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성(性) 특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232529>
생물학적 성별 (sex) |
<colbgcolor=#E8E8E8,#3B3E45>분류 | 남성 · 여성 · 인터섹스 |
같이 보기 | 성결정계 · 성 지정 · 생식( 동성생식) · 생식 기관 · 무성별 | ||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
분류 | 성소외자 · 트랜스젠더( MTF · FTM · 트랜스섹슈얼) · 시스젠더 · 젠더퀴어/ 논바이너리( 안드로진 · 바이젠더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팬젠더 · 뉴트로이스 · 젠더플루이드 · 트라이젠더 · 제노젠더) · 제3의 성 · 중성 | |
같이 보기 | 성별 · 젠더 · 젠더 시스템( 젠더 이분법) | ||
성적 지향 (sexual orientation) |
분류 | 이성애 · 동성애( 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유성애 · 무성애 · 범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남성애 / 여성애 | |
같이 보기 | 성소수자 · 비성소수자 · 성적 정체성 · 성애 | ||
로맨틱 지향 (romantic orientation) |
분류 | 이성로맨틱 · 동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무로맨틱 | |
같이 보기 | 연애( 이성연애 · 동성연애 · 양성연애 · 비연애) · 로맨틱 정체성 | ||
성적 특성 질문 (question) |
분류 | 퀘스처닝 | |
같이 보기 | 성 정체성 · 성적 정체성 · 로맨틱 정체성 · 젠더 표현 · 성별 비순응 |
<colbgcolor=#ffffff,#191919> |
|
논바이너리를 상징하는 프라이드 플래그 |
[clearfix]
1. 개요
논바이너리(non-binary)는 '비 이분법적'이라는 뜻으로, 기존의 젠더 이분법에서 오는 제약을 타파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논바이너리는 자신의 성을 특별히 정의하지 않으며 기존의 개념 중 하나로 규정되는 것도 거부하고, 스스로의 외양이나 행동 양식이 기존의 성 역할 혹은 젠더나 전통의 산물이 아닌 단순히 개인의 호불호로 이루어졌을 뿐인 하나의 사람으로 여겨지기를 바란다. 제3의 성과 겹치는 면이 많고 거의 비슷한 개념으로 볼 수 있지만[1] 엄밀히 따지면 약간 차이가 있다.
영어에서 남성의 대명사는 'he'[2], 여성의 대명사는 'she'지만[3] 논바이너리의 대명사는 대부분 'they'[4][5]다. 실제로 메리엄 웹스터 사전을 비롯한 다수의 영어 사전에서 they가 논바이너리 정체성을 지닌 단수의 사람을 가리킬 때 쓰인다고 등재되어 있다. 이 경우 'they'는 한 사람을 가리키지만 여러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할 때 쓰이는 복수형 동사와 함께 쓰인다. 'non'과 'binary'의 첫 글자만 따와서 enby(엔비)라고 지칭하기도 하며, Ms, Mrs, Miss, Mr와 같은 호칭 대신 'Mx'라는 성중립적 타이틀을 사용한다.
둘 중 하나로 성별을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은 에이젠더와 유사하지만, 기본적인 정의가 완전히 다르다. 숫자에 비유하면 논바이너리는 1이나 2가 아닌 다른 숫자를 폭넓게 포함한다면, 에이젠더는 0에만 한정한다고 할 수 있다.
논바이너리 커밍아웃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영어권에서는 지원서와 같은 서류나 홈페이지 회원가입 창의 성별 표시란에서 "논바이너리" 등의 선택지도 추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만일 논바이너리나 논바이너리로 생각되는 사람을 만난다면, 당신을 어떻게 불러드릴까요?라는 질문을 해보자. 설령 그 사람이 시스젠더였다고 해서 크게 기분 나쁠 질문도 아닐 뿐더러, 사소한 배려에도 크게 감동받고 편안해하는 그 사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호칭 문제도 해결되는 것은 덤.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논바이너리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배출되었다.
보스턴 마라톤은 2023년 4월 17일 열리는 127회 대회부터 '논바이너리(Non-binary)' 선수가 내년 대회부터 남자나 여자 부문에 등록하지 않고 경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
2. 실존 인물
- 그랜트 모리슨
- 김기홍
- ND 스티븐슨[6]
- 댈러스 레이드
- 데미 로바토
- 레베카 슈거
- 롤라 패티크루[7]
- 루비 로즈
- 마리사 듀란
- 마린 밀러
- 모건 베리
- 미셸 로하스
- 브리젯 런디페인
- 샘 스미스
- 스카일러 데이븐포트
- 스티비 레인[8]
- 아만들라 스텐버그
- 야나기 타카유키
- 아시아 케이트 딜런[9]
- 안잘리 쿠나파네니
- 에마 다시
- 엘리엇 페이지
- 엘시 피셔[10]
- 엠마 코린
- 우타다 히카루
- 음혁진
- 이데가미 바쿠
- 재즈민 빈
- 조시 그렐리
- 주디스 버틀러
- 코리나 보에트가
- 키어런 스트레인지[11]
- 토미 아치니에가
- 하세가와 하쿠시
- 헤이든 다비오
- Arca
- Dreamer Isioma
- Frums
- Jeffree Star
- JellyBean
- NEMO[12]
- Rageminer
- Roxen
- SonicFox
- Tani Fernández Luchett[13]
- Unnämed
- Weatherday
- yeule
- Zoe Terakes
3. 가상 인물
성별 불명 캐릭터와 논바이너리 캐릭터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마몬
- 길티기어 시리즈 - 테스타먼트
- 나이츠 시리즈 - 나이츠
- 날아라 호빵맨 - 베이비맨
- 단간론파: 절망의 시간 - 니코 하코뱐
- 델타룬 - 크리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센스
- 마슐 - 마가렛 마카론
- 몬스터 하이 - 프랭키 슈타인[14]
- 매정할 정도로 파랗고 빈틈없을 정도로 빨갛다 - 하야미 미하야
- 아울 하우스 - 레인 위스퍼스
-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 주블
- 언더테일 - 프리스크, 차라
- 언더테일 옐로우 - 클로버
- 앨버트 크루거 박사의 심리 테라피 - 테일러 리
- 앵그리버드 시리즈 - 조
- 엘리멘탈(애니메이션) - 레이크 리플
- 오버워치 시리즈 - 벤처
- 우주의 전사 쉬라 - 더블 트러블
- 임금님전대 킹오저 - 리타 카니스카[15]
- 발로란트 - 클로브
- 빌리언스 - 테일러 메이슨[16]
-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 모쿠렌
- 사우스 코리안 파크 - 김박최수연
- 샌드맨 - 욕망
- 앨버트 크루거 박사의 심리 테라피 - Taylor Lee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 하이그레 마왕
- 악마에 입문했습니다! 이루마 군 - 오페라
- 자이언트 펭TV - 펭수
-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3 - 유즈리하
- 총몇명 시리즈 - 나천재
- 크레이지 파크 - 배찌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 벨
- 쿠키런 시리즈 - 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를 참고.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아키야마 미즈키
- 왕벽한 멸멍의 날 - 올리브 히긴스, 미튼스 위친
- 하스스톤 - 바르덴 던그래스프
- Bugsnax - 플루프티 피즐빈
- Apex 레전드 - 블러드하운드
- Cult of the Lamb - 샤무라, 주인공(어린 양)
- DJMAX 시리즈 - 다인
- Fate 시리즈 - 슈발리에 데옹, 시황제(Fate 시리즈)[17], 캐스터 림보, 오다 노부나가(Fate/Grand Order)[18]. 카신코지(Fate 시리즈)[19], 수수께끼의 란마루 X, 영월의식의 세이버, 엘키두, 완지나, 아즈미노 이소라[20]
- 머펫 쇼 - 곤조[21][22]
- Your Boyfriend - Y/N
- Scratchin' Melodii - 멜로디
- 브롤스타즈 - 안젤로(예전에 대명사가 he로 업데이트됐지만, 다시 they로 업데이트됐다.)
- The power of two - 프로파일리 , 위너 , 프라이스 태그
- Inanimate Insanity - 페인트브러쉬 , 봇
[1]
실제로 논바이너리들이 쓰는
프라이드 플래그는 제3의 성이 쓰는 것과 똑같다.
[2]
성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주 쓰인다. 일본 서브컬처에서 공식설정상 성별이 애매한 캐릭터들도 서양에서는 he로 다뤄질 때가 많았다. 일반인이 보기에 암수구별이 어려운 동물들을 지칭할 때는 현재도 기본적으로 he를 비롯한 남성명사가 주로 쓰인다.
[3]
본래 성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나 성별이 없는 기계 등의 물체를 지칭할때 쓰이던 대명사이기도 했다. 이는 과거 항해사들이 자기의 배를 지칭할 때 여성형 대명사인 she로 지칭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도 무생물에 한해서는 밑의 they와 함께 혼용되기도 한다.
[4]
중성이거나 상대의 성을 모를 때, 혹은 대상의 성이 애초에 정해져 있지 않거나 숨길 때도 사용한다.
[5]
본인의 선호에 따라 it 등 다른 대명사를 쓰기도 한다.
[6]
동시에 여성애자인 트랜스남성이기도 하다.
[7]
영화 '데이팅 앰버'에서 레즈비언인 '앰버' 역을 맡은 배우. 해당 영화는 게이와 레즈비언인 남녀가 서로 사귀는 척 하며 주변의 눈총에서 벗어나려 하는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8]
본명은 스티비 스콧 매더스(Stevie Scott Mathers).
에미넴의 전처 킴의 자녀이자 에미넴의 양자이다.
[9]
Asia Kate Dillon,
존 윅 3편의 심판관 역으로 출연하였다.
[10]
에이스 그레이드의 주인공 배우
[11]
논바이너리이자 동시에
트랜스남성.
[12]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4년 의 우승자
[13]
아르헨티나 대통령
알베르토 페르난데스의 첫째 자녀이자 드래그 퀸
[14]
3세대 리부트부터 논바이너리 설정이 붙었다. 뜬금없이 붙은 설정이라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오리지널~2세대 리부트까지는 평범한 여성이었다.
[15]
각본가의 인터뷰에서도 젠더 뉴트럴이라고 언급되었다.
#
[16]
주류 실사 창작물 역사상 최초로 논바이너리 젠더 설정을 공개적으로 가진 캐릭터로, 실제 배우인 아시아 케이트 딜런 역시 논바이너리이다.
[17]
생물학적 성별은 남성형이나,마테리얼에는 성별이 '짐'으로 나온다.
[18]
캐스터 림보와 오다 노부나가의 경우 육체적 성별은 바이너리이지만(캐스터 림보 : 남성, 오다 노부나가 : 여성), 정신적 측면에서 다른 성별의 인격이 섞여 논바이너리가 된 케이스이다.
[19]
현재 외관은 여성이지만, 과거 단조를 제작했을 때에는 남성이었다. 본래 성별은 본인조차도 잊어버렸다.
[20]
3차 재림 한정
[21]
정확히는 왓에버라는 가상의 종족이자 성별, 그래서인지 신문연재만화에서 남자화장실이랑 여자화장실을 지나치고 왓에버화장실에 들어가는 묘사가있다
[22]
머펫 프렌즈에서 영어판에서 대명사 they"로 자신을 칭하는 묘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