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1:22

비만 수용 운동

차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형태 구조적 차별 · 내면화된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 반화) · 코리아인*( 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 계급( 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 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 동성애( 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 미소지니 · TERF) · 혐오 수사( 비하명칭)
종교 기독교( 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 공포증( 히잡))
특성 ( 남성 · 시스섹시즘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 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 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 체제화 · 흑인) · 자폐 · 장애( 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 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젠더주의 · 반지성주의 · 백호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 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부미푸트라 정책 · 인종 분리주의( 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혈통주의( 한 방울 원칙 · [혈통적] 한민족주의)
대책 다문화주의 · 다양성( 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 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 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 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 민족주의) · 모범적 소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스테레오타입 · 싫어할 권리 · 억압 · 역차별 · 우요쿠단타이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단체 · 증오 발언( 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 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 마름)) · TERF의 섬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파일:비만수용운동이미지.jpg
비만 수용 운동
Fat Acceptance Movement
1. 개요2. 몸 긍정과 차이3. 비만 페미니즘과 차이4. 전문가의 의견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Is-Fat-Acceptance-a-good-thing.jpg
플러스 사이즈 모델 테스 홀리데이

비만 신체에 대한 사회 인식에 반발하여 주위의 시선이나 비판을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자기 자신의 신체의 행복함을 위해 생활하며 다이어트를 장려하지 않는다. 말 그대로 뚱뚱한 것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복함을 추구하는 운동이다. 더 나아가 비만인 인물도 차별 없이 방송에 출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한 의학계와는 매우 사이가 나쁜 편이다.

2. 몸 긍정과 차이

비만 수용 운동은 몸 긍정의 하위 개념이지 몸 긍정에 비만 수용 운동만 있는 것은 아니다.

3. 비만 페미니즘과 차이

비만 페미니즘(Fat Feminism)은 비만 여성이 다른 정체성에 비해 차별받는다는 생각으로 시작된 페미니즘으로 그녀들은 모든 비만인이 동일하게 차별받는다고 생각하는 비만 수용 운동가와 달리 비만 남성보다도 비만 여성이 특히 차별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비만 페미니스트들은 비만 남성은 장군감으로 칭송받을 때가 있지만 비만 여성은 메퇘지, 파오후 쿰척쿰척 따위로 조롱 대상이 되거나 심지어 린치 대상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페미니스트가 예시로 드는 장군감은 근육돼지인데 이는 여자도 마찬가지로 장미란이 뚱뚱했다고 욕하는 사람은 없으므로 예시부터 틀렸다. 물론 여성도 멸칭만 없지 만만치 않게 비난받으나 뚱뚱하다고 욕하는 사람은 성별 구분 없이 비만인 걸 까는 거지 성별은 별로 신경 안 쓴다. 고로 비만을 욕하는 걸 멈추라는 주장에 어느 성별이 더 많이 모욕당하는지를 따지는 건 무의미하다.

애초에 파오후 쿰척쿰척이라는 워딩도 비만 남성을 조롱하며 쓰인 게 시초였으며 지금까지도 파오후라고 하면 성별을 언급하지 않아도 당연히 남자라고 받아들일 만큼 비만 남성을 지칭하는 단어로 굳어졌다. 마찬가지로 돼지 육수, 문신돼지 같은 워딩도 비만 여성보다 비만 남성에게 쓰이는 경우가 압도적이다. 당장 구글, 네이버,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 '돼지육수'라고 검색하면 뜨는 첫 1~10페이지의 게시글 모두가 비만 남성에 관한 것들뿐이다. 비만 여성을 돼지육수라고 부르는 게시글은 남성에 비해 드문 편이다. 오히려 페미니스트가 비판하는 마른 몸 화장 덕지덕지 바르고 남자 꼬시고 다니는 여자의 명칭인 문신돼지 여친의 특징이라면서 돌아다니고 있다.

아이러니한 점은 본인의 이러한 행적이 뚱뚱한 여성을 비하하는 단어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당장 페미, 메갈이 곧 뚱뚱한 여자를 칭하는 말이 되었고 실제로 뚱뚱한 사람의 사례가 공유되면서 이런 이미지가 더욱 굳혀졌다.

애초에 비만인 걸 까는 사람은 그냥 사람 욕하는 게 재밌어서 까는 것일 뿐이다. 표면적으로는 건강을 걱정해 준다는 이유가 있고 초고도비만에 해당하는 경우는 걱정해 줄 만하지만 당장 건강에 이상에 없고 자기 몸도 아닌데 그걸 본인들이 굳이 신경써 줄 이유는 없는데도 걱정보다는 까는 듯한 공격적인 댓글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페미니스트는 좋지 못한 주변 환경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많고 이를 흘려듣지 못하고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비만 페미니스트들은 SNS, 언론을 이용해 몸 긍정, 비만 수용 운동을 장악하면서 비만 여성만을 위한 운동으로 만들고 있어 관련 운동가들에 대한 내부 비판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배리나가 대표적이다.

4. 전문가의 의견

초고도비만자가 흔하면서 동시에 정치적 올바름의 영향으로 비만 정당화 운동이 가장 활발한 미국에서는 이미 비만 수용 운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미국에서는 인구 중 1/4 정도의 사람들이 비만의 위험성을 얕보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의 몸무게 정상이라고 굳게 믿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리버럴 성향이 강한 사회의 비만 환자들은 엄연히 질병인 비만이 옳고 아름다운 것인 양 세뇌하는 정치적 올바름의 악영향으로 인해 몸의 상태를 봐야 하는 의사가 던지는 지극히 당연한 몸무게 관련 질문에도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는 일이 잦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의사들은 그 어떤 이유로든 치명적 질환인 초고도비만(morbid obesity)이 정당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즉, 그 어떤 전염병보다 심각하고 빠르게 미국 및 선진국 사회를 좀먹고 있는 비만이라는 만악의 근원과 싸우고 있는 일선의 의사들에게 있어서 비만 수용 운동은 안아키와 별반 다를 바가 없는 비만인의 악질적 자기정당화이며 최악의 세뇌 프로파간다일 뿐이다.

어느 수준의 지방(정확히는 과체중)이 몇몇 부분에서 건강에 기여하곤 한다는 연구결과는 많지만 고도비만, 초고도비만이 건강에 기여하는 경우의 수는 없다. 그러나 정치적 올바름 지지세력들은 이런 부분을 교묘하게 바꾸어서 엄연한 질병을 가졌고 그것을 하루빨리 고쳐야 할 사람을 자신의 몸을 자랑스러워하라는 식으로 세뇌치료를 완강히 거부하고 같은 질병을 주위에도 퍼지게 만들기 때문에 비만 수용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단, 의사 쪽에서도 일방적인 의견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과도한 비만자 혐오(fat shaming)가 비만자의 우울증 증세를 악화시키거나 자신감을 약화시켜서 도리어 폭식 섭식장애에 취약하게 만든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하며 비만인에 대한 편견(fat bias)이 올바른 치료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즉, 비만과 관계된 질환일 거라고 지레짐작해 환자가 적기에 올바른 진단을 받지 못하게 만드는 일이 있어 내부적으로 이에 대한 반성이 나온다.[1] 즉, 비만 수용 운동에 대한 반대는 옳으면서도 비만자 개인에 대한 혐오나 비난은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5. 관련 문서



[1] House M.D.에 fat bias가 묘사된 에피소드가 있다. 초고도비만 환자가 보일 수 있는 온갖 추태를 다 부리며 자신의 비만을 정당화하는 환자와 의사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윤리를 내다 버리고 마구잡이로 무시하고 막 대하는 의료진의 환상적인 콜라보 끝에 그의 질환은 비만과는 조금도 상관없는 것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fat bias에 대해 다룬 한 의사 유튜버는 해당 에피소드를 분석하며 "애초에 이렇게 환자를 혐오 어린 시선으로 대하는 사람은 의사가 될 수 없다"고 잘라 말했을 정도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44
, 4.1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4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