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 농사 농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辰,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준7급
|
||||||
-
|
|||||||
일본어 음독
|
ノウ, ドウ
|
||||||
일본어 훈독
|
たがや-す
|
||||||
农
|
|||||||
표준 중국어
|
n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農은 '농사 농'이라는 한자로, ' 농사(農事)'를 뜻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의미가 확장되어 축산업에도 사용한다.[1]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농사 |
음 | 농 | |
중국어 | 표준어 | nóng |
광동어 | nung4 | |
객가어 | nùng | |
민북어 | nǒ̤ng | |
민동어 | nŭng | |
민남어 | lông[文] / lâng[白] | |
오어 | non (T3) | |
일본어 | 음독 | ノウ, ドウ |
훈독 | たがや-す | |
베트남어 | nông |
유니코드에는 U+8FB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WMMV(廿田一一女)로 입력한다.
曲(굽을 곡)과 辰(별 진)이 위 아래로 합쳐져 있는 형태인데, 갑골문에서는 위쪽이 林(수풀 림)으로 되어 있다. 이외에 윗부분은 땅 위에 나무나 풀이 난 모습으로 그려져 있기도 하고, 아래쪽은 辰 대신 辱(욕 욕, 즉 辰을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 있기도 하다. 전통적으로는 辰을 조개로 여겼기 때문에 '큰 조개를 농기구로 삼아서 밭을 갈았다'와 같은 식으로 설명했지만, 갑골문을 연구하면서 辰 자의 원형이 조개보다는 호미나 괭이 같은 농기구의 모습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에, 조개와 관계없이 '농기구를 가지고 논밭을 간다'라는 뜻에서 '농사'라는 의미가 생겼다는 식의 설명도 있다. 금문에 와서는 뜻을 보강하기 위해 위쪽에 田(밭 전)이 추가된 형태도 보이며, 양 옆에 있는 나무나 풀들이 學(배울 학)의 윗부분처럼 양손으로 바뀐 형태도 나타난다. 田 자는 더 변형되어 囟의 형태로 고착되었다. 전서에 와서는 䢉( 臼 사이에 囟 그 밑에 辰)과 같은 형태, 여기서 더 일그러진 農의 형태가 오락가락하다[4], 예서와 해서에 와서 지금의 農 형태로 고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농가(農 家)
- 농고(農 高)
- 농과대학(農 科 大 學)
- 농가월령가(農 家 月 令 歌)
- 농가집성(農 家 集 成)
- 농기계(農 機 械)
- 농기구(農 器 具)
- 농노제(農 奴 制)
- 농림(農 林)
- 농무(農 務/農 舞)
- 농민(農 民)
- 농부(農 夫)
- 농사(農 事)
- 농상공부(農 商 工 部)
- 농악(農 樂)
- 농약(農 藥)
- 농업(農 業)
- 농장(農 場)
- 농지(農 地)
- 농촌(農 村)
- 농학(農 學)
- 농한기(農 閑 期)
- 도농( 都農)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상대자
- 都(도읍 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擃(찌를 낭)
- 䁸(흐릴 낭, 성난눈동자 농)
- 嶩(산이름 노)[6]
- 蕽(갈꽃 농)
- 膿(고름 농)
- 𦗳[⿰耳農](귀울 농)
- 𪆯[⿰農鳥](기러기 농)
- 儂(나 농)
- 檂(나무이름 농)
- 䵜(농사지을 농)
- 𨑊[⿰多農]/ 𨲳[⿰镸農](많을 농)
- 穠(무성할 농)
- 㺜(삽살개 농/노)
- 繷(성하고많을 농)
- 噥(소곤거릴 농)
- 𪒬[⿰黑農](시꺼멀 농)
- 癑(아플 농)
- 𩟊[⿰𩙿農](억지로먹을 농)
- 襛(옷두툼할 농)
- 𩅽[⿱雨農](이슬이많을 농)
- 醲(진한술 농)
- 濃(짙을 농)
- 𠘊[⿰冫農](추울 농)
- 齈(콧물 농)
- 燶(탈 농)
- 鬞(헝클어진머리 농)
- 𣰊[⿰農毛](헝클어질 농)
- 禯(후한제사 농)
- 憹(괴로워할 뇌/노, 기쁠 농)
- 䃩(약돌 뇨)
- 譨(말많을 누)
- 𩼅[⿰魚農](복어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