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04:08

강명규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파일:강명규.jpg
<colbgcolor=#0047a0> 출생 1896년 1월 12일
황해도 봉산군 문정면 중탑동
사망 1983년 10월 27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이명 강복원(姜復元), 강승원(姜承園), 강양원(姜陽園)
상훈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 생애

강명규는 1896년 1월 12일 황해도 봉산군 문정면 중탑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경성사립오성학교(京城私立五星學校)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상과에 재학하다가 3.1 운동 후 국내에서 무력 항쟁을 벌이기 위해 동지를 모으다가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자 상하이로 망명했다. 1921년 임시의정원 황해도 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22년 2월에는 상인위원회 제4과 위원으로 선임되었지만 곧 사직했다.

이후 나석주, 이성(李成), 송호(宋虎), 김기덕(金基德) 등과 함께 중국 한단육군군관강습소(邯鄲陸軍軍官講習所)에 입소하여 군사학을 수학했으며, 1923년에는 바오딩육군공병단훈련소(保定陸軍工兵團訓鍊所)에 입소하여 공병군사학을 전공했다. 병단훈련소를 졸업한 후에는 보정 비행장에 있는 육군공병단 철도대에서 훈련을 받았다.

1924년 만주로 향한 강명규는 통의부 군사부 의용군사과장 겸 지도부장에 임명되어 봉천성 흥경현 왕청문 이도구에서 통의부 산하 독립군을 훈련시키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러던 중 일본군이 통의부 지휘부가 있는 흥경현 북전자를 기습하자, 그는 이에 맞서 싸우다가 부상을 입었다. 이후 통의부가 조직 내 이념갈등으로 분열되자, 그는 1925년경 정의부로 옮겨 중앙심판원 겸 생계부 이재과장(理財課長)을 역임했다.

1927년엔 백산학교 교원에 선임되었고, 1928년엔 동광학교 교원을 맡았으며, 1929년 신민부 중앙위원을 역임했고, 1930년 대한농민당 중앙위원, 1931년 대한독립군 참모장, 1932년 신한농민당 위원을 맡았다. 1933년 대한혁명당 위원을 역임한 강명규는 그해 5월 신근원(辛槿園), 권호범(權豪範), 김일(金一), 윤덕산(尹德山) 등과 함께 240여명의 독립군을 조직하고 중국구국군 총사령 이두(李杜)의 지휘하에 횡도하자, 석도하자, 해랑강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압도적인 군사력을 당해내지 못하게 되자, 그는 중국 관내로 피신했고 193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합류하여 구국동지회 회장을 역임했다. 이후 임시정부와 함께 충칭으로 옮긴 그는 1945년 광한단(光韓團) 부단장을 역임했다. 8.15 광복 후에는 귀국하여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자리를 잡았고, 한국독립당 중앙감찰위원, 반민특위 조사관을 역임했으며, 6.25 전쟁 때는 육군 대위에 복무했다. 이후 연희동 자택에서 말년을 보내던 그는 1983년 10월 27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강명규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지 이틀 후인 1983년 10월 17일에 서울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