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헵번식 - 포르투갈식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한어병음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홍콩 정부식 - 마카오 정부식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UN식 | |
아르메니아어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 |
조지아어 |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 |
그리스어 |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 |
히브리어 |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 |
힌디어 | IAST - 헌터식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왕립학회식 | |
벨라루스어 | BGN/PCGN -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 |
러시아어 | BGN/PCGN - GOST 7.79-2000 - ISO 9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 |
1. 개요
일본어, 특히 표준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표기법. 미국 언어학자 엘레노어 하즈 조든(Eleanor Harz Jorden)이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을 수정하여 만든 표기법인데 1987년 그녀의 저서인 Japanese: The Spoken Language에서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에 JSL romanizati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녀가 박사학위를 받은 곳이 예일 대학교라서 일본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Yale romanization of Japanese)라는 별칭이 붙어 있다.2. 특징
예: 立つ(tat-u) | ||
용언 형태 | JSL | 헵번식 |
미연형 1 | tat-a- | tat-a- |
미연형 2 | tat-o- | tat-o- |
연용형 | tat-i- | tach-i- |
종지형 | tat-u. | tats-u. |
연체형 | tat-u- | tats-u- |
가정형 | tat-e- | tat-e- |
명령형 | tat-e. | tat-e. |
장음은 현대 가나 표기법 철자와 무관하게 그냥 모음 문자를 2개 이어서 쓴다. 그래서 JSL에서 도쿄는 Tookyoo
ん은 n이 아니라 n̄으로 쓴다. 따라서 n은 な행의 /n/ 음소를 나타낼 때만 쓴다. (にほん: nihon̄)
/ɡ/ 음소는 \[ɡ\]로만 발음되는 경우 g로 쓰고, \[ŋ\]으로 읽힐 수 있는 경우( 비탁음) ḡ로 쓴다.
조사 は, へ는 실제 발음대로 wa, e로 쓴다.
일본어의 고(高)악센트는 보조 부호를 붙인다. 어절 안에서 고악센트로 발음하기 시작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acute accent)를 붙이고 `(grave accent)는 고악센트가 끝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붙인다. 만약 어절 안에서 한 음절만 고악센트일 경우[1] ˆ(circumflex)를 해당 음절의 모음 위에 붙인다.[2] JSL에서는 일본어의 악센트를 보조 부호로 표현하기 위해 장음을 두 글자로 겹쳐 쓰게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