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4:22:36

투르코만

1. 개요2. 분포3. 언어4. 투르크멘인과의 차이점5. 관련 문서
투르코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서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아랍인 페르시아인 튀르키예인 투르코만( 이라크 투르크멘, 시리아 투르크멘) 쿠르드인
이란인 자자인 길란인 발루치인 페르시아 유대인
루르인 사마리아인 카슈카이인 아시리아인 시리아인
베두인 걸프 아랍인 오만인 사우디인 레바논인
예멘인 요르단인 이라크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인
아랍 흑인 이란 흑인 야지디족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호라산 튀르크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방글라데시계 중동인 이스라엘 아랍인 하드라미인
아크담족 소코트라인 히자즈인 아르메니아계 중동인 미즈라힘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투르코만 ( 시리아 투르크멘 | 이라크 투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30a17>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 전쟁
지리 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G20 · MIKTA · JUSCANZ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 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 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앙카라 에센보아 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 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 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 터키 그랑프리( 이스탄불 파크)
인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 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 튀르키예인( 러시아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투르코만 ·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 튀르키예계 캐나다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영국인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기타 튀르키예/여담
}}}}}}}}} ||

1. 개요

원래는 중세 시대 당시 아랍어로 오구즈 튀르크를 지칭하던 용어였으나, 후술하는 이유로 이라크 북부, 시리아 북부 등 서아시아 일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2. 분포

이라크· 시리아 등 아랍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투르크멘인들은 아랍어 푸스하로는 "투르쿠만(ترکمان)"으로도 불린다. 즉 아랍어권에 거주하는 튀르크인이다. 단 튀르키예어로는 튀르크멘(Türkmen)이라고 불리기 때문에 중앙아시아의 튀르크메니스탄인과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1]

20세기 이전에는 이라크와 시리아 일대의 튀르키예인들을 그냥 투르키라고 불렸다. 그러나 이라크와 시리아 독립 이후 '투르키'라는 명칭이 오스만 제국 지배 시절을 생각나게 한다는 이유로, 그리고 튀르크인 소수민족이 이라크와 튀르키예 사이의 국경 분쟁을 일으킬 가능성 때문에, 이들이 튀르키예 출신 소수민족이 아닌 중세 당시부터 시리아와 이라크에 거주했다는 정체성을 주기 위해 중세 셀주크 제국 시대 당시 역사적 용어였던 투르코만, 투르쿠만으로 이들을 지칭하기 시작했다. 이라크의 투르코만 역사학자 수프히 사앗치(Suphi Saatçi)에 의하면, 이라크의 튀르크인들이 투르코만으로 지칭되기 시작한 것은 1958년 이라크 제1공화국 쿠데타 이후라고 한다. 참고로 레바논과 이집트의 튀르키예인들은 투르코만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3. 언어

시리아의 투르코만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튀르키예어와 별반 차이가 없으나, 이라크 투르코만의 언어는 오스만어 이외에도 아제르바이잔어의 영향도 있거니와 이라크에 튀르크족 정착 역사가 천 년이 넘은 영향으로 차이가 좀 더 두드러지는 편이다. Nasıl대신 Necə를 쓰는 식으로 어휘적으론 튀르키예어보다는 아제르바이잔어에 더 가깝다.

아랍 국가들인 시리아, 이라크의 동화정책으로 투르코만 대다수는 아랍어와 튀르키예어 (혹은 이라크 투르코만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언어 구사자들이다. 이들이 있는 곳이 쿠르디스탄에 해당되다보니 쿠르드화된 이라크와 시리아의 투르크멘인들은 쿠르드어도 구사 가능한 사람들도 있다.

4. 투르크멘인과의 차이점

투르크멘인 거주 지역과 투르코만 거주지역은 차로 21~24시간 운전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다.(…) # 같은 튀르크어족 오우즈어군 언어를 쓰고 같은 역사를 공유한다고 해도 이런저런 차이가 나는 것이 당연하다. 이란 동북부와 투르크메니스탄의 투르크멘은 동오구즈,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 문화권에 속하는 민족이다. 이라크·시리아의 투르크멘인들은 튀르키예나 아제르바이잔처럼 서오구즈 튀르크인에 속하며, 이란이나 중앙아시아 문화보다 아랍 문화, 지중해 문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5. 관련 문서



[1] 다만 인명의 경우 오늘날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멘인들과 구분이 쉬운 편인데 러시아 제국 지배 시절 영향으로 러시아식(~oв, ~ова같은 러시아어 접미사를 붙인) 성을 사용하는 반면, 아랍어권의 투르코만인들은 성씨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혹은 아랍식으로 부친명을 성씨처럼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