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7/1928년 | 1928/1929년 | 1929/1930년 | 1930/1931년 | |||||
워너 브라더스 | 찰리 채플린 | 없음 | |||||||
1931/1932년 | 1932/1933년 | 1934년 | 1935년 | 1936년 | |||||
월트 디즈니 | 없음 | 셜리 템플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 시간의 행진 | |||||
1936년 | 1937년 | ||||||||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
에드가 버겐 | W. 하워드 그린 | 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 | 맥 세네트 | |||||
1938년 | |||||||||
J. 아서 볼 | 월트 디즈니 |
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
고든 제닝스 외 10인 |
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
|||||
1938년 | 1939년 | ||||||||
해리 워너 |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 주디 갈랜드 | 윌리엄 카메론 멘지스 | 영화구호기금 | |||||
1939년 | 1940년 | 1941년 | |||||||
테크니컬러 USA | 밥 호프 | 네이선 레빈슨 |
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 |||||
1941년 | 1942년 | ||||||||
레이 스콧 | 영국 정보부 | 샤를 부아예 | 노엘 코워드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조지 팔 | 밥 호프 | 마가렛 오브라이언 |
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
월터 웡거 | |||||
1945년 | 1946년 | ||||||||
내가 사는 집 (영화) | 페기 앤 가너 | 해롤드 러셀 | 로런스 올리비에 | 에른스트 루비치 | |||||
1946년 | 1947년 | ||||||||
클로드 자먼 주니어 | 제임스 바스켓 |
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
빌과 쿠 (영화) | 구두닦이 (영화) | |||||
1948년 | 1949년 | ||||||||
월터 웡거 | 무슈 빈센트 (영화) | 시드 그라우만 | 아돌프 주커 | 진 허솔트 | |||||
1949년 | 1950년 | ||||||||
프레드 아스테어 | 세실 B. 드밀 | 자전거 도둑 (영화) | 루이스 B. 메이어 | 조지 머피 | |||||
1950년 | 1951년 | 1952년 | |||||||
말라파가의 벽 (영화) | 진 켈리 | 라쇼몽 (영화) | 메리안 C. 쿠퍼 | 밥 호프 | |||||
1952년 | 1953년 | ||||||||
해럴드 로이드 | 조지 미첼 | 조셉 M. 쉔크 | 금지된 게임 (영화) | 20세기 폭스 | |||||
1953년 | 1954년 | ||||||||
벨 & 하웰 컴퍼니 | 조셉 브린 | 피트 스미스 | 부스 & 롬 컴퍼니 | 대니 케이 | |||||
1954년 | |||||||||
켐프 니버 | 그레타 가르보 | 존 휘틀리 | 빈센트 윈터 | 지옥문 (영화) | |||||
1955년 | 1956년 | 1957년 | |||||||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 | 에디 캔터 | 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 | 길버트 M. 앤더슨 | 찰스 브래킷 |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
B. B, 카헤인 | 모리스 슈발리에 | 버스터 키튼 | 리 드 포레스트 | 게리 쿠퍼 | |||||
1960년 | 1961년 | ||||||||
스탠 로렐 | 헤일리 밀스 | 윌리엄 L. 헨드릭스 | 프레드 L. 메츨러 | 제롬 로빈스 | |||||
1962년 | 1963년 | 1964년 | 1965년 | 1966년 | |||||
없음 | 윌리엄 J. 터틀 | 밥 호프 | 야키마 카넛 | ||||||
1966년 | 1967년 | 1968년 | 1969년 | ||||||
Y. 프랭크 프리먼 | 아서 프리드 | 존 챔버스 | 오나 화이트 | 케리 그랜트 | |||||
1970년 | 1971년 | 1972년 | |||||||
릴리안 기시 | 오슨 웰스 | 찰리 채플린 | 찰스 S. 보렌 | 에드워드 G. 로빈슨 | |||||
1972년 | 1973년 | 1974년 | |||||||
앙리 랑글로아 | 그루초 막스 | 하워드 혹스 | 장 르누아르 | 메리 픽포드 |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없음 | 마가렛 부스 | 월터 란츠 | 로런스 올리비에 | 킹 비더 |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
현대미술관 영화과 | 할 엘리아스 | 알렉 기네스 | 헨리 폰다 | 바버라 스탠윅 |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
미키 루니 | 할 로치 | 제임스 스튜어트 | 국립예술기금 | 폴 뉴먼 |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알렉스 노스 | 랄프 벨라미 | 없음 | 코닥 |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
구로사와 아키라 | 소피아 로렌 | 머나 로이 | 사티야지트 레이 | 페데리코 펠리니 |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데보라 카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커크 더글러스 | 척 존스 | 마이클 키드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스탠리 도넌 | 엘리아 카잔 | 안제이 바이다 | 잭 카디프 | 어니스트 리먼 |
21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시드니 푸아티에 | 로버트 레드포드 | 피터 오툴 | 블레이크 에드워즈 | 시드니 루멧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로버트 올트먼 | 엔니오 모리코네 | 로버트 F. 보일 | 없음 | 로렌 바콜 | |||||
2009년 | 2010년 | ||||||||
로저 코먼 | 고든 윌리스 | 케빈 브라운로 | 장뤽 고다르 | 일라이 월랙 | |||||
2011년 | 2012년 | ||||||||
제임스 얼 존스 | 딕 스미스 | 돈 앨런 페네베이커 | 할 니덤 | 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 |||||
2013년 | 2014년 | ||||||||
안젤라 랜스버리 | 스티브 마틴 | 피에로 토시 | 장클로드 카리에 | 미야자키 하야오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모린 오하라 | 스파이크 리 | 제나 로우랜즈 | 성룡 | 린 스털마스터 | |||||
2016년 | 2017년 | ||||||||
앤 V. 코츠 | 프레더릭 와이즈먼 | 찰스 버넷 | 오웬 로이즈먼 | 도날드 서덜랜드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아녜스 바르다 | 마빈 레비 | 랄로 쉬프린 | 시실리 타이슨 | 데이비드 린치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웨스 스투디 | 리나 베르트뮐러 | 없음 | 새뮤얼 L. 잭슨 | 일레인 메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리브 울먼 | 피터 위어 | 유잔 팔시 | 다이앤 워런 | 안젤라 바셋 | |||||
2023년 | |||||||||
멜 브룩스 | 캐롤 리틀턴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세실 B. 드밀 Cecil B. DeMille |
|
|
|
본명 |
세실 블라운트 드밀 Cecil Blount DeMille |
출생 | 1881년 8월 12일 |
미국 매사추세츠 주 애쉬필드 | |
사망 | 1959년 1월 21일 (향년 77세)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할리우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80cm |
가족 |
아버지: 헨리 처칠 드밀 어머니: 마틸다 비어트리스 드밀 형: 윌리엄 C. 드밀 |
배우자: 콘스턴스 애덤스 드밀 (1902년~1959년, 사별) 자녀: 캐서린 드밀, 리처드 드밀 포함 4명 |
|
직업 | 영화감독 |
데뷔 | 1914년 영화 'The Squaw Man' 연출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영화감독.<어리석은 자의 낙원>, <폭군 네로>, <평원아>, <대평원>, <정복되지 않는 사람들>, < 지상 최대의 쇼>, < 십계>, < 삼손과 데릴라> 등의 대작 영화들로 유명하다.
골든글로브 시상식에 그에 이름을 딴 '세실 B. 드밀상'이라는 공로상이 있다. 그만큼 할리우드에서 상징하는 바가 큰 감독이다. 또 당연히 세실 B. 드밀 본인이 이 공로상의 첫 번째 수상자였다.[1][2]
미국 영화계에서는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토머스 H. 아인스[3]와 함께 무성 영화 시절 데뷔한 흥행 감독으로 명성이 높다. 또한 스타메이커로도 유명한 감독이었다. 그리피스나 아인스와는 달리[4] 유성 영화로의 전환 역시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명성이 대단했던 인물이다. 다만 드밀의 전성기 시절이 한국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시절이었기에, 전후에 발표한 <십계>와 <삼손과 데릴라>만 유명하다. 그리고 아래의 수구적이고 비호감적인 행적과 더불어 몇몇 영화적 허술함 때문에, 사후에는 지지가 줄어든 감이 있다.[5] 드밀의 사후 50년이 지난 2010년대에 와서야 조금 재평가된 편이다.
비행기 조종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이며, 머큐리 에비에이션이라는 미국 최초의 상업 항공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2. 사생활
집안이 명문가로 유명하다. 아버지는 17세기 때의 네덜란드 이민자 출신 사업가였으며, 부계 가문 자체가 정치인 등 다양한 사람들을 배출한 집안이었다. 어머니는 유대계 혈통의 영국인이었다.본인의 보수주의와 반대로 상당히 사생활이 엉망진창이었던 걸로 유명하다. 아내가 있음에도 마음에 드는 여자에게 집적거리는 등 호색한으로 유명한 데다가[6], 항상 사람들이 떠받들어주길 원해서 시종 비슷한 사람도 있었으며[7], 수틀리면 가지고 있던 총을 꺼내 마구잡이로 쏴댔다고 한다. 이런 인성임에도 대단한 흥행 감독에 제작자였기에 매장당하지 않았던 것이다. 아래에 소개된 일화에서 존 포드가 드밀에게 대들 수 있었던 것도, 영화업계에서 압도적인 거장 감독의 지위와 권위를 가졌던 존 포드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지 평범한 입지를 가진 감독이라면 도저히 있을 수가 없는 일이었다. 드밀이 만든 <마담 사탄>은 그런 드밀의 수구성과 난잡한 사생활 간의 분열증적인 모습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활동 당시에도 까빠가 많았던 감독이다. 존 휴스턴이 대표적인 드밀 까로 유명하다. 아래 존 포드와의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 드밀을 싫어했던 유명 감독이 많았지만, 눈치를 봤는지 막상 반대자를 모집하자 25명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딸 캐서린[8]은 안소니 퀸과 결혼했다가 이혼했다.
3. 존 포드와의 일화
미국에서 매카시즘이 불어닥칠 때, 할리우드 또한 그 광풍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당시 미국감독협회는 조셉 L. 맨키위즈가 회장이었는데, 그는 일부로부터 친공산주의자라고 비판을 받았다.[9] 이를 주도한 인물이 세실 B. 드밀이었다.1950년 10월 22일 베벌리힐스 호텔에서 드밀과 그의 추종자들은 감독협회에서 무려 4시간에 걸친 일장연설을 하며 매카시즘 전파의 선봉에 섰다. 드밀은 협회의 모든 감독들은 정부에 ‘충성맹세’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분위기를 압도했다. 이들의 기나긴 연설이 끝나고, 협회엔 침묵이 감돌았다.
이때 존 포드가 단상에 올라 이렇게 말했다.
"My name’s John Ford. I make Westerns. I don’t think there’s anyone in this room who knows more about what the American public wants than Cecil B. DeMille — and he certainly knows how to give it to them…. "
"나는 존 포드요. 서부극 찍는 사람이올시다.[10] 미국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이 방에서 세실 B. 드밀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오. 그리고 드밀은 그것을 미국인들에게 어떻게 줄 것인지도 분명히 알고 있을 거요.
"나는 존 포드요. 서부극 찍는 사람이올시다.[10] 미국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이 방에서 세실 B. 드밀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오. 그리고 드밀은 그것을 미국인들에게 어떻게 줄 것인지도 분명히 알고 있을 거요.
그리고 다음 순간 포드는 드밀을 바라보며 이렇게 말했다.
"But I don’t like you, C.B. I don’t like what you stand for and I don’t like what you’ve been saying here tonight."
"하지만 나는 당신이 싫소, C.B. 당신의 성향도, 당신이 오늘 밤에 여기서 한 얘기도 싫소."
"하지만 나는 당신이 싫소, C.B. 당신의 성향도, 당신이 오늘 밤에 여기서 한 얘기도 싫소."
당시 레드 컴플렉스에 찌들 대로 찌들어 있었던 미국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매카시즘이라는 일방적인 애국주의에 많은 감독들이 주눅이 들어 있을 때, 정치적으론 보수였지만, 상식을 벗어난 사상인 매카시즘을 극도로 혐오했던 포드의 용기는 팽팽한 긴장의 얼음판을 깨 버렸다. 그의 발언 이후 분위기가 역전된 것은 물론이다. #
이후 발언이 잘 안 알려져 있긴 한데 포드는 이후
"Then I believe there is only one alternative, and I hereby so move: that Mr. DeMille and the entire board of directors resign, and that we give Joe a vote of confidence - and then let's all go home and get some sleep. We've got some pictures to make in the morning."
"그 다음으로 선택지는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세실 드밀 씨와 이사회를 전원 사임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그리고 조(Joe)[11]에게 신임 투표를 하고, 모두 집에 가서 잠을 좀 잡시다.[12] 내일 아침에 각자 찍을 영화들이 있잖아요."
"그 다음으로 선택지는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세실 드밀 씨와 이사회를 전원 사임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그리고 조(Joe)[11]에게 신임 투표를 하고, 모두 집에 가서 잠을 좀 잡시다.[12] 내일 아침에 각자 찍을 영화들이 있잖아요."
라고 마무리 지었다. 그리고 참석자 전원은 존 포드가 제안한 그대로 그 자리에서 세실 B. 드밀과 그의 추종자 전원을 이사회에서 해임시키고 조셉 L. 맨키위즈에게 선임 투표를 한 뒤 집으로 돌아갔다. #
참고로 드밀은 이 이사회에서 꽤 어그로를 많이 끌어 포드 이외에도 다른 감독들에게 반발을 많이 샀다. 윌리엄 와일러는 "난 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쟁 다큐멘터리를 찍다가 폭탄 소리에 귀가 멀 뻔했는데 넌 뭐 했냐"라는 식으로 디스하고 루벤 마물리언은 드밀의 이민자 억양 조롱에[13] "난 내 억양이 자랑스럽고 자신을 미국인이라 생각한다"고 받아쳤을 정도.
4. 작품
- <왕중왕> (1927): 무성 영화
- <십계> (1923): 무성 영화
- <다이너마이트> (1929)
- < 클레오파트라> (1934)
- <대평원> (1939)
- <정복되지 않는 사람들> (1947)
- <삼손과 데릴라> (1949)
- < 지상 최대의 쇼> (1952)
- < 십계> (1956): 자신의 1923년작을 리메이크했다. 마지막 연출작이기도 하다.
5. 여담
- 자신의 대표작 중 하나인 < 지상 최대의 쇼>가 먼 훗날 영화 < 파벨만스>에서 주인공이 인생에서 처음 접한 영화, 영화계에 입문하게 된 계기가 된 영화로 오프닝에 등장한다. <파벨만스>는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의 자전적인 영화인 만큼 당연히 실제로 스필버그가 생애 처음 본 영화 역시 <지상 최대의 쇼>라고 한다. #
- 젊은 날 토머스 에디슨과 반목이 심했다. 에디슨은 자신의 돈을 떼먹히거나 자신의 지적재산권이 침해당하는 걸 극도로 싫어했던 사람이다. 토머스 에디슨 항목에 잘 나와있다. 그런 에디슨이 세운 영화 특허권 회사 'The Edison Trust'는 세실 B. 드밀이 찍은 영화에 쓰인 영화 기술들에 대한 로열티를 요구하며 그에게 압박을 가했고, 이 과정에서 세실 B. 드밀은 두 차례나 총격을 입기도 했다. # # 세실 B. 드밀은 이후 항시 총을 휴대하고 다녔으며, 길들인 늑대를 경비견으로 집에 두기도 했다.
[1]
사실 골든글로브 시상식은 1944년부터 시작된 전통 있는 시상식이지만, 2022년까지 흑인 회원은 단 한 명도 없다거나, 엄연히 미국 영화인 <
미나리>를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떡하니 올려놓는 등 논란이 많은 시상식이다.
[2]
달리 말하면 이런
골든글로브상을 수상했다는 의미는 그만큼 예술적으로 인정받았단 의미이기도 하다(...).
[3]
<
시민 케인>의 실존 인물인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의 요트에서 의문사한 그 사람 맞다. 다만 이 사건은 세실 B. 드밀과는 무관한 사건이다.
[4]
그리피스는 영화사의 높은 분들을 적으로 만든 상태에서 전환에 실패해 유성 영화 시절엔 처참하게 몰락했고, 아인스는
찰리 채플린과 매리언 데이비스,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가 연관된 다소 수상쩍은 의문사로 (공식적인 사인은 심장마비이나, 다른 증인들이 시체가 피투성이로 실려 나왔다는 증언을 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자세한 설명은
찰리 채플린 항목 참조.) 전환도 못하고 비명횡사해버렸다. 루머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가 자신의 요트에서 찰리 채플린이 자신의 내연녀 매리언 데이비스와 불륜을 저지르는 걸 우연히 목격하고 총을 쐈는데 빗나가 애꿎은 토머스 H. 아인스가 맞았다고 한다.(...)
[5]
특히 영화 비평에 격변을 일으킨
누벨바그 멤버들은 드밀에게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다.
[6]
영어로
성상납을 뜻하는 '캐스팅 카우치' 짓을 문자 그대로 했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7]
전속 바이올리니스트에 의자 준비해주는 사람까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8]
친딸이 아니라 입양한 자녀이다.
#
[9]
아이러니하게도 맨키위즈는 공화당 당원이었고 드밀이 밀어줘서 감독협회 회장이 될 수 있었다. 비록 지금 미국 공화당 이미지는 60년대 중후반에야 정립되었다고 하나 나름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사람조차 마녀사냥 당할 정도였으니 얼마나 드밀의 정치질과 매카시즘이 막장이었는지 알 수 있는 사례.
[10]
당시에는 서부극이 낡은 장르 취급을 받았으니, 그리 자랑스러운 자기 소개는 아니었다. 즉 분위기를 뒤집기 위해, 일부러 삐딱하게 자기 소개를 했다.
[11]
조셉 L. 맨키위즈의 애칭이다.
[12]
당시 이사회 회의가 저녁 7시에 시작해 새벽 2시까지 이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컨디션 관리가 중요한 영화감독에게는 굉장한 민폐를 저지른 셈.
[13]
다만 이건 드밀이 말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