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22:53:42

농상공부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경각부 | 京各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황제
의정부
,의정부,
궁내부 중추원
,중추부,
원수부
,친위부,
내부
,이조,
외부
,통리,
탁지부
,호조,
군부
,병조,
규장각
비서원

시종원
장례원
종부사
법부
,형조,
학부
,예조,
농상공부
,공조,
경부
,포도,
고려 중앙정치기구 · 조선 중앙정치기구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가진
제2대

이범진
제3대

정병하
제4대

조병직
제5대

이윤용
제6대

정낙용
제7대

이도재
제8대

민병석
제9대

김명규
제10대

박제순
제11대

김명규
제12대

권재형
제13대

박정양
제14대

권재형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기
제17대

이종건
제18대

민병석
제19대

권재형
제20대

김규홍
제21대

민종묵
제22대

민영소
제23대

김가진
제24대

이도재
제25대

이지용
제26대

박제순
제27대

이근택
제28대

박제순
제29대

조동희
제30대

권중현
제31대

성기운
제32대

송병준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3대

조중응
}}}}}}}}}}}}

1. 개요2. 상세

1. 개요

農商工部

1895년(고종 32년) 농업·상업·공업 등의 행정을 관장하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중앙 행정 기관.

2. 상세

1895년 관제 개편에 따라 설치된 7부의 하나로 갑오경장 때 농상 아문과 공무 아문을 합한 관아로서 농업·상업·공업 및 우체·전신·광산·선박·해원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했으며 1910년 한일 합방 때까지 존속했다.

소속 국(局)으로는 대신관방 ·통신국 ·농무국 ·상공국 ·광산국 ·회계국의 6국과, 비서과 ·문서과 ·농사과 ·삼림과 ·산업과 ·체신과 ·관선과의 7개 과가 있어 이에 관한 제반 사무를 관장했으며 관원으로 대신 1명, 협판 1명, 국장 5명, 참서관 4명, 기사 7명, 주사 18명, 기수 12명 등이 있었다.

다음 아래는 소속된 관서들의 업무이다.

농상공부의 청사가 있었던 곳은 본래 육조거리 동편인 가장 남쪽의 구 호조의 기존 건물을 전용하여 운영되었으나, 1907년에 있던 경성 박람회 주관을 계기로 1907년 12월부터는 황금정의 박람회 건물을 청사로 사용하였다. 이후, 1909년 육조거리에 청사의 신축 계획을 세웠으나, 실제 건설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다시 저동의 전 양향청이었던 한국 주차군 위수 병원 자리에 벽돌조 2층의 200평 규모의 청사를 신축하게 되었고, 1909년 6월 착공된 신청사는 한일 합방이 있던 1910년 8월에 완공되었다.

청사는 H 형태의 평면을 하고 있으며 벽돌조 2층 건물로 수직 구조체인 벽체는 벽돌로 조적하고, 2층의 바닥은 인방에 장선을 걸고 판재를 깐 목구조로 계획되었고, 지붕도 목조 트러스로 된 경사 지붕으로 구성, 별도의 처마를 두지 않고 빗물받이 홈통을 지붕 둘레에 설치하였다. 청사의 전면 중앙에는 차가 진입할 수 있는 포치가 설치되었고, 양 날개채의 후면에 계단실을 두었으며, 각 계단실에는 별도의 출입문을 두었고, 각 실에는 난로를 사용하기 위한 굴뚝이 계획되었는데 1개 - 2개실마다 한 개의 굴뚝을 사용하도록 하여 한 개의 굴뚝에 2개 - 4개의 연도가 집적되도록 계획하였다.

외관의 입면은 여러 가지 요소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장식되었는데 전체적으로 벽돌을 노출시켰으며, 1층에는 석재로 돌림띠를 두어 변화를 주었다. 창문의 경우 1층에는 원형 아치를, 2층에는 평아치를 두고 종석을 강조하여 장식하였다. 정면으로 돌출된 중앙 현관과 양끝의 날개채 부분의 상부에는 박공 형태의 장식을 하였는데, 중앙의 경우는 둥글게 하고 양쪽은 삼각 형태로 변화를 주었다. 박공 하단 양쪽에는 별도로 미장으로 하여 2층 높이의 커다란 기둥처럼 보이도록 의도하였고 이로 인해 넓어진 기둥면에는 세부 장식을 더하여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박공부 역시 광창과 함께 주변에 장식을 더하여 화려하게 마감되었다. 건물의 전면에만 설치된 패러핏은 전면의 높이를 증가시켜 건물을 더욱 웅장하게 보이는 효과를 주었다. 건물의 중앙에는 상부를 돔으로 마감한 탑을 두어 청사의 중심성을 더욱 강조하였다. 돔 하단에는 오더를 차용하여 토스카나식으로 사면이 장식되었으며, 기둥 사이에는 환기창이 설치되었다. 탑은 목조로 구축되었다.

청사의 내부에도 외관과 마찬가지로 많은 장식을 부가하였다. 벽면 상단과 하단에 사용된 목재나 미장마감 등에는 모서리나 면에 각종 쇠시리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장식하였다.[1]

[1] 청사에 대한 설명은 국가기록원의 일제 시기 건축 도면 컬렉션을 참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