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09-17 13:04:39

JSL 로마자 표기법

JSL romanization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1. 개요2. 특징3.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어, 특히 표준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표기법. 미국 언어학자 엘레노어 하즈 조든(Eleanor Harz Jorden)이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을 수정하여 만든 표기법인데 1987년 그녀의 저서인 Japanese: The Spoken Language에서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에 JSL romanizati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녀가 박사학위를 받은 곳이 예일 대학교라서 일본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Yale romanization of Japanese)라는 별칭이 붙어 있다.

2. 특징

예: 立つ(tat-u)
용언 형태 JSL 헵번식
미연형 1 tat-a- tat-a-
미연형 2 tat-o- tat-o-
연용형 tat-i- tach-i-
종지형 tat-u. tats-u.
연체형 tat-u- tats-u-
가정형 tat-e- tat-e-
명령형 tat-e. tat-e.
위와 같이 훈령식을 기본으로 했기 때문에 헵번식에 비하면 파찰음화, 구개음화가 반영이 되지 않아 영어 발음상 괴리가 있어도 용언의 활용 체계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장음은 현대 가나 표기법 철자와 무관하게 그냥 모음 문자를 2개 이어서 쓴다. 그래서 JSL에서 도쿄는 Tookyoo투큐, 오사카는 Oosaka우사카로 적힌다. ou, ei는 실제 발음이 '오우', '에이'라고 읽히는 때에 쓰고 장음으로 읽히면 oo, ee로 적는다.

은 n이 아니라 n̄으로 쓴다. 따라서 n은 행의 /n/ 음소를 나타낼 때만 쓴다. (にほん: nihon̄)

/ɡ/ 음소는 \[ɡ\]로만 발음되는 경우 g로 쓰고, \[ŋ\]으로 읽힐 수 있는 경우( 비탁음) ḡ로 쓴다.

조사 は, へ는 실제 발음대로 wa, e로 쓴다.

일본어의 고(高)악센트는 보조 부호를 붙인다. 어절 안에서 고악센트로 발음하기 시작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acute accent)를 붙이고 `(grave accent)는 고악센트가 끝나는 음절의 모음 글자 위에 붙인다. 만약 어절 안에서 한 음절만 고악센트일 경우[1] ˆ(circumflex)를 해당 음절의 모음 위에 붙인다.[2] JSL에서는 일본어의 악센트를 보조 부호로 표현하기 위해 장음을 두 글자로 겹쳐 쓰게 한 것이다.

3. 관련 문서


[1] 즉 앞뒤의 음절은 모두 저악센트. [2] 일본어의 악센트는 높은 음과 낮은 음으로 구별되는 고저 악센트(pitch accent)인데, 가나 문자로는 표기되지 않는다. 일본어의 방언들 중 악센트가 없는 방언(무악센트 방언)을 제외하고, 악센트가 있는 모든 방언에서는 한 어절 안에서 한 번 고악센트에서 저악센트로 내려가면 다시 고악센트로 올라가지 않는다. 그래서 JSL 로마자 표기법에서 악센트 표기를 이런 식으로 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