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 1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아브데예프카 전투 Бои за Авдеевку Бої за Авдіївку Battle of Avdeevka[1]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돈바스 전역의 일부 | |
2022년 2월 21일 ~ 2024년 2월 17일 | |
장소 | |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아브데예프카 일대 | |
교전국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A] |
지휘관 | |
제밀 이즈마일로프 비탈리 바라부쉬 아르템 무라코브스키 † |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3] 세르게이 아그라노비치 † |
전력 | |
우크라이나군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
러시아 연방군 제1근위전차군 제2근위제병협동군
제41제병협동군 제1도네츠크군단 말로로시야 해방군 |
피해규모 | |
사상자 수 불명[4] |
사상자 수 불명[5] |
결과 | |
러시아군의 승리 | |
영향 | |
러시아의 도네츠크 시에 대한 완충 지역 확보 오체레티네 전투 개시 |
[clearfix]
1. 개요
|
<rowcolor=#fff> 2023년 3월 기준 아브데예프카-마린카 전선 지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아브데예프카(우크라명: 아우디우카)[6]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2022년 이후에는 러시아) 입장에서 아브데예프카는 지리적 위치상 도네츠크 시 앞에 드리워진 비수 같은 존재여서 도네츠크 시의 안보와 도시의 민간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꼭 점령해야 하는 요충지이고, 우크라이나군에는 도네츠크를 견제, 포격하기 위해서 중요한 교두보이다. 따라서 양측의 치열한 전투가 2022년 2월부터 2년간 지속되었다.
2. 배경
아브데예프카는 본래 도네츠크시 북쪽 외곽에 있는 인구 3만의 도시였다. 돈바스 전쟁 당시 친러 반군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중심지 도네츠크의 안정을 위해 그 북쪽의 아우디우카를 꼭 점령하려 노력하였다. 하지만 2017년의 아브데옙카 전투는 우크라이나 군의 승리로 귀결되었다.3. 진행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아브데예프카에도 대대적인 포격이 있었다. 다만 러시아군의 주력은 키이우, 하르키우, 마리우폴, 헤르손 등지로 향했기에 도네츠크 민병대만으로는 우크라이나가 지난 8년간 강력한 요새화를 해둔 아우디우카를 함락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우크라이나 북부 전선에서 철수한 후에야 러시아군은 본격적으로 아브데예프카에 러시아군을 투입하였고, 4월부터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요새화된 도시로 직접 진격하는 대신 러시아군은 바흐무트 전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곽을 차례대로 점령하여 포위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 7월 무렵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아브데예프카를 반쯤 포위했다고 밝혔다. 이어진 2022년 8월에는 서남쪽 외곽의 페스키에서 격전이 벌어져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2022년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와 바흐무트 전투의 격화로 한동안 잠잠하던 아브데예프카 전선은 2023년 들어 러시아군이 도시의 남쪽과 북쪽 외곽지를 차례대로 점령하며 도시를 3면으로 포위하자 재차 격화되었다.
2023년까지는 우크라이나군이 여러차례 러시아군의 공세를 방어하는 등 나름대로 선전했지만, 2024년부터는 역량이 다했는지 조금씩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 2024년 1월 22일 러시아군이 시가지 남쪽 하수로로 기습 침입해 남쪽 방어선을 무력화했고, 2월에는 시가지 북쪽에서 러시아군이 밀려내려와 시가지를 양단함과 동시에 남부 주요 거점지였던 제니트 방공진지를 포위해 나갔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마리우폴 포위전처럼 전개될 가능성이 무척 높았기에, 병력이 아쉬웠던 우크라이나군은 아브데예프카의 병력들을 구해내려고 최정예 중 하나로 평가되는 제3아조프돌격여단을 보내 포위망 돌파 및 구출 작전에 나섰으나 러시아군이 예상보다 빠르게 밀려와서 구원부대와 철수부대 모두 큰 손실을 입어야 했다. 심지어 이로 인해 사기 하락까지 일어나 상당수의 현장 병사들이 무단 적전도주를 해댔고, 이러던 중 늦게나마 정식 퇴각 명령이 떨어졌지만 이 시점에 남쪽 제니트 방공진지를 비롯한 외곽에서 겨우 살아 돌아온 패잔병들이 몰려와 남아있던 병사들에게 공황을 전염시켰고, 그렇게 철수라기보다는 패주에 가까운 전선붕괴가 이루어졌다. 그렇게 짧게는 4개월, 길게는 10년 가량 이어졌던 이 전투는 이제 러시아식 명칭인 "아브데예프카"로 간판을 바꿔다는 것으로 끝났다.
우크라이나 입장에서 보면 여러가지 악재가 겹쳐 패배한 전투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군의 공세가 격화되던 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했던 미국의 추가 지원안이 의회에 계류되어 도착하지 못했고, 우크라이나군은 전투 후반부에 들어서 심각한 물자 부족에 시달려야 했다.[7] 게다가 우크라이나는 2024년 2월 총사령관을 발레리 잘루즈니에서 올렉산드르 시르스키로 교체했는데, 이 과정에서 엄청난 잡음이 발생했던 데다가, 인사교체로 인한 혼란까지 겹쳐서 예비대를 제때 아브데예프카에 보내는데 실패했고, 뉴욕타임스 보도에 의하면 850~1000명이 항복하여 포로가 되면서 군의 사기에도 심각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4. 전개
4.1. 러시아의 아브데예프카 공략
4.1.1. 2023년
4.1.1.1. 3월
|
<rowcolor=#fff> 03.23.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2023년 3월 21일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의 두 보급로 중 하나를 완전히 차단했다고 밝혔다.
|
<rowcolor=#fff> 03.26. 기준 아브데예프카 시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시가지의 남쪽과 북쪽 외곽을 조금씩 점령하고 있다.
|
<rowcolor=#fff> 03.31. 기준 아브데예프카 시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외곽에서 반격하였고, 러시아군이 북동부 외곽에서 일부 진격하였다.
4.1.1.2. 4월
|
<rowcolor=#fff> 04.3. 기준 아브데예프카 시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이 북부에서 일부 진격하였고,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외곽에서 반격하였다. 3월 중후반 무렵 치열히 전개되던 아브데예프카 전선은 3월 말과 4월 초엽 러시아군이 본격적으로 바흐무트 도심에 대한 공세에 나서며 거의 소강 상태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4.1.1.3. 5월
|
<rowcolor=#fff> 05.11. 기준 아브데예프카 시 전선 지도 |
- 바흐무트 전투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자 러시아군은 5월 중순 들어 다시 아브데예프카에서 진격하였다.
4.1.1.4. 10월
|
<rowcolor=#fff> 10.07. 기준 아브데예프카 시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고속도로까지 철도 노선을 따라 아브데예프카 남쪽으로 진격했다. 크라스노고롭카 서쪽으로도 진격했다.
|
<rowcolor=#fff> 10.14. 기준 아브데예프카 지도 |
- 러시아군이 아브데예프카 시 주변에서 도시 북쪽과 남서쪽에서 대규모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 또한 크라스노고롭카 북쪽에 새로운 위치를 차지했다.
- 러시아군이 10월 중순부터 아브데예프카에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북쪽과 남쪽 측면에서 포위 공격을 노렸지고 북쪽 베르디치 마을 점령에 성공했다.
|
<rowcolor=#fff> 10.20.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의 남쪽 가장자리로 진격해 북쪽 베르디치 마을을 점령하고 동쪽의 폐석산 # 점령을 준비했다.
- 한편 우크라이나군은 아브데예프카에서 러시아군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고 주장했다. # 한편 ISW는 러시아군은 10월 20일 아브데예프카 근처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고, 크라스노고롭카 서쪽(아브데예프카에서 북쪽으로 5km)에서 진격을 했다고 분석했다. #
|
<rowcolor=#fff> 10.24. 기준 크라스노고롭카 전선 지도 |
- 10월 24일 제114차량화소총여단이 폐석산 고지를 점령했다. #
4.1.1.5. 11월
|
<rowcolor=#fff> 11.01.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시 주변에서 스포일리 끝의 북쪽 가장자리와 남서쪽으로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
<rowcolor=#fff> 11.19.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북쪽의 철도 노선을 가로질러 전진해 도시로 향하는 우크라이나군 보급선에 위협을 가하며, 남동쪽으로도 진격하였다.
- 우크라이나군은 최근에 도시의 남쪽과 남서쪽에서 잃어버린 위치를 지역을 탈환했다.
|
<rowcolor=#fff> 11.26.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이 아브데예프카의 북쪽 방향에서 추가로 전진했다.
4.1.1.6. 12월
|
<rowcolor=#fff> 12.03.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이 아브데예프카 북쪽 전선에서 계속 전진하고 있다
|
<rowcolor=#fff> 12.10.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 군이 시가지 북부에 진입했다.
- 12월 29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자신의 SNS에서 아브데예프카에 투입된 부대 중 하나를 방문했었음을 알렸다. #
4.1.2. 2024년
4.1.2.1. 1월
|
<rowcolor=#fff> 01.02.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측면에 강력한 공격을 지속한 끝에 페르보마이스코예 근처로 진격할 수 있었다.
|
<rowcolor=#fff> 01.10.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북부 외곽에서 소폭 진격했다.
|
<rowcolor=#fff> 01.15.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철도를 따라 아브데예프카 북쪽으로 진격했다.
|
<rowcolor=#fff> 01.22.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 군이 시가지 남부로 파고들어 일대의 우크라이나 군 방어선이 붕괴 위기에 놓였다. 당시 러시아군은 "트럼펫 작전(Операция «Труба»)"을 개시, 남부 차르스카야 오호타 지하에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고 침수되어 있던 하수관의 얼음물을 퍼내고 특수부대 150여명을 약 2km 침투시키는 식으로 요새 지대를 돌파, 1월 20일경 이 구역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 러시아군은 2024년 1~2월 중 4주간 아브데예프카에 600여 발의 FAB-500 활공 폭탄을 투하했다고 우크라이나 언론인 유리 부투소프가 말했다. #
4.1.2.2. 2월
|
<rowcolor=#fff> 02.14.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2월 13일,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도심부로 진격했고, 우크라이나 수비군의 보급선을 사실상 차단했다. 또한 아브데예프카 전선 남단 외곽의 우크라이나 수비대를 3면 포위해 섬멸 직전으로 만들었다.
- 2월 15일, 제1근위차량화소총여단은 남단 포위망을 계속 좁힌 끝에 도네츠크 순환도로(ДКАД) 인터체인지를 요새화한 체부라시카와 2015년 건설된 제니트 대공방어 요새를 점령했고, 점령 직전 부상자를 포기하고 서로 무리지어 탈출하던 우크라이나군들은 탁 트인 들판을 가로질러 탈출하다 러시아군 드론과 포격에 상당수가 사상당했다. 키이우 포스트 기사 연합뉴스 기사 아브데예프카에서 가장 강력한 방어 요새들이 함락됨으로서 도네츠크 순환도로 전 구간이 러시아 영역이 되었다.
- 2월 16일, 불과 하루 전까지도 병력을 증파하며 사수하겠다던 #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이 2월 17일 아브데예프카에서의 철수를 지시했다. 다만 철수가 확인된 건 남부 제니트 포위망 뿐이라 북쪽 코크스 공장에서 농성을 이어가는 이들도 철수할지는 불명. 다만 코크스 공장에서 계속 농성 시 제2의 아조프스탈이 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두 전투 모두 러시아군 측은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 상장이 지휘하게 된다. #
|
<rowcolor=#fff> 02.19.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2월 17일, 코크스 공장과 아브데예프카 시청사에 러시아 삼색기가 게양되면서 아브데예프카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이 났다.
4.2. 러시아의 아브데예프카 근교 공략
4.2.1. 3월
|
<rowcolor=#fff> 03.04.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오를롭카의 상당 부분과 스테포보예 정착지를 점령했으며, 토넨코예 및 베르디치로 진격했다.
|
<rowcolor=#fff> 03.13.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지난주 아브데예프카에서 서쪽으로 진격하는 속도가 느려졌다. 그리고 토넨코예에 대한 전투지역이 소규모로 확장되었으며,현재 러시아군은 베르디치 동쪽에도 거점을 두고 있다.
|
<rowcolor=#fff> 03.18. 기준 베르디치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서쪽 베르디치 깊숙히 진격했다.[8]
|
<rowcolor=#fff> 03.29.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베르디치에서 소폭 진격했고, 토넨코예 서쪽으로도 진격했다.
4.2.2. 4월
|
<rowcolor=#fff> 04.03.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토넨코예 서쪽의 우만스코예로 접근했고, 페르보마이스코예에서도 진격을 했다.
|
<rowcolor=#fff> 04.11.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북쪽에서 노보칼리노보로 진격했고, 아브데예프카 서쪽에서는 페르보마이스코예를 완전히 점령했다.
|
<rowcolor=#fff> 04.17.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아브데예프카 북쪽에서는 철도를 따라 오체레티노 정착지 가장자리까지 진격했고, 토넨코예 서쪽에서 더 많은 영토를 점령했다.
|
<rowcolor=#fff> 04.27. 기준 아브데예프카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이 아브데예프카 북서쪽의 오체레티노에서 우크라이나군 방어선을 돌파해 마을 대부분을 점령하고 솔로비요보와 노보바흐무톱카를 점령했다.
- 러시아군은 또한 세메놉카와 베르디치에서 진격했다.
- 우크라이나군은 페르보마이스코예에서 소규모 반격을 진행했다.
러시아군이 아브데예프카 근교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충분한 완충지대가 생김에 따라, 아브데예프카 전투는 오체레티네 전투로 넘어갔다.
5. 영향
우크라이나로서는 바흐무트 전투 이상의 전술적, 심리적 타격을 입게 되었다. 아브데예프카는 개요 문단에서 전술했듯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이 분리독립을 선언한 이후 그들의 주도 도네츠크와 상당히 가까운 눈엣가시였기에 우크라이나 군은 수년간의 돈바스 전쟁 속에서 요새화를 상당히 해놨다.그러나 이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이 병력, 화력 면에서 열세임을 활용해 아브데예프카 남북으로 포위용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시내에 부대를 투입했고, 이에 우크라이나 군은 비전투병까지 동원해 이곳을 전력으로 사수했다. 하지만 전술한 이유로 마리우폴이나 바흐무트 때보다 빠른 속도로 밀리기 시작했고, 절대사수를 부르짖던 수뇌부도 결국 퇴각 명령[9]을 내렸지만, 러시아 군은 이를 예상하고 퇴로를 차단한 후 철수 행렬을 집중 포격해 상당한 사상자를 내게 만들었고, 뉴욕타임스 보도에 의하면 850~1000명이 항복하여 포로가 되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우크라이나군은 이곳에서 피해 대비 러시아군의 군사역량을 의미있게 감소시키지 못했다. 결국 이곳이 함락되면서 방어선 구축에 조금 더 어려워졌으며, 바흐무트 함락 이후부터 대공세 실패, 방어로 전환 그리고 아브데예프카 함락 등의 연속적인 패배로 우크라이나군에게 심한 사기 저하와 서방 세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등의 의견 균열이 더 심해진 상황이다. 반면에 러시아는 도네츠크 시에 대한 완충지대를 확보함으로써 도네츠크 시의 안정을 확보했으며, 바흐무트 전투 승리, 우크라이나의 대공세 방어 성공, 아브데예프카를 포함한 곳곳으로의 진격과 주요 거점 및 도로 점령으로 러시아에겐 이 전쟁의 승세를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2023년 초 벌어진 바흐무트 전투에 이어 다시금 공세 작전에서 성공을 거뒀다는 점 자체가 러시아 국민과 군대의 사기 증진에 기여하는 데다가, 아브데예프카는 도네츠크의 다른 거점들을 공략할 수 있는 중요한 지리적 요충지라는 점도 긍정적이고, 뉴욕타임스 보도에 의하면 최소 850명 이상의 포로를 획득하며 우크라이나군의 사기에도 심각한 타격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결국 이 전투에서 승리해 탄력을 입은 러시아군이 진군하고 타격을 입은 우크라이나군이 이를 저지하지 못함에 따라서 2024년 연말에는 포크로우스크 앞까지 전선이 밀리게 되었다.
[1]
다만 현재 영미권이 친우크라이나 성향이다 보니 (러시아-공산권 국가의 영어판을 제외하면) 이보다는 Battle of Avdiivka로 더 많이 뜬다.
[A]
2022년 9월 러시아 영토로 편입됨
[3]
중앙군집단 사령관.
[4]
교차검증 불가
[5]
교차검증 불가, 우크라이나는 17,000명 전사, 30,000명 부상, 95명 포로 주장
[6]
국내 커뮤니티에선 이외에도 아브디브카, 아브디예브카, 아브데옙카 등으로도 기제하지만 일단 대한민국 외교부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우크라이나식 명칭 변경 요청
#이 있기 전에는 이 도시를 러시아식인
'아브데예프카'로 칭했으며
연합뉴스 역시 이 명칭을 썼었다.
[7]
인력을 제외한 모든 군수물자를 서방에게 의존하는 우크라이나와 자체생산이 가능한 러시아의 보급 차이가 결국 승패를 갈랐다. 게다가 이 시점에서 우크라이나는 인력마저도 점점 고갈되가고 있어서 비전투병을 전투병으로 보내는 등 필사적인 돌려막기를 하고 있었는데, 그 와중에도 도네츠크시에 대한 테러 포격은 여전했다는점을 보면 물자 낭비라는 말이 어울릴지도.
[8]
방어선의 다른 마을인 토넨코예는 16일에, 오를롭카는 19일에 러시아군에 점령당했다.
[9]
퇴각 지시가 갑자기 내려졌다 보니 우크라이나 군은 부상자들을 남겨두고 대열이 무너진 채로 탈출할 수 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