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0:11

방멱 정리

평면기하학
Plane Geomet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공통 도형 · 직선 ( 반직선 · 선분 · 평행) · ( 맞꼭지각 · 동위각 · 엇각 · 삼각비) · 길이 · 넓이 · 다각형 ( 정다각형 · 대각선) · 작도 · 합동 · 닮음 · 등적변형 · 삼각함수 ( 덧셈정리) · 접선 · 벡터
삼각형 종류 정삼각형 · 이등변삼각형 · 부등변삼각형 · 예각삼각형 · 직각삼각형 · 둔각삼각형
성질 오심 ( 관련 정리 · 구점원) · 피타고라스 정리 · 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 헤론의 공식 · 신발끈 공식 · 스튜어트 정리 · 우산 정리 · 오일러 삼각형 정리 · 데자르그 정리 · 메넬라오스 정리 · 나폴레옹의 정리 · 체바 정리 · 사영 정리 · 판아우벌 정리
기타 세모 모양 · 평범한 삼각형 · 젤곤 삼각형 · 랭글리 삼각형 · 페르마 점
사각형 정사각형 · 직사각형 · 마름모 · 평행사변형 · 사다리꼴 · 등변 사다리꼴 · 연꼴 · 네모 모양
그 외 다각형 오각형 · 육각형 · 칠각형 · 팔각형 ( 정팔각형) · 구각형 · 십각형 · 십일각형 · 십이각형 · 백각형
단위원 · 원주율 · · 부채꼴 · 할선 · 활꼴 · 방정식 · 원주각 · 방멱 정리 · 톨레미 정리
원뿔곡선 포물선 · 타원 · 쌍곡선 · 파스칼 정리
기타 유클리드 · 보조선 · 테셀레이션( 펜로즈 타일) · 제곱근의 앵무조개 · 픽의 정리 · 논증 기하학 · 해석 기하학 · 3대 작도 불능 문제 }}}}}}}}}


1. 개요2. 종류
2.1. 두 현에 대한 방멱 2.2. 두 할선에 대한 방멱2.3. 할선과 접선에 대한 방멱
3. 방멱 정리의 역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 power theorem

원의 현, 할선, 접선에 관한 정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방멱이란, 어떤 한 점 [math( \rm{P} )]를 지나는 직선이 어떤 원 [math( O )]와 만나는 점을 [math( \rm A )], [math( \rm B )]라 했을 때, 두 선분의 곱 [math(\displaystyle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를 가리킨다. 보통 방멱 정리 또는 할선 정리, 접선 정리라고 불린다.

방멱 정리는 아래와 같은 3종류가 있다.
결국 한 점 [math( \rm P )]에 대해 임의의 직선에 대한 방멱이 점 [math( \rm P )]가 반지름 [math(r)]의 원의 중부인지 내부인지, 직선이 원에 접하는지 두 점에서 만나는지에 상관없이

[math(\displaystyle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 {\overline{\rm PO}}^2 - r^2| )]

로 일정하다는 것이다.

이 문서는 원주각 문서의 내용을 방멱으로 모두 이해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다. 원주각 관련 정보를 모를 경우 해당 문서의 내용을 먼저 숙지하고 와야한다.

2. 종류

2.1. 두 현에 대한 방멱

파일:나무_원주각_원과 비례_1.png
[math( \overline{\mathrm{PA}} \cdot \overline{\mathrm{PB}}=\overline{\mathrm{PC}} \cdot \overline{\mathrm{PD}} )]

증명은 아래와 같이 한다.

파일:나무_원주각_원과 비례_1_증명.png

보조선으로 [math(\overline{\mathrm{AC}})], [math(\overline{\mathrm{BD}})]를 사용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angle{\mathrm{CAB}}=\angle{\mathrm{CDB}} \quad)](호 [math(\mathrm{BC})]에 대한 원주각)

이고,

[math(\displaystyle \angle{\mathrm{APC}}=\angle{\mathrm{DPB}} \quad)]( 맞꼭지각)

이므로

[math(\displaystyle \triangle{\mathrm{APC}} \sim \triangle{\mathrm{DPB}} \quad)]([math(\mathrm{AA})] 닮음)

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A}}:\overline{\mathrm{PD}}=\overline{\mathrm{PC}}:\overline{\mathrm{PB}} )]

이것을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A}} \cdot \overline{\mathrm{PB}}=\overline{\mathrm{PC}} \cdot \overline{\mathrm{PD}} )]

을 얻는다.

2.2. 두 할선에 대한 방멱

파일:나무_원주각_원과 비례_2.png
[math( \overline{\mathrm{PA}} \cdot \overline{\mathrm{PB}}=\overline{\mathrm{PC}} \cdot \overline{\mathrm{PD}} )]

증명은 아래와 같이 한다.

파일:나무_원주각_원과 비례_2_증명.png

보조선으로 [math(\overline{\mathrm{AC}})], [math(\overline{\mathrm{BD}})]를 사용한다. 이때, [math(\triangle{\mathrm{APC}})], [math(\triangle{\mathrm{BPD}})]에서 [math(\angle{\mathrm{BPD}})]는 공통인 각이고, [math(\square \mathrm{ACDB})]는 원에 내접하므로 [math(\angle \mathrm{PAC})]와 그 내대각 [math(\angle \mathrm{CDB})]는 같다( 증명). 따라서

[math(\displaystyle \triangle{\mathrm{APC}} \sim \triangle{\mathrm{DPB}} \quad)]([math(\mathrm{AA})] 닮음)

이고,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A}}:\overline{\mathrm{PC}}=\overline{\mathrm{PD}}:\overline{\mathrm{PB}} )]

이 성립하므로 이것을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A}} \cdot \overline{\mathrm{PB}}=\overline{\mathrm{PC}} \cdot \overline{\mathrm{PD}} )]

을 얻는다.

혹은,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성질을 쓰지 않고 삼각형 PAD와 삼각형 PCB가 닮음이란 사실로부터 유도할 수도 있다.

2.3. 할선과 접선에 대한 방멱

파일:파일-나무_원주각_할선과접선_New.png
[math( {\overline{\mathrm{PT} }}^{2}=\overline{\mathrm{PA} } \cdot \overline{\mathrm{PB}} )]

사실 이것은 두 할선에 대한 방멱 정리에서 할선의 극한이 접선이라는 사실로부터 예상할 수 있다.

증명은 아래와 같이 한다.

파일:나무_원주각_할선과접선_증명.png

보조선으로 [math(\overline{\mathrm{AT}})], [math(\overline{\mathrm{BT}})]를 사용하자. [math(\triangle{\mathrm{APT}})], [math(\triangle{\mathrm{TPB}})]에서 [math(\angle{\mathrm{APT}})]는 공통이고, [math(\angle{\mathrm{ATP}}=\angle{\mathrm{ABT}})][1]가 성립하므로

[math(\displaystyle \triangle{\mathrm{APT}} \sim \triangle{\mathrm{TPB}} \quad)]([math(\mathrm{AA})] 닮음)

이고,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T}}:\overline{\mathrm{PB}}=\overline{\mathrm{PA}}:\overline{\mathrm{PT}} )]

이 성립하므로 이것을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overline{\mathrm{PT} }}^{2}=\overline{\mathrm{PA} } \cdot \overline{\mathrm{PB}} )]

을 얻는다.

3. 방멱 정리의 역

피타고라스 정리의 역과 비슷하게 방멱의 정리에도 역이 있다.
서로 다른 두 직선 [math(\rm AB)]와 [math(\rm CD)]의 교점 [math( \rm P )]에 대해서 [math(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overline{\rm PC}\cdot\overline{\rm PD} )]가 성립하면 네 점 [math( \rm A )], [math( \rm B )], [math( \rm C )], [math( \rm D )]는 원 위에 있다.

이것의 증명은 세 점 [math(\rm A)], [math(\rm B)], [math(\rm C)]가 원 위에 있다고 가정하고[2], 선분 [math(\rm CP)]의 연장선과 원이 만나는 점을 [math(\rm D')]라 하자. 방멱 정리에 의하여 [math(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overline{\rm PC}\cdot\overline{\rm PD'} )]이 성립한다. 한편, [math(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overline{\rm PC}\cdot\overline{\rm PD} )] 또한 성립하는데, 두 식을 연립하면 [math(\overline{\rm PD}=\overline{\rm PD'})]이다. 그런데 두 점 [math(\rm D)], [math(\rm D')] 모두 선분 [math(\rm CP)]의 연장선(혹은 해당 선분) 상에 존재하므로 두 점은 같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는다. 따라서 [math( \overline{\rm PA}\cdot\overline{\rm PB}=\overline{\rm PC}\cdot\overline{\rm PD} )]을 만족하면, 네 점 [math(\rm A)], [math(\rm B)], [math(\rm C)], [math(\rm D)]는 한 원 위에 있다.

4. 기타

5. 관련 문서



[1] 원주각 문서의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 문단 참조. [2] 삼각형은 항상 그에 외접하는 원이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