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4:15:23

외래어 표기법/독일어

독일어 표기법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외래어 표기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독일어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내용은 독일어/발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
국제음성기호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라틴어 · 그리스어
· 기타 언어 표기
언어별 미비점

1. 개요2. 규정: 독일어의 표기 세칙3. 표기 세칙 해설4. 문제점
4.1. 자모 표기 일람표의 부재4.2. ng의 표기4.3. sch의 표기4.4. e와 ä4.5. 어말 -er의 표기4.6. pf의 표기4.7. r의 표기
5. 보충 설명: 독일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 독일어를 표기하는 방법.

2. 규정: 독일어의 표기 세칙

표 1[1]을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 독일어 세칙을 먼저 적용한 뒤, 여기에 없는 것은 제1절( 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2]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Hormon[hɔrmoːn] 호르몬}}}
Hermes[hɛrmɛs] 헤르메스
||
2. 어말의 [r]와 '-er[ər]'는 '어'로 적는다.
Rasur[razuːr] 라주어[4]}}}
Tür[tyːr] 튀어
Ohr[oːr] 오어
Vater[faːtər] 파터
Schiller[ʃilər] 실러
||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Fürsorge[fyːrzorgə] 퓌어조르게}}}
Vorbild[foːrbilt] 포어빌트
außerhalb[ausərhalp] 아우서할프
Urkunde[uːrkundə] 우어쿤데
Vaterland[faːtərlant] 파터란트
||
Rostock[rɔstɔk] 로스토크}}}
Stadt[ʃtat] 슈타트
||
Mensch[mɛnʃ] 멘슈}}}
Mischling[miʃliŋ] 미슐링
||
2.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Schüler[ʃyːlər] 쉴러}}}
schön[ʃøːn] 쇤
||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Schatz[ʃats] 샤츠}}}
schon[ʃoːn] 숀
Schule[ʃuːlə] 슐레
Schelle[ʃɛlə] 셸레
||
läuten[lɔytən] 로이텐}}}
Fräulein[frɔylain] 프로일라인
Europa[ɔyroːpa] 오이로파
Freundin[frɔyndin] 프로인딘
||

3. 표기 세칙 해설

영어의 경우와 같이 표 1(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 가운데 독일어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조항들을 그대로 따르도록 하면서 독일어 표기에 특별히 필요한 것들만을 제2절의 표기 세칙으로 정하였다.

제1항은 [r]의 표기에 관한 규정이다. 표 1에 따르면 자음 앞 및 어말에서의 [r]는 모두 ‘르’로 적게 되어 있는데, 독일어의 경우에는 이것을 둘로 나누어 규정했다. 자음 앞의 [r]는 표 1에 정해진 대로 ‘르’로 적는 반면, 어말의 [r]는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어’로 적는 것을 골자로 하는 규정이다.

사전에서 [r]로 표기하고 있는 발음 가운데에는 현실적으로 모음으로 발음되는 것들이 많다. 이 모음을 표시할 때 a를 거꾸로 한 음성 기호 [ɐ]를 쓰고 있는데, 이 [ɐ]는 ‘어’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만, 실제의 표기에 있어서의 혼동을 염려하여 어말의 [r]와 그에 준하는 경우들만을 ‘어’로 적도록 제한하였다. 가령 Tür [tyːr]를 ‘튀어’로 적는 것은 어말의 경우이고, 복합어나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 ‘어’로 적는 다음과 같은 표기들은 그에 준하는 경우들이다.

Vorbild [foːrbilt] 포어빌트 Urkunde [uːrkundə] 우어쿤데

어말의 ‘-er [ər]’를 ‘에르’나 ‘에어’로 적지 않고 ‘어’로 적기로 한 것도 같은 정신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2항은 어말의 파열음에 관한 규정이다. 영어의 경우에는 어말 파열음의 표기가 상당히 복잡하게 규정되어 있지만, 독일어에서는 어말에 유성 파열음이 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으’가 붙은 ‘크, 트, 프’로 적도록 규정한 것이다.

제3항은 두 가지 발음이 있는 ‘berg’, ‘burg’에 대한 발음 선택을 나타낸 조항이다. Heidelberg, Hamburg를 각각 ‘하이델베르히’, ‘함부르히’라 하지 않고 ‘하이델베르크’, ‘함부르크’로 통일하여 적도록 한 것이다.

제4항은 마찰음 [ʃ]에 관한 조항이다. 영어의 경우와 다른 점은 어말의 [ʃ]를 ‘슈’로 적도록 한 점이다.

또한 원순 전설 모음 [y], [ø] 앞의 [ʃ]는 [s]와 구별하여 적을 방도가 없기 때문에 ‘ㅅ’으로 적도록 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영어의 경우와 같이 표 1(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 가운데 독일어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조항들을 그대로 따르도록 하면서 독일어 표기에 특별히 필요한 것들만을 제2절의 표기 세칙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

제1항은 r 철자의 표기에 관한 규정이다. /r/ 발음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렇게 대부분의 r 철자를 /r/로 퉁쳐서 안내하는 것은 일부 사전( 민중서림 엣센스 독한사전 등)이고, 실제 독일어에서는 IPA /ɐ/와 /ʁ/로 나뉘니 이 둘을 합쳐서 /r/로 규정하고 있음을 유의하자. 이는 독일어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끼워맞추기 위함일 수도 있다.

표 1에 따르면 자음 앞 및 어중의 /r/는 모두 '르'로 적게 되어 있는데, 독일어 세칙에서는 이것을 둘로 나누어 규정했다. 자음 앞의 /r/는 표 1에 정해진 대로 '르'로 적는 반면, 어말의 /r/는 현실 발음을 반영해서인지 '어'로 구분해서 적는 것을 골자로 하는 규정이다.

/r/로 안내하는 사전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이 모음에 가까워진 /r/을 표시할 때 a를 거꾸로 한 국제 음성 기호 /ɐ/를 쓰고 있으며, 이 /ɐ/는 한국어 '어' 또는 '아'에 가까운 발음으로 분류된다. 실제의 표기에 있어서의 혼동을 염려하여 어말의 /r/와 그에 준하는 경우만을 '어'로 적도록 제한하고 있다. 가령 Tür(/tyːr/)를 '튀어'로 적는 것은 어말의 경우이고, 복합어나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 어중이라도 '어'로 적는 다음과 같은 표기들은 그에 준하는 경우이다.

Vorbild(/ˈfoːɐ̯ˌbɪlt/) 포어빌트, Urkunde(/ˈuːɐ̯ˌkʊndə/) 우어쿤데

어말의 er(/ər/)를 '에르'나 '에어'로 적지 않고 '어'로 적기로 한 것도 국제 음성 기호 /ɐ/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2항은 어말의 파열음에 관한 규정이다. 영어의 경우에는 어말 파열음의 표기가 상당히 복잡하게 규정되어 있지만, 독일어에서는 어말에 유성 파열음이 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으'가 붙은 '크, 트, 프'로 적도록 규정한 모양이다.

제3항은 표기의 혼동이 있을 수 있는 'berg', 'burg'에 대한 표기 통일을 나타낸 조항이다. 각각 '산(mountain)'과 '요새(fortress)'를 뜻하는 단어로, 특히 지명에 많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부산과 한성 '베어크', '버크', '부어크', '버크'라 하지 않고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하여 적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 정리된 세칙만으로도 베르크, 부르크로 표기하게 된다.[5] 워낙 자주 나오는 단어라서 발음기호 찾아볼 필요도 없게 항목을 따로 만든 것일지도.

제4항은 마찰음 [ʃ]에 관한 조항이다. 영어와 다른 점은 어말의 [ʃ]를 '슈'로 적도록 한 점이다.

또한 원순 전설 모음 [y], [ø] 앞의 [ʃ]는 [s]와 구별하여 적을 방도가 없기 때문에 'ㅅ'으로 적도록 하고 있다. 쉬[sy]·쇠[sø], ᄉᆔ[ʃy]·ᄉᆈ[ʃø]

4. 문제점

4.1. 자모 표기 일람표의 부재

독일어는 표기법이 오래 전부터 확립된 언어지만, 표기 세칙만 존재할 뿐, 중요한 자모 표기 일람표가 존재하지 않는다. 독일어 역시 영어처럼 표기에 100% 따르는 것이 아니다 보니 외래어 표기법 제일 앞에 있는 국제 음성 기호 대조표에 세칙을 더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 모양. 하지만 별도의 표기 일람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독일어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어려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다. 문제는 존재하는 세칙 역시 그다지 상세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 세칙 및 일람표의 정비가 매우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렇지만 상술한대로 독일어 철자법이 대체로 규칙적이긴 해도 의외로 예외가 많기에 섣불리 자모 일람표를 만드는 건 위험할 수 있다. 독일어를 배워보면 알 수 있지만 프랑스, 영국, 미국이 그렇듯 독특한 어원과 역사에서 유래하는 발음에서 예외가 많다. 특히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의 발음이 독일어에 은근히 많다. (예: Friseur, Cousin 등)

4.2. ng의 표기

독일어 ng는 영어와는 달리 대부분 연음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inger는 영어로나 독일어로나 모두 손가락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영어로는 [fɪŋgə(r)](핑거)로 발음되는 반면, 독일어로는 [fɪŋɐ](핑어)로 발음된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법상 독일어 Finger도 핑거로 표기한다. 따라서 Göttingen, Tübingen, Schrödinger, Engels은 발음 기호에 기준한 '괴팅엔, 튀빙엔, 슈뢰딩어, 엥엘스'가 아닌 ' 괴팅겐, 튀빙겐, 슈뢰딩거, 엥겔스'로 표기하고 있다.

이 조항은 현행 외래어 표기법[6]의 독일어 표기 세칙에는 없으나, 과거 국립국어원에서 게시했던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쪽에 숨어있었다. "독일어에서 모음 또는 l 앞의 ng /ŋ/에는 'ㄱ'을 첨가하여 표기한다." 정식으로 고시된 내용은 아니라고 기재되어 있긴 하지만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n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g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붙어서 생긴 ng는 [ŋ]으로 읽지 않고 따로따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an과 Geld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Angeld(계약금, 착수금)라는 단어는 '앙엘트'([ˈaŋεlt])가 아니라 '안겔트'([ˈan.gεlt])로 표기하는 것. 또한 Angela( 앙겔라), Ungarn( 웅가른), Mangan( 망간)처럼 [ŋg]으로 발음되는 단어도 있다.

4.3. sch의 표기

sch의 발음은 영어의 sh와 마찬가지로 [ʃ]임에도 불구하고, 영어와는 달리 어말에 있어도 '슈'로 표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같은 발음이어도 영어 Bush는 '부시'라 표기하나 독일어 Busch는 '부슈'로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스위스의 극작가 Max Frisch는 '막스 프리슈'로 표기하는 게 정확하지만, 국내 독문학계에서는 '막스 프리쉬'로 표기하고 있다. 원래 ''는 중국어 표기법의 xu, 프랑스어의 chu, 독일어의 schü 등 /ʃy/ 및 그와 유사한 발음에만 써야 한다.

또, 위 sch의 규칙을 가져오면 tsch [tʃ]는 '추'로 표기해야 할 것 같지만(외래어 표기법상 '츄'의 표기는 불가능하다. '추'와 발음이 같기 때문.), 이건 '치'로 표기하고 있다. 즉, deutsch, Deutschland는 '도이추', '도이출란트'(...)가 될 수 있으나 다행히도 도이칠란트로 쓰이고 있다. 이것을 보면 sch 계열 발음에서 이중잣대가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ʃ]는 마찰음, [tʃ]는 파찰음이라 엄밀히는 다른 계열의 발음이라고 설명할 수는 있다. 다른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ʃ]·[ʒ]는 영어를 제외하면 어말에서 '슈'·'주', [tʃ]·[dʒ]는 '치'·'지'로 옮기는 것이 보통이다. 독일어의 세칙을 만들 때 일본어의 표기법을 의식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일본어도 외래어의 원래 발음이 [ʃ]·[ʒ]일 경우 보통 シュ와 ジュ로 옮기지만, [tʃ]·[dʒ]일 경우 チ와 ジ로 옮기는 경향이 있다.

4.4. e와 ä

e와 ä는 발음상( ɛ) ㅔ(e̞)와는 다르고 오히려 ㅐ(ɛ)와 발음상으로도 자형상으로도[7] 일치하지만, ɛ 역시 ㅔ로 옮기도록 하고 있다. e의 경우 크게 세 가지 발음으로 나뉘지만(ɛ, e, ə) ㅔ로 통일하고 있는데[8], [ɛ]에 해당하는 발음 역시 ㅔ로 표기한다. 옆 동네 네덜란드어의 경우 e를 경우에 따라 ㅔ와 ㅓ로 나눠서 표기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사실 이 문제는 비단 독일어뿐만이 아니라 e가 들어가는 대부분의 언어에서도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독일어의 한글 표기에만 이런 비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자세한 점은 'ㅐ'와 'ㅔ'의 구별 문서를 참고할 것.

여기서 현대 한국어 원어민이 독일어의 p와 f, pf 세 가지 발음을 구분하지 못하는 건 그렇다 치고, 한국어인 'ㅐ'와 'ㅔ'의 구분도 거의 못하는 상황에서 독일어 ä를 'ㅔ'로 통일해 버리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차라리 표기를 ㅐ로 해서 의식적으로 입을 더 벌려서 발음하게 하는 것이 독일어 원어민과의 소통에 더 도움이 된다는 주장. 한편 독일어의 'e'가 'ㅔ'에 가깝다고 볼 수도 없고, 'ㅔ'와 'ㅣ'사이, 'ㅔ'와 'ㅡ'사이로 발음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니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4.5. 어말 -er의 표기

어말 -er의 발음은 사전에서 /ɐ/로 안내되는데, 이는 한국어에서는 에 가깝기에 의아할 수 있다. 사전에서 안내하는 예시 발음은 확실히 ㅓ로 들리는데, 한국어 원어민과 외국의 언어학 연구자들이 어떻게 수렴했는지의 차이인 듯하다.[9] 다만 독일인의 발음이 지역에 따라 워낙 다양한지라 ㅏ에 가깝게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바이에른 등). 사투리라고 넘기기엔 애매

4.6. pf의 표기

독일어의 pf는 파찰음이라서 따로 구분이 필요하지만 대조표에도 pf가 누락되어 있다.

해당 발음은 /p/ 부분에서 입을 다문 뒤 /f/ 발음을 내는 독특한 발음인데, 표기 용례를 보면 스페인어의 tz와 달리 p + f 취급하지 않고 그냥 ㅍ로 적고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p와 f 발음을 아예 분리해서 pu-f 같은 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라 발음이 굉장히 난잡해진다. (예: Pfeil: プファイル(푸화이루), Apfel: アプフェル(아푸훼루))

4.7. r의 표기

독일어에서는 r 철자를 사용하는 발음이 워낙 다양한데, 이를 무난하게 철자에 맞추어 실제 발음과 다르게 표기한다고 지적하는 사람이 있다. 특히 철자 r의 독일어 발음은 특히 한국어 원어민 입장에서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발음이라고 한다.

어두에 오는 r 철자의 발음(표준 독일어는 /ʁ/)이 특히 매우 낯설다. 가래 끓는 듯한 거북한(...) 소리에 ㄱ과 ㅎ이 섞인 소리가 난다. 모든 독일인이 이렇게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에 따라 읽는 법이 다양하고[10], 영어의 r인 치경 접근음 [ɹ]와는 다른 발음이다. 음성학에서 Konsonantische R(자음화 R)라고 부르는 이 발음은 독일 안에서도 세 가지 발음으로 나뉜다고 할 정도이다. 자세한 내용은 독일어 R 발음 참고. 지역이나 개인차가 있을 뿐 표준 독일어에서는 하나의 발음으로 다루기에 이를 실제 발음과 동떨어진 'ㄹ' 또는 '르'로 무난하게 표기하는 것을 문제삼고 있다.[11]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ㄹ' 또는 '르'는 바이에른이나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의 독일 남부식 발음과 꽤 비슷하다.

단어나 음절 끝에 오는 r나, 접두사 'er-', 'ver-', 'zer-'의 r는 거의 모음화되어 발음되는데, 이는 세칙에서 반영하여 구분하게 했다. 음성학에서 Vokalisierte 'r'( 모음화 R)라고 부른다.

5. 보충 설명: 독일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기본적으로 독일어 표기의 경우 독일어 철자에 대한 한글 대조표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영어에서 사용하는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사용한다. 아래 대조표는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자료가 아니므로 공신력이 없으며, 발음과 세칙, 예외, 외래어 표기 용례 자료 등을 기준으로 편의상 작성된 것이다.
자모 한글 보기
모음 앞 자음 앞 어말
자음 b ㅂ, 브 ㅂ, 프 Bahn 반, Brot 브로트, Lebensraum 레벤스라움, Dieb 디프, Habsburg 합스부르크
c ㅋ, ㅊ Camping 캄핑, Comic 코미크, Cäsar 체자르, Cello 첼로
ch ㅎ, ㅋ, 시[12] [13], 히[14] Michael 미하엘, München 뮌헨, Chemie 헤미, Richard 리하르트, Chef 셰프, Chaos 카오스, Landsknecht 란츠크네히트, Höchst 회히스트, Storch 슈토르히, Buch 부흐
chs - ㄱ스 wachsen 박센, sechs 젝스, Fuchs 푹스, Luchs 룩스, Achse 악세
ck - ㅋ, 크 Ecke 에케, Rucksack 루크자크, Eckert 에케르트
d drei 드라이, Dank 당크, Manfred 만프레트, Mädchen 메트헨
ds - abends 아벤츠, Landsmann 란츠만, nirgends 니르겐츠
dt - ㅌ, 트 Stadt 슈타트, Verwandte 페어반테
f Finger 핑거, Freund 프로인트, Frau 프라우, Senf 젠프
ff - Schiff 시프, Begriff 베그리프, Angriff 안그리프
g ㄱ, ㅈ[15] ㄱ, 그 ㄱ, 크, 히 Gabel 가벨, weniger 베니거, Regie 레지, Regisseur 레지쇠어, Genie 제니 Gneisenau 그나이제나우, Krieg 크리크, Kriegsmarine 크릭스마리네, Bergmann 베르크만, Georg 게오르크, König 쾨니히, flieißig 플라이시히
h - Halle 할레, Haus 하우스, Bahn 반, Wehrmacht 베어마흐트, Ohr 오어, Spähwagen 슈페바겐
j - Jagdpanther 야크트판터, Jäger 예거, Nikolaj 니콜라이
k ㄱ, 크 Kübelwagen 퀴벨바겐, Klaus 클라우스, Knochen 크노헨, Physik 피지크, Musik 무지크, Flak 플라크
l - löschen 뢰셴, Löwe 뢰베, Ampel 암펠
ll - Unfall 운팔, Ball , Brille 브릴레
m - Maus 마우스, Musketier 무스케티어, Hemd 헴트, Blume 블루메, Raum 라움
mm - Himmel 히멜, Rommel 로멜, Zimmer 치머, dumm 둠
n Nichte 니히테, Nacht 나흐트, Kneipe 크나이페, Kran 크란, Krone 크로네
ng - lang 랑, Frühling 프륄링, Kleidung 클라이둥, Göttingen 괴팅겐, Tübingen 튀빙겐
nn - nennen 네넨, Mann , dennoch 데노흐
nk - ㅇㅋ, ㅇ크 Dank 당크, links 링크스, denken 뎅켄
p ㅂ, 프 Pause 파우제, Polizei 폴리차이, Plünderer 플륀데러, Prinzip 프린치프, Hauptmann 하웁트만, Gips 깁스, Leipzig 라이프치히, Schnaps 슈납스
pp - knapp 크나프, stoppen 슈토펜, Galopp 갈로프, Tipp 티프
pf - Pfeil 파일, Pferd 페르트, Apfel 아펠, Totenkopf 토텐코프
ph Philosophie 필로조피, Sophie 조피, Phlegma 플레그마, Phrase 프라제, Apostroph 아포스트로프
qu[16] 크ㅂ - Quelle 크벨레, Quartier 크바르티어, quer 크베어
r Rakete 라케테, Rhein 라인, Schwarm 슈바름, Bezirk 베치르크, Berlin 베를린, vorsicht 포어지히트, Tür 튀어
rr - Korridor 코리도어, Arroganz 아로간츠, Herr 헤어
s ㅈ, ㅅ[17] Siegen 지겐, Säbel 제벨, Skandal 스칸달, Sklave 스클라베, Eis 아이스, Glas 글라스, Sit-in 싯인(연좌 시위), Basis 바지스, Skepsis 스켑시스[18]
sch Schacht 샤흐트, Scherz 셰르츠, Schein 샤인, Schumacher 슈마허, Schiller 실러, Schüler 쉴러, Schwan 슈반, Schneider 슈나이더, Mensch 멘슈, Marsch 마르슈
sp 슈ㅍ 슈프 스프 Speise 슈파이제, Speyer 슈파이어, sprechen 슈프레헨, Aspekt 아스페크트
ss - Ass 아스, Fluss 플루스, Schloss 슐로스, Barbarossa 바르바로사
st 슈ㅌ 슈트 스트 Stadt 슈타트, Einstein 아인슈타인, Straße 슈트라세, Angst 앙스트 August 아우구스트
t Teil 타일, Tasche 타셰, Traum 트라움, Kommandant 코만단트
th Theater 테아터, Bibliothek 비블리오테크, Thron 트론, Labyrinth 라비린트
tion 치온 Position 포지치온, Munition 무니치온, Funktion 풍크치온, Generation 게네라치온
tt - Bett 베트, fett 페트, dritt 드리트
ts - ㅊ, 츠 Rätsel 레첼, nachts 나흐츠, stets 슈테츠
tsch - tschüs 취스, Kutsche 쿠체 Deutschland 도이칠란트
tz - ㅊ, 츠 Blitzkrieg 블리츠크리크, Hetzer 헤처, Hitze 히체 jetzt 예츠트
v ㅍ, ㅂ Vogel 포겔, Vaterland 파터란트, Klavier 클라비어, positiv 포지티프, aktiv 악티프
w - Wasser 바서, Westen 베스텐, Wein 바인, Basedow 바제도, Lützow 뤼초
x 크ㅅ, ㄱㅅ 크스 Xanthippe 크산티페, Taxi 탁시, Hexe 헥세, Text 텍스트, Marx 마르크스
y 이, ㅇ Yacht 야흐트, Erinnye 에리니에, Zylinder 칠린더, Elektrolyt 엘렉트롤리트, Hydrant 히드란트
z Zeichen 차이헨, Zoo , Panzer 판처, zwanzig 츠반치히, Tanz 탄츠
ß - Straße 슈트라세, Fuß 푸스, groß 그로스
모음 a Bahn 반, Abend 아벤트, alt 알트
aa Saal 잘, Saarbrücken 자르브뤼켄, Aal , Aachen 아헨
ae 에, 아에 Raeder 레더, Michael 미하엘, Aeronaut 아에로나우트
ai 아이 Mai 마이, Hai 하이
au 아우 Lebensaum 레벤스라움, Frau 프라우, laut 라우트, aus 아우스, Panzerfaust 판처파우스트
auer 아워[19] Adenauer 아데나워, Beckenbauer 베켄바워
ay 아이 Haydn 하이든, Bayern 바이에른[20]
ä Ärger 에르거, ähnlich 엔리히, Jäger 예거, ändern 엔던, Präsident 프레지덴트
äu 오이 äußer 오이서, Bräutigam 브로이티감, läuten 로이텐, Fräulein 프로일라인
e Eder 에더, Eltern 엘턴, Elbe 엘베, Apotheke 아포테케
ee Tee , See 제, Schnee 슈네, Kaffee 카페
ei 아이 leise 라이제, Bein 바인, nein 나인
eu 오이, 에우, 외[21] Leute 로이테, heute 호이테, Freund 프로인트, neun 노인, Amadeus 아마데우스, Museum 무제움, Friseur 프리죄어, Kommandeur 코만되어, Regisseur 레지쇠어
ey 아이 Meyer 마이어
i Island 이슬란트, Idee 이데, Juli 율리
ie 이, 이에 Liebe 리베, wie 비, Siemens 지멘스, Batterie 바테리, Familie 파밀리에, Ferien 페리엔
o wohnen 보넨, Ton , offen 오펜, Oberst 오버스트
ö, oe Söhne 죄네, Löffel 뢰펠, Ökonomie 외코노미, örtlich 외르틀리히, Goethe 괴테, Moebius 뫼비우스
oo Moos 모스, Boot 보트, Zoo , Moor 모어
u unter 운터, Hut 후트, Uhr 우어, Mutter 무터
ü, ue Tür 튀어, Mütter 뮈터, Brüder 브뤼더, fünf 퓐프


[1] 문교부 고시 제85-11호에서 공표한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일컫는다. [2] 독일어 세칙을 무시하고 영어 세칙을 먼저 적용해버리거나 국제 음성 기호만 보고 표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즉 '르'로 표기하라는 말. [4] 원래 Razur로 오기되어 있었다가 이후에 추가 고시로 수정되었다. [5] 여기서 g 철자는 확실히 /k/로 발음하도록 사전에 안내되기 때문에 g의 다양한 발음에 대해서 다룬 것은 아닐 것이다. 만약 그런 의도였다면 g의 발음에 대해서 세칙이 따로 있어야 한다. g의 발음에 대해서 좋은 예를 들자면 Leipzig의 경우 지역에 따라 라이프치히(/ˈlaɪ̯pt͡sɪç/), 라이프치크(/ˈlaɪ̯pt͡sɪk/), 라이브츠슈(/ˈlaɪ̯bt͡sʃ/) 등의 발음과 표기로 나뉘기에 이를 '히'로 통일하는 항목이 있다면 좋았겠지만 그냥 표 1(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보고 알아내라고 놔뒀다. [6]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4호 (2017. 3. 28.) [7] 한국어의 딴이(모음자 뒤의 ㅣ. 즉 ㅐ, ㅒ, ㅔ, ㅖ, ㅚ, ㅟ에 붙은 ㅣ)와 독일어의 움라우트는 그 역할이 전설음화로 비슷하다. [8] 이쪽은 조금 복잡한 것이, 완전히 다른 발음이라기보다는 음운변화 비슷하게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한 음운의 발음이 변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에 가깝다. 이 발음 차이를 완전히 인지 못하는 독일인도 많다. [9] 실제로 영어 nut의 영국, 뉴질랜드 발음, winter의 뉴잉글랜드, 미국 북동부 발음을 이 발음으로 분류하기에 한국인 입장에서는 물음표만 가득. [10] 사실 독일어는 방언이 다양하여 지역마다 발음이 조금씩 다르다. 특히 이 r발음은 지역마다 차이가 큰 편이며, 같은 방언 안에서도 용례에 따라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도 많다. [11] 영어나 프랑스어 같은 유럽 언어에서 r 표기를 이렇게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12] 프랑스어 외래어 한정. [13] a, o, u 뒤에 있을 경우. [14] i, e, ö 뒤에 있을 경우. [15] 일부 외래어 한정 [16] 독일어 q는 항상 u와 함께 쓰이며, 절대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다. [17] |s|로 발음되는 것은 ㅅ로 표기하고 있다. 보통은 독일어 어원이 아닌 단어가 많다. [18] 모어 앞에 s가 있지만 |s|로 발음됨. [19] 발음 기호 기준으로 한다면 아우어라는 표기가 더 가깝지만 영어 쪽에서 아워라고 쓰기로 했기 때문에 독일어에서도 그에 따른다. [20] Bayer의 경우에는 바이어라고 표기하며 Bayern의 실제 발음에 따를 경우 바이언이라 표기할 수도 있겠지만, r이 자음 앞에 있기에 독일어 세칙에 기준해 바이에른으로 표기하게 된다. [21] 프랑스어 외래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