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d900><colbgcolor=#da2032> 상징 | 국장 · 국가 · 소욤보 · 몽골야생말 |
역사 | 역사 전반 ·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 · 북원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 공화국 · 준가르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
행정구역 | 행정구역 전반 · 아르항가이 · 바잉헝거르 · 더르너드 · 트브 · 울란바토르 | |
경제 | 경제 전반 · 몽골 투그릭 | |
국방 | 몽골군 | |
외교 | 외교 전반 · 몽골 여권 | |
사회 | 언어 · 교통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아이락 · 몽골 영화 · 공휴일/몽골 · 게르 · 델(의복) · 마두금 · 텁쇼르 · 야특 · 알타이 야특 · 에웨르 부레 · 샨즈 · 대마두금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 오르팅 도 · 호치르 · 이킬 | |
지리 | 몽골 고원 · 고비 사막 · 외몽골 · 훕스굴 호 | |
기후 | 조드 | |
언어 | 몽골 문자 · 몽골어 · 카자흐어 · 키르기스어 · 에벤키어 · 러시아어 · 몽골어족 | |
관광 | 관광 전반 · 울란바토르 · 수흐바타르 광장 · 간등 사원 · 복드 칸 겨울궁전 · 고비 사막 · 카라코룸 · 보르항 산 · 훕스굴 호 | |
민족 | 몽골인 · 몽골계 러시아인 · 몽골계 미국인 · 몽골계 한국인 · 몽골계 인물 | |
인물 | 칭기즈 칸 · 복드 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욤자깅 체뎅발 · 산자수릉깅 저릭 | |
동물 | 몽골야생말 · 쿨란 |
1. 개요
|
몽골의 행정구역은 수도 울란바토르와 21개의 애막( аймаг / ᠠᠶᠢᠮᠠᠭ / aimag , [ɛmək], 맹 / 盟 / League)[1]으로 나뉘며, 그 하위에 331개의 솜( сум / ᠰᠤᠮᠤ / soum , [som], 소목 / 蘇木 / County)[2]이 있다. 그보다 하위엔 박(баг / ᠪᠠᠭ / bag / 파알 / 巴嘎) 이 있으나, 그냥 마을같은 개념이지 정식 행정구역은 아니다. 애초에 인구가 350만 밖에 안될 정도로 인구밀도 희박한 국가에서 3중 행정구역을 두는 것 자체도 어렵다. 아래는 알파벳 표기순으로 나열한 목록이다. 한글 표기는 대부분 한국어 위키백과를 참고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했지만, 변경된 것도 있다.
몽골의 인구밀도가 지구상의 독립국가들 중에서 극히 희박한 만큼, 몽골 내 행정구역들도 수도인 울란바토르 정도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희박하며, 개중에는 1km²당 인구밀도가 1명도 채 되지 않는 행정구역도 있다.
2.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수도 (Нийслэл) | ||
울란바토르 |
|||
도 (Аймаг) | |||
트브 |
헹티 |
더르너드 |
|
더르너고비 |
고비알타이 |
오브스 |
|
볼강 |
돈드고비 |
아르항가이 |
|
바양울기 |
다르항올 |
바양헝거르 |
|
우부르항가이 |
오르홍 |
셀렝게 |
|
자브항 |
우므느고비 |
후브스굴 |
|
허브드 |
수흐바타르 |
고비숨베르 |
}}}}}}}}} |
2.1. 아르항가이
Архангай / ᠠᠷᠤᠬᠠᠩᠭᠠᠢ, Arkhanga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 55,314㎢
인구 : 94,923명
주도 : 체체를렉(Цэцэрлэг / ᠴᠡᠴᠡᠷᠯᠢᠭ)
2.2. 바양울기
튀르크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민족 | |||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 ||
킵차크 |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 |||
카를루크 | 우즈베크 | 위구르 | |||
오구즈 |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투르코만 ( 시리아 투르크멘 | 이라크 투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 |||
아르구 | 할라지인 | |||
오구르 |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북키프로스 (미승인) | 아제르바이잔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튀르키예 | |||
자치 지역 | 가가우지아 | 나흐츠반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사하 공화국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일리 카자흐 자치주 | 알타이 공화국 | 추바시야 공화국 |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카라칼팍스탄 |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타타르스탄 공화국 | 투바 공화국 | 하카시야 공화국 | |||
다수 거주지 |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바잉울기 | |||
사회문화 | ||||
언어 | 튀르크어족 | |||
신화 |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 |||
외교 및 사상 | 범튀르크주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 |
Баян-Өлгий / ᠪᠠᠶᠠᠨ ᠥᠯᠥᠭᠡᠢ / Bayan-Ölgii ( 몽골어)
Бай-Өлке / باي-ولكە / Bai-Ölke ( 카자흐어)[3]
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45,705㎢
인구: 108,530명
주도: 을기(Өлгий / ᠥᠯᠥᠭᠡᠢ)
몽골어로 '풍요로운 요람'을 의미하며 바잉울기, 바잉을기, 바양을기 등 다양한 표기가 있으며 카자흐어식 표기는 '바이욀케'이다. 몽골의 최서단에 위치해 있다. 알타이 산맥에 위치해 있어 고도가 높고 시베리아에 가까운 환경을 보인다. 남쪽과 북쪽으로 각각 중국과 러시아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국경을 접하지는 않지만 카자흐스탄과도 상당히 가깝다. 카자흐스탄과의 거리는 대략 40km. 인구의 93%가 카자흐인이다. 이렇게 카자흐인이 많이 살다보니 카자흐어가 지역 공식어로 지정되는 등 타 지역보다 자치권이 더 많이 부여된 편이다.
이 지역의 카자흐 등 튀르크 부족들은 기원이 철륵 및 돌궐 등 튀르크의 몽골 국가들로부터 기원한다. 과거 알타이 산맥에 걸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부와 몽골 고원 서부, 시베리아 남부는 튀르크인의 땅이었다. 몽골이라는 국가는 13세기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계 부족인 키야트 족이 바이칼 호에서 내몽골, 만주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통합하면서 건국되었던 반면 튀르크는 흉노까지 기원이 올라가는 더 오래된 족속이다.
민족이 다른 만큼 문화적으로 몽골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깃발에 이슬람의 상징인 초승달이 상징하듯이 이곳은 몽골인이 아닌 이슬람을 믿는 튀르크인인 카자흐족이 주류를 이룬다. 제1언어가 몽골어가 아닌 투르크어족 계통인 카자흐어일 정도로 다른 행정구역과는 차별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련이 붕괴하고 카자흐스탄이 독립했을 때 더 나은 삶을 위해 약 10만 명 즈음 있었던 카자흐족 인구에서 3만 명이 막 독립한 카자흐스탄이나 중국, 러시아, 튀르키예 등지로 빠져나가 인구가 상당히 줄었다. 3만 명이면 아주 치명적인 감소다. 현재 바잉울기 주의 인구는 10만 명을 겨우 넘는다.
이들 카자흐인은 TV도 카자흐스탄 내지는 튀르키예 것을 보며 몽골인과 은근히 민족감정이 있다. 같은 유목민이지만 몽골족들이 다수인 여타 몽골 지역들과는 여러모로 문화가 다르다. 가령 게르의 형태도 상당히 다르다. 독수리를 이용한 전통적 사냥으로 유명하며 전 세계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는 전통 사냥꾼의 80%가 바잉울기에 살고 있으며 주도 울기에서는 독수리 축제도 열린다. 사실 몽골인이 아닌 튀르크계 주민들이 살고, 유목민은 부족만 다르면 같은 종족도 남남이 되는 판에[4] 아예 생판 남의 종족인 이상 몽골인과 카자흐인의 대립은 당연하다. 카자흐 이외에는 키르기즈나 위구르 등 이슬람을 믿는 다른 튀르크인들도 살고 있는 튀르크 부족들의 땅이다. 그래도 몽골의 정치권에서 몽골족 중심의 민족주의적인 경향이 없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이 일대에서 사는 카자흐족이나 키르기즈, 위구르족 같은 튀르크계 소수민족들을 대놓고 탄압하거나 차별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은것은 아니고 몽골 민주화 이후로 카자흐어가 지역 공식어로 지정되고 카자흐 문화에 대한 지원책이 정부차원에서 나오거나 카자흐 전통문화를 관광상품으로 삼는 등 자치권이 확대된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지역감정 정도로 보면 되는 수준이다.
- 하위 행정구역
- 을기(Өлгий/ᠥᠯᠥᠭᠡᠢ/Ölgii) - 주도
- 알타이(Алтай/ᠠᠯᠲᠠᠢ/Altai)
- 알탕척츠(Алтанцөгц/ᠠᠯᠲᠠᠨᠴᠥ᠋ᠭᠦᠴᠡ/Altantsögts)
- 바잉노르(Баяннуур/ᠪᠠᠶ᠋ᠠᠨ ᠨᠠᠭᠤᠷ/Bayannuur)
- 보가트(Бугат/ᠪᠤᠭᠤᠲᠤ/Bugat)
- 볼강(Булган/ᠪᠤᠯᠠᠭᠠᠨ/Bulgan)
- 보잉트(Буянт/ᠪᠤᠶ᠋ᠠᠨᠲᠤ/Buyant)
- 델룬(Дэлүүн/ᠳᠡᠯᠢᠭᠦᠨ/Delüün)
- 너겅노르(Ногооннуур/ᠨᠣᠭᠤᠭᠠᠨ ᠨᠠᠭᠤᠷ/Nogoonnuur)
- 삭새(Сагсай/ᠰᠠᠭᠰᠠᠢ/Sagsai)
- 털버(Толбо/ᠲᠣᠯᠪᠤ/Tolbo)
- 차강노르(Цагааннуур/ᠴᠠᠭᠠᠨ ᠨᠠᠭᠤᠷ/Tsagaannuur)
- 쳉겔(Цэнгэл/ᠴᠡᠩᠭᠡᠯ/Tsengel)
- 올랑호스(Улаанхус/ᠤᠯᠠᠭᠠᠩᠬᠤᠰᠤ/Ulaankhus)
2.3. 바양헝거르
Баянхонгор / ᠪᠠᠶᠠᠨᠬᠣᠩᠭᠣᠷ, Bayankhongor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15,978㎢
인구: 87,243명
주도: 바잉헝거르 시(Баянхонгор / ᠪᠠᠶᠠᠨᠬᠣᠩᠭᠣᠷ)
바잉헝거르 참고.
2.4. 볼강
Булган / ᠪᠤᠯᠠᠭᠠᠨ, Bulgan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48,733㎢
인구: 62,027명
주도: 볼강 시(Булган / ᠪᠤᠯᠠᠭᠠᠨ)
울란바토르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 러시아와 접한다. 오르콘강과 셀렝게강이 지나며 그 덕에 토양이 비옥해 몽골에서 농업이 이루어지는 몇 안되는 곳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나마도 남쪽 지역에 국한된다. 일단은 울란바토르와 인접해 있는 관계로 교통은 편리하며, 불간 공항(Bulgan Airport, IATA: UGA, ICAO: ZMBN)이라는 작은 규모의 공항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볼강(Булган/ᠪᠤᠯᠠᠭᠠᠨ/Bulgan) - 주도
- 바잉악트(Баян-Агт/ᠪᠠᠶ᠋ᠠᠨ ᠠᠭᠲᠠ/Bayan-Agt)
- 바잉노르(Баяннуур/ᠪᠠᠶ᠋ᠠᠨ ᠨᠠᠭᠤᠷ/Bayannuur)
- 보가트(Бугат/ᠪᠤᠭᠠᠲᠤ/Bugat)
- 부륵항가이(Бүрэгхангай/ᠪᠦᠷᠦᠭᠬᠠᠩᠭᠠᠢ/Büregkhangai)
- 다싱칠렝(Дашинчилэн/ᠳᠠᠰᠢᠨᠴᠢᠯᠢᠩ/Dashinchilen)
- 고르왕볼락(Гурванбулаг/ᠭᠤᠷᠪᠠᠨᠪᠤᠯᠠᠭ/Gurvanbulag)
- 항갈(Хангал/ᠬᠠᠩᠭ᠋ᠠᠯ/Khangal)
- 히식응드르(Хишиг-Өндөр/ᠬᠢᠰᠢᠭ ᠥᠨᠳᠦᠷ/Khishig-Öndör)
- 호탁응드르(Хутаг-Өндөр/ᠬᠤᠲᠤᠭ ᠥᠨᠳᠦᠷ/Khutag-Öndör)
- 머그드(Могод/ᠮᠣᠭᠤᠳᠤ/Mogod)
- 어르헝(Орхон/ᠣᠷᠬᠤᠨ/Orkhon)
- 라샨트(Рашаант/ᠷᠠᠰᠢᠶ᠋ᠠᠨᠲᠤ/Rashaant)
- 새항(Сайхан/ᠰᠠᠶᠢᠬᠠᠨ/Saikhan)
- 셀렝게(Сэлэнгэ/ᠰᠡᠯᠡᠩᠭᠡ/Selenge)
- 테식(Тэшиг/ᠲᠡᠰᠢᠭ/Teshig)
2.5. 다르항올
Дархан-Уул / ᠳᠠᠷᠬᠠᠨ ᠠᠭᠤᠯᠠ, Darkhan-Uul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3,275㎢[5]
인구: 101,879명
주도: 다르항(Дархан / ᠳᠠᠷᠬᠠᠨ)
셀렝게 주에 둘러싸인 위요지로, 지도를 보면 다른 주들과 확실히 비교된다.
주도인 다르항은 몽골 제 3의 도시로, 울란바토르로 인구가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 지어진 공업도시이다. 동시에 몽골 제 2의 공업도시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결과 농업도 발달해 있으며 도시 전체가 깔끔한 이미지를 풍긴다.
- 하위 행정구역
- 다르항(Дархан/ᠳᠠᠷᠬᠠᠨ/Darkhan) - 주도
- 헝거르(Хонгор/ᠬᠣᠩᠭ᠋ᠤᠷ/Khongor)
- 어르헝(Орхон/ᠣᠷᠬᠤᠨ/Orkhon)
- 샤링걸(Шарынгол/ᠱᠠᠷᠠ ᠶᠢᠨ ᠭᠣᠤᠯ/Sharyngol)
2.6. 더르너드
Дорнод / ᠳᠣᠷᠣᠨᠠᠲᠤ, Dornod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23,597㎢[6]
인구: 76,507명
주도: 처이발상 시(Чойбалсан / ᠴᠣᠶᠢᠪᠠᠯᠰᠠᠩ)
더르너드 문서 참고.
2.7. 더르너고비
Дорноговь / ᠳᠣᠷᠣᠨᠠᠭᠣᠪᠢ, Dornogov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09,472㎢
인구: 68,192명
주도: 사인샨드(Сайншанд / ᠰᠠᠶᠢᠨᠱᠠᠩᠳᠠ)
몽골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 고비의 동쪽'이라는 의미이다. 이름에 걸맞게 주 전체가 고비 사막의 일부에 속하기 때문에 몽골에서도 인구 밀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주도 생샨드는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와 독립국 외몽골을 잇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화석이 자주 발견되는 몽골 중에서도 많은 공룡 화석이 발굴되기 때문에 화석 발굴지로도 유명하며 이를 상징하는 공룡 문양이 주의 깃발에도 새겨져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사인샨드(Сайншанд/ᠰᠠᠶᠢᠨᠱᠠᠩᠳᠠ/Sainshand) - 주도
- 애락(Айраг/ᠠᠶᠢᠷᠠᠭ/Airag)
- 알탕시레(Алтанширээ/ᠠᠯᠲᠠᠨᠰᠢᠷᠡᠭᠡ/Altanshiree)
- 달랑자르갈랑(Даланжаргалан/ᠳᠠᠯᠠᠨᠵᠢᠷᠭᠠᠯᠠᠩ/Dalanjargalan)
- 델게레흐(Дэлгэрэх/ᠳᠡᠯᠭᠡᠷᠡᠬᠦ/Delgerekh)
- 에르데네(Эрдэнэ/ᠡᠷᠳᠡᠨᠢ/Erdene)
- 이흐헷(Иххэт/ᠶᠡᠬᠡᠬᠡᠲᠡ/Ikhkhet)
- 하탕볼락(Хатанбулаг/ᠬᠠᠲᠠᠨᠪᠤᠯᠠᠭ/Khatanbulag)
- 훕스글(Хөвсгөл/ᠬᠥᠪᠰᠦᠭᠦᠯ/Khövsgöl)
- 망다흐(Мандах/ᠮᠠᠨᠳᠤᠬᠤ/Mandakh)
- 으르긍(Өргөн/ᠳᠥᠷᠭᠦᠨ/Örgön)
- 새항돌란(Сайхандулаан/ᠰᠠᠶᠢᠬᠠᠨᠳᠤᠯᠠᠭᠠᠨ/Saikhandulaan)
- 올랑바드라흐(Улаанбадрах/ᠤᠯᠠᠭᠠᠨᠪᠠᠳᠠᠷᠠᠬᠤ/Ulaanbadrakh)
- 자민우드(Замын-Үүд/ᠵᠠᠮ ᠤᠨ ᠡᠭᠦᠳᠡ/Zamyn-Üüd)
2.8. 돈드고비
Дундговь / ᠳᠤᠮᠳᠠᠭᠤᠪᠢ, Dundgov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74,690㎢
인구: 46,383명
주도: 만달고비(Мандалговь / ᠮᠠᠨᠳᠠᠯᠭᠣᠪᠢ)
울란바토르의 남쪽에 위치한 행정 구역이다. 돈드고비는 고비 사막 가운데라는 뜻이다.
다른 몽골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낙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했으나 이 지역은 몽골의 전통주인 아이락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교통은 대단히 불편했으나 2013년에 수도와 연결되는 포장도로가 개통되어 다소 편리해졌다.
- 하위 행정구역
- 만달고비(Мандалговь/ᠮᠠᠨᠳᠠᠯᠭᠣᠪᠢ/Mandalgovi) - 주도
- 아다착(Адаацаг/ᠠᠳᠠᠭᠠᠴᠠᠭ/Adaatsag)
- 바잉쟈르갈란(Баянжаргалан/ᠪᠠᠶ᠋ᠠᠨᠵᠢᠷᠭᠠᠯᠠᠩ/Bayanjargalan)
- 델게르항가이(Дэлгэрхангай/ᠳᠡᠯᠭᠡᠷᠬᠠᠩᠭ᠋ᠠᠢ/Delgerkhangai)
- 델게르척트(Дэлгэрцогт/ᠳᠡᠯᠭᠡᠷᠴᠣᠭᠲᠤ/Delgertsogt)
- 데렌(Дэрэн/ᠳᠡᠷᠡᠩ/Deren)
- 에르데네달래(Эрдэнэдалай/ᠡᠷᠳᠡᠨᠢᠳᠠᠯᠠᠢ/Erdenedalai)
- 고비옥탈(Говь-Угтаал/ᠭᠣᠪᠢ ᠤᠭᠲᠠᠭᠠᠯ/Govi-Ugtaal)
- 고르완새항(Гурвансайхан/ᠭᠤᠷᠪᠠᠩᠰᠠᠶᠢᠬᠠᠨ/Gurvansaikhan)
- 홀드(Хулд/ᠬᠤᠯᠤᠳ/Khuld)
- 로스(Луус/ᠯᠤᠤᠰ/Luus)
- 을짓(Өлзийт/ᠥᠯᠵᠡᠶᠢᠲᠦ/Ölziit)
- 응드르실(Өндөршил/ᠥᠨᠳᠦᠷᠰᠢᠯᠢ/Öndörshil)
- 새항어워(Сайхан-Овоо/ᠰᠠᠶᠢᠬᠠᠨ ᠣᠪᠤᠭᠠ/Saikhan-Ovoo)
- 생차강(Сайнцагаан/ᠰᠠᠶᠢᠩ ᠴᠠᠭᠠᠨ/Saintsagaan)
- 차강델게르(Цагаандэлгэр/ᠴᠭᠠᠨᠳᠡᠯᠭᠡᠷ/Tsagaandelger)
2.9. 고비알타이
Говь-Алтай / ᠭᠣᠪᠢ ᠠᠯᠲᠠᠢ, Govi-Alta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41,448㎢ [7]
인구: 57,440명
주도: 알타이 시(Алтай / ᠠᠯᠲᠠᠢ)
몽골의 남서부에 위치해 있다. 이름만 봐도 감이 오듯 고비 사막과 알타이 산맥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정확히는 고비 사막의 서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주도인 알타이 시에는 공항이 하나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 인구밀도가 희박한 몽골 내에서 특히나 인구밀도가 적은 주로, 면적당 0.3명에 불과하다.
- 하위 행정구역
- 알타이(Алтай/ᠠᠯᠲᠠᠢ/Altai) - 주도
- 바잉올(Баян-Уул/ᠪᠠᠶ᠋ᠠᠨ ᠠᠭᠤᠯᠠ/Bayan-Uul)
- 비게르(Бигэр/ᠪᠢᠭᠡᠷ/Biger)
- 보가트(Бугат/ᠪᠤᠭᠠᠲᠤ/Bugat)
- 챵드마니(Чандмань/ᠴᠢᠨᠳᠠᠮᠠᠨᠢ/Chandmani)
- 다르비(Дарви/ᠳᠠᠷᠪᠢ/Darvi)
- 델게르(Дэлгэр/ᠳᠡᠯᠭᠡᠷ/Delger)
- 에르데네(Эрдэнэ/ᠡᠷᠳᠡᠨᠢ/Erdene)
- 할린(Халиун/ᠬᠠᠯᠢᠭᠤᠨ/Khaliun)
- 후흐머릿(Хөх морьт/ᠬᠥᠬᠡᠮᠣᠷᠢᠲᠤ/Khökh morit)
- 쟈르갈란(Жаргалан/ᠵᠢᠷᠭᠠᠯᠠᠩ/Jargalan)
- 샤르가(Шарга/ᠰᠢᠷᠭᠠ/Sharga)
- 태시르(Тайшир/ᠲᠠᠶᠢᠰᠢᠷᠢ/Taishir)
- 특륵(Төгрөг/ᠲᠦᠭᠦᠷᠢᠭ/Tögrög)
- 텅힐(Тонхил/ᠲᠣᠩᠬᠢᠯ/Tonkhil)
- 체엘(Цээл/ᠴᠡᠭᠡᠯ/Tseel)
- 척트(Цогт/ᠴᠣᠭᠲᠤ/Tsogt)
- 이승볼락(Есөнбулаг/ᠶ᠋ᠢᠰᠦᠨᠪᠤᠯᠠᠭ/Yesönbulag)
2.10. 고비숨베르
Говьсүмбэр / ᠭᠣᠪᠢ ᠰᠦᠮᠪᠦᠷ, Govisümber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5,542㎢
인구: 17,399명
주도: 처이르(Чойр / ᠴᠣᠶᠢᠷᠣᠠ)
울란바토르의 남동쪽에 있으며 이름에서 보듯 고비 사막의 일부이다. 면적이 5,542km²로 몽골에선 면적이 작은 행정구역. 전체 인구가 1만 명밖에 안 될 정도로 규모가 작은 행정구역이다. 원래 더르노고비 아이막에 속해 있었으나 1994년 분리되었다.
지명은 고비 산맥과 수미 산에서 유래되었다
- 하위 행정구역
- 처이르(Чойр/ᠴᠣᠶᠢᠷ/Choir) - 주도. 이명 숨베르(Сүмбэр/ᠰᠦᠮᠪᠦᠷ/Sümber)
- 바잉탈(Баянтал/ᠪᠠᠶ᠋ᠠᠨᠲᠠᠯᠠ/Bayantal)
-
시웨고비(Шивээговь/ᠰᠢᠪᠡᠭᠡᠩᠭ᠋ᠣᠪᠢ/Shiveegovi)
2.11. 헹티
Хэнтий / ᠵᠠᠪᠬᠠᠨ, Khenti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80,325㎢
인구: 76,019명
주도: 은드르항(Өндөрхаан / ᠤᠯᠢᠶᠠᠰᠤᠲᠠᠢ)
헹티 산맥에서 따온 이름이다. 지금은 그냥 목초지밖에 없는 지역이지만 이 곳의 오논강 유역이 바로 칭기즈 칸의 탄생지이자 몽골 제국의 초기 수도이기 때문에 몽골에서는 성지 취급을 받는 곳이다.
- 하위 행정구역
- 응드르항(Өндөрхаан/ᠥᠨᠳᠦᠷᠬᠠᠨ/Öndörkhaan) - 주도. 이명 칭기스 시티(Chinggis City), 마오쩌둥, 4인방과 함께 문화대혁명을 주도했던 중국의 군인 출신 정치가 린뱌오가 1971년 쿠데타 실패 후 소련으로 도주하던 중 비행기 사고로 죽은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바트너럽(Батноров/ᠪᠠᠲᠤᠨᠣᠷᠪᠤ/Batnorov)
- 바치렛(Батширээт/ᠪᠠᠲᠤᠰᠢᠷᠡᠭᠡᠲᠦ/Batshireet)
- 바잉아다르가(Баян-Адарга/ᠪᠠᠶ᠋ᠠᠨ ᠠᠳᠤᠷᠭᠠ/Bayan-Adarga)
- 바잉호탁(Баянхутаг/ᠪᠠᠶ᠋ᠩᠬᠤᠲᠠᠭ/Bayankhutag)
- 바잉뭉흐(Баянмөнх/ᠪᠠᠶ᠋ᠠᠨᠮᠥ᠋ᠩᠬᠡ/Bayanmönkh)
- 바잉어워(Баян-Овоо/ᠪᠠᠶ᠋ᠠᠨ ᠣᠪᠤᠭᠠ/Bayan-Ovoo)
- 빙데르(Биндэр/ᠪᠢᠨᠳᠦᠷ/Binder)
- 다달(Дадал/ᠳᠠᠳᠠᠯ/Dadal)
- 다르항(Дархан/ᠳᠠᠷᠬᠠᠨ/Darkhan)
- 델게르항(Дэлгэрхаан/ᠳᠡᠯᠭᠡᠷᠬᠠᠨ/Delgerkhaan)
- 갈샤르(Галшар/ᠭᠠᠯᠰᠢᠷ/Galshar)
- 쟈르갈트항(Жаргалтхаан/ᠵᠢᠷᠭᠠᠯᠲᠤᠬᠠᠨ/Jargaltkhaan)
- 헤를렝(Хэрлэн/ᠬᠡᠷᠦᠯᠦᠨ/Kherlen)
- 무릉 (Мөрөн/ᠮᠥᠷᠡᠨ/Mörön)
- 너러울린(Норовлин/ᠨᠣᠷᠪᠤᠯᠢᠩ/Norovlin)
- 우문델게르(Өмнөдэлгэр/ᠡᠮᠦᠨᠡᠳᠡᠯᠭᠡᠷ/Ömnödelger)
- 쳉헤르만달(Цэнхэрмандал/ᠴᠡᠩᠬᠡᠷᠮᠠᠨᠳᠠᠯ/Tsenkhermandal)
2.12. 허브드
Ховд / ᠬᠣᠪᠳᠣ, Khovd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76,133㎢
인구: 87,363명
주도: 호브드 시(Ховд / ᠬᠣᠪᠳᠣ)
몽골의 남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과 국경을 접한다.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약 1,580km나 떨어져 있고 17개의 민족이 살고 있어 문화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대부분 몽골계 부족들로 투르크계 부족으로는 카자흐족, 투바인 등이 있으며 돌궐의 발원지이다. 카자흐족은 몽골인이 아니고 튀르크인이지만 돌궐의 후예인 원시 튀르크인이라 생김새로는 차이점이 없고 종교와 말로 구별한다. 소수민족 중 인구 수가 많은 카자흐족은 카자흐어와 몽골어를 둘 다 할 수 있다. 참고로 카자흐인의 비율은 11.5%이며 그 외에는 0.83%의 투바인을 제외하면 대부분 몽골계이다.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카자흐스탄 독립 이후 다소 줄어들었다. 그 후 완만히 증가하다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인구가 유출되기 시작했다. 몽골인(할하 인)의 적대시로 인해 카자흐스탄과 튀르키예,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카자흐족이 많이 이주했다.
사실 원래 외몽골은 튀르크의 영역으로 울란바토르와 가까운 곳을 외튀켄(Otuken)이라고 부르며 튀르크의 성지로 여겼다. 위구르 제국 시대까지 몽골 고원은 튀르크 민족의 주 활동 지역이었으나 위구르 제국이 북쪽 예니세이강 유역에서 남하한 키르기스족에 의해 멸망하고 그곳에 살던 튀르크인들은 서쪽의 중앙아시아나 남쪽의 동투르키스탄으로 이주해 몽골 고원을 떠났다. 대신 대흥안령 산맥 동쪽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실위계 부족들이 서쪽으로 이주해 튀르크가 떠난 자리를 대신했고 칭기즈 칸이 이들을 모두 통일해 '몽골'이라는 정체성을 내세우면서 몽골 고원은 몽골인의 영역이 되었다.
지명은 허브드 강에서 유래한다.
- 하위 행정구역
- 호브드(Ховд/ᠬᠣᠪᠳᠣ/Khovd) - 주도
- 알타이(Алтай/ᠠᠯᠲᠠᠢ/Altai)
- 볼강(Булган/ᠪᠤᠯᠠᠭᠠᠨ/Bulgan)
- 보얀트(Буянт/ᠪᠤᠶ᠋ᠠᠨᠲᠤ/Buyant)
- 챵드마니(Чандмань/ᠴᠢᠨᠳᠠᠮᠠᠨᠢ/Chandmani)
- 다르위(Дарви/ᠳᠠᠷᠪᠢ/Darvi)
- 드르근(Дөргөн/ᠳᠥᠷᠭᠦᠨ/Dörgön)
- 도트(Дуут/ᠳᠠᠭᠤᠲᠤ/Duut)
- 에르덴부릉(Эрдэнэбүрэн/ᠡᠷᠳᠡᠨᠢᠪᠦᠷᠢᠨ/Erdenebüren)
- 쟈르갈란트(Жаргалант/ᠵᠢᠷᠭᠠᠯᠠᠩᠲᠤ/Jargalant)
- 만항(Манхан/ᠮᠠᠩᠬᠠᠨ/Mankhan)
- 뭉흐해르항(Мөнххайрхан/ᠮᠥᠩᠬᠡᠬᠠᠶᠢᠷᠬᠠᠨ/Mönkhkhairkhan)
- 므스트(Мөст/ᠮᠥᠰᠦᠲᠦ/Möst)
- 먕갓(Мянгад/ᠮᠢᠩᠭ᠋ᠠᠳ/Myangad)
- 체첵(Цэцэг/ᠴᠡᠴᠡᠭ/Tsetseg)
- 우잉흐(Үенч/ᠦᠶ᠋ᠡᠩᠴᠢ/Üyench)
- 제렉(Зэрэг/ᠵᠡᠷᠭᠡ/Zereg)
2.13. 후브스굴
Хөвсгөл / ᠬᠥᠪᠰᠥᠭᠥᠯ, Khövsgöl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00,629㎢[8]
인구: 132,146명
주도: 무릉(Мөрөн / ᠮᠥᠷᠡᠨ)
몽골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으며 러시아의 시베리아와 국경을 접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산지와 삼림의 비율이 높으며 뭉흐사르득(Мөнх сарьдаг / ᠮᠥᠩᠬᠡ ᠰᠠᠷᠢᠳᠠᠭ) 산 등 고봉들이 줄줄이 이어져 있다.
이 지역의 정체성은 훕스굴 호이다.[9] 중심 도시인 울란바토르를 제외하면 몽골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우리나라에서도 몽골 여행을 가게 되면 높은 확률로 관광 코스에 드는 곳으로 호수 근처 침엽수림이 장관을 이룬다. 다큐프라임과 세계테마기행에서도 이 호수에 대한 TV를 방송하기도 했다. 덕분에 다른 지역에 비해 풍족한 편이기 때문에 인구도 꾸준히 늘고 있다. 몽골 행정구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인구가 10만 명을 넘어가며 현재는 13만 명 이상에 이른다. 다만 면적도 10만km²를 넘는 큰 행정구역이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그리 높진 않다.
그리고 이 호수에 주둔하는 몽골 해군이 있다. 함선은 한 척, 인원은 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군참모총장의 계급이 대위에 불과하다. 딱히 수영을 잘 하는 것도 아니고 바다를 본 적도 없다고 한다. 다만 호수가 꽤 스케일이 크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바다라고 생각해도 큰 무리는 없을 듯 하다. 원래는 소련 석유기지에서 석유 수송 임무를 맡았으나 소련 붕괴 이후에는 임무를 상실해, 지금은 관광객을 안내하는 소임을 맡는다고 한다.
이 지역에는 차탕족[10]이라는 타이가 고원지대에 살아가는 극소수의 순록 유목민이 존재한다.
- 하위 행정구역
- 무릉(Мөрөн/ᠮᠥᠷᠡᠨ/Mörön) - 주도
- 알락에르덴(Алаг-Эрдэнэ/ᠠᠯᠠᠭ ᠡᠷᠳᠡᠨᠢ/Alag-Erdene), 하트갈(Хатгал/ᠬᠠᠳᠭᠠᠯ/Khatgal)
- 아르볼락(Арбулаг/ᠠᠷᠤᠪᠤᠯᠠᠭ/Arbulag)
- 바잉즈르흐(Баянзүрх/ᠪᠠᠶ᠋ᠠᠨᠵᠢᠷᠦᠭᠡ/Bayanzürkh)
- 부릉턱터흐(Бүрэнтогтох/ᠪᠦᠷᠢᠨᠲᠣᠭᠲᠣᠬᠤ/Bürentogtokh)
- 챵드마니은드르(Чандмань-Өндөр/ᠴᠢᠨᠳᠠᠮᠠᠨᠢ ᠥᠨᠳᠦᠷ/Chandmani-Öndör)
- 에르덴볼간(Эрдэнэбулган/ᠡᠷᠳᠡᠨᠢᠪᠤᠯᠠᠭᠠᠨ/Erdenebulgan)
- 갈트(Галт/ᠭᠠᠯᠲᠤ/Galt)
- 이흐올(Их-Уул/ᠶᠡᠬᠡ ᠠᠭᠤᠯᠠ/Ikh-Uul)
- 쟈르갈랑트(Жаргалант/ᠵᠢᠷᠭᠠᠯᠠᠩᠲᠤ/Jargalant)
- 항흐(Ханх/ᠬᠠᠩᠬᠠ/Khankh)
- 라샨트(Рашаант/ᠷᠠᠰᠢᠶ᠋ᠠᠨᠲᠤ/Rashaant)
- 렝칠훔브(Рэнчинлхүмбэ/ᠷᠢᠨᠴᠢᠨᡀᠦ᠋ᠩᠪᠦ/Renchinlkhümbe)
- 시니데르(Шинэ-Идэр/ᠰᠢᠨᠡ ᠢᠳᠡᠷ/Shine-Ider)
- 타리알랑(Тариалан/ᠲᠠᠷᠢᠶ᠋ᠠᠯᠠᠩ/Tarialan)
- 트무르볼락(Төмөрбулаг/ᠲᠡᠮᠦᠷᠪᠤᠯᠠᠭ/Tömörbulag)
- 터성쳉겔(Тосонцэнгэл/ᠲᠣᠰᠤᠨᠴᠡᠩᠭᠡᠯ/Tosontsengel)
- 차강노르(Цагааннуур/ᠴᠠᠭᠠᠨ ᠨᠠᠭᠤᠷ/Tsagaannuur)
- 차강올(Цагаан-Уул/ᠴᠠᠭᠠᠨ ᠠᠭᠤᠯᠠ/Tsagaan-Uul)
- 차강우르(Цагаан-Үүр/ᠴᠠᠭᠠᠨ ᠡᠭᠦᠷ/Tsagaan-Üür)
- 체체를렉(Цэцэрлэг/ᠴᠡᠴᠡᠷᠯᠢᠭ/Tsetserleg)
- 투넬(Түнэл/ᠲᠦᠨᠡᠯ/Tünel)
- 올랑올(Улаан-Уул/ᠤᠯᠠᠭᠠᠨ ᠠᠭᠤᠯᠠ/Ulaan-Uul)
2.14. 우므느고비
Өмнөговь / ᠡᠮᠦᠨᠡᠭᠣᠪᠢ, Ömnögov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165,380㎢ [11]
인구: 65,645명
주도: 달란자드가드(Даланзадгад / ᠳᠠᠯᠠᠨᠵᠠᠳᠠᠭᠠᠲᠤ)
몽골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 중국과 국경을 접한다. 고비 사막의 한복판에 위치해 있으며 고비의 남쪽이라는 뜻이다.
농사에는 매우 부적절해서 오아시스 근처에서 약간의 작물을 수확하는 정도이다. 금과 구리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지만 아직 개발이 미미하여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지는 못했다. 그 외에는 사막 특유의 관광 자원을 이용해 관광업이 다소 발달한 편이다.
몽골에서 가장 큰 행정구역이며 사람도 별로 살지 않아 인구밀도가 정말, 정말 낮다. 인구밀도 낮기로는 세계 최고인 몽골에서도 가장 낮은 축인, km²당 0.38명이며 이걸 서울 면적으로 치환하면 서울에 220명 남짓밖에 살지 않는다는 소리다.
몽골에서는 기후가 그나마 가장 온화한(...) 지역으로 주도의 1월 평균기온이 -14.7°C, 7월 평균기온이 21°C로 미국의 미네소타, 노스다코타, 한국의 강계, 혜산 등과 비슷하다.
- 하위 행정구역
- 달란자드갓(Даланзадгад/ᠳᠠᠯᠠᠨᠵᠠᠳᠠᠭᠠᠲᠤ/Dalanzadgad) - 주도
- 바잉어워(Баян-Овоо/ᠪᠠᠶᠠᠨ ᠣᠪᠤᠭ᠋᠌ᠠ/Bayan-Ovoo)
- 바잉달래(Баяндалай/ᠪᠠᠶ᠋ᠠᠨᠳᠠᠯᠠᠢ/Bayandalai)
- 볼강(Булган/ᠪᠤᠯᠠᠭᠠᠨ/Bulgan)
- 고르왕테스(Гурван тэс/ᠭᠤᠷᠪᠠᠨᠲᠡᠰ/Gurvan tes)
- 항벅드(Ханбогд/ᠬᠠᠨᠪᠣᠭᠳᠤ/Khanbogd)
- 항헝거르(Хан хонгор/ᠬᠠᠩᠬᠣᠩᠭ᠋ᠤᠷ/Khan khongor)
- 후르멘(Хүрмэн/ᠬᠦᠷᠮᠡᠨ/Khürmen)
- 만달어워(Мандал-Овоо/ᠮᠠᠨᠳᠠᠯ ᠣᠪᠤᠭᠠ/Mandal-Ovoo)
- 만래(Манлай/ᠮᠩᠯᠠᠢ/Manlai)
- 넘건(Номгон/ᠨᠣᠮᠭᠤᠨNomgon)
- 너영(Ноён/ᠨᠣᠶ᠋ᠨ/Noyon)
- 셉레이(Сэврэй/ᠰᠡᠪᠡᠷᠡᠢ/Sevrei)
- 척트어워(Цогт-Овоо/ᠴᠣᠭᠲᠤ ᠣᠪᠤᠭ /Tsogt-Ovoo)
- 척트체치(Цогтцэций/ᠴᠣᠭᠲᠤᠴᠡᠴᠡᠢ/Tsogttsetsii)
2.15. 오르홍
Орхон / ᠣᠷᠬᠣᠨ, Orkhon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844㎢[12]
인구: 107,634명
주도: 에르데네트(Эpдэнэт / ᠡᠷᠳᠡᠨᠢᠲᠦ)
울란바토르 북서쪽에 위치한 작은 행정구역으로 에르데넷(Эрдэнэт/ᠡᠷᠳᠡᠨᠢᠲᠦ/Erdenet, 이명 바잉은드르(Баян-Өндөр/ᠪᠠᠶ᠋ᠠᠨ ᠥᠨᠳᠦᠷ/Bayan-Öndör))과 자르갈란트(Жаргалант/ᠵᠢᠷᠭᠠᠯᠠᠩᠲᠤ/Jargalant) 만으로 이루어졌다.
몽골의 스케일에 걸맞지 않게 매우 작은 행정구역이다. 면적이 844km² 밖에(?) 안된다. 다만 특기할 만한 점은 이곳의 주도 에르데네트가 몽골 제2의 도시라는 것이다. 사실 그래봤자 인구가 겨우 10만 명이 넘는 수준이지만.. 어쨌든 이 도시만을 위해 이 행정구역이 만들어졌음은 확실해 보인다. 울란바토르와는 약 370km 떨어져 있다. 주요 산업은 광업.
지명은 오르홍 강에서 유래했다. 그 강은 중심이라는 의미.
2.16. 우부르항가이
Өвөрхангай / ᠥᠪᠦᠷᠬᠠᠩᠭᠠᠢ, Övörkhangai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62,895㎢
인구: 115,684명
주도: 아르배헤르(Арвайхээр / ᠠᠷᠪᠠᠶᠢᠬᠡᠭᠡᠷ)
몽골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는 11만 명을 약간 넘기며, 몽골의 행정 구역 중에서는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다. 몽골 제국의 수도 카라코룸이 바로 이 곳에 있었다. 1586년 건설된 에르덴 조 사원으로 유명하며 이 사원은 공산주의 정권 때 파괴당했지만 2005년에 재건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쪽 캉가이라는 뜻
- 하위 행정구역
- 아르배헤르(Арвайхээр/ᠠᠷᠪᠠᠶᠢᠬᠡᠭᠡᠷ/Arvaikheer) - 주도
- 바롱 바잉올랑(Баруун Баян-Улаан/ᠪᠠᠷᠠᠭᠤᠨᠪᠠᠶ᠋ᠠᠨ ᠤᠯᠠᠭᠠᠨ/Baruun Bayan-Ulaan)
- 바틀지(Бат-Өлзий/ᠪᠠᠲᠤ ᠥᠯᠵᠡᠶᠢ/Bat-Ölzii)
- 바잉응드르(Баян-Өндөр/ᠪᠠᠶᠠᠨ ᠥᠨᠳᠦᠷ/Bayan-Öndör)
- 바잉걸(Баянгол/ᠪᠠᠶ᠋ᠠᠩᠭ᠋ᠣᠤᠯ/Bayangol)
- 벅드(Богд/ᠪᠣᠭᠳᠠ/Bogd)
- 부르드(Бүрд/ᠪᠦᠷᠢᠳᠦ/Бүрд)
- 고칭오스(Гучин-Ус/ᠭᠤᠴᠢᠨ ᠤᠰᠤ/Guchin-Us)
- 해르항돌란(Хайрхандулаан/ᠬᠠᠶᠢᠷᠬᠠᠨ ᠳᠤᠯᠠᠭᠠᠨ/Khairkhandulaan)
- 하르허린(Хархорин/ᠬᠠᠷᠠᠬᠣᠷᠢᠨ/Kharkhorin)
- 호지르트(Хужирт/ᠬᠤᠵᠢᠷᠲᠤ/Khujirt)
- 나린테엘(Нарийнтээл/ᠨᠠᠷᠢᠨᠲᠡᠭᠡᠯᠢ/Nariinteel)
- 을지트(Өлзийт/ᠥᠯᠵᠡᠶᠢᠲᠦ/Ölziit)
- 산트(Сант/ᠰᠠᠩᠲᠤ/Sant)
- 타락트(Тарагт/ᠲᠠᠷᠠᠭᠲᠤ/Taragt)
- 특륵(Төгрөг/ᠲᠥᠭᠦᠷᠢᠭ/Tögrög)
- 오잉가(Уянга/ᠤᠶ᠋ᠠᠩᠭ᠋ᠠ/Uyanga)
- 이승주일(Есөнзүйл/ᠶ᠋ᠢᠰᠦᠨᠵᠦᠢᠯ/Yesönzüil)
- 중바잉올란(Зүүнбаян-Улаан/ᠵᠡᠭᠦᠨᠪᠠᠶ᠋ᠠᠨ ᠤᠯᠠᠭᠠᠨ/Züünbayan-Ulaan)
2.17. 셀렝게
Сэлэнгэ / ᠰᠡᠯᠡᠩᠭᠡ, Selenge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41,153㎢
인구: 108,768명
주도: 수흐바타르 시(Сүхбаатар / 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
몽골의 북부에 위치하며 주도는 동명의 위인에서 따온 수흐바타르. 이름대로 셀렝게강이 지나가는 곳으로 북쪽으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며, 다르항올 주를 둘러싸고 있다. 철도가 지나가기 때문에 비교적 번화한 지역이다. 유목민의 나라인 몽골에서 농업이 가장 번성한 지역이다. 위에 보이는 깃발에 밀 이삭이 있고, 문장에도 밭과 밀알이 묘사된 것은 이 때문이다.[13] 인구밀도도 몽골 평균을 웃도는 수준. 울란바토르로부터는 약 300km 떨어져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수흐바타르(Сүхбаатар/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Sükhbaatar) - 주도
- 알탕볼락(Алтанбулаг/ᠠᠯᠲᠠᠨᠪᠤᠯᠠᠭ/Altanbulag)
- 바론부릉(Баруунбүрэн/ᠪᠠᠷᠠᠭᠤᠨᠪᠦ᠋ᠷᠢᠨ/Baruunbüren)
- 바잉걸(Баянгол/ᠪᠠᠶ᠋ᠠᠩᠭ᠋ᠣᠤᠯ/Bayangol)
- 자브할란트(Жавхлант/ᠵᠢᠪᠬᠤᠯᠠᠩᠲᠤ/Javkhlant)
- 흐데르(Хүдэр/ᠬᠦᠳᠡᠷᠢ/Khüder)
- 호샤트(Хушаат/ᠬᠠᠰᠢᠶ᠋ᠠᠲᠤ/Khushaat)
- 만달(Мандал/ᠮᠠᠨᠳᠠᠯ/Mandal)
- 어르헝(Орхон/ᠣᠷᠬᠤᠨ/Orkhon)
- 어르헝톨(Орхонтуул/ᠣᠷᠬᠤᠨᠲᠤᠤᠯᠠ/Orkhontuul)
- 산트(Сант/ᠰᠠᠩᠲᠤ/Sant)
- 새항(Сайхан/ᠰᠠᠶᠢᠬᠠᠨ/Saikhan)
- 샤마르(Шаамар/ᠱᠠᠮᠠᠷ/Shaamar)
- 차강노르(Цагааннуур/ᠴᠠᠭᠠᠨ ᠨᠠᠭᠤᠷ/Tsagaannuur)
- 투식(Түшиг/ᠲᠦᠱᠢᠭ/Tüshig)
- 예러(Ерөө/ᠶ᠋ᠢᠷᠦᠭᠡ/Yeröö)
- 준부릉(Зүүнбүрэн/ᠵᠡᠭᠦᠨᠪᠦ᠋ᠷᠢᠨ/Züünbüren)
2.18. 수흐바타르
Сүхбаатар / 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 Sükhbaatar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82,287㎢
인구: 61,323명
주도: 바론오르트(Баруун-Урт / ᠪᠠᠷᠠᠭᠤᠨ ᠤᠷᠲᠤ)
몽골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다. 근대 몽골의 건국영웅 담딘 수흐바타르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동남쪽으로 중국 내몽골자치구에 접한다. 220개에 이르는 사화산이 산재하고 있는 다리강가 화산지대가 소재한 지역으로, 매우 건조한 지대라 산업 기반이 빈약하다.
이 수흐바타르 아이막 동남부이자 중국과의 국경지대인 다리강가란 곳에 토성이 몇 군데 존재하는데, 손보기 교수는 지역을 답사한 후 해당 토성들이 현지인들로부터 '고려성'이라고 불린다는 점을 근거로 고구려의 성터라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14]. 이른바 '다리강가 지역의 자연환경과 선사 및 고구려 유적지'로 불리는 이 유적지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진 바가 없고, 후속 논문이나 조사는 없는 상황.
- 하위 행정구역
- 바론오르트(Баруун-Урт/ᠪᠠᠷᠠᠭᠤᠨ ᠤᠷᠲᠤ/Baruun-Urt) - 주도
- 아스갓(Асгат/ᠠᠰᠠᠭᠲᠤ/Asgat)
- 바잉델게르(Баяндэлгэр/ᠪᠶ᠋ᠠᠨᠳᠡᠯᠭᠡᠷ/Bayandelger)
- 다리강가(Дарьганга/ᠳᠠᠷᠢᠭᠠᠩᠭ᠋ᠠ/Dariganga)
- 에르데네차강(Эрдэнэцагаан/ᠡᠷᠳᠡᠨᠡᠴᠭᠠᠨ/Erdenetsagaan)
- 할잔(Халзан/ᠬᠠᠯᠵᠠᠨ/Halzan)
- 믕흐한(Мөнххаан/ᠮᠥᠩᠬᠡᠬᠠᠨ/Mönhhaan)
- 나란(Наран/ᠨᠠᠷᠠᠨ/Naran)
- 엉건(Онгон/ᠣᠩᠭᠤᠨ/Ongon)
- 수흐바타르(Сүхбаатар/ᠰᠦᠬᠡᠪᠭᠠᠲᠤᠷ/Sükhbaatar)
- 투멘척트(Түмэнцогт/ᠲᠦᠮᠡᠨᠴᠣᠭᠲᠤ/Tümentsogt)
- 투브신시레(Түвшинширээ/ᠲᠦᠪᠰᠢᠩᠰᠢᠷᠡᠭᠡ/Tüvshinshiree)
- 올바잉(Уулбаян/ᠠᠭᠤᠯᠠᠪᠠᠶ᠋ᠠᠨ/Uulbayan)
2.19. 트브
Төв / ᠲᠥᠪ, Töv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74,042㎢
인구: 94,462명
주도: 종머드(Зуунмод / ᠵᠠᠭᠤᠨᠮᠣᠳᠤ)
트브 항목으로
2.20. 오브스
Увс / ᠤᠪᠰᠤ, Uvs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69,585㎢
인구: 82,604명
주도: 올랑검(Улаангом / ᠤᠯᠠᠭᠠᠨᠠᠭᠠᠮ)
몽골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도는 올랑검[15] 이며 수도 울란바토르와는 약 1,336km 떨어져 있고, 연교차가 대단히 심한 곳이다. 1월 평균기온 -32.1℃, 7월 평균기온 18.9℃로 연교차가 무려 51℃에 달한다.
오브스라는 이름은 몽골에서 가장 큰 호수인 오브스호에서 따온 것이다.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만큼 소수 민족의 비율이 높고 몽골의 주류 민족인 할하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인구의 60%가 몽골족의 일파인 오이라트 드르브드(Дөрвөд)족이다.
- 하위 행정구역
- 올랑검(Улаангом/ᠤᠯᠠᠭᠠᠩᠭ᠋ᠣᠮ/Ulaangom) - 주도
- 바론투론(Баруунтуруун/ᠪᠠᠷᠠᠭᠤᠨᠲᠤᠷᠤᠭᠤᠨ/Baruunturuun)
- 부흐무릉(Бөхмөрөн/ᠪᠥᠬᠡᠮᠥ᠋ᠷᠡᠨ/Bökhmörön)
- 답스트(Давст/ᠳᠠᠪᠤᠰᠤᠲᠤ/Davst)
- 허브드(Ховд/ᠬᠣᠪᠳᠤ/Khovd)
- 햐르가스(Хяргас/ᠬᠢᠷᠭᠢᠰ/Khyargas)
- 말친(Малчин/ᠮᠠᠯᠴᠢᠨ/Malchin)
- 나랑볼락(Наранбулаг/ᠨᠠᠷᠠᠨᠪᠤᠯᠠᠭ/Naranbulag)
- 을기(Өлгий/ᠥᠯᠦᠭᠡᠢ/Ölgii)
- 우므느고비(Өмнөговь/ᠡᠮᠦᠨᠡᠭᠣᠪᠢ/Ömnögovi)
- 은드르항가이(Өндөрхангай/ᠥᠨᠳᠦᠷᠬᠠᠩᠭ᠋ᠠᠢ/Öndörkhangai)
- 사길(Сагил/ᠰᠠᠭᠢᠯᠢ/Sagil)
- 타리알란(Тариалан/ᠲᠠᠷᠢᠶ᠋ᠠᠯᠠᠩ/Tarialan)
- 테스(Тэс/ᠲᠡᠰ/Tes)
- 차강하이르항(Цагаанхайрхан/ᠴᠠᠭᠠᠩᠬᠠᠶᠢᠷᠬᠠᠨ/Tsagaankhairkhan)
- 투르겡(Түргэн/ᠲᠦᠷᠭᠡᠨ/Türgen)
- 자브항(Завхан/ᠵᠠᠪᠬᠠᠨ/Zavkhan)
- 중고비(Зүүнговь/ᠵᠡᠭᠦᠩᠭ᠋ᠣᠪᠢ/Züüngovi)
- 중항가이(Зүүнхангай/ᠵᠡᠭᠦᠩᠬᠩᠭ᠋ᠠᠢ/Züünkhangai)
2.21. 울란바토르
Улаанбаатар / ᠤᠯᠠᠭᠠᠨᠪᠠᠭᠠᠲᠤᠷ, Ulan Bator면적: 4,704km²
인구: 1,612,005명[16]
몽골의 수도이자 유일한 대도시. 울란바토르 문서 참조.
2.22. 자브항
Завхан / ᠵᠠᠪᠬᠠᠨ, Zavkha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Zavkhan_in_Mongolia.svg.png | ||
위치 | 깃발 | 문장 |
면적: 82,456㎢
인구: 72,104명
주도: 울리아스타이(Улиастай / ᠤᠯᠢᠶᠠᠰᠤᠲᠠᠢ)
몽골의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주도는 울리아스타이. 바얀 누르 등 호수가 많은 지역이며 시베리아에 근접해 있어 침엽수림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곰을 비롯한 야생 동물들이 많이 서식한다. 또한 지하자원이 많아 잠재력이 많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2001년 12월 기상관측 사상 최고의 기압 1085.7 hPa을 기록한 지역인 터성쳉겔이 이곳에 있으며 영하 53도까지 내려갈 정도로 아주 추운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수도 울란바토르를 제외하면 몽골 행정구역 중 유일하게 대통령을 2명 이상 배출한 지역이다.[17]
- 하위 행정구역
- 울리아스타이(Улиастай/ᠤᠯᠢᠶᠠᠰᠤᠲᠠᠢ/Uliastai) - 주도
- 알다르항(Алдархаан/ᠠᠯᠳᠠᠷᠬᠠᠨ/Aldarkhaan)
- 아스갓(Асгат/ᠠᠰᠠᠭᠲᠤ/Asgat)
- 바잉해르항(Баянхайрхан/ᠪᠠᠶᠠᠨᠬᠠᠢᠢᠷᠬᠠᠨ/Bayankhairhan)
- 바잉테스(Баянтэс/ᠪᠠᠶᠠᠨ ᠲᠡᠰ/Bayantes)
- 드르울진(Дөрвөлжин/ᠳᠥᠷᠪᠡᠯᠵᠢᠨ/Dörvöljin)
- 에르데네해르항(Эрдэнэхайрхан/ᠡᠷᠳᠡᠨᠢᠬᠠᠶᠢᠷᠬᠠᠨ/Erdenekhairkhan)
- 이데르(Идэр/ᠢᠳᠡᠷ/Ider)
- 이흐올(Их-Уул/ᠶᠡᠬᠡ ᠠᠭᠤᠯᠠ/Ikh-Uul)
- 늠륵(Нөмрөг/ᠨᠥᠮᠦᠷᠭᠡ/Nömrög)
- 어트건(Отгон/ᠣᠳᠬᠠᠨ/Otgon)
- 산트마르갓(Сантмаргац/ᠰᠠᠩᠲᠤᠮᠠᠷᠭᠠᠴᠠ/Santmargats)
- 실르우스테이(Шилүүстэй/ᠰᠢᠯᠦᠭᠦᠰᠦᠲᠡᠢ/Shilüüstei)
- 손기노(Сонгино/ᠰᠣᠩᠭᠢᠨᠠ/Songino)
- 텔멘(Тэлмэн/ᠲᠡᠯᠮᠢᠨ/Telmen)
- 테스(Тэс/ᠲᠡᠰ/Tes)
- 터성쳉겔(Тосонцэнгэл/ᠲᠣᠰᠤᠨᠴᠡᠩᠭᠡᠯ/Tosontsengel)
- 차강촐롯(Цагаанчулуут/ᠴᠠᠭᠠᠨᠴᠢᠯᠠᠭᠤᠳᠤ/Tsagaanchuluut)
- 차강해르항(Цагаанхайрхан/ᠴᠠᠭᠠᠨᠬᠠᠢᠢᠷᠬᠠᠨ/Tsagaankhairkhan)
- 체쳉올(Цэцэн-Уул/ᠴᠡᠴᠡᠨ ᠠᠭᠤᠯᠠ/Tsetsen-Uul)
- 트데우테이(Түдэвтэй/ᠲᠦᠳᠦᠪᠲᠡᠢ/Tüdevtei)
- 우르가말(Ургамал/ᠤᠷᠭᠤᠮᠠᠯ/Urgamal)
- 야로(Яруу/ᠢᠷᠠᠭᠤ/Yaruu)
- 자브항만달(Завханмандал/ᠵᠠᠪᠬᠠᠨᠮᠠᠨᠳᠠᠯ/Zavkhanmandal)
[1]
대외적으로는 '도(Province)'로,
중국에서는 '성(省)'으로 소개된다.
내몽골 자치구의 행정구역인 맹(盟)과 단어는 같지만, 내몽골의 맹은 지급행정구라서
지급시 등에 상응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맹과 그대로 대응시키기는 애매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
대외적으로는 '구역(District)'으로, 한국의
군에 해당한다.
[3]
카자흐스탄에서는 몽골어 발음을 음차한 Баян-өлгей 라고 불림
[4]
몽골과 내몽골이 같은 몽골인데도 불구하고 서로 사이가 좋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몽골은 할하 부족이고 내몽골은 차하르 부족이기 때문.
[5]
서울특별시의 6배 정도 면적이다.
[6]
대한민국보다 약간 넓으며,
북한과 거의 비슷한 면적이다.
[7]
한반도의 2/3 면적이다.
남한보다는 1.4배정도 넓다.
[8]
대한민국의 면적과 거의 똑같다.
[9]
주 이름도 훕스굴 호에서 유래되었다.
[10]
Цаатан/ᠴᠠᠲᠠᠨ/Tsaatan, 민족명은 "순록을 가지고 있는 자들"이란 뜻이다.
투바인,
토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고유 언어 또한 이들과 같은
어파(사얀어파)에 속해있다. (현재는
몽골어가 대세.)
[11]
한반도의 3/4정도 면적이다.
[12]
대구광역시와 비슷한 면적이다.
[13]
한국에서도 드물게 볼 수 있는 소욤보(Soyombo) 등 몽골의 보드카 대부분 셀렝게 주변 일대의 곡물로 만든 것이다.
[14]
뭔가
환빠스러운 이야기 아니냐 싶겠지만, 사실
고구려는
유연과 함께
지두우라는 민족의 강역을 분할점령하여, 일시적으로 오늘날의
내몽골 일대까지 진출했던 역사가 있다. 그래서 극히 일부나마 오늘날의
몽골령 지역에 군사요새 하나쯤 세워놨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실제로도 내몽골에서 이 당시의 고구려 성터가 발굴된 바 있다.
[15]
몽골어로 붉은 골짜기란 뜻이다.
[16]
광주광역시 혹은
대전광역시보다 약간 더 인구가 많다.
[17]
1대
푼살마깅 오치르바트, 2대
나차깅 바가반디 대통령이 자브항 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