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 040 | |||||
1권역 | 100 | 101 | 102 | 103 | 104 | ||
105 | 107 | 109 | 110 | 111 | |||
120 | 121 | 130 | 140 | 141 | |||
142 | 143 | 144 | 145 | 146 | |||
147 | 148 | 150 | 151 | 152 | |||
160 | 162 | 163 | 171 | 172 | |||
173 | |||||||
2권역 | 201 | 202 | 240 | 241 | 242 | ||
260 | 261 | 262 | 270 | 271 | |||
272 | 273 | ||||||
3권역 | 301 | 302 | 303 | 320 | 333 | ||
340 | 341 | 342 | 343 | 345 | |||
350 | 360 | 361 | 37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 400 | 401 | 402 | 405 | 406 |
420 | 421 | 422 | 440 | 441 | ||
452 | 461 | 463 | 470 | 472 | ||
5권역 | 500 | 501 | 502 | 503 | 504 | |
505 | 506 | 507 | 540 | 541 | ||
571 | ||||||
6권역 | 600 | 601 | 602 | 603 | 604 | |
605 | 606 | 640 | 641 | 643 | ||
650 | 651 | 652 | 653 | 654 | ||
660 | 661 | 662 | 672 | 673 | ||
674 | ||||||
7권역 | 700 | 701 | 702 | 703 | 704 | |
705 | 706 | 707 | 708 | 709 | ||
710 | 720 | 721 | 740 | 741 | ||
742 | 750 | 752 | 753 | 760 | ||
761 | 771 | 77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 | 서울02 | 서울04 | 서울05 | 서울07 |
서울08 | 서울09 | 서울10 | 새벽A160 |
1. 개요
대진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2.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3번 | |||||
|
|||||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정릉산장아파트) [도착]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대진여객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래미안블레스티지아파트)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30 |
막차 | 22:1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4~8분 | 주말배차 | 토요일 5~8분 / 공휴일 8~10분 | ||
운수사명 | 대진여객 | 인가대수 | 50대(예비 1대)[1] | ||
노선 | 정릉산장아파트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우체국 - (← 길음역 ←) -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종로5가. 광장시장 ←) - 종로3가.탑골공원 - 종로2가 - 남산3호터널 - 용산구청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잠원한신아파트 - 신반포13차아파트 - 현대아파트 - 한양아파트. 압구정로데오역 - 청담동주민센터 - 청담역 - 봉은사역 - 삼성역 - 휘문중고등학교 - 대치역 - 개포동역.개포시장 - 경기여고 → 래미안블레스티지아파트 → 개포도서관 → 수도전기공고후문 → 개포주공5단지.경기여고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710번 도시형버스(정릉 - 개포동)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43번으로 변경되었고, 개포동 방향 운행 시 청계천로 경유에서 양방향 종로 왕복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8월 22일 한국은행 앞 사거리 좌회전 금지가 해제되어 개포동 방향이 롯데백화점 - 남대문시장 - 서울역 - 남산3호터널을 경유하던 것에서 곧바로 롯데백화점 - 남산3호터널로 운행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2013년 5월 8일 개포동 구룡마을 회차지점 부지 문제로 경기여고 → 개포3단지 → 양재대로 → 개포중학교 → 수도전기공고후문 → 경기여고로 변경됐다.
- 2013년 7월 15일 회차구간을 운행한 뒤 수도전기공고에서 다시 개포3단지 상가 앞으로 와서 쉬었다가 양재대로 → 개포중 → 개포도서관 → 경기여고로 운행하도록 바뀌었다.
- 2014년 5월 30일 경기여고에서 우회전하여 개포중학교까지 운행 후, 구룡마을 앞에서 좌회전하여 양재대로를 타고 일원터널 앞 지하차도 위에서 대기하다가 U턴해서 다시 역순으로 운행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 2020년 1월 1일 예비차 3대 중 1대가 상용 차량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1116번으로 이동했다. 다만 공문 및 첨부 문서의 내용 전반을 감안할 때, 이번 조치는 1116번의 증편을 위한 건 아니고 8002번, 8003번 신설을 위한 준비 작업으로 추정된다.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므로 운행횟수나 배차간격 등은 변동 없이 유지됐다. 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부터 영동교입구.청담자이아파트(23168)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2월 14일 개포동역 ~ 구룡마을 구간이 임시로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래미안블레스티지 입주민들의 거센 반발 및 국회의원의 개입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2년 10월 17일 회차여건에 대한 구룡마을 개발계획의 영향에 따른 대응책 차원에서 별도의 여객자동차운송사업개선명령이 수립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회차지점이 일원지하차도 상부에서 레미안블레스티지아파트 정류소로 변경되고, 운행경로 역시 수도전기공고후문 ~ 개포중학교 구간도 왕복 운행하는 대신 경기여고 정류소에 정차 후 직진, 그 후 개포 3,4단지 교차로에서 우회전한 다음 변경된 회차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정릉 방면 운행을 시작하는 형태로 변경됐다. 우회 과정에서 지나가는 디에이치아너힐즈(ID 23-349) 정류소에는 인가상 정차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다음해 1월 11일까지 임시 승하차를 허용했다. 이에 따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 걸쳐 250분에서 230분으로 조정됐다.(다만 정상운행차량 및 단축운행차량 각각의 대당 운행횟수와 1일 총 운행횟수, 배차간격 등은 모두 현행 유지)
관련 공문
{{{#!folding [ 변경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2022년 12월 1일 평일 정상운행차량 2대와 예비차 1대가 N31번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04회에서 196회로 8회 감회됐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
- 2023년 1월 12일 부로 미인가였지만 임시 승하차를 허용하던 디에이치아너힐즈 정류소를 인가 승인시까지 무정차 통과한다. 관련 사진
- 2023년 5월 29일 부로 상술한 디에이치아너힐즈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4년 6월 24일부터 동년 7월 21일까지 운행사원 부족으로 인해 평일 운행대수가 1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된 192회로 조정되나,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4. 특징
- 2023년 기준 전국에서 가장 승차량이 많은 노선이다. # 기점 부근을 제외하고는 여유롭지 않다고 보면 된다.
- 전체적인 노선형이 강남 북부지역을 기준으로 S라인을 그리고 있어서, 강북 → 강남 동부나 그 역 등, 강남 북부지역 그 이상을 넘어가는 수요는 없고, 잠원동에서는 신반포13차아파트를 거치고 가는 등 돌아가는 형태로 345번, 4318번와 달리 신동중학교로 우회해서 압구정으로 나간다.
- 경기여고, 휘문고, 경기고, 청담고, 압구정고, 현대고 등 강남구 소재 고등학교들을 쭉 꿰고 있고 성신여대~종로에서 고속터미널을 연결하는 등 수요 밀집처를 연결해주고 있어 구간 수요가 매우 많다. 이처럼 강남권 주요 고교들을 경유한다. 게다가 대치동 학원가의 수요도 많고, 학원이 끝나는 22시 이후 그 구간 수요도 많다.
- 개편 전 1, 16, 222번 등 강남행 노선의 정릉동 일대의 이용객을 이 노선이 모두 떠맡으면서 혼잡한 노선이 됐다.
- 국내외 관광객들과 서울 거주 외국인들에게도 매우 인기가 많고, 421번과 함께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 배낭여행객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 대학로, 종로, 명동, 남대문시장, 해방촌, 반포한강공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동, 내리면 근거리에 있는 성북구 정릉, 성북동, 인사동길, 이태원동, 남산 케이블카, 북한산 같은 서울 시내의 각종 명소와 인기 관광지를 지나며,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이태원 근처도 지나는 노선인 만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고속터미널에서 청담역, 삼성동(봉은사/코엑스), 대치동 등 강남구 동·남부지역으로 갈 때는 이 노선은 압구정동으로 돌아가므로 청담역으로는 401번이나 서울 지하철 7호선, 삼성동(봉은사/코엑스)으로는 9호선, 대치동으로는 3호선을 타는 것을 권장한다.
- 압구정로데오역~압구정역 구간에서 대학로로 갈 경우 이 노선보다는 301번을 타는 것이 빠르다.
- 운행댓수가 많아서 배차간격도 상당히 좋다. 1~2분 간격으로 빗자루질할 때도 많으며 길이 심각하게 막히지 않는 이상 5~8분 안에는 온다. 물론 퇴근시간대나 주말에 고속터미널 부근의 극심한 정체 영향으로 10분 이상의 간격으로 벌어질 때도 자주 있다. 교통체증이 심할때는 운에 맡기는게 좋다.
- 막차가 기점 기준 22:10으로 빠른 편인데 정작 막차가 종점에서 다시 기점을 향하는 시각은 23:50 이며, 고속터미널 정류소는 빨라도 00:30분 경에 통과한다. 덕분에 막차가 늦은 노선 중 하나로 인식되며, 실제로 막차가 차고지로 매우 늦게 들어온다. 또한 막히는 구간들이 많아 인가된 소요시간도 4시간이 넘는다. 심한 정체시 5시간까지 소요된다.
- 개포동(종점) 방향 운행 시 을지로입구역.광교 정류장을 무정차하므로 종로2가 정류장 또는 롯데백화점 정류장을 이용해야 하며, 정릉동(기점) 방향 운행 시 종로5가.효제초등학교 정류장을 무정차하므로 종로5가.효제동.김상옥의거터 정류장을 이용해야 한다.
- 정릉동 차고지에서는 차고지 초입의 안내판에서 타면 된다.
- 개편 전 710번 시절부터 개포중학교까지 양방향으로 운행한 뒤 도선여객 차고지 바로 옆의 구룡마을 입구쪽에서 회차했다. 2대 정도의 정차공간 및 대진여객 소유의 컨테이너 박스가 있어서 잠시 이 곳에서 대기했다가 출발했으며 가끔 다이어 문제로 정릉에서 충전하지 못한 차량이 도선여객 충전소에서 충전하고 운행을 재개하곤 했다.
- 2013년 5월 8일부터 회차 방식이 루프식으로 바뀌며 한동안 노선 변경이 심히 잦았는데, 첫 변경 때는 경기여고 → 개포3단지 → 양재대로 경유 → 개포중학교 → 수도전기공고후문 → 경기여고로 편도운행하게 됐다. 내부의 안내문에 의하면 민원 때문이라고 하는데 아마 주변 구룡마을 주민들의 민원이 있었던 듯하다. 그리고 실제로 회차지 휴식 문제가 불거지면서 불과 두 달남짓 지난 7월 15일에 2차 변경이 있었으니, 회차 구간을 2번 도는 걸로 바뀌었다. 즉 1차로 회차구간을 운행한 뒤 수도전기공고에서 다시 개포3단지 상가 앞으로 와서 휴식을 취한 후 양재대로 → 개포중학교 → 개포도서관 → 경기여고로 운행하는 것. 때문에 개포중학교 - 수도전기공고 후문 구간에서는 행선판을 확인한 다음 탔어야 했다. 그 후 구룡마을 개발이 서서히 가시화되고, 결국 2014년 6월 옛 회차지점에 음식점이 들어오면서 대진여객 공간이 사실상 사용불가 상태가 됐다.
- 노선 변경 안내문마다 임시 회차지점임을 명시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구룡마을 개발이 완료되면 과거처럼 회차 대기가 가능한 공간을 입구 쪽에 새로 지어놓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742번만큼 유명하지 않지만 이 노선도 마찬가지로 근로 환경이 좋지 않다. 결국 회차지점에서 승무원들의 용변 문제로 포털사이트 기사에 실렸고,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이 문제가 심한 탓에 개포동 구간을 단축하고 대치동에서 회차하거나 개포3,4단지에서 회차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개포1,2단지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개포도서관 부근에 143번을 위한 버스전용 주정차 공간을 만들고 주변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용변문제가 꽤 해결되었다.
- 2016년 4월 18일 KBS 다큐멘터리 버스 1회에서 이 노선이 방송됐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43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08년 | 41,090명 | - |
2009년 | 41,770명 | △ 680 |
2010년 | 43,678명 | △ 1,908 |
2013년 | 41,250명 | ▽ 2,428 |
2014년 | 40,672명 | ▽ 578 |
2015년 | 40,157명 | ▽ 515 |
2016년 | 39,438명 | ▽ 719 |
2017년 | 39,268명 | ▽ 170 |
2018년 | 38,345명 | ▽ 923 |
2019년 | 38,733명 | △ 388 |
2020년 | 28,936명 | ▽ 9,797 |
2021년 | 29,015명 | △ 79 |
2022년 | 33,054명 | △ 4,039 |
2023년 | 33,912명 | △ 858 |
2024년 |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종로3가역, 종각역, 종로5가역[정릉]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삼성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고속터미널역, 압구정역[3], 대치역[4]
-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역[정릉],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정릉]
-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7]
-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청담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봉은사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압구정로데오역, 개포동역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8], 성신여대입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