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子 音 / Consonant소리가 조음기관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서 나는 소리이다. 조음기관끼리 닿아서 나는 소리이기에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자면 ㅋ은 혀의 뒤쪽으로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ㅌ는 혀의 앞쪽으로, ㅍ은 두 입술로 발음하며, ㅎ는 목구멍을 이용한다. ㅁ과 ㄴ의 경우에는 코를 통해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당연히 비교되는 것은 모음.
여기서 성대가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에 따라 무성음/ 유성음 구분이 생긴다.
한국어의 자음은 단독으로 소리를 내지 않는다. 따라서 한글은 자음이 단독으로 나오는 소리를 표기할 방법이 없다.[1]
1.1. 초성
초성(初聲)은 음절의 구성에서 첫소리의 자리인 자음을 가리키며, ‘님’에서 ‘ㄴ’에 해당한다. 첫소리, 초발성이라고도 부른다.[2]1.2. 초성 채움 문자
한글 초성 채움 문자는 음가가 없는 초성에서 또는 우리말에는 없는 외국어의 자음 발음(예 'vi'(ᄫᅵ[3]) 등)을 표기하기 위해서 사용됐으며 최근 현대에는 한글을 사용하는 외국인이 자국의 자음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4]2. 분류
자음의 분류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 |
조음 방향 |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 |
성대 진동 여부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흐름 여부 |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2.1. 성대 울림에 따른 분류
2.2. 조음[5] 위치에 따른 분류
나무위키에서는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이 분류되어 있다.- 양순음(bilabial, 두입술소리)
- 순치음(labiodental, 이입술소리)
- 설순음(linguolabial, 혓날윗잇몸소리)
- 치음(dental, 잇소리)
- 치경음(alveolar, 잇몸소리)
- 후치경음(postalveolar, 뒷잇몸소리)
- 치경구개음(alveolo-palatal, 잇몸센입천장소리)
- 권설음(retroflex, 혀말이소리)
- 경구개음(palatal, 센입천장소리)
- 연구개음(velar, 여린입천장소리)
- 구개수음(uvular, 목젖소리)
- 인두음(pharyngeal, 목구멍소리)
- 후두개음(epiglottal, 울대머리마개소리)
- 성문음(glottal, 울대문소리)
2.3.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아래의 발음은 폐 기류(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비음(nasal / nasal stop, 콧소리)
- 파열음(plosive / oral stop, 터짐소리)
- 파찰음(affricate)
- 마찰음(fricative, 갈이소리)
- 접근음(approximant)
- 전동음(trill, 떨림소리)
- 탄음(flap, tap, 두들김소리)
- 설측음(lateral, 혀옆소리)
아래의 발음은 폐외 기류(non-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2.4. 성절성에 따른 분류
- 성절 자음(syllabic consonant)
3. 기타
조음 위치를 조음 기관에 따라 묶어 보자면- 순음계: 양순음, 순치음, 설순음
- 치음계: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치경구개음
- 구개음계: 권설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 인후음계: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
한국인들이 흔히 장단 구분은 모음에만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모국어인 한국어 한정이고,[6] 이탈리아어나 일본어, 핀란드어 같은 언어들처럼 모음은 물론 자음도 장단 구분을 하는 언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에서는 자음을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자음의 장단을 구분하며,[7] 일본어는 모음의 경우 특정 모음의 결합 및 장음 기호로, 자음의 경우 ' 촉음(っ)'으로 장단 구별을 하며, 핀란드어도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모음과 자음을 중첩해 장단음을 구별한다.
초성만 주고 단어를 맞히는 초성퀴즈라는 놀이가 있다.
방송에서 가게나 음식점을 소개할 때 PPL 방지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초성으로 자막을 넣는다 (예: ㄱ 칼국수집, ㄷ 백화점).
캅카스 지역 언어들은 자음 수가 매우 많은 반면, 폴리네시아 지역 언어들은 자음 수가 적다.
[1]
흔히들 "ㅅ의 단독 발음은 '스'로 소리난다." 식의 오해를 하는데 '스' 발음은 자음 ㅅ이 모음 ㅡ와 합쳐져서 나는 소리이다. 한글의 모음 중 ㅡ가 제일 약한 모음이기에, ㅅ의 단독 발음을 그나마 가깝게 표현할 방법이 '스'인 나머지 그런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
[2]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3]
단, 단순히 표기를 위해 ᄫᅵ를 이용한 것일 뿐, 실제 ᄫᅵ의 발음은 βi이다.
[4]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5]
말의 소리를 내는 데 쓰이는 신체 부위. 대표적으로
성
대가 있다.
[6]
그나마도 21세기 현대 한국어에서는 모음 장단 구분이 점차 소실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7]
예: pene (음경) vs. penne (펜, 혹은
그 모양을 딴 파스타의 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