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
각지 특수작전 및 전투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사건사고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소련 붕괴( 벨라베자 조약 ·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 · 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2018년 정교회 분열 ·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우크라이나 침공) |
외교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관계 · 우크라이나-체첸 관계 | |
기타 |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 크림반도 | }}}}}}}}} |
1. 개요
돈바스 전쟁의 2015~2020년 경과를 정리한 문서.2. 2015년
- 1월
15일에 반군은 정부군이 차지하고 있던 도네츠크 국제공항에 대한 공격 끝에 공항 점거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이를 부인했으며, 여전히 정부군이 공항에 남아있다고 발표했다. 18일에는 정부군이 반격을 통해 공항 대부분을 탈환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고, 반군측에서는 이를 부인하였다.
22일에는 정부군이 차지하던 신터미널에서 철수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간 반군이 치열하게 공격해오던 신터미널은 포격으로 인해 심각하게 파괴돠었으며, 이로 인해 더이상 엄폐할만한 거점으로서 남아있지 못하다는 이유로 철수했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공항의 일부는 통제중이라고 발표하였다.
같은 22일, 도네츠크의 버스 정류장에서 트롤리버스가 포격당해 민간인 13명이 사망하였다. 반군측에서는 친정부 민병대가 박격포를 포격했다고 발표하였으며, 근처에는 친정부 민병대가 목표로 했을 만한 반군의 전차 수리 공장이 있다고 밝혔다.
24일에는 휴전 이후로 우크라이나측이 통제하던 채로 교전지역과 동떨어져있던 마리우폴에 포격이 떨어져 민간인 30명이 사망하고 100여명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일어났다. 이에 대해 OSCE는 25일 포격을 가한 측이 반군이며 그라드와 우라간[1] 등 다연장로켓을 동원해 민간인지역에 포격을 가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와 서방 국가들은 반군과 러시아를 비난했으나, 반군측에서는 오히려 정부군이 포격을 했다고 주장하였다.
같은 날 자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는 마리우폴에 대한 공세를 시작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드발체프 지역에 주둔 중인 우크라이나군을 포위할 예정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우크라이나군 역시 마리우폴과 드발체프 등 전 전선에 걸쳐 반군의 공세가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가장 강력한 공세에 직면한 곳은 데발체베로, 도네츠크와 루한스크를 잇는 주요 도로와 철로가 교차하는 중요한 지역이자 반군 영역 안쪽으로 돌출된 정부군 측 점령지였다. 반군측에서는 사방에서 포위를 시도하며 강력한 포격을 퍼붓고, 정부군측에서는 이를 힘겹게 방어중이라고 전해졌다. 반군의 포격으로 인해 인근 스비틀로다르스크에서 병원에서 근무하던 간호사가 사망하는 등 민간인 피해도 늘고 있다고.
- 2월
독일 일간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자이퉁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 사태로 인한 사망자가 유엔 공식 추산인 5000여명보다 최대 10배까지 넘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보고, 영어
10일 우크라이나군은 친정부 민병대인 '아조프 대대'가 마리우폴 인근에서 공세를 가해 몇 개 도시를 탈환하였다고 발표하였다. 포로셴코 대통령은 이번 공세로 군사분계선을 민스크 협의 당시 정해졌던 선까지 돌려놓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하였다.
12일 민스크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러시아, 프랑스, 독일 정상들과 반군 대표들이 참석한 평화회담에서 16시간에 걸친 토의 끝에 휴전에 합의했다. 휴전은 15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분계선에서 중화기들을 철수시키는 것 역시 진행할 예정이라고. 당초 반군측에서는 서명을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메르켈에 의하면 푸틴이 반군측에 압력을 가해 서명하도록 도왔다고.
15일 휴전협약이 발효되면서 양측의 교전이 줄어들었지만, 반군측 지도자는 휴전이 드발체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공세를 지속하였다. 그 외에도 전선 여기저기에 걸쳐 수백 건의 휴전 위반사례가 발생하였다고 알려졌다.
18일 정부군은 반군에 의해 거의 포위되어있던 드발체프에서 군대를 후퇴시켰다고 발표하였다.
- 5월
- 6월
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EU의 제재와 러시아의 맞제재의 여파로 유럽 경제에 손실이 1천억 유로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일단 피해는 러시아 측이 더 크지만 중국의 개입 때문에 그걸 감당하지 못할 거라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게다가 유럽과 달리 아시아 국가들은 이 사태를 중립적으로 바라보고 있기도 하다.[4]
6월 22일. 우크라이나군 중장(우크라이나에서는 2012년 해임되었다고 주장하는)이 DNR에 귀순하는 미친 사태가 발생했다. 전 가족을 전부 데리고! 실제로 알렉산드르 콜로미예츠 중장은 도네츠크 지역 사령관이기도 하였고, 우크라이나 국방부의 정보분석 참모였다. 귀순 동기에 대해서는 도네츠크 지역의 사령관을 장기간 지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에서 살아갈 방법이 없었다고 한다.
- 7월
반군 쪽으로 붙은 고위 요원들의 리스트(...)
- 8월
- 9월
- 10월
3. 2016년
- 1월
우크라이나 Zaitseve에서 발생한 우크라이나 병사와 친 러시아 반군 DPR의 교전 영상 |
새해가 되었지만 산발적인 교전은 계속되고 있다. # 1월 11일에 디폴트를 선언한 우크라이나 정부를 상대로 러시아는 소송을 시작했다. # 1월 12일에 우크라이나가 크림 반도에 전력을 끊은 것을 계기로 우크라이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했다. #
- 3월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연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군인 2,700여명을 포함한 2016년 3월까지 1만여명이 내전에서 숨졌으며, 동부지역 180만명이 피난민이 되었다고 한다. #
- 5월
- 6월
- 8월
- 9월
9월 14일 자정(현지 시간)부터 휴전에 들어간다. #
9월 21일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군은 동부지역에서 병력과 무기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
- 10월
- 11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크림 공화국에서 러시아군 2명 납치했다고 주장 펼치고 있다. #
- 12월
12월 15일에 나토와 러시아는 19일에 나토-러시아위원회를 개최하면서 우크라이나 사태 및 논의를 할 예정이다. # 근데 EU는 대러제재를 2017년 7월까지 다시 연장했다. #
4. 2017년
- 1월
1월 29, 30일 동안 정부군과 반군 간에 대규모 교전이 벌어져 양측에서 상당수 사상자가 발생했다. # #
- 2월
2월 7일, 러시아의 푸틴과 독일의 메르켈은 전화로 우크라이나 동부 사태에 대해 논의했다. #
2월 18일,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군은 뮌헨에서 20일부터 휴전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
2월 20일,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우크라이나 분쟁 3년동안 희생자가 1만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
2월 28일,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의 마이클 오핸런 선임연구원은 우크라이나와 조지아를 영세중립국으로 지정함으로써 서방과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되고 동시에 러시아의 EU가입허용(!) 및 경제제재가 해제된다고 밝혔다. #
- 3월
- 5월
- 6월
6월 26일,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내전 해결을 위한 추가평화협상을 추진하며 중재에 나섰다. #
- 7월
- 12월
12월 27일에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은 수백명의 포로를 맞교환하기로 합의하고 러시아측과 우크라이나측도 합의했다. #
5. 2018년
- 1월
- 2월
- 6월
- 8월
- 9월
9월 29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도네츠크에서 분리주의세력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되는 폭발사건이 일어나자 도네츠크 보안당국은 폭발이 일어난 공산당 건물 주변일대를 통제하고 조사를 벌였다. #
- 11월
11월 27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함정을 나포했다는 이유로 우크라이나측이 24시간동안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 7차례나 박격포공격을 가했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
11월 27일 우크라이나는 이 사건 이후 계엄령 선포를 위한 임시회를 열고 더불어 우크라이나 전군에게 완전 전투 대기 명령이 내려졌다. #
11월 30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성인 남성들의 자국 입국을 금지했다. # 우크라이나는 내전 중에도 계속 러시아 국민들을 입국 시켰다는 소리다.(...) 이쯤되면 러시아 입장에서는 그동안 대놓고 우크라이나 내부에서 아주 자유롭고 원활하게 내전에 개입했다는 사실이다.(...) 우크라이나 정부의 무능함이 보이는 부분.
6. 2019년
- 3월
- 5월
- 7월
7월 31일에 유럽안보협력기구는 우크라이나 동부 내전지역에서 이뤄진 조건없는 휴전 합의의 결과가 매우 좋다면서 이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
- 10월
10월 28일에 마리야 자하로바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우크라이나 남동부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무력 해제를 약속했으나 우크라이나가 이를 불이행했다며 "이제 전 세계는 '민스크 평화협정'의 준수를 누가, 어떻게 막았는지를 알게 됐다"고 비난했다. #
10월 29일에 우크라이나군과 돈바스 지역의 반군들은 철수하기 시작했다. #
- 11월
- 12월
12월 18일에 우크라이나 정부 대표와 친러 반군 대표가 민스크에서 만나 포로교환 조건을 논의했으나 협상이 결렬되었다. #
12월 23일에 우크라이나 정부와 친러 반군은 포로교환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
12월 29일(현지시간)에 우크라이나 정부와 친러 반군간의 포로교환이 시작되었다. #
7. 2020년
- 7월
7월 26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돈바스 지역에 대한 휴전 합의가 이번에는 실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제의로 전화 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서 논의했고 27일부터 효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합의했다고 크렘린이 밝혔다. #
[1]
발사시 그옛날 전설의
BM-13 가끔 카츄샤와 흡사한 소리가 나는 스메르치의 전작 대구경 전략단위[5] 다연장로켓.
[2]
우크라이나군 20만 vs 도네츠크군 10만 이하
[3]
물론 정부군 및 도네츠크-루한스크 반군의 정규병력이 아닌 극우/친러 민병대 중심으로 저지르는 게 있긴 한데 후원자들이 가만 있지 않을 게 분명하기에 대놓고 하지는 않는다. 미국이야 자국이 지원하는 군대의 민간인에 대한 묻지마 학살이 지원 명분을 퇴색시킬 게 뻔하니 용납할 리 만무하고, 러시아 입장에서도 이 전쟁에서 이기려면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전쟁 피로증이 반러감정과 침략에 대한 분노를 능가해야 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자극하지 않는 게 적절하다.
[4]
한국도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는 형식적으로밖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서방 전문가들의 통설이다.
한국, 러시아에 제재 동참 거부
[5]
진짜 전략단위다. 소련의 이런 대구경 다연장로켓은 비행장 타격과 같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아닌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역할을 부여받았다. 유도가 아니면서 정찰탄으로 얻어낸 정보를 바탕으로 적 비행장이나 보급품 집적소/철도역 및 차량 야적장 등을 향해 무유도탄을 정밀하게 날려대는게 스메르치와 우라간같은 녀석들의 임무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