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3:11:44

크림 칸국


킵차크 칸국의 계승 국가
백장 칸국 이흐 칸국 · 아스트라한 칸국 · 카잔 칸국 · 크림 칸국 · 카심 칸국
청장 칸국 노가이 칸국 · 시비르 칸국 · 부하라 칸국 · 카자흐 칸국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 동호
선비 · 오환
철륵 선비
유연 북위 서위 ·동위
돌궐 제국 북주· 북제
동돌궐
돌궐 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
서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CC; background: #376c95; font-size: 0.9em" 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일 칸국 |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오이라트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잘라이르 왕조 | 추판 왕조 북원
준가르 칸국 | 크림 칸국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 복드 칸국 중화민국
몽골 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몽골국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고대 슬라브 / 루스
루스 카간국
키예프 루스
키예프 공국 스몰렌스크 공국 랴잔 공국 블라디미르 - 수즈달 노브고로드 공화국
중세 몽골의 침략
킵차크 칸국
( 몽골-타타르의 멍에)
모스크바 대공국
근대 루스 차르국
류리크 왕조
혼란 시대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
현대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러시아국
돈 공화국
남러시아 정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러시아 SFSR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러시아 연방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bbb> 고대 슬라브 / 루스
루스 카간국
키예프 루스
페레야슬라우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 키예프 공국
중세 몽골의 침입
갈리치아-볼히니아(루테니아 왕국)
킵차크 칸국( 몽골-타타르의 멍에)
근세 폴란드-리투아니아
자포리자 코자키 / 코자키 헤트만국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
근대 오스트리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부코비나 공국
러시아 제국
남러시아 정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마흐노우슈치나
오데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
베사라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인민 공화국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홀로드니야르 공화국
현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소련 군정청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소련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노보로시야 연방국( 도네츠크· 루간스크)
크림 공화국
}}}}}}}}}
크림과 킵차크 평원의 왕좌[1]
تخت قريم و دشت قپچاق

Taht-i Qırım ve Deşt-i Qıpçaq[2]
파일:크림 칸국 국기(15세기).svg 파일:크림 칸국 국장(17-18세기).svg
국기 국장
파일:크림 칸국 최대판도.svg
[3]
위치
1430년~1783년
위치 크림 반도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
쿠반
수도 바으차사라이[4]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주요 군주 하즈 1세 기레이
(1441~1466)
언어 크림 타타르어
오스만 터키어
종족 크림 타타르인
튀르키예인
노가이인
우룸인[5]
카라임 유대인
크림차크인
우크라이나인
체르케스인
아르메니아인
종교 이슬람
성립 이전 킵차크 칸국
테오도로 공국
멸망 이후 러시아 제국
1. 개요2. 역사
2.1. 기원2.2. 오스만 제국과 인연2.3. 노예 무역2.4. 멸망2.5. 멸망 이후2.6.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해석
3. 군사 및 사회상4. 소수민족5. 역대 군주

[clearfix]

1. 개요

크림 타타르어 : تخت قريم و دشت قپچاق (Taht-i Qırım ve Deşt-i Qıpçaq) / Qırım Yurtu[6] / قرم خانلغى (Qırım Hanlığı)
오스만 터키어 : قریم (Kırım)
우크라이나어 : Кримське ханство / Крим (Krym)
러시아어 : Крым (Krym)
영어 : Crimean Khanate

1430년, 킵차크 칸국의 후손인 하즈 게라이(Hacı Geray, خاجى كراى)[7]가 세운 국가. 오스만 제국의 번국이었으며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에 의해 망하기 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비호를 받았던 나라이다. 1771년에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가 보낸 러시아 제국군이 정복할 때까지 하지 게라이의 가문이 통치했다. 지금의 우크라이나 남부와 크림 반도 인근을 지배했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남부의 소수 민족인 크림 타타르족이 바로 크림 칸국의 후예이다. 이들은 몽골제국 침략 전부터 흘러들어온 튀르크계 유목민인 쿠만인의 후예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중앙아시아에서 흘러들어온 쿠만인과 몽골 제국의 동유럽, 서아시아, 중동 침략 시기에 들어온 몽골인 중 우크라이나 영토와 크림 반도 등을 식민지배하던 일부 몽골인이 나중에 오스만 제국과 손을 잡으며 현재 크림 타타르인이 되었다.

2. 역사

2.1. 기원

원래 크림 반도는 고대에는 그리스인의 식민도시와 스키타이계, 캅카스계 민족들이 서로 교역을 하며 살고 있었으나, 중세에는 하자르 칸국이나 페체네그, 폴로베츠 등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유입되었다. 이들은 몽골제국이 키예프 루스를 침략하기 전부터 우크라이나 초원지대로 진출을 노리며 키예프 루스와 대립하던 사이였다. 그래서 킵차크 칸국이 건국되기 전에도 이 유목민족들은 타타르인이라고 뭉뚱그려져 불렸다.

13세기 중반 몽골제국이 침략하여 킵차크 칸국이 건국된 후에는 이 일대로 이주한 몽골인 귀족층이나 몽골 제국의 원정대원으로 온 타 튀르크 부족들 역시 타타르에 동화되어 킵차크 칸국의 백성으로 살게 되었으나 킵차크 칸국이 쇠퇴하게 되자 크림 반도 일대를 다스리던 몽골인의 후손 하즈 게라이(Hacı Geray)[8]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원을 얻어 킵차크 칸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크림 칸국을 세웠다.[9] 이후 크림 칸국의 타타르인들은 크림 타타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2.2. 오스만 제국과 인연

폴란드-리투아니아 동군연합, 모스크바 대공국,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위험한 독립을 유지하던 크림 칸국은 1466년 하즈 게라이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들이 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다투었다. 그중 장남인 누르 데블레트(Nur Devlet, نور دولت)가 킵차크 칸국의 지원을 얻어 칸의 자리에 오르자 대다수 귀족들의 지지를 얻고 있던 하즈 게라이의 육남 멩리 게라이(Meñli Geray, ۱منكلى كراى‎‎)가 반란을 일으켜 잠시 칸의 자리에 올랐으나 곧바로 형한테 패해 크림 반도 남쪽의 제노바 식민지였던 카파로 쫓겨났다. 그리고 쫓겨난 멩리는 카파의 제노바인들과 손을 잡은 후 1469년 다시 수도로 진격해 형을 제노바의 감옥에 가둔 후 다시 칸의 자리에 올랐다.

멩리 게라이는 당시 세력을 급속도로 확장하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해 제노바와 테오도로 공국과 손을 잡았는데 이것이 메흐메트 2세의 심기를 건드렸고 1475년 대규모의 오스만 함대가 대대적으로 크림 반도를 침공해 테오도로 공국을 멸망시키고 카파를 정복했다. 당시 멩리 게라이는 귀족들의 반란으로 칸 자리를 다른 형인 하이데르(Hayder, حيدر)에게 막 빼앗긴 참이었는데 칸 자리를 되찾기 위해 꼭 필요한 동맹인 제노바가 위협받는 걸 보고 오스만과의 전쟁에 참전했다가 깨지고 오스만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오스만 제국은 내친 김에 크림 칸국까지 공격해 하이데르를 몰아내고 누르 데블레트를 칸 자리에 앉혀 크림 칸국을 속국으로 삼았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은 1477년 킵차크의 칸 아흐메드 칸의 사촌 야니베그가 침공해 크림 칸국은 일시적으로 킵차크 칸국의 지배 하에 들게 된다.

한편 코스탄티니예로 끌려간 멩리는 칸 자리를 되찾게만 해준다면 오스만에 복속하여 앞으로 영원히 파디샤의 봉신으로 살 것을 맹세했고 때마침 킵차크에 멸망한 크림 칸국의 귀족들이 오스만에게 킵차크를 몰아내고 멩리를 복위시켜달라고 요청하면서 1478년 멩리는 포로 신세에서 풀려나 오스만군와 함께 크림 반도에 돌아왔고, 멩리가 오스만군의 도움으로 킵차크군과 누르 데블레트를 같이 몰아내고 자리를 되찾으면서 크림 칸국은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번국이 되었다. 보통 속국으로 전락하면 위신이 약해지기 마련이나 멩리의 경우는 반대로 권위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었는데, 크림 칸국의 타타르족들이 강력한 오스만제국의의 지원을 받게 됨으로써 북쪽의 러시아인과 서쪽의 폴란드인 합스부르크 제국 독일인( 오스트리아인)들이 그들을 상대할 때 더욱 조심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덕분에 크림 칸국은 다른 타타르 국가들인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이 1552년과 1556년, 각각 루스 차르국에게 멸망당할 때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물론 그 대가로 왈라키아, 몰다비아 등 오스만 제국의 신하국들이 으레 그러했듯 오스만 제국이 전쟁을 벌일 때 군대를 보내주어야 했고, 크림 칸국이 보낸 타타르 기병대는 오스만 제국이 전쟁을 벌일 때마다 큰 도움이 되었다. 특이한 부분은 연공을 면제받는 대신 다른 신하국들보다 군사를 더 보낼 의무가 있었다는 것인데, 그만큼 크림의 기병대가 오스만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봉신국으로 복속된 크림 칸국에 대한 오스만의 대우는 상당히 좋았던 편으로, 고유의 문장을 사용할 권리는 물론이고 독자적인 법령 제정권에 동전 주조권까지 있어 거의 독립이나 다름없는 자치를 누렸고, 의전상으로도 칸은 제국의 재상보다도 높아 술탄 바로 다음의 2인자 취급을 받았다. 훗날 칸의 반란으로 위치가 강등되었다는 게 재상과 동급으로 간주되었을 정도. 이는 오스만 제국의 신하국들 가운데 이슬람 국가가 크림 칸국 뿐이었다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오늘날 루마니아 몰도바에 해당하는 왈라키아 공국이나 몰다비아 공국, 헝가리 왕국의 후신 격이었던 트란실바니아 공국 등은 모두 기독교 국가였기에 크림 칸국을 우대해 준 것이다. 이 외에 바르바리 해적들도 있기는 했지만, 이쪽은 '신하'는 틀림없었지만 '신하국'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조직을 이루지는 못했다.

크림 칸국의 위상이 오스만 제국 내에서 얼마나 높았는지 도널드 쿼터트의 <오스만 제국사>와 Simon Montefiore 의 Prince of Princes: The Life of Potemkin. London, 2000 에 따르면 오스만의 왕통이 단절될 경우 제국의 술탄위를 게라이의 가문이 이을 수 있는 권리가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니까 오스만 왕통이 단절되었다면 보르지긴 씨족 출신 술탄이 나오는 것도 가능했단 얘기다. 물론 실제로는 그럴 일이 없었지만, 그만큼 크림 칸국의 위상이 높았다고 보면 되겠다.

2.3. 노예 무역

크림 칸국은 노예 무역과 약탈이 활발히 이루어진 나라였다.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유럽 러시아가 크림 칸국의 주요 약탈지가 되었고, 크림 칸국은 그 중에서도 주민들을 납치하여 노예로 파는 데 혈안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 이탈리아 반도를 비롯한 지중해 각지에 공급되는 백인 노예의 상당수는 크림 칸국이 강제로 잡아온 러시아나 폴란드-리투아니아 혹은 체르케스 출신 노예였다. 오스만의 도나우 번국들도 크림 칸국의 주요 약탈 대상이었다.
그들은 포로 노예를 크림의 모든 도시에서 매매하고 있으며 카파에서는 노예매매의 규모가 가장 크다. 노예로 팔리는 불행한 사람들의 무리 전체를 시장으로부터 곧바로 배에 타라고 몰어넣는 일도 벌어진다. 이 도시가 편리한 바닷가 부두에 바로 붙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카파는 도시가 아니라 우리의 피를 게걸스레 먹어치우는 탐욕스럽고 혐오스러운 심연이라고 부를 수 있다.
16세기 한 리투아니아인 여행자의 기록
16, 17세기 크림 칸국의 약탈은 러시아, 체르케스 뿐만이 아니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영토의 동부에서도[10] 무척 심각했는데, 이들의 노예 사냥이 하도 기승을 부려서 지주들까지(...) 전부 노예로 끌려다가시피 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한동안 드네프르 강 일대가 사람이 살지 않는 공백지가 되다시피 했다. 카자크들은 이 공백지를 접수한 후에 러시아와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온 도망 농노들을 받아들인 후 세력을 키우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농노제가 대단히 악랄했음에도 불구하고 농노들의 반란이나 소요가 적었던 이유가 노예로 납치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농노로 사는 게 나을 거 같아서....였으니 할 말 다했다. 주로 상품 가치가 높은 처녀들이 납치의 주 타겟이 되었고, 어린아이들은 어차피 끌고 가 봤자 병들어 죽기 쉽다는 이유로 납치하지 않고 바로 말발굽으로 밟아죽였다.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만 해도 1474년부터 1694년까지 매년 평균 2만명 가까이가 크림 타타르 전사들에게 납치되거나 살해당했다니 당시 차라리 농노로 살기를 택했던 사람들이 이해가 될 정도이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모양새이다보니 러시아 제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입장에서는 국력 성장을 막는 주요 요인이기도 했다.

이들은 기독교 국가만 약탈한 것은 아니고 같은 무슬림인 체르케스인들도 심각한 수준으로 약탈했는데, 체르케스인들은 15세기 이후 부족 대다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11] 체르케스인 군인 노예들이 몸값이 비싸고 여성들이 아름답다는 이유로 침략을 멈추지 않았다고 한다. 체르케스인 노예들은 주로 이집트의 맘루크로 팔려가거나 아니면 오스만 제국 황실이나 유력자들의 하렘으로 팔려갔기 때문.

노예 납치 산업이 얼마나 흥했는지 카파의 부유한 타타르 유력자들은 가난한 크림 타타르족에게 말과 무기를 빌려주고, 납치한 노예를 이자로 납부하는 오늘날의 기준으로 볼 때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인간적인 사업까지 번성했다.[12] 심지어 오스만에 충성하는 번국, 봉신국들과 같은 무슬림인 체르케스인들까지 마구잡이로 납치하고 약탈하고 다녔다.

심지어는 약탈과 납치를 위해 벌이는 군사 원정을 가리키는 단어 자체가 두 가지 있었는데, 하나는 크림 칸국의 칸이 직접 이끄는 sefer(원정, 정벌)였고 다른 하나는 지방 귀족 등이 주도하는 çapul(약탈)이었다[13]. 이런 어휘들이 있었다는 것 자체가 약탈이 잦았음을, 특히 칸이 지휘하는 경우도 잦았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등쌀 때문에 러시아인들 및 폴란드-리투아니아인들은 방비를 위해 방책을 세우는 등 엄청난 고생[14]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럼에도 불구하고 3세기 동안 무려 수백만 명[15]이 노예로 잡혀 갔다. 1571년, 크림 칸국은 루스 차르국의 수도 모스크바를 대대적으로 기습하여 크렘린 요새를 제외한 도시의 모든 건물을 불태우고 약 10만 명의 모스크바 시민들을 노예로 납치하기도 했다.[16]

러시아인이나 우크라이나인 입장에서 보면 이가 갈릴 만도 하다. 사실 오늘날의 크림 타타르인은 납치된 러시아, 우크라이나인 여성들과 타타르족 남성들의 자손들이기도 하다.[17] 체르케스인들의 경우 같은 무슬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숱한 약탈과 납치를 당했지만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어 탄압받은 동병상련[18]의 역사를 공유한 이유로 과거사는 묻혀가는 분위기이다. 다만 체르케스인들은 러시아 지식인들이 '우리가 침략해서 잘못했다'라는 식으로 인정하거나 아니면 문학 작품에서 고결하고 순수한 사람들로 묘사되는데 비해, 크림 타타르인한테는 그런 거 없다...

비교하자면 카잔 아스트라한에 살던 친척뻘인 볼가 타타르인들도 크림 타타르처럼 러시아인을 잡아다 노예로 팔아버린 전과가 있었고 격렬한 저항 끝에 이반 뇌제가 잔인하게 정복했으며 러시아어 강요와 강제 개종 등을 통해 강압적으로 러시아의 일부로 동화를 시도했으나 차차 러시아 제국 내에서 새로 정복한 무슬림 민족들을 관리하는 중간관리자 민족으로서 대우도 좋아지고 어느 정도 자치권도 인정받으면서 러시아와 사이좋게 융화되었으며 이는 소련 러시아 연방 등에서도 존중되고 있다. 당장 이들은 자치공화국인 타타르스탄 공화국도 갖고 있다. 그러나 지중해 진출을 가로막는 숙적의 제1번국이자 수세기 동안 자국민을 잡아다 노예로 팔아치우면서 변경을 위협하던 불구대천지 원수인 크림 타타르는 그딴 거 없었다. 이는 크림 반도 러시아 제국의 수중에 떨어지자 수많은 크림 타타르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 가는 계기가 된다.

2.4. 멸망

크림 칸국과 오스만 제국의 관계를 깨뜨린 건 러시아 제국이었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항구 즉 부동항을 찾아 이리 저리 헤매던 러시아는 처음에는 발트해에 관심을 보여 대북방전쟁으로 스웨덴을 무너뜨리고 발트해 연안 에스토니아, 리보니아, 잉그리아 등을 얻었으나 추운 북쪽의 기후상 결빙일수가 제법 있어 한계가 있던 발트해보다는 흑해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흑해 북쪽 해안지대를 차지하고 있던 크림 칸국을 정복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과거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보다 약했으나 표트르 대제의 서유럽화 정책에 의해 유럽 국가로 변모하며 국력을 키워 나갔다. 또한 크림 칸국이 수세기 동안 동유럽[19]을 습격해 수백만 명에 달하는 정교회 신도들을 잡아다 노예로 팔아버리면서 화를 자초한 것도 있었다. 러시아 입장에서 크림 칸국 정복은 타타르의 멍에의 마지막 부분을 잘라내는 것이기도 했다. 이런 흐름 속에 러시아와 크림 칸국의 종주국인 오스만 제국과의 충돌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러시아의 도발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공격에 맞서게 되는데, 이것이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1768년에서 1774년까지 계속된 7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은 패배, 1774년 러시아와 퀴췩 카이나르자 조약을 체결하여 카파를 할양하고 크림 칸국의 독립을 인정했다.[20]

하지만 1783년 4월, 러시아 제국의 예카테리나 2세는 크림 칸국을 무력으로 정복했다. 이에 오스만 제국은 조약 위반이라며 러시아에 항의해보았지만,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의 항의에 총칼로 답변해 이에 1787년부터 1792년까지 8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벌어지나 역시 오스만 제국이 패배했고, 1792년 러시아와 이아시 조약을 체결해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크림 칸국 병합을 인정하고 추가로 예디산[21] 지역을 러시아에 할양했다.

덧붙여 마지막 으로 서유럽식 군제 개혁을 시행하는 등 나름대로 개혁에 힘썼던 샤힌 게라이의 최후도 비극적이었다. 1783년 크림 칸국이 무너지자 러시아군에 의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끌려가 1787년까지 감금당했다가 이후 감금에서 풀려나 자신의 고향인 에디르네로 귀향했지만 이내 러시아군을 끌여들였다는 죄목으로[22] 오스만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코스탄티니예로 끌려가 같은 해 로도스에서 처형당하고 말았다.

2.5. 멸망 이후

크림 칸국이 무너진 이후 크림 타타르인들은 러시아 제국 정부와 중간관리자로 파견한 카잔의 볼가 타타르 관리들 사이에서 이중고를 겪으며 19세기에 들어 몇차례 대대적으로 고향에서 시베리아 캅카스, 중앙아시아 러시아 제국의 변방이나 오스만 제국령인 도브루자 등으로 강제추방 당하는 등 비참한 삶을 살아야 했다. 크림 타타르인들이 떠난 빈 자리는 크림 반도로 이주한 러시아인이 대신하여 결국 크림 반도는 러시아인이 다수인 지역으로 변모했으며 20세기 들어와서는 러시아 혁명 이후 등장한 이오시프 스탈린의 집권기에 아예 위험 민족으로 낙인 찍혀 민족 전체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고 이 과정에서 1/4 정도가 굶어 죽거나 동사하는 큰 참화를 겪어야 했으며 강제이주 일년 뒤 그나마 살아남은 이들 중 절반도 열악한 조건 하에 진행된 강제 노역으로 인해 사망했다.

크림 타타르인들은 1991년 소련 이 망한 이후에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23]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적잖은 수가 과거 조상들이 크림 반도에서 가지고 있던 집과 땅을 되찾지는 못했고 버려진 빈집이나 창고 등에서 살 때도 불법 점령이라며 탄압받았다.

이마저도 비교적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는 게 종종 크림 칸국의 노예 납치에 가담하던 이웃 노가이 칸국의 경우 어느 날 갑자기 동쪽에서 밀고 들어온 칼미크인들의 공격을 받는 바람에 졸지에 원래 살던 땅에서 쫓겨났다. 겨우 살아남은 노가이인들은 쿠반강이나 다게스탄 일대로 피난갔는데 정작 이들의 운명 역시 순탄치 못했다. 러시아 제국에서는 쿠반 강 유역에 거주하던 노가이인들을 오스만 제국과의 국경 지대였던 가가우지아 부자크 일대로 옮긴 후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서 말썽피지 말라는 의미로 이들의 천막을 수거하여 싹 불살라 버렸고, 이 탓에 상당수의 노가이인들이 얼어죽고 나머지는 간신히 오스만 제국으로 건너갔다. 척박한 다게스탄 산악 지대로 몸을 피한 일부를 빼면 노가이인들은 사실상 멸족당한 셈. 또 다른 유사 사례로 중앙아시아에서 노예 납치 및 피지배 민족들에게 성상납 강요로 악명 높았던 준가르가 있다. 이들이 청나라의 침입을 받았을 때 이전부터 본인들에 의해 잦은 약탈과 괴롭힘에 시달린 이웃 카자흐인들과 키르기스인, 우즈베크인들이 팔짱끼고 안 도와주는 바람에 싸그리 멸족당했다. 청군의 학살을 피해 도망가려던 준가르인들은 복수심에 불탄 카자흐족들에게 막혀 도망가지 못하고 꼼짝없이 청군에게 처참히 짓밟혔다. 즉 오스만 제국의 뒷받침이 아니었다면 크림 타타르인 역시 멸족에 가까운 수준으로 제노사이드를 당할 수도 있었던 것.

크림 칸국이 멸망한 이후 본토에 해당했던 크림 반도는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독일인, 심지어 불가리아인과 폴란드인도 이주하며 인구 비율이 점차 역전된다. 게다가 크림 타타르인은 러시아의 압제를 견디지 못해 꾸준히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기에 인구가 유출되었다.[24] 그럼에도 20세기 초중반에도 크림 반도 인구 30%에서 19% 사이로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유지했으나, 1944년 소련의 크림 타타르인 강제 이주로 인해 크림 반도의 타타르인 공동체는 사실 상 소멸했고 과거의 흔적으로만 남는다. 우즈베키스탄로 이주한 크림 타타르인은 그곳에서 반세기를 살아 온 뒤 80년대 페레스트로이카가 이뤄지면서 크림 반도로 돌아 올 수 있었다. 그리고 정교회를 믿는 크림 타타르어 사용자 그룹인 우룸인들은 우크라이나 각지로 뿔뿔이 흩어져 우크라이나인들과 동화되어 버렸으며,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하던 일단의 아르메니아인 그룹 그리고 카라임들은 러시아 제국 각지로 흩어진 것은 마찬가지였다. 스탈린의 지시로 크림 타타르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한 사이 크림 반도에 남아있던 크림차크 유대인들은 나치 독일군이 크림 반도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전체 인구의 75%가 사망하는 말 그대로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고 간신히 복권되어 고향 크림 반도로 돌아온 이들에게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낮선 이웃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2.6.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해석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는 크림 반도 영유권 문제로 크림 타타르 민족 문제와 인권 문제를 자주 언급하고 있으나 20세기 초반 기준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등등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성향 역사가들은 우크라이나 역사서에 크림 타타르에 대한 혐칭을 대놓고 기입하는 등[25]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였던 바 있다. 상술했듯이 수 세기 동안 우크라이나 일대에서 노예사냥을 하고 다닌 크림 칸국의 후손인 크림 타타르인들과 그들과 맞서 싸우면서 성장한 자포리자 코자크의 후예인 우크라이나인의 앙금이 금세 사라지는건 아니기 때문. 크림 반도 합병 이전 크림 타타르인들은 우크라이나 마피아나 불량배들의 주요 분풀이 타깃 중 하나였다는 증언도 있다.[26]

그러나 유로마이단 혁명 돈바스 전쟁을 겪으며 러시아가 크림 반도 꿀꺽하면서 어느 순간 크림 타타르인들이 우크라이나 애국주의의 아이콘 중 하나로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6에서 반러 노래를 불러 우승한 크림 타타르 가수 자말라를 생각하면 된다. 크림 반도의 주민 대다수는 러시아어 사용자이고, 이는 친러 진영 측에서 크림 반도가 러시아의 정당한 영토라는 명분으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크림 반도 영유권 문제를 두고, 일단 과거사는 뒤로 한 채 크림 반도의 주요 비러시아계 집단인 크림 타타르인들을 끌어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크림 반도가 러시아에 합병되자 크림 반도 내에서 가장 격렬하게 저항한 집단이 크림 타타르인들이었는데 이들은 크림 반도가 다시 우크라이나에 합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러시아로의 합병을 주장한 주민투표를 보이콧, 러시아 귀속에 반대하는 등 러시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크림 자치 공화국은 '사회적 목적'을 이유로 크림 타타르인에게 거주지를 내놓고 크림 내 다른 곳으로 이주하라고 명령했고 # 러시아는 공공연히 크림 타타르인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크림 반도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크림 타타르 유력 정치인 상당수가 실종[27] 혹은 갖가지 봉변을 당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크림 타타르인 공동체에서는 크림 반도가 다시 우크라이나로 복귀하길 바라는 의견이 많다. 러시아에서는 크림 타타르를 규합할 수 있으면서도 자신들에게 복종하지 않는 정치인에게는 입국금지 # 등 정치보복으로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우크라이다 중앙 라다[28]에서 크림 타타르인들을 대표하며 쿠릴타이 의장이었던 무스타파 체밀레프는 튀르키예에 출장 가 있는 사이 러시아가 집어먹은 크림 공화국 정부에 의해 귀국 금지 처분을 당하며 졸지에 망명객 신세가 되어 버렸다.

결국 크림 내 타타르족 공동체(메쥴리스) 의장 레파트 추바로프는 푸틴의 소련 시절 크림 타타르에 대한 피해 보상과 크림 타타르에 대한 보호 결정등을 공식화[29]하자 러시아와 마지못해 협력을 하겠다고 하며 러시아의 크림 반도 지배에 순응했다. #

그러나 이는 마지못해 이루어지는 순응이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 적지 않은 크림 타타르인들이 우크라이나 군대에 자원하여 러시아군에 대항해 싸우고 있다. 공교롭게도 2023년 기준 러시아가 점거한 우크라이나 남동부 영토가 지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거의 다 옛 크림 칸국의 영토라, 이런 크림 타타르를 이용한 우크라이나의 명분 작업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헌데 2023년 하반기 이후 우크라이나의 전황이 아주 좋지가 않아서 크림 타타르인들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3. 군사 및 사회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MeczetChanowOgolny.jpg
▲ 크림 칸국의 수도였던 바흐치사라이(현재 크림 공화국)에 남아있는 칸의 궁전. 바흐치사라이는 크림 타타르인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크림 칸국의 주민들인 타타르족들은 평상시에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군역의 의무를 이행해야 할 때가 오면, 급히 소집되었다. 그들은 옛날 몽골의 군사들처럼 십진법에 따라 조직되었다. 모든 병사들은 각자 코스(kos)라고 불리는 열 명의 분대에 속했고, 각각의 코스에 타타르인들은 소집이 되면 자신의 말과 호루라기, 해시계, 송곳, 부싯돌, 바늘을 포함한 장비들을 스스로 장만해서 갖추고 나타나야 했다.

이 코스들은 모여서 백 명, 천 명, 혹은 만 명까지의 부대가 되었다. 종군할 때, 타타르 병사들은 오로지 기장이나 분말 상태가 된 고기와 마늘 등으로 끼니를 때웠다. 그들은 또한 행군하다가 심하게 다치거나 죽은 말의 고기를 작게 잘라서 자신이 타는 안장 밑에 넣어두었다가, 따뜻해지면 날로 먹기도 했다.[30] 자신들의 조상처럼 그들도 굶주림과 추위를 견뎌내는 강인한 전사들이었다.

크림 칸국의 칸들은 천 명이 넘는 수행원을 거느렸고, 궁정의 대신들과 하급 귀족들은 그보다 적은 수의 수행원들을 보유했다. 이 수행원들은 직업적인 군인과 비슷한 것으로, 출정을 위해 전 백성들에게 징집된 국민을 보강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타타르인들은 칸에게 직접 충성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부족을 통치하는 부족장이나 귀족에게 충성했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을 일으키기 전에도 먼저 귀족과 부족장들의 동의를 얻어야 했다.

일반적으로 칸이 이끌 때의 병력은 8만이나 그 이상에 달했다.칼가들은 5만 명을 거느리고, 칼가의 부장인 누르 알 딘은 4만 명을 지휘했다. 그러나 크림 타타르족의 공격은 영토를 얻기 위한 정복이 아니라, 대부분 약탈을 위한 것으로서 그들의 병력은 그보다 더 적었다.[31]

대부분의 타타르 군대는 활과 칼로 무장한 경무장 기병이지만 화승총을 가진 병사들도 있었다. 칸은 6백 명의 총병을 20개 중대로 나누었고, 출정한 경우에는 그만큼을 다시 모집했다. 총병은 두 발로 걸어다니며 싸웠지만, 이동 시에는 대부분 말에 타서 기동성을 높였다.

타타르인은 출정할 때, 개인당 최소한 말 세 필은 가져와야 했다. 프랑스인 여행가인 기욤 보플랑은 그가 직접 크림 칸국을 방문하여 목격한 1630년대, 자신의 책에 크림 타타르인들의 말에 대해 이렇게 적었다.
그들(타타르족)이 바크마테스라고 부르는 말은 몸체가 길고 추하게 생겼으며, 야윈 데다 갈기는 무성하고 꼬리는 길게 땅까지 늘어졌다.
그 대신, 속도가 빠르고 이동 중에는 지치지 않아서 자신을 태우고 있는 기수를 온종일 속도를 늦추지 않고 나를 수 있었다.
또, 겨울에 눈으로 덮인 땅에서도 나뭇가지나 식물의 싹, 짚 등 먹을 수 있는 먹이들을 발굽으로 눈을 헤쳐 찾아내 먹을 수 있었다.
물론 모든 타타르인들이 작고 야윈 바크마테스만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보플랑에 따르면 부유한 타타르인 족장들은 투르크와 아라비아에서 들여 온 좋은 말들과 경주용 말까지 따로 가지고 있다고 했었다.

일반적으로 타타르인들은 별다른 갑옷이나 투구를 걸치지 않았지만, 부유한 타타르인들은 투구를 쓰고 사슬 갑옷을 입었다. 라멜라 아머나 브리건딘(사슬 갑옷) 같은 갑옷 대신에 사슬 갑옷을 사용한 것은 서구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타타르인들의 주요 무기는 합성궁이었고, 보플랑에 따르면 각자의 타타르 병사들은 18개에서 20개까지의 화살이 들어간 화살통을 휴대했다고 한다. 그러나 13세기의 몽골인들이 최소한 40개에서 60개의 화살이 들어간 화살통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으로 볼 때, 그보다는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합성궁 이외에도 타타르인들은 굽은 기병도와 허리에 찬 단도, 또는 굽은 단도와 창과 방패를 휴대했다. 드물었지만 권총이나 화승총 같은 화약 무기도 소지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타타르인들은 화약을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생산된 화약들은 오스만 제국에 수출했다. 그들은 총기의 느린 장전과 연사 속도 때문에 총보다는 활을 더 선호했다.

귀족들은 자기 말의 발굽을 보호하기 위해서 가죽으로 만든 긴 양말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보통 크림 칸국의 말들은 발굽에 편자를 박지 않았다. 그래서 타타르족은 눈으로 말발굽을 보호할 수 있는 겨울에 원정을 떠나기 좋아했다. 그 때문에 그들은 눈이 없는 건조한 겨울에는 원정을 하지 않았다. 타타르족은 강의 폭이 아무리 넓어도 강을 건널 수 있었는데, 병사들은 갈대로 뗏목을 만들어 그 위에 장비들을 놓고, 말꼬리에 묶어서 말들을 주인들의 인도하에 강 건너편으로 헤엄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칸과 귀족들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넜다.

타타르족은 전원이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고 느린 병참로가 없어서 진격 속도가 굉장히 빨랐는데, 1689년 카플란 기레이가 거느린 타타르 군대는 늪이 많은 지형에서 엿새 동안 190킬로미터를 진군했다. 타타르의 말들은 훈련이 잘 되어 있어서 기수가 말에서 내리기 전까지는 소변을 보지 않았다. 군대의 정지 신호와 행군 신호는 모두 호루라기로 내렸다. 타타르 병사들은 밤새 엄밀하게 망을 보았기 때문에, 그들을 기습하기란 대단히 어려웠고, 장소가 좁은 곳이나 강어귀의 수로가 아니라면 그들을 패배시키기란 쉽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일대는 유목민 침입에 취약한 평야 지대 특성상 코사크가 본격적으로 방어에 나서기 이전까지 무력하게 당했다.

약탈이 끝나면 타타르 병사들은 약탈한 물건을 수레나 말에 싣고 다시 본국으로 귀환했다.

4. 소수민족

소수민족으로 테오도로 공국의 그리스-고트인들의 후손 우룸인, 제노바 무역선을 타고 레반트와 이집트 일대에서 건너온 카라임 유대인, 카라임파가 아닌 일반적인 유대교를 믿던 크림차크인,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하였다. 우룸인들의 경우 대부분 척박한 산지에서 자급자족하던 농민이었으나 카라임 유대인들, 아르메니아인들의 경우 서쪽의 폴란드-리투아니아 및 이탈리아 도시들과 교역하면서 부를 축적하였다.

크림 칸국의 소수민족들은 크림 타타르어 방언연속체에 해당하는 우룸어, 카라임어, 크림차크어 등을 사용했으나 크림 칸국 멸망 이후 화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대부분이 사멸되었고 오늘날에는 극소수의 카라임어 사용자만 남아있는 수준이다.

5. 역대 군주

왕명 재위 비고
하즈 1세 기라이 1441~1456 초대
하이다르 1456~1466 2대
하즈 1세 기라이 1466~1468 복위
누르 데블레트 1468~1474 3대
멩리 1세 기라이 1474~1475 4대
누르 데블레트 1475~1476 1차 복위
멩리 1세 기라이 1476~1477 1차 복위
누르 데블레트 1477 2차 복위
멩리 1세 기라이 1478~1514 2차 복위
메흐메드 1세 기라이 1514~1523 5대
가지 1세 기라이 1523~1524 6대
사데트 1세 기라이 1524~1532 7대
이슬람 1세 기라이 1532 8대
사힙 1세 기라이 1532~1551 9대
데블레트 1세 기라이 1551~1577 10대
메흐메드 2세 기라이 1577~1584 11대
사데트 2세 기라이 1584 12대
이슬람 2세 기라이 1584~1588 13대
가지 2세 기라이 1588~1596 14대
페티흐 1세 기라이 1596 15대
가지 2세 기라이 1596~1607 복위
톡타므쉬 1세 기라이 1607~1608 16대
셀라메트 1세 기라이 1608~1610 17대
자니벡 1세 기라이 1610~1623 18대
메흐메드 3세 기라이 1623~1628 19대
가지 2세 기라이 1628~1635 복위
이나예트 기라이 1635~1637 19대
바하드르 1세 기라이 1637~1641 20대
메흐메드 4세 기라이 1641~1644 21대
이슬람 3세 기라이 1644~1654 22대
메흐메드 4세 기라이 1654~1666 복위
아딜 기라이 1666~1671 23대
셀림 1세 기라이 1671~1678 24대
무라드 기라이 1678~1683 25대
하즈 2세 기라이 1683~1684 26대
셀림 1세 기라이 1684~1691 1차 복위
사데트 3세 기라이 1691 27대
사파 기라이 1691~1692 28대
셀림 1세 기라이 1692~1699 2차 복위
데블레트 2세 기라이 1699~1702 29대
셀림 1세 기라이 1702~1704 3차 복위
가지 3세 기라이 1704~1707 30대
카플란 1세 기라이 1707~1708 31대
데블라트 2세 기라이 1709~1713 복위
카플란 1세 기라이 1713~1715 1차 복위
데블레트 3세 기라이 1715~1717 32대
사데트 4세 기라이 1717~1724 33대
멩리 2세 기라이 1724~1730 34대
카플란 1세 기라이 1730~1736 2차 복위
페티흐 2세 기라이 1736~1737 35대
멩리 2세 기라이 1737~1740 복위
셀라메트 2세 기라이 1740~1743 36대
셀림 2세 기라이 1743~1748 37대
아르슬란 기라이 1748~1756 38대
할림 기라이 1756~1758 39대
크름 기라이 1758~1764 40대
셀림 3세 기라이 1765~1767 41대
아르슬란 기라이 1767 복위
막수드 기라이 1767~1768 42대
크름 기라이 1768~1769 복위
데블레트 4세 기라이 1769~1770 43대
카플란 4세 기라이 1770 44대
셀림 3세 기라이 1770~1771 복위
사힙 2세 기라이 1771~1775 45대
데블레트 4세 기라이 1775~1777 복위
샤힌 기라이 1777~1782 46대
바하드르 2세 기라이 1782 47대
샤힌 기라이 1782~1783 복위

[1] 크림 칸국에서 자칭한 정식 명칭. # [2] 타타르어로 '크름'이라고 읽는다. [3] 1523년 아스트라한 칸국을 정복한 직후의 최대 판도. [4] 우크라이나어로는 바흐치사라이(Бахчисарáй). [5] 크림 칸국 시기에는 언어적으로 완전히 타타르화된 정교회 신자들 뿐 아니라 그리스인이나 그리스화된 크림 고트인들도 병존했다. 하지만 크림 고트인은 러시아 제국이 크림 칸국을 멸망시킬 시점에 이미 다수의 우룸인이나 그리스인, 크림 타타르인으로 동화되어 소멸되었다. [6] 당대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국가를 지칭하던 말이다. 단순히 크림국이라는 뜻. [7] 주치의 후손이다. [8] 케레이트족의 후손이다. [9] 하지만 쇠퇴기에 처한 킵차크 칸국이 몰락하고 크림 칸국이 성장하기 시작하면서 리투아니아는 영토의 많은 부분을 크림 칸국에게 약탈당하고 의도와는 다르게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국력이 쇠퇴하는 계기가 된다. [10] 현재의 우크라이나에 해당하는 곳으로 우크라이나인은 이 크림 칸국 기마부대의 직접적 피해자이다. [11] 이슬람에서는 무슬림이 다른 무슬림을 노예화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런 규정은 채무자가 노예가 되는 상황은 막을 수 있었으나 크림 칸국같은 노예 매매가 주 산업인 국가에서는 무용지물이었다. [12] 원래 이슬람에서는 이자가 불법이지만 농사를 지을 때 소나 말을 빌려주면 수확량의 20%를 가져가는 페르시아 관습법을 적용하여 합법화했다고 한다. [13] çapul의 경우, 칸이 공식적으로 우호나 평화를 약속했던 나라나 집단까지 털기도 했다. 하기사 오스만의 신하국까지도 헤집고 다녔으니 크게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만. [14] 16세기 초를 예로 들면 흑해도 아니고 발트 해 연안의 빌뉴스에서 성벽을 지속적으로 보강해야 했을 정도였다. [15] 1500~1700년 사이 크림 칸국이 오스만에 수출한 러시아와 폴란드인 노예는 2백만이 넘는다. [16] 이때의 습격으로 인한 사상자는 6만에서 20만에 달한다. [17] 정작 토크타미쉬와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들어온 립카 타타르인들은 근대까지도 현지인들과 별로 혼혈이 되지 않았다. 다만 립카 타타르인 중에서도 폴란드에 살던 이들은 현지인들과의 혼혈이 잦아진 것 때문에 리투아니아 및 벨라루스의 립카 타타르인들에 비해 완전한 백인에 가까운 외모다. [18] 물론 크림 타타르 같은 경우에는 화를 자초한 경우이지만... [19] 도나우 강 연안의 오스만 봉신국들 포함. [20] 다만 당시 오스만 제국의 파디샤는 칼리파를 겸했고 크림 칸국은 이슬람 국가였기에, 종교적인 영향력은 남았다. [21] 드네스트르 강 남부크 강 사이에 위치한 현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일대 흑해 연안 지역. [22] 이건 표면적 이유고 그 이면에는 샤힌 기라이가 술탄 자리를 노릴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23] 공교롭게도 고려인들과도 강제 이주 당한 지역이 비슷했다. [24] 크림 타타르인 인구는 기준에 따라 수백만이 되기도 하는데 오스만 제국과 튀르키예로 이주한 크림 타타르인들이 현지 아나톨리아 튀르크인에 동화되고 자손을 남겨서이다. 물론 튀르키예 내 크림 타타르인들은 딱히 크림 타타르인 정체성을 갖는 경우는 없는데 크림 타타르어 자체가 튀르키예어와 큰 차이가 없고 외형적, 종교적으로도 현지인과 크게 다를 것 없어서 자연스럽게 동화되어 저 정도 인구도 추산이 된다. [25] 바수르만이라 썼는데, 이는 튀르크어권에서 무슬림을 무술만이라고 부르는 것을 욕설 비슷하게 부른 혐칭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우리도 일본인에 대하여 혐칭을 쓸 때는 왜노(倭奴)라고 쓰거나 일본에서 조센징(朝鮮人)을 한국인에 대한 비하 비슷한 뉘앙스로 현재도 자주 쓰는 것, 고대 중국에서 북방 튀르크계 유목민들을 흉노 돌궐이라는 한자어로 음차한 것들도 역시 혐칭이기는 하다. 어느 나라나 이웃의 싫어하는 종족들에 대해서는 멸칭 내진 혐칭을 자주 써왔다. [26] 크림 타타르인들이 무슨 딱히 체첸과 다게스탄 등 북캅카스인 마냥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이 있어서라기보다는(보수적인 신자들도 있긴 한데, 사람마다 케바케라 대놓고 가슴 파인 옷 입고 다니는 여자도 많다.) 그냥 과거사/민족주의 문제 때문에 기분 나빠서 갈구는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적지 않다. 물론 요즘 서방 언론에서는 크림 타타르인들의 민족 문제와 정체성 등을 부각하기 위해서 크림 타타르인들 중 이맘 등 독실하고 보수적인 무슬림들을 주로 언론에서 다루는 편이다. [27] 이를테면 크림 타타르 집회에 참여한 유력 정치인이 집에 돌아가는 도중 갑자기 덩치 큰 남자 네 명에게 끌려가 차에 탑승한 모습이 CCTV에 찍힌 것을 마지막으로 연락이 전혀 닿지 않는다던가... [28]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의회를 뜻한다. 모스크바도 라다라고 한다. [29]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크림 타타르족과 같은 민족으로 구성된 러시아 내 타타르스탄 자치공화국 대통령 루스탐 민니하노프와 만나 크림 문제를 논하면서 언급했다. [30] 이것이 타르타르 스테이크의 원조라고 한다. [31] 주요 약탈 대상은 폴란드-리투아니아와 그들에게 복속된 카자크 족이었다. 단 카자크 족은 크림 칸국에 대한 약탈원정을 여러번 벌이기도 했다. 솔직히 사회경제적인 실질적 생활상의 역사적 발전으로선 타타르와 카자크는 서로가 서로를 미워하면서도 영향을 주며 서로를 만들어 준 관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