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07:45:54

이태좌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제304대

이병모
제305대

심환지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제337대

이병모
제338대

심환지
제339대

이시수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좌의정 증 영의정
충정공(忠定公)
이태좌
李台佐
출생 1660년 12월 4일
(음력 현종 1년 11월 3일)
사망 1739년 5월 2일 (향년 78세)
(음력 영조 15년 3월 25일)
시호 충정(忠定)
본관 경주 이씨
국언(國彦)
아곡(鵝谷)
붕당 소론
부모 부친: 이세필(李世弼, 1642 ~ 1718)
모친: 반남 박씨 박세모(朴世模, 1610 ~ 1667)의 딸
배우자 처: 증 정경부인 남양 홍씨(당홍계)[1]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의 문관.

2. 생애

선조 때 영의정 이항복의 4대손이며,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광좌의 재종형이다.

소론에 속하였고,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 등 6조의 판서를 모두 거쳤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2]에 책록되었고, 동년 12월 우의정에 올랐다.

1729년(영조 5) 6월 좌의정에 이르렀다.

이후 기로소에 들었고, 1736년(영조 12) 3월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동월 19일 영조가 봉조하 민진원(閔鎭遠), 판부사 이태좌(李台佐)를 희정당(熙政堂)에서 인견(引見)하고, 두 대신(大臣)에게는 각기 그 아들 민형수(閔亨洙)와 이종성(李宗城)으로 하여금 그 아비를 부축하여 섬돌에 오르게 하였고, 영조가 의자에 올라앉아 위유(慰諭)하고 관곡(款曲)하게 대접하였으며, 선온(宣醞)[3]하였는데, 얼마 전 다툰 민형수와 이종성에게 따로 술잔을 내리며 화해하게 하였다. 자리를 파(罷)함에 이르러 영조가 민진원, 이태좌에게 의자 앞으로 나와서 서도록 명하고 손을 잡고 위유(慰諭)하고는 인해서 문피(文皮)를 내렸으며, 이들이 물러나자 또 의자에서 내려와 전송하였다. 동월 28일 상소하여 치사(致仕)[4]하였다.

1739년(영조 15) 3월 14일 차자(箚子)[5]를 올리고, 부친 고(故) 참판 이세필(李世弼)이 지은 왕조예문(王朝禮文)을 바쳤다. 대개 그 글은 신비(愼妃)를 복위해야 하는 의리를 논한 것인데, 임금이 우악[6]하게 비답하였다.

동월 25일 사망하였다. 실록은 평하길, "이태좌는 문충공 이항복(李恒福)의 현손이고 이광좌(李光佐)의 재종형인데, 사람됨이 충후하고 근신하며 남과 거스르지 않아서 의론이 이광좌와 조금 달랐다. 지위는 삼사(三事)[7]에 이르고 80세를 넘어서 복록을 온전히 갖추고 너그러이 즐기며 편안히 마치니, 일대의 완인(完人)이었다." 하였다.

1741년(영조 17) 1월 시호를 추증하여 충정(忠定)이라 하였다. 이태좌가 이미 죽은 뒤인데도 그의 아들이 시호를 청하지 않으니, 영조가 영(令)을 내려 시호를 내리도록 재촉하기를, "한 웅큼의 충성심으로 오염되지도 않고 편당을 만들지도 않았으니 송백(松柏)과 억센 풀처럼 불의에 굽히지 않은 사람은 이 정승이라고 말할 만하다." 하였다. 이보다 앞서 원경하(元景夏)가 영조에게 아뢰기를, "이태좌가 임인년[8] 무옥(誣獄)을 당하여 옥관(獄官)이 되지 않았고, 또 혼자서만 하례(賀禮)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하자, 영조가 가상하게 여겨 이런 명이 있게 된 것이었다.

1746년(영조 22) 6월 영조가 진연(診筵)에서 하교하기를, "10년 동안 정승을 지내면서 아름다운 덕망으로 포용력을 지녔고 신축년[9]·임인년[10]에 이르러서도 영명(令名)을 잘 보전한 사람은 오로지 김 판부사(金判府事)일 뿐이었다. 그리고 나라를 위한 일심(一心)으로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어짐이 없었고 말년에 이르러서도 혈성(血誠)이 깊고 독실한 것은 오직 이 봉조하(李奉朝賀)뿐이었다. 이러한 세상에 마땅히 포장(褒奬)하고 돌보는 뜻을 보여야 하니, 해조(該曹)[11]로 하여금 치제(致祭)하게 하라." 하였는데, 곧 고(故) 상신(相臣) 김우항(金宇杭)과 이태좌이다. 동년 9월 영조가 이태좌에 대하여 논하길, "정성이 순수하고 한 마음을 지녀 딴 생각이 없었다."하고는, 어필로 결신충군(潔身忠君)[12] 네 글자를 써서 승지로 하여금 그 집에 전해 주도록 하였다.

장남 이종성(李宗城)도 현달하여 1752년(영조 28)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태좌, 이종성 두 정승 부자의 사후인 1796년(정조 20) 3월 정조가 전교하길, "고(故) 정승의 집을 자별(自別)[13]하게 보는 것은 계유년[14]과 무인년[15]에 수립(樹立)[16]한 공이 있기 때문이다. 석년(昔年)[17] 이맘때 고(故) 정승의 부자[18]가 희정당(熙政堂)에 입시했을 때의 은례(恩禮)가 분명하게 기주(記注)에 실려 있는데, 어찌 차마 이날을 헛되이 보내겠는가. 고(故) 영의정 이종성(李宗城)의 집에 승지를 보내 치제(致祭)하라. 제문(祭文)은 친히 지을 것이다. 또 고(故) 정승 이태좌(李台佐)에게도 치제하라." 하였다.
[1] 부친은 강원도관찰사 홍득우(洪得禹, 1641 ~ 1700), 조부는 현종 때 우의정을 지낸 충익공(忠翼公) 홍중보(洪重普). [2] 정공신이 아니라 원종공신이므로 정공신 명단에는 없다. [3] 임금이 술을 내림. [4] 관직에서 물러남. [5] 임금에게 올리는 간소한 형식의 상주문. [6] 은혜가 넓고 두터움. [7] 삼공(三公), 즉 삼정승(三政丞)을 말함. [8] 1722년(경종 2). [9] 1721년(경종 1). [10] 1722년(경종 2). [11] 6조(六曹) 중 해당하는 조(曹). [12] (깨끗할 ) (몸 ) (충성 ) (임금 ). [13] 남다르고 특별함. [14] 1753년(영조 29). [15] 1758년(영조 34). [16] 국가나 정부, 제도, 계획 따위를 이룩하여 세움. [17] 여러 해 전. 여기서는 60년 전인 1736년(영조 12) 3월을 가리킨다. 이때 영조가 민진원과 이태좌 두 대신을 희정당에서 인견하고, 그 아들들인 민형수와 이종성으로 하여금 화해하게 하였다. [18] 부친 좌의정 이태좌, 아들 영의정 이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