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내용은 영어/발음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 |||||
국제음성기호 |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에스파냐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 중국어 | 폴란드어 | 체코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루마니아어 |
헝가리어 | 스웨덴어 | 노르웨이어 | 덴마크어 |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
타이어 |
베트남어 | 포르투갈어 | 네덜란드어 | 러시아어 |
라틴어 ·
그리스어 · 기타 언어 표기 |
언어별 미비점 |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 중 영어를 표기하는 방법. 대부분 용인발음을 기준으로 한다.[1] 온라인가나다의 답변에 따르면 외래어 표기법 지정 시 메리엄 웹스터 사전, 롱맨 사전, 케임브리지 사전 등을 두루 참고한다고 한다.2. 규정: 영어의 표기 세칙
표 1[2]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3]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cat[kæt]
캣
book[buk]
북
||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apt[æpt] 앱트}}}setback[setbæk] 셋백
act[ækt] 액트
||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stamp[stæmp]
스탬프}}}cape[keip]
케이프
nest[nest] 네스트
part[pɑːt]
파트
desk[desk]
데스크
make[meik] 메이크
apple[æpl]
애플
mattress[mætris]
매트리스
chipmunk [tʃipmʌŋk] 치프멍크
sickness[siknis] 시크니스
||-
제2항 유성 파열음([b], [d], [ɡ])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land[lænd]
랜드
zigzag[ziɡzæɡ]
지그재그
kidnap[kidnæp] 키드냅
signal[siɡnəl]
시그널
||-
제3항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jazz[dʒæz]
재즈
graph[ɡræf]
그래프
olive[ɔliv]
올리브
thrill[θril]
스릴
bathe[beið] 베이드
||
2.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flash[flæʃ]
플래시}}}shrub[ʃrʌb] 슈러브
shark[ʃɑːk]
샤크
shank[ʃæŋk] 섕크
fashion[fæʃən]
패션
sheriff[ʃerif] 셰리프
shopping[ʃɔpiŋ]
쇼핑
shoe[ʃuː] 슈
shim[ʃim] 심
||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mirage[mirɑːʒ]
미라지}}}vision[viʒən]
비전
||-
제4항 파찰음([ts], [dz], [tʃ], [d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ʃ], [dʒ]는 '치', '지'로 적는다.
odds[ɔdz] 오즈
switch[switʃ]
스위치
bridge[bridʒ]
브리지
Pittsburgh[pitsbəːɡ]
피츠버그
hitchhike[hitʃhaik]
히치하이크
||
2. 모음 앞의 [tʃ], [dʒ]는 'ㅊ', 'ㅈ'으로 적는다.
chart[tʃɑːt]
차트}}}virgin[vəːdʒin] 버진
||-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corn[kɔːn] 콘
ring[riŋ]
링
lamp[læmp]
램프
hint[hint]
힌트
ink[iŋk]
잉크
||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ㅇ'으로 적는다.
hanging[hæŋiŋ] 행잉}}}longing[lɔŋiŋ] 롱잉
||-
제6항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pulp[pʌlp]
펄프
||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slide[slaid]
슬라이드}}}film[film]
필름
helm[helm] 헬름
swoln[swouln] 스월른
Hamlet[hæmlit]
햄릿
Henley[henli]
헨리
||-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route[ruːt]
루트
||-
제8항 중모음 ([ai], [au], [ei], [ɔi], [ou], [auə])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house[haus]
하우스
skate[skeit]
스케이트
oil[ɔil]
오일
boat[bout]
보트
tower[tauə]
타워
||-
제9항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ɑ]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want[wɔnt] 원트
woe[wou] 워
wander[wɑndə] 완더[5]
wag[wæɡ] 왜그
west[west] 웨스트
witch[witʃ] 위치
wool[wul] 울
||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ɡ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wing[swiŋ]
스윙}}}twist[twist] 트위스트
penguin[peŋɡwin]
펭귄
whistle[hwisl]
휘슬
quarter[kwɔːtə]
쿼터
||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yard[jɑːd]
야드}}}yank[jæŋk] 얭크
yearn[jəːn] 연
yellow[jelou]
옐로
yawn[jɔːn] 욘
you[juː] 유
year[jiə] 이어
Indian[indjən]
인디언
battalion[bətæljən] 버탤리언
union[juːnjən]
유니언
||-
제10항 복합어[6]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bookend[bukend] 북엔드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touchwood[tʌtʃwud] 터치우드
sit-in[sitin] 싯인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flashgun[flæʃɡʌn] 플래시건
topknot[tɔpnɔt] 톱놋
||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Los Alamos[lɔsæləmou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7] top class[tɔpklæs] 톱 클래스/톱클래스 |
3. 해설
영어의 표기는 미국 영어에서 차용된 외래어는 미국식 발음을, 영국 영어에서 차용된 것은 영국식 발음을 제2장 표 1의 대조표와 본 영어 표기의 규정에 따라 표기한다.
제1항의 1)과 2)는 무성 파열음[p, t, k]가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에 올 경우와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경우의 규정이다. 즉 둘 다 짧은 모음 다음의 [p, t, k]의 표기에 관한 것이므로 한 조항으로 묶을 수도 있으나 그러면 조항이 대단히 길고 복잡해지므로 편의상 두 조항으로 나누어 규정한 것이다.
제3항 3)은 [ʒ]는 ‘지’로 적는다고 하면 대단히 간단해진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vision [viʒən]’은 ‘비젼’이 되어야 하는데 국어에서는 ‘져’가 ‘저’로 발음된다. ‘져’뿐만 아니라 ‘쟈, 죠, 쥬, 챠, 쳐, 쵸, 츄’가 ‘자, 조, 주, 차, 처, 초, 추’로 발음된다. ‘ㅈ, ㅊ’이 이미 구개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쟈, 죠’ 등의 표기는 무의미하다. 국어의 맞춤법에서 ‘가져’, ‘다쳐’ 같은 표기가 있지만 그것은 이들이 각각 ‘가지어’, ‘다치어’의 준말이라는 문법적 사실을 보이기 위한 표기에 불과하다. 제4항의 1) 2)도 이와 같은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제7항에서는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도 ‘밤[栗]:밤[夜]’, ‘눈[眼]:눈[雪]’과 같이 장음 유무에 따라 의미 분화가 이루어지는 예가 허다하며, 장음으로 발음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 많은 한자어가 있는데 이를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래어의 장음을 표기하자면 장음 부호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은 국어의 현용 24자모 이외의 글자나 부호를 만들어 쓰지 않는다는 제1장 제1항의 정신에 어긋난다. 물론 새로운 부호를 쓰지 않고 같은 모음을 겹쳐 적음으로써 장음 표기를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별도의 음절을 이루는 것이므로 장음 표기로 적당하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국어에서는 장음이 첫째 음절에서만 발음되는 경향이 있어서 둘째 음절 이하의 장음 표기는 지켜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장음 표기 규칙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이런 까닭으로 장음 표기는 아예 하지 않기로 한 것이며, 이 규정은 모든 외래어에 적용된다.
제8항 및 제9항 1)에서 [ou], [wou]의 [u]를 따로 적지 않기로 한 것은 이때의 [u]가 일종의 과도음으로 장음 표시에 가까운 것이므로 역시 적지 않기로 한 것이다.
제10항은 독립하여 단독으로 쓰이는 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복합어의 표기에 관한 규정이다. 1)은 독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들이 모여서 하나의 복합어를 이루기는 했으나 이를 한 말로 보아 표기를 하면 이들이 각각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와 아주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서 마치 같은 말을 두 가지로 표기하는 듯한 인상을 주며 기억하기에도 불편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를 살려서 적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bookmaker [bukmeikə]’는 ‘book’과 ‘maker’가 합해서 이루어진 말인데 이들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각각 ‘북’, ‘메이커’로 표기된다. 그런데 [bukmeikə]는, 무성 파열음 [k]는 짧은 모음 뒤일지라도 비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기로 한 제1항 3)에 의하여 ‘부크메이커’가 된다. 즉 ‘북’이 ‘부크’로 나타나게 되어 표기에 변동이 생긴다. ‘북’이나 ‘메이커’가 모두 흔히 쓰이는 말일 때 이러한 표기의 변동은 부담을 느끼게 하고 따라서 그 규정이 잘 지켜지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이다.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접사에 의한 파생어는 이 규정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2)는 원어에서 이미 띄어 쓰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단어가 모여서 된 것이 분명하게 인식되지만, 국어에 들어와서 마치 하나의 복합어처럼 인식되어 쓰이는 말들은 비록 원어에서는 띄어 쓰지만 붙여 적을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도 원어에 충실하며 동시에 1)의 정신을 살려서 각각 단독으로 쓰일 때의 한글 표기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제1항의 1)과 2)는 무성 파열음[p, t, k]가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에 올 경우와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경우의 규정이다. 즉 둘 다 짧은 모음 다음의 [p, t, k]의 표기에 관한 것이므로 한 조항으로 묶을 수도 있으나 그러면 조항이 대단히 길고 복잡해지므로 편의상 두 조항으로 나누어 규정한 것이다.
제3항 3)은 [ʒ]는 ‘지’로 적는다고 하면 대단히 간단해진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vision [viʒən]’은 ‘비젼’이 되어야 하는데 국어에서는 ‘져’가 ‘저’로 발음된다. ‘져’뿐만 아니라 ‘쟈, 죠, 쥬, 챠, 쳐, 쵸, 츄’가 ‘자, 조, 주, 차, 처, 초, 추’로 발음된다. ‘ㅈ, ㅊ’이 이미 구개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쟈, 죠’ 등의 표기는 무의미하다. 국어의 맞춤법에서 ‘가져’, ‘다쳐’ 같은 표기가 있지만 그것은 이들이 각각 ‘가지어’, ‘다치어’의 준말이라는 문법적 사실을 보이기 위한 표기에 불과하다. 제4항의 1) 2)도 이와 같은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제7항에서는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도 ‘밤[栗]:밤[夜]’, ‘눈[眼]:눈[雪]’과 같이 장음 유무에 따라 의미 분화가 이루어지는 예가 허다하며, 장음으로 발음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 많은 한자어가 있는데 이를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래어의 장음을 표기하자면 장음 부호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은 국어의 현용 24자모 이외의 글자나 부호를 만들어 쓰지 않는다는 제1장 제1항의 정신에 어긋난다. 물론 새로운 부호를 쓰지 않고 같은 모음을 겹쳐 적음으로써 장음 표기를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별도의 음절을 이루는 것이므로 장음 표기로 적당하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국어에서는 장음이 첫째 음절에서만 발음되는 경향이 있어서 둘째 음절 이하의 장음 표기는 지켜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장음 표기 규칙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이런 까닭으로 장음 표기는 아예 하지 않기로 한 것이며, 이 규정은 모든 외래어에 적용된다.
제8항 및 제9항 1)에서 [ou], [wou]의 [u]를 따로 적지 않기로 한 것은 이때의 [u]가 일종의 과도음으로 장음 표시에 가까운 것이므로 역시 적지 않기로 한 것이다.
제10항은 독립하여 단독으로 쓰이는 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복합어의 표기에 관한 규정이다. 1)은 독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들이 모여서 하나의 복합어를 이루기는 했으나 이를 한 말로 보아 표기를 하면 이들이 각각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와 아주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서 마치 같은 말을 두 가지로 표기하는 듯한 인상을 주며 기억하기에도 불편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를 살려서 적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bookmaker [bukmeikə]’는 ‘book’과 ‘maker’가 합해서 이루어진 말인데 이들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각각 ‘북’, ‘메이커’로 표기된다. 그런데 [bukmeikə]는, 무성 파열음 [k]는 짧은 모음 뒤일지라도 비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기로 한 제1항 3)에 의하여 ‘부크메이커’가 된다. 즉 ‘북’이 ‘부크’로 나타나게 되어 표기에 변동이 생긴다. ‘북’이나 ‘메이커’가 모두 흔히 쓰이는 말일 때 이러한 표기의 변동은 부담을 느끼게 하고 따라서 그 규정이 잘 지켜지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이다.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접사에 의한 파생어는 이 규정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2)는 원어에서 이미 띄어 쓰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단어가 모여서 된 것이 분명하게 인식되지만, 국어에 들어와서 마치 하나의 복합어처럼 인식되어 쓰이는 말들은 비록 원어에서는 띄어 쓰지만 붙여 적을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도 원어에 충실하며 동시에 1)의 정신을 살려서 각각 단독으로 쓰일 때의 한글 표기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1]
반면에 언중은 대부분
미국 서부 영어를 기준삼기 때문에 괴리가 있다.
[2]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3]
제2~6항, 제9항과 달리 괄호 앞에 띄어쓰기가 있다.
[4]
자음 앞이나 어말의 b를 받침으로 적는 관습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5]
미국식 발음이다. 영국식 발음은 [ˈwɒndə\] '원더'다.
[6]
외래어 표기법 해설(후술)에 따르면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접사에 의한 파생어는 이 규정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install 앞에 un-이 붙은 단어 uninstall은 규정대로면 '언인스톨'이 아니라 '어닌스톨'로 적게 된다.
[7]
지명은 붙여 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부적절한 예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