데골드로즈 1,213% 299세대 - 2006년 6월 부산시 수영구 광안동
보람더하임 1,202% 218세대 - 2006년 4월 부산시 남구 문현동

4. 같이 보기


[1] 건물에 있는 바닥 면적의 총합. 참고로 여기서 일정면적 까지의 발코니(베란다) 면적은 바닥 면적의 총합에서 제외된다. 당연 건설사들은 그 일정면적 한계에 맞춰서 배란다 면적을 선정하고, 그것을 확장해서 사실상의 전용면적화 한다. 이를 서비스면적이라고 하는데, 발코니가 넓게 설계된 아파트라면 같은 평수라도 확장했을 때 다른 아파트보다 더 넓다. [2] 건축물 앞뒤 길이의 1.5m.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가 좌우로 길고 앞뒤로는 짧은 직사각형 모양이 되는 이유이다. [3] 보통 최상층 위의 2개 층 정도다. 최상층에서 더 위로 올라가는 계단이 존재하는 이유. [4] 참고로 2021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최고층(123층/554.5m) 건축물인 롯데월드타워의 건폐율은 41.83% / 용적률은 573.24%이고, 부지의 토지용도는 "일반상업지역" 으로 분류되어 있다. 건폐율만 따지면 주거지역으로도 충분히 커버 가능하지만, 높은 층수로 인해 주거지역 중 준주거지역의 최고 용적률 500%를 상회한다. 만약 제2롯데월드타워가 같은 건폐율에 높이가 약 500미터 이하여서 용적률이 500% 이하가 나왔다면, 상업지역에 비해 비교적 땅값이 싼 일반 주거지역(준주거지역) 토지로도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토지용도 이외에도 서울시 고도제한 조례 등의 법률도 고려해야한다. [5] 수천년 역사적으로 돌아보면, 대한민국의 석조 조형물이나 대들보 받침 등으로 쓰인 돌은 화강암이였고, 서양의 경우에는 이암이나 사암 성분의 석고 조형.건축물이 많았다. 아르테미스 신전 등도 석회암으로 주로 만들어져있다. 반면 한반도의 지질을 구성하는 암반은, 대부분 화강암이나 편마암 등의 화성암 변성암이 지천에 널려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