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2:35:50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0000, #b00000 20%, #b00000 80%, #8d0000); color: #f7c3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드라고슈 사스 보그단 1세 페트루 1세 라슈쿠
페트루 2세 로만 1세 슈테판 1세 이우가 알렉산드루 1세
일리아슈 슈테판 2세 슈테판 2세
일리아슈
슈테판 2세 페트루 3세
로만 2세 페트루 3세 로만 2세 페트루 3세 치우바르 보다
알렉산드루 2세 보그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슈테판 3세 보그단 3세 슈테판 4세
페트루 5세 라레슈 슈테판 5세 알렉산드루 3세 코르네아 페트루 5세 라레슈 일리아슈 2세 라레슈
슈테판 6세 라레슈 이오안 1세 졸데아 알렉산드루 4세 러푸슈네아누 이오안 2세 야콥 헤라클리드 슈테판 7세 톰샤
알렉산드루 4세 러푸슈네아누 보그단 4세 이오안 3세 첼 비테아즈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이오안 4세 포트코아바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알렉산드루 5세 포트코아바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이오안 5세 사술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아론 트리아눌 알렉산드루 6세 첼 라우 페트루 7세 카자쿨 아론 트리아눌 슈테판 8세 라즈반
이에레미아 모빌라 미하이 1세 이에레미아 모빌라 시미온 모빌라 미하이 2세 모빌라
콘스탄틴 모빌라 미하이 2세 모빌라 콘스탄틴 모빌라 슈테판 9세 톰샤 알렉산드루 7세 모빌라
라두 미네아 가슈파르 그라치아니 알렉산드루 8세 일리아슈 슈테판 9세 톰샤 라두 미네아
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 알렉산드루 9세 코코눌 모이세 모빌라 알렉산드루 8세 일리아슈 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
모이세 모빌라 바실레 루푸 게오르게 슈테판 바실레 루푸 게오르게 슈테판
게오르게 기카 콘스탄틴 셰르반 슈테파니타 루푸 콘스탄틴 셰르반 슈테파니타 루푸
유스트라티에 다비자 게오르게 두카 일리아슈 알렉산드루 게오르게 두카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안토니에 루세트 게오르게 두카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콘스탄틴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콘스탄틴 두카
안티오 칸테미르 콘스탄틴 두카 미하이 라코비차 안티오 칸테미르 미하이 라코비차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미하이 라코비차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이오안 마브로코르다트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요르다케 스타브리치 콘스탄틴 라코비차 마테이 기카 콘스탄틴 라코비차
스카를라트 기카 이오안 테오도르 칼리마치 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 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 콘스탄틴 모루지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델리베이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피라리스 알렉산드루 입실란티
마놀레 기아니 루세트 알렉산드루 모루지 미하이 수추 1세 알렉산드루 칼리마치 콘스탄틴 입실란티
알렉산드루 수추 알렉산드루 모루지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알렉산드루 모루지 알렉산드루 한제를리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요르다케 루세트로즈노바누 베냐민 코스타체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미하이 수추 2세
베냐민 코스타체 슈테판 보고리디 이오안 스투르자 미하이 스투르자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
테오도르 발슈 니콜라에 보고리디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슈테판 3세 카롤 1세 미하이 에미네스쿠 미하이 2세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온 안토네스쿠 미르체아 엘리아데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콘스탄틴 브랑쿠시 나디아 코마네치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블라드 3세 조지 비칼리 헨리 코안더 게오르게 하지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니콜라에 이오르가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제오르제 에네스쿠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미렐 러도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데케발루스 트라이안 버세스쿠 게오르그 뮤레산 이온 I. C. 브라티아누 러즈반 루체스쿠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이울리우 마니우 이울리우 호수 에밀 시오랑 아브람 이안쿠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부레비스타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페트레 투테아 코르넬리우 코포수 아우렐 블라이쿠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이오시프 트리파 니키타 스터네스쿠 이온 크레안거 마델리나 마놀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트라이안 부이아 루치안 블라가 조지 에밀 퍼레이드 아나 아슬란 아드리안 무투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플로린 피에르시크 미하일 코갈리차누 야노스 코뢰시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일리에 너스타세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게오르그 잠피르 기카 페트레스쿠 엘리사베타 리제아 불라 암자 펠라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마차시 1세 미르체아 1세 티투 마이오레스쿠 토마 카라지우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안드레아 마린 에밀 라코비차 빅터 바베슈 니콜라에 발체스쿠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이온 일리에스쿠 마린 프레다 외젠 이오네스코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알렉산드루 토데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투도르 게오르게 이온 티리아크 일리에 클레오파 아르세니 보카 바넬 니콜리타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그리고레 모이실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플로렌틴 페트레 마리우스 모가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로라 스토이카 커털린 흘단 안겔 살리그니 이반 피차이진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마리아 터나세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옥타비안 팔러 무명용사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니쿠 코바시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후녀디 야노시 콘스탄틴 노이카 바데아 카르탕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8d0000><colcolor=#fff> '''
몰다비아 제66대 보이보드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Dimitrie Cantemir
'''
파일:칸테미르.jpg
출생 1673년 10월 26일
몰다비아 공국 팔키우 카운티 실리슈테니
사망 1723년 8월 21일 또는 9월 1일 (향년 48세)
러시아 제국 키예프주 드미트로프카
재위 몰다비아 보이보드
1차: 1693년 3월 ~ 4월
2차: 1710년 12월 4일 ~ 1711년 7월 22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d000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
어머니: 아나 빈타슈
형제 안티오 칸테미르
배우자 카산드라 칸타쿠지노, 아나스타샤 이바노브나 트루베츠카야
자녀 스마라그다 칸테미르, 마리아 칸테미르, 안티오 디미트리에비치 칸테미르, 세르반 칸테미르
가문 칸테미레슈티 가문
종교 기독교 }}}}}}}}}
1. 개요2. 생애3. 주요 저서4. 가족5. 후대

[clearfix]

1. 개요

몰다비아 공국 제66대 보이보드이자 학자. 몰다비아 보이보드로서는 성공적이지 못한 치세를 보냈지만, 철학 역사학 음악학 언어학, 민족학에 관한 수많은 저서를 집필해, 세인의 존경을 받았다.

2. 생애

1673년 10월 26일, 팔키우 카운티의 엘란 강 유역에 있는 실리슈테니 마을에서 출생했다. 디미트리에 본인이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생애를 다룬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생애>에 따르면, 칸테미레슈티 가문은 크람에 거주한 옛 종족 칸테미레슈티 족의 후손이라고 한다. 19세기 루마니아 역사가 알렉산드루 디미트리에 제노폴(Alexandru Dimitrie Xenopol, 1847 ~ 1920)은 '칸'과 '테미르'는 타타르어로 각각 '피'와 '철'을 의미하며, 칸테미레슈티 가문은 이로 볼때 타타르족 출신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그는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아버지 테오도르는 슈테판 3세 치세 때 몰다비아에서 근무하고 영지를 수여받은 타타르족의 후손이라고 봤다.

반면, 루마니아 중세학자 니콜라에 스토이체스쿠(Nicolae Stoicescu, 1924 ~ 1999)는 칸테미레슈티 가문이 타타르족에서 기원한다는 주장은 공상적인 이야기일 뿐이며, 콘스탄틴의 아버지 테오도르는 1627년 타타르족과 맞서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주장했다. 루마니아 역사가이자 부쿠레슈티 대학교 교수였던 콘스탄틴 C. 주레스쿠(Constantin C. Giurescu, 1901 ~ 1977)는 팔치우 카운티의 실리슈테니 마을 출신의 보야르라고 봤다. 슈테판 S. 고로베이(Ștefan S. Gorovei, 1948 ~ )는 슈테판 3세 시대에 로어 컨트리에 거주했던 보야르 파트루 실리스테아누의 후손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어머니 아나 빈타슈는 일찍이 몰다비아 공국 보이보드와 왈라키아 공국 보이보드를 역임한 게오르게 두카의 아내이자 몰다비아 제59대 보이보드 유스트라티에 다비자의 양녀인 아나스타샤 다비자의 외손녀였다. 형제로 그처럼 몰다비아 보이보드를 역임할 안티오 칸테미르가 있었다.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일찍이 부모를 잃고 영지는 타타르족의 습격으로 황폐화되어서 먹고 살 길이 없게 되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에 용병으로 입대했다. 이후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를 모시며, 폴란드군에서 17년간 근무했고, 나중엔 기병대장에 발탁되었다. 특히 스웨덴군과의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이렇듯 폴란드군에서 활동하면서 명성을 쌓은 그는 조국으로 돌아온 뒤 여러 직책을 역임했으며, 팔카우 지역의 9개 마을을 보야르들로부터 구입하는 등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하지만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자기가 문맹이라는 데 한을 품고, 자식들이라도 학식을 잘 쌓아서 장차 훌륭한 인물이 되기를 희망했다. 그래서 디미트리에는 형제 안티오와 함께 저명한 학자들에게 우수한 교육을 받았다. 특히 크레타에서 태어나 몰다비아에서 활동한 수도자이자 학자 이에레미아 카카벨라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에레미아 칼카벨라스는 플라티나 주교가 쓴 <교황의 생애(Vitae Pontificum)>를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했으며, 영적 형성에 관한 자신만의 철학을 제시했다. 또한 그는 디미트리에에게 그리스어, 라틴어, 고대 슬라브어 뿐만 아니라 철학, 특히 신비주의를 가르쳤다.

1685년 몰다비아 보이보드에 선임된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당시의 관습에 따라 아들 중 한 명을 코스탄티니예에 인질로 보내야 했다. 먼저 장남 안티오를 보냈고, 1687년에는 그 대신 디미트리에를 인질로 보냈다. 디미트리에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 3년간 머무르면서 문학, 철학, 음악, 오스만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를 익혔다. 1691년 몰다비아 공국의 수도 이아시로 돌아왔고, 1693년 3월 아버지가 사망한 뒤 몰다비아 보이보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디미트리에가 왈라키아 공국 전임 보이보드 셰르반 칸타쿠지노의 미망인 마리아와 서신을 교환하면서 음모를 꾸미는 기미가 보이자, 왈라키아 공국 보이보드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는 자기 딸 마리아를 전임 몰다비아 보이보드 게오르게 두카의 아들인 콘스탄틴 두카와 약혼시켰다. 그해 4월, 콘스탄틴 두카는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의 지원에 힘입어 디미트리에를 몰아내고 몰다비아 보이보드에 즉위했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코스탄티니예로 가서 그곳에서 장기간 살면서 국제 감각을 쌓았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옥스퍼드, 라이프치히, 등지를 여행하며 학식을 쌓았다. 한편, 그는 이 시기에 철학, 윤리, 음악에 관한 여러 작품을 집필했고, 몰다비아와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다룬 저서를 편찬했다. 1696년 콘스탄틴 두카가 실각한 뒤 디미트리에의 형제인 안티오가 몰다비아 보이보드로 선임되었다. 그는 코스탄티니예에서 형의 대사로 활동했으며, 1683년부터 1699년까지 벌어진 대튀르크 전쟁에 오스만 제국 편에서 참여했다. 특히 1697년 사부아 공자 외젠 오스만 제국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젠타 전투 현장을 참관했고, 이를 계기로 몰다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다는 생각을 마음속에서 싹 틔웠다.

1710년 12월 4일, 오스만 제국에 의해 몰다비아 공국의 보이보드로 선임되었다. 몰다비아 연대기 작가 이온 네쿨리스(Ion Neculce, 1672 ~ 1745)에 따르면, 크림 칸국의 칸 데블레트 2세 기라이의 시종이자 재무관인 다불 이스마일이 디미트리에와 두터운 친분을 맺고 있었고, 데블레트 2세는 재무관의 조언에 따라 오스만 제국 당국에 그를 추천했기에 이 선임이 이뤄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짧은 치세 동안 덜 부유한 사회 계층을 위해 몇 가지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데세아틴(deseatin, 십일조) 세, 특히 벌집에서 나오는 제품의 10분의 1세를 폐지했는데, 이는 소규모 귀족인 양봉가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로만 출신의 칼리시 소녀 길드, 이아시 출신의 부리 길드, '가난한 주부' 길드를 위한 특권을 부여하는 등, 빈곤하게 지내는 이들을 배려하는 면모를 보였다.

오스만 제국 정부는 그에게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을 돕도록 했다. 그러나 그는 오스만 제국이 쇠락하고 있으며, 발칸반도 흑해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러시아 제국이라면 몰다비아의 독립을 도와줄 거라고 여겼다. 디미트리에는 1710년 연말에 러시아군을 염탐하겠으니 러시아 차르 표트르 1세와 협상하러 가는 걸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고, 오스만 제국 파디샤 아흐메트 3세는 수락했다. 이후 러시아 진영으로 간 그는 1711년 1월에 열린 폅상에서 표트르 1세가 몰다비아의 해방과 자치를 보장한다면, 몰다비아인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러시아군을 돕겠다고 제안했다. 표트르 1세는 손해볼 것 없는 협약이라 여기고 받아들였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표트르 1세 편으로 돌아섰고, 러시아 측에 17,000명의 병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1711년 7월 프루트 전투에서, 러시아-몰다비아 연합군은 발타치 메흐메트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제국군에 격파되었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러시아로 망명했고,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가 몰다비아 공국의 새 보이보드로 등극했다. 표트르 1세는 디미트리에를 넘기라는 오스만 제국의 요구를 거부했고, 그에게 러시아 귀족 작위를 부여했다. 또한 그가 잃어버린 영토에 대한 보상으로 모스크바 교외 체르나야 그랴즈 마을에 있던 골리친 가문의 이전 영지를 포함한 광범위한 재산을 부여했다. 디미트리에는 자기에게 주어진 지역을 개조하고 목조 교회 대신 석조 교회를 지었다. 그의 후손들은 저택 개조 작업을 지속해 공원, 연못, 바로크 양식의 건물을 추가했다. 이 저택은 1775년 예카테리나 2세가 반할 때까지 칸테미레슈티 가문의 수중에 남았다. 에카테리나 2세는 막대한 돈을 주고 그 저택을 산 뒤, 자신만의 여름 별장으로 삼았다. 또한 디미트리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자신을 위한 궁전을 짓기 위해 이탈리아 출신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를 고용했다. 하지만 그는 이 궁전이 완공되기 2년 전에 사망했다.

디미트리에는 러시아에서 차르의 고문으로 활동하면서도 연구와 저술에 전념했다. 1714년 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곳에서 "왕 중의 철학자, 철학자 중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1716년에는 표트르 1세의 의뢰에 따라 쿠란을 러시아어로 번역하고 종교 체계로서의 이슬람에 관한 연구를 집필하기도 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과학부 설립에도 기여했다. 그러던 1722년 표트르 1세의 동방 원정에 참여했다가 병에 걸렸고, 1723년 8월 21일 또는 9월 1일 키예프주 드미트로프카에서 사망했다. 그는 모스크바의 성 콘스탄티누스 헬레나 교회에 있는 첫 아내 카산드라 칸타쿠지노 옆에 묻혔다. 1935년 루마니아의 이아시로 옮겨졌고, 이아시에 있는 삼위일체 교회에 다시 안장되었다.

3. 주요 저서

4. 가족

5. 후대

디미트리에는 오늘날 루마니아 몰도바에서 위대한 루마니아인 학자로서 존경받고 있다. 그의 이름은 두 나라의 많은 거리에 지정되었으며, 그가 태어난 실리슈테니는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로 개명되었다. 양국의 수많은 교육 및 문화 기관에도 그의 이름이 붙었다. 또한 러시아 튀르키에에서도 훌륭한 학자로 인정받는다. 러시아의 샤리치노 시에는 그의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2003년 4월 이스탄불의 한 공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7년 6월 25일, 루마니아 대통령 트라이안 버세스쿠는 그가 살았던 이스탄불의 파나르 지역에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박물관을 개관했다. 한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역사학부 내에 칸테미르 연구소가 있다.
[1] Divan: 정부 기관을 이끄는 고위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