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21:27:52

북한-영국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암바조니아 국기.svg
암바조니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영국·스페인·지브롤터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영국-나치 독일 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영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K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북한 영국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대사관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영국 북한의 관계. 영국은 2001년에 북한과 수교했지만, 서방 국가가 다 그렇듯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하기 때문에 북한과의 관계는 사이가 좋지 못하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영국군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에 63,000명이라는 대병력을 파병해 북한과 싸운 전적이 있고 이 영국군은 1993년까지 한국에 주둔했다.

2.2. 21세기

토니 블레어 노동당 정권 시절인 2001년에 수교했다. 영국 노동당 북한 노동당의 조우 하지만 이상할 정도로 친할 이유가 없는데 친하다. 아니, 친해 보인다. 북한에 영국 대사가 파견되어 있으며 영국에도 북한 대사가 파견되어 있다. 영국대사는 김정은과 놀이공원에서 같이 놀기도 하고 김정은의 식사에 자주 초빙되기도 하는 등 영국과 북한은 의외의 우정을 다지고 있다. 단, 영국은 북한의 적대국이며 대북제재에도 동참했고 한국을 언제나 지지하고 있다.[1]

현재에도 한미연합훈련에 자주 동참하며, 한국의 주요 군사동맹국의 일원으로서 조선인민군과 적대하고 남북한간 전쟁 발발시 미국 다음으로 파병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북한도 영국을 좋지 않게 보기는 마찬가지라 미국 다음으로 디스하는 국가가 일본과 영국이다.[2]

2015년 공개된 영국 정부 국방 리포트에 따르면 북한을 미래 위협으로, 한국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중인 아시아 중요 우방국 중 하나로 지정해놨다. 2016년으로 예정된 영국군 아시아-태평양 사령부 창설 이후 안보 및 군사 분야에서 한영 관계에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8월에 주영 북한대사 차석에 해당되는 태영호 공사가 한국으로 귀순하였다. # 황장엽 이후 북한 최고위층이 망명한 셈이다. 앞으로 영-북 관계가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 태영호 공사가 망명함에 따라서 현직 대사였던 현학봉 대사가 본국소환당했고, 후임으로 2016년 11월 4일 최일 대사가 임명되었다.
최일 대사와 3분 인터뷰 영상(스카이뉴스)

2018년 12월 29일에 요미우리 신문은 북한이 90년대초에 영국과 수교를 맺으려는 사실이 비밀 해제된 영국 공문서를 통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 그리고 북한산 석탄의 밀수출에 영국 선적 선박이 사용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지 통신이 보도했다. #

2020년 6월, 영국 외무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을 걸어 잠근 북한이 현재 인도적 위기를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2020년 7월, 영국이 북한을 제재하자 북한은 반발했다. # 이에 더불어 영국은 5년 연속 북한을 인권 상황이 심각한 국가로 지목했다. #

북한이 미국인과 영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국가로 뽑혔다. #

2020년 북한과 영국의 교역규모가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서구권의 북한내 인권침해에 대해 지적하자 북한은 잉글랜드 내 인종차별에 대해 비판했다. #

영국측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비판했다. #

3. 대사관

북한과 영국은 각각 런던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영국은 평양에 대사관을 운영하는 몇 안되는 서방 국가이며, 또한 주영 대사관은 북한이 서유럽에 꾸린 3개뿐인 공관[3] 중 하나이다. # 북한 내에 영국 대사관을 운영하는 이유는 북한과 영국이 가까워서라기 보다는 사실상 유일하게 북한과 직접 대화가 가능한 서방 국가로서 영국이 일종의 총대를 매고 있는 것과 같다. 독일 스웨덴도 평양 주재 대사관을 운영하지만 독일은 기존 동독의 외교관계가 이어진 형태로 공격적인 외교는 지양하고 있으며, 스웨덴은 중립국으로서 위상이 반영된 편으로 일종의 옵저버 국가에 가깝다. 이 때문에 미국 NATO 진영 유럽국가들도 영국을 통해 북한과 간접적인 대화를 진행하기도 한다. 북한 역시 이러한 서방 국가와의 대화창구로서 영국과의 관계를 꽤 중요시하는 편. 괜히 망명에 성공한 전 주영 북한공사 태영호가 화제가 된 것이 아니다. 여담으로 영국, 스웨덴 대사관과 프랑스 연락사무소는 독일 대사관에 세들어 운영한다. 구글맵으로 보면 건물 입구에 스웨덴, 영국, 독일 국기와 EU기가 걸려있고 벽면에 4개국 문장이 붙어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북한이 국경과 외국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2020년 상반기에 모두 폐쇄되었다.

4. 기타

북한의 영어교육은 공식적으로 영국식을 채택했다.[4]

5. 관련 문서



[1] 당장 영국은 북한의 주적인 미국의 핵심 동맹국인 파이브 아이즈의 일원이다. 또한 한반도 유사시 당연히 남한의 편을 들 것이 분명하고 미국 다음으로 파병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가 영국과 영연방 국가들이다. 영국 입장에서도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당연히 한국이 북한보다 훨씬 중요한 파트너이다. [2] 그도 그럴게 자본주의 자체의 개념이 영국에서 먼저 잡혔다. [3] 나머지는 주 이탈리아, 주 스페인 대사관. [4] 반미국가 특성상 영어를 미 제국주의 언어라 멸시해왔지만, 국제화 시대에 영어는 어느나라나 외교관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영국식 영어를 북한도 교육하기 시작했다. 물론 미국식 영어는 철저하게 배제한다. 다만 북한 외에도 대다수의 비 영미권 국가들은 미국식 영어가 아닌 영국식 영어를 기준으로 배운다. 미국식 영어를 배우는 국가는 대한민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7
, 1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7 ( 이전 역사)
문서의 r281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