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0:27:02

숙용 심씨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 | 淑容 沈氏
출생 1465년
사망 1515년 12월 30일( 음력 11월 16일)
(향년 51세)
본관 청송 심씨
부모 부친 - 심말동(沈末同)
모친 - 성주 이씨(星州 李氏)
배우자 성종
자녀 슬하 2남 2녀
장녀 - 경순옹주(慶順翁主)
차녀 - 숙혜옹주(淑惠翁主)
장남 - 이성군(利城君)
차남 - 영산군(寧山君)
봉작 궁인(宮人) → 숙원(淑媛) → 숙용(淑容)
1. 개요2. 생애3. 묘표4.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성종 후궁. 증조부는 조선의 개국공신 청성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 조부는 '강상인의 옥'에 연루되어 죽은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 심정(沈泟)[1], 아버지 심말동(沈末同)은 본래 심정의 얼자로 신분이 종(奴)이었지만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어 양인신분이 되었다. 어머니 이씨도 본래 얼녀였다가 남편따라 양인신분이 되었다. 즉, 소헌왕후의 종질녀(사촌형제의 딸)로 성종과는 8촌지간이다.

슬하에 경순옹주, 숙혜옹주와 이성군 이관, 영산군 이전을 낳아 2남 2녀를 두었다.

2. 생애

언제 어떻게 성종의 후궁이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장녀 경순옹주가 1482년(성종 13)에 태어났으므로 그 이전에 후궁으로 봉작되었을 것이다.

성종의 묘지문에는 '숙원 심씨(淑媛 沈氏)’로 기록되었는데, 성종이 승하한 뒤에 종3품 숙용(淑容)으로 품계가 오른 것으로 보이지만 《 연산군일기》나 《 중종실록》에서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

3. 묘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24호 25호 26호
화의군 이영 묘역 숙용 심씨 묘표 영산군 이전 묘역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5호
숙용 심씨 묘표
淑容 沈氏 墓表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126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 면적 묘표 1基, 토지 0.45㎡
지정연도 2005년 12월 29일
시대 조선 시대
파일:숙용심씨묘표(전면).jpg
<colbgcolor=#89236A> 숙용 심씨 묘표[2]
[clearfix]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사 입구에 숙용심씨묘표(淑容沈氏墓表)가 있다. 그동안 일본 금융계의 중진인 다카하시 고레키요(高橋是淸)[3]의 기념공원 안에 있다가 후손들의 노력으로 2001년 반환받았다. 숙용 심씨의 묘는 오랫동안 실전된 상태라 이 비석이 언제 도난 당했는지 알 수 없지만 대략 임진왜란 때로 추정 중이다.[4]

4. 가족 관계


[1] 소헌왕후의 아버지 청천부원군 심온의 형으로 소헌왕후에게는 큰아버지가 되는 인물이다.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과 일본 총리를 지냈다. [4] 출처: # [5]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형, 고려 신종의 7대손, 영문하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