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
쿠데타 시도) · 2022년(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 1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1. 개요
Военно-гражданск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ВГА군민정청(軍民政廳)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내 점령 지역에 설치한 행정 기관이다. 이름과 달리 군정이라기보다는 민정의 색채를 강하게 띠었다.
군민정청 설치 목적은 러시아 산하 행정 시스템을 마련하고 치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군민정청 설치 당시 헤르손주와 자포로지예주는 이미 러시아가 영토의 상당 부분을 점령하고 있었다.[1] 또한 헤르손, 자포로지예 군민정청 모두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산하로 전환되는 과도 기관의 성격이 짙었기에 일시적으로 러시아어와 러시아 루블을 우크라이나어와 우크라이나 흐리우냐와 함께 사용했다.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헤르손 군민정청, 자포로지예 군민정청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서는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가 진행되었으며, 9월 29일 러시아가 헤르손주와 자포로지예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군민정청 체제가 종료되고 완전한 민정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후 9월 30일 이들 지역은 러시아와 합병 조약을 체결하였다.
2. 역사
2022년 2월 27일, 하르키우주 쿠퍈스크의 헨나디 마체호라 시장이 러시아군과의 협상으로 전투 없이 도시를 러시아에 넘겨주고 본인의 시장 직을 유지한 것이 군민정청의 시초이다. 당시 군민정청이라는 이름은 붙지 않았지만, 지역 정치인에게 러시아군에 의한 점령 지역 관리를 맡게 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최초의 군민정청이다. #2022년 3월 2일, 헤르손 군민정청이 설립되었다. 당시 군민정청은 말그대로 군정의 모습이었고, 행정 관리는 지역 정치인들이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를 설립해 실시되었다. 4월 이후 민정장관으로 블라디미르 살도가 임명된 후에야 군민정청 자체의 민정 컨트롤타워가 형성되었고 일부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사실상 군정청이 아닌 민정청으로서 기능했다.
2022년 3월 12일, 멜리토폴 시장으로 갈리나 다닐첸코를 임명해 자포로지예 군민정청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3. 목록
군민정청 Военно-гражданск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ВГА) |
||
하리코프 | ||
개편된 군민정청 | ||
헤르손 | 자포로지예 | 니콜라예프 |
- 헤르손 군민정청: 헤르손주에 설치된 군민정청. 9월 21일 니콜라예프 군민정청과 통합. 9월 30일 러시아로 편입.
- 자포로지예 군민정청: 자포리자주에 설치된 군민정청. 9월 30일 러시아로 편입.
- 하리코프 군민정청: 하르키우주에 설치된 군민정청.
- 니콜라예프 군민정청: 미콜라이우주에 설치된 군민정청. 9월 21일 헤르손 군민정청과 통합.
4. 기타
어원은 2015년 우크라이나가 돈바스 지방 2개 주 내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설치한 군민정청으로 보인다.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는 2014년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우크라이나에서 분리 독립해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건국했으나 군민정청이 설치된 일부 지역까지 점령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우크라이나가 설치한 군민정청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영문 위키피디아와 영미권 제도권 언론에서는 'Military–civilian administration'으로 번역한다.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