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미국 | |||
발생 시각 ( UTC+10)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2024년 10월 30일 13시 15분 19초 |
Mw 6.0 | 미국 오리건주 밴든 서쪽 279km 해역 |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생연월일 | 명칭 | 규모 | 최대진도 | 쓰나미 |
1872년 3월 14일 | ■하마다 지진 | M7.1 | |||
1891년 10월 28일 | ■ 노비 지진 | M8.0 |
격렬
|
||
1894년 10월 22일 | ■쇼나이 지진 | M7.0 |
열진
|
||
1896년 6월 15일 | ■ 메이지 산리쿠 지진 | M8.2 |
강진
|
최대 38.2m | |
1896년 8월 31일 | ■리쿠 지진 | M7.2 | |||
1923년 9월 1일 |
■
다이쇼 간토 지진 (관동 대지진) |
M8.1 |
6
|
최대 12m | |
1925년 5월 23일 | ■기타타지마 지진 | M6.8 |
6
|
||
1927년 3월 7일 | ■기타탄고 지진 | M7.3 |
6
|
최대 1.5m | |
1930년 11월 26일 | ■기타이즈 지진 | M7.3 |
6
|
||
1933년 3월 3일 | ■쇼와 산리쿠 지진 | M8.1 |
5
|
최대 28.5m | |
1943년 9월 10일 | ■돗토리 지진 | M7.2 |
6
|
||
1944년 12월 7일 | ■ 쇼와 도난카이 지진 | M7.9 |
6
|
최대 9m | |
1945년 1월 13일 | ■미카와 지진 | M6.8 |
5
|
||
1946년 12월 21일 | ■ 쇼와 난카이 지진 | M8.0 |
5
|
최대 6.57m | |
1948년 6월 28일 | ■ 후쿠이 지진 | M7.1 |
6
|
||
1960년 5월 23일 | ■ 칠레 지진의 쓰나미 | M9.5 | 최대 6.1m(일본) | ||
1961년 8월 19일 | 기타미노 지진 | M7.0 |
4
|
||
1962년 4월 30일 | 미야기현 북부 지진 | M6.5 |
4
|
||
1963년 3월 27일 | 에치젠곶 해역 지진 | M6.9 |
5
|
||
1964년 6월 16일 | 니가타 지진 | M7.5 |
5
|
최대 6m | |
1966년 4월 5일 | 마츠시로 군발지진 | M5.4 |
5
|
||
1968년 2월 21일 | 에비노 지진 | M6.1 |
6
|
||
1968년 4월 1일 | 1968년 휴가나다 지진 | M7.5 |
5
|
최대 3m | |
1968년 5월 16일 |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 | M7.9 |
5
|
최대 2.7m | |
1972년 12월 4일 | 1972년 12월 4일 하치조섬 동쪽 해역 지진 | M7.2 |
6
|
최대 50cm | |
1973년 6월 17일 | 1973년 6월 17일 네무로반도 해역 지진 | M7.4 |
5
|
최대 2.8m | |
1974년 5월 9일 | 1974년 이즈반도 해역 지진 | M6.9 |
5
|
12cm | |
1978년 1월 14일 | 1978년 이즈오시마 해역 지진 | M7.0 |
5
|
최대 70cm | |
1978년 6월 12일 |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 M7.4 |
5
|
최대 37cm | |
1982년 3월 21일 | 쇼와 57년(1982년) 우라카와 해역 지진 | M7.1 |
6
|
최대 80cm | |
1983년 5월 26일 | ■ 쇼와 58년(1983년) 동해 중부 지진 | M7.7 |
5
|
최대 14m | |
1984년 9월 19일 | 쇼와 59년(1984년) 나가노현 서부 지진 | M6.8 |
4
|
||
1993년 1월 15일 | 헤이세이 5년(1993년) 구시로 해역 지진 | M7.5 |
6
|
||
1993년 7월 12일 | ■ 헤이세이 5년(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 M7.8 |
5
|
최대 16.8m | |
1994년 10월 4일 | 헤이세이 6년(1994년) 홋카이도 동쪽 해역 지진 | M8.2 |
6
|
최대 1.73m | |
1994년 12월 28일 | 헤이세이 6년(1994년) 산리쿠 먼바다 지진 | M7.6 |
6
|
최대 55cm | |
1995년 1월 17일 |
■
헤이세이 7년(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고베 대지진) |
M7.3 |
7
|
||
2000년 10월 6일 | 헤이세이 12년(2000년) 돗토리현 서부 지진 | M7.3 |
6+
|
||
2001년 3월 24일 | 헤이세이 13년(2001년) 게이요 지진 | M6.7 |
6-
|
||
2003년 9월 26일 | 헤이세이 15년(2003년) 도가치 해역 지진 | M8.0 |
6-
|
최대 2.55m | |
2004년 10월 23일 | 헤이세이 16년(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M6.8 |
7
|
||
2007년 3월 25일 | 헤이세이 19년(2007년) 노토반도 지진 | M6.9 |
6+
|
최대 20cm | |
2007년 7월 16일 | 헤이세이 19년(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 M6.8 |
6+
|
최대 1m | |
2008년 6월 14일 | 헤이세이 20년(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 M7.2 |
6+
|
||
2011년 3월 11일 |
■
헤이세이 23년(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 |
M9.1 |
7
|
최대 40.1m | |
2016년 4월 16일 | ■ 헤이세이 28년(2016년) 구마모토 지진 | M7.3 |
7
|
||
2018년 9월 6일 | 헤이세이 30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M6.7 |
7
|
||
2024년 1월 1일 | ■ 레이와 6년 노토반도 지진 | M7.6 |
7
|
최대 5.9m | |
일본 주요 지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일본에서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기록한 지진 또는 큰 피해가 발생하여 일본 기상청에서 명명한 지진이다. 지진의 명칭은 일본 기상청 기준이다.
#
# ■ 사망자 100명 이상 / ■ 1000명 이상 / ■ 5000명 이상 / ■ 10000명 이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생연월일 | 명칭 | 지진 명칭 | 지진 규모 | |
1923년 9월 1일 | 간토 대진재 | 간토 지진 | M 7.9 | ||
1995년 1월 17일 | 한신·아와지 대진재 | 헤이세이 7년(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 M 7.3 | ||
2011년 3월 11일 | 동일본 대진재 | 헤이세이 23년(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M 9.0 | ||
일본에서 진재(震災)는 지진과 그로인해 유발된 쓰나미, 화재, 폭발 등으로 발생한 피해를 말한다. 지진의 명칭은 일본 기상청에서 정하지만, 진재의 명칭은 일본 정부에서 정한다.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헤이세이 23년(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平成23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
|||||
명칭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
이명 | 동일본 대지진 | ||||
발생 시각 |
2011년 3월 9일 11시 45분 12.9초 2011년 3월 11일 14시 46분 18.1초 [dday(2011-03-09)]일, [age(2011-03-09)]주년 |
||||
진앙 위치 | 일본 도호쿠 오시카 반도 연안 | ||||
진원 깊이 |
전진 8km 본진 24km[1] |
||||
규모 | 전진 mb 6.4 / Me 7.0 / Mw 7.3 / Mj 7.3 | ||||
본진 mb 7.2 / Ms 8.3 / Me 8.7 / Mj 9.0[2] / Mw 9.1[3] / Mt 9.1 | |||||
최대 진도 |
5약[4] 미야기현 토메시, 구리하라시, 미사토정(전진) |
||||
7[5] 미야기현 구리하라시(본진) |
|||||
MMI 진도[6] Ⅸ | |||||
지진지속시간 | 2분 40초 ~ 6분 사이 | ||||
분류 |
해구 섭입 지진, 충상 단층형 지진 |
||||
긴급지진속보 | 도호쿠[7][8] | ||||
쓰나미 |
대쓰나미 경보(大津波警報)[9] 10m 이상: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치바현 쿠주쿠리•소토보(외방)[10],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11] 8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중부 6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서부, 이즈 제도 4m: 치바현 우치보[12], 오가사와라 제도 3m: 아오모리현 동해 연안, 사가미 만*미우라 반도, 시즈오카현, 와카야마현, 도쿠시마현, 고치현 실제 관측높이(본진): 20cm[13][14] ~ 40.1m[15] 쓰나미 주의보(津波注意報)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50cm 실제 관측높이(전진):20cm ~ 60cm[16] |
||||
여진 |
최대 여진: M 7.6, 진도 6강 진도 1 이상 약 13,861번[17][18] |
||||
인명 피해[19]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사망 | 19,759명[20][21] | |||
간접 사망 | 3,767명[22][23] | ||||
실종 | 2,553명[24] | ||||
부상 | 6,242명 | ||||
피난민 | 최대 약 47만 명[25] | ||||
재산 피해 |
주택 40만 2,699채 파손 선박 28,612척 파손 항구 319개소 파손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총 추산 16조 엔 ~ 25조 엔 약 3,600억 달러[26][27] |
||||
침수 면적 | 561km2 | ||||
대피 | 약 40만 명[28] → 약 41,000명[29] | ||||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전진) (Mj 7.3, 진도 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5- | <colcolor=#000,#ddd> 미야기 | |||
4 | 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 | ||||
3 | 홋카이도,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니가타, 야마나시, 나가노 | ||||
2 | 시즈오카, 아이치 | ||||
1 | 도야마, 이시카와, 기후, 시가, 오사카 | }}}}}}}}} | |||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본진) (Mj 9.0, 진도 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7 | <colcolor=#000,#ddd> 미야기 | |||
6+ | 후쿠시마, 이바라키, 도치기 | ||||
6- | 이와테, 군마, 사이타마, 치바 | ||||
5+ |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 ||||
5- | 니가타, 나가노, 시즈오카 | ||||
4 | 홋카이도, 기후, 아이치 | ||||
3 |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 ||||
2 |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도쿠시마, 고치, 사가, 구마모토 | ||||
1 | 히로시마, 야마구치, 카가와, 에히메, 후쿠오카, 나가사키, 오이타, 가고시마 | }}}}}}}}} | |||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최대여진) (Mj 7.6, 진도 6+)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6+ | <colcolor=#000,#ddd> 이바라키 | |||
5+ | 도치기, 치바 | ||||
5- | 후쿠시마, 사이타마, 도쿄, 가나가와 | ||||
4 | 미야기, 야마가타, 군마, 니가타, 야마나시, 나가노, 시즈오카 | ||||
3 | 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 기후, 아이치 | ||||
2 | 홋카이도,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돗토리, 도쿠시마 | ||||
1 | 와카야마, 시마네, 고치 | }}}}}}}}} |
[clearfix]
1. 개요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도호쿠 지방의 모습[30]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줄여서 도호쿠 대지진 혹은 동일본 대지진은 2011년 3월 11일에 일본 도호쿠(동북부)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거대지진이다. M 9.1이라는 일본 국내 지진 관측 역사상 최고 규모를 기록했으며[32] 이후에도 약 한 달간의 대규모 여진, 연 단위의 소규모 여진을 부른 대지진이다. 더불어 초대형 쓰나미를 불러와 도호쿠 연안 지역에서의 약 2만 5천명에 달하는 추가적인 대규모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하였으며 세계사상 가장 심각한 원자력 사고 중 하나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불러왔다.
3개의 대재난(대지진, 쓰나미, 원전 폭발)이 동시에 발생한 이 사건의 여파로 일본 사회는 21세기를 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1945년 이후 가장 큰 사회적 충격을 받았고 [age(2011-03-11)]년이 지난 현재도 그 수습이 이어지고 있다.
이 지진은 인류 역사상 자연재해에 따른 재산 피해액이 가장 큰 참사로 기록되었다. 외국인, 외국 자본, 다국적 대기업들의 본사가 몰려있는 도쿄에서도 진동이 느껴지고 피해가 일어났으며 이전 지진과 쓰나미 피해에서 동반되지 않았던 원자력 발전소 폭발 재앙까지 겹쳐 일본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우려와 후유증을 남긴 대재난이다. 이 지진은 오키나와현과 미야자키현을 제외한 일본 전국에서 진도 1 이상으로 관측되었다.
2. 명칭
- 일본 정부 내각 공식 지정 명칭 - 平成23(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헤이세이23(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
- 일본 기상청에 의한 상기 명칭의 영어표기 - The Tohoku Earthquake off the Pacific Coast (Heisei Year 23; 2011)
- 일본 정부, 수상관저에 의한 영어 명칭 - Tohoku Region Pacific Coast Earthquake
- 방위성, 외무성, 국토교통성에 의한 영어 명칭 - Tohoku - Pacific Ocean Earthquake
-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의한 영어 명칭 - The Tohoku earthquake, 2011 Great Tohoku Earthquake
- 산케이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지지통신, 교도통신, 후지TV, FM 도쿄에서의 표기 - 東日本大震災(동일본대진재)
- NHK, 교도통신에서의 호칭 - 東北・関東大地震(도호쿠-간토 대지진)[33]
- 요미우리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의 표기 - 東日本巨大地震(동일본거대지진)
- 닛폰 테레비에서의 표기 - 東日本大地震(동일본대지진)
현재 일본에서는 지진 자체만을 지칭하는 용어는 平成23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헤이세이 23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지진 및 그로 인한 쓰나미 및 여진 등으로 인한 총체적인 재해는 東日本大震災(동일본대진재)로 통일되었지만 이 지진 다음날 터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외국어 표기는 아래와 같다.
- 한국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1년 일본 동북부 대지진
- 영어: 2011 Sendai earthquake and tsunami
- 독일어: Sendai-Erdbeben von 2011,
- 네덜란드어: Zeebeving Sendai 2011
- 프랑스어 Séisme de 2011 de la côte Pacifique du Tōhoku
- 스페인어 Terremoto de la costa del Pacífico en la región de Tōhoku de 2011, Gran terremoto de Japón oriental, terremoto y tsunami de Japón de 2011
3. 지진 및 쓰나미 원인
일본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 국토 북동부가 있는 북아메리카 판[34]과 그 아래 맞닿아 있는 태평양 판은 다른 곳에 비해 지구 조판 경계에 울퉁불퉁한 표면이 많다고 한다. 이런 울퉁불퉁한 돌출부 중에서 산리쿠 연안 지하 20km 부근의 높이 2km 정도의 돌출부에 600년 이상 축적된 응력이 한 번에 해소되면서 발생한 것이라고 한다.[35] 매끈한 물체끼리 맞닿은 것보다 울퉁불퉁한 물체끼리 맞닿았을 때 비비기 힘든데 바로 그 원리다. 이에 대해서는 위키백과에 자세히 나와 있다.더불어 이 지진의 쓰나미는 거대한 것을 제외하고도 다른 쓰나미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판의 경계에 추가적으로 쌓인 수 km의 단단한 지층으로 인한 것이라고 한다. 이 지층은 최근에 발견된 지층이며 때문에 지진해일 시뮬레이션이 반영되지 못하였다. 지진이 발생하자 지각 판의 급격한 변화 이외에도 이 지층이 단층을 내면서 더욱 큰 폭으로 같이 움직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진앙 근처에서 측정된 파도가 7m로 나왔는데 이는 시스템이 2m로 예측한 수준을 크게 웃도는 것이었다.
4. 여진
자세한 내용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여진 문서 참고하십시오.5. 지진 경과
2011년 3월 9일 오전 11시 45분 산리쿠 해역에서 규모 7.3(발생 당시 7.2), 최대진도 5약의 강진이 발생했다. 다행히 내륙이 아닌 해역에서 일어났고 쓰나미 주의보로 끝나 일본 기상청과 사람들은 "강력한 지진이 왔지만 다행히 피해가 없었다", "이제 여진 몇 번 더 오고 그치겠지"라고 생각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지진은 곧 있을 대지진의 전진에 불과했다.[36][37]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최초 지진 속보가 떴을 때만 해도 국회는 평화로운 모습이었으나 1분 20초부터 국회에 설치된 카메라가 흔들리면서(지진파가 도쿄에 도달하면서) 의원들이 당황하는 모습이 보이고 도쿄 스튜디오로 카메라가 넘어간 이후부터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에 아나운서와 방송 스태프들도 적잖이 당황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담겼다.[38][39] 이후 지진 정보를 영어, 한국어[40], 포르투갈어[41], 중국어 등으로도 방송했으며 해일경보 발령 직후에는 지진 및 지진해일 상황에 대비하여 침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훈련된 아나운서조차 목소리에서 떨림, 울먹임이 드러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상 14분 30초 부근에서는 심지어 생방송 중계 중 쓰나미에 피난하던 차량들이 휩쓸리는 장면 일부가 중계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아나운서가 끝내 말을 잇지 못한다. 곧바로 카메라가 다른 쪽을 확대해서 화면상에 나오지 않게 해주지만 아나운서들이 한동안 떨리는 목소리로 간신히 이어서 진행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시청에 주의할 것.
지진 발생 당시 흔들렸던 TV 유 후쿠시마 사옥 내부. 기자가 리포트하던 도중 건물 내부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 보인다.
지진 발생 당시 흔들렸던 후쿠시마 TV 보도국 사무실.
지진 발생 당시 Solive24와 TBS 테레비. 지진파가 방송국에 도착하여 혼란스러워하는 Solive24 내 상황이 적나라하게 다 들리고 지진 정보를 알려주던 Solive24 아나운서는 울먹이면서 정보를 발표하였다.[42]
지진이 일어날 당시의 실시간 방송 상황 | ||
NHK | 닛폰 테레비 | TBS 테레비 |
후지 테레비 | 테레비 아사히 | TV 도쿄 |
후반부로 갈수록 오디오와 화면 상황이 급박해지는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후지 테레비에서는 아직 아나운서가 착석도 못 한 텅 빈 스튜디오를 그대로 방영해 주고 닛폰 테레비에서는 흔들리는 스튜디오 조명과 우왕좌왕하는 직원들을 배경으로 아나운서가 급히 원고를 받아들고 있다.[43] 니코동에 올라온 동영상도 있다.
도호쿠 대지진 발생에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까지 잘 종합해서 올린 비디오. 영상에 사용된 음악은 BBC의 유명한 카운트다운이다.[44]
2011년 1월 1일~2011년 10월 15일까지의 일본과 그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보여주는 동영상. 시기가 시기인 만큼 당연히 도호쿠 대지진도 포함되어 있으며 2분 05초에 산리쿠 해역 격진이 터진 직후부터 엄청난 숫자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수많은 지진이 중첩되어 순간적으로 소리가 매우 커지므로 시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당시 상황을 모아 놓은 유튜브 채널, 당시 센다이공항 상황
도호쿠 대지진 당시 지역별 흔들림을 촬영한 영상과 지진계의 관측정보, NHK 방송 및 지진파 진행 정도를 실시간으로 맞춰 둔 영상. 위 영상에는 미야자키현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미야자키현이 아닌 미야기현이다. 미야자키현은 규슈지방에 있으므로 미야기현이 맞다. 미야자키현에서는 당시 최대진도가 1도 관측되지 않았다.
위 영상에 대한 정보를 표로 정리하였다.(현재 동영상 내용과 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어 지속적으로 수정 중.) (00:00~04:43 미야기 TV 방송[45] 제작 특집 / 04:43~08:43 TBC 도호쿠 방송[46] 제작특집)
영상 시간 | 현[47] | 시[48][49]/정[50]/촌[51] | 장소 |
00:00~01:06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가정집 당시 한 지역방송의 프로그램 취재 중이었다. |
01:07~01:13 | 이와테현(岩手県) | 모리오카시(盛岡市) | 테레비이와테 보도국(テレビ岩手報道局)[52]의 보도부 |
01:14~01:28 | 후쿠시마현(福島県) | 코리야마시(郡山市) |
후쿠시마중앙테레비(福島中央テレビ)[53]의 보도부 시내 주택 |
01:29~01:37 | 후쿠시마현(福島県) | 코리야마시(郡山市) | 시내 주택 |
01:38~01:47 | 후쿠시마현(福島県) | 이와키시(いわき市) | 후쿠시마중앙테레비(福島中央テレビ) 이와키 지사 |
01:48~01:56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어느 사무실 |
01:57~01:58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어느 광장 |
01:59~02:02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센다이 미디어테크 7층 원본 영상 |
02:03~02:07 | 후쿠시마현(福島県) | 코리야마시(郡山市) |
가정집 당시 NHK 프로그램 촬영 중에 지진이 발생했다. |
02:08~02:11 | 후쿠시마현(福島県) | 이와키시(いわき市) | 이와키종합도서관 |
02:12~02:14 | 이바라키현(茨城市) | 쓰쿠바시(つくば市) | NHK 쓰쿠바보도실 |
02:15~02:20 | 후쿠시마현(福島県) | 이와키시(いわき市) | 회사 사무실 |
02:21~02:25 | 후쿠시마현(福島県) | 코리야마시(郡山市) | 건물 야외 |
02:26~02:31 | 미야기현(宮城県) | 이시노마키시(石巻市) | 차도 |
02:32~02:35 | 가나가와현(神奈川県) | 요코하마시(横浜市) | 요코하마 스타디움[54] |
02:36~02:43 | 도치기현(栃木県) | 야이타시(矢板市) | 혼다 대리점 |
02:44~02:50 | 후쿠시마현(福島県) | 이와키시(いわき市) | 야외 |
02:51~02:57 | 이와테현(岩手県) | 이치노세키시(一関市) | 윈스 뉴 코라쿠 주차장 |
02:58~03:05 | 미야기현(宮城県) | 시로이시시(白石市) | 주차장 |
03:06~03:13 | 도쿄도(東京都) |
치요다구(千代田区) 나가타초(永田町) |
국회 참의원결산위원회(国会 参議院決算委員会) |
03:14~03:29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KHB히가시닛폰방송[55] 보도부 |
03:30~03:40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어느 가정집 원본 영상 |
03:41~03:51 | 후쿠시마현(福島県) | 스카가와시(須賀川市) | 어느 가정집 |
03:52~03:54 | 후쿠시마현(福島県) | 미나미소마시(南相馬市) | 야외 |
03:55~04:07 | 후쿠시마현(福島県) | 후쿠시마시(福島市) | 어느 도로 |
04:08~04:27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JR 센다이역 |
04:28~04:42 | 가나가와현(神奈川県) | 요코하마시(横浜市) |
나카구(中区) 오락실 앞 시내 |
04:43~04:56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백화점 내부[56] |
04:57~05:09 | 가나가와현(神奈川県) | 요코하마시(横浜市) | 시내 |
05:47~06:15 | 미야기현(宮城県) | 오사키시(大崎市) |
타지리 문화센터 원본 영상. 생활협동조합의 성과보고회가 진행되던 중이었다. |
06:58~08:17 | 미야기현(宮城県) | 나토리시(名取市) | 센다이 공항(仙台空港周辺) |
02:54~03:02 | 사이타마현(埼玉県) | 와라비시(蕨市) | 학교 운동장 |
03:03~03:15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가게 |
03:38~03:48 | 미야기현(宮城県) | 센다이시(仙台市) | 센다이 역 |
요코하마는 도쿄 밑에 있는 도시로, 진앙지인 산리쿠 해역에서 400km나 멀리 떨어진 도시다. 그런데도 야구장 전체가 크게 흔들릴 정도로 강력한 진동(진도 5강)이 발생했음을 통해 이 지진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알 수 있다. 여기가 이 정도였는데 진앙지 근처는...
한편 이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해일은 일본 뿐 아니라 그 반대로도 퍼져나갔고, 이로 인해 캘리포니아 주와 하와이 주에서는 미국 기상청의 요청으로 EAS 경보가 나가기도 했다.
날짜별로 일어난 재해(지진, 여진 및 쓰나미)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경과 참고.
6. 피해
자세한 내용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피해 문서 참고하십시오.6.1.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자세한 내용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7. 반응 및 여파
자세한 내용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반응 및 여파 문서 참고하십시오.8. 루머
현지 상황이 워낙 혼란스러운 만큼 다양한 종류의 루머들이 퍼져 혼란을 일으켰다. 개중에는 심지어 한국 언론까지 탄 루머도 있었는데 이런 루머는 알아서 걸러내 들어야 한다. 가장 간단한 해법은 "믿을 만한 매체의 정보를 기본으로 다양한 매체의 정보를 참고"하는 것.아래는 대표적인 루머들이다.
-
해외기부금 순위에서 의도적으로 대한민국을 누락해 뒷통수를 쳤다.
- 아사히 신문의 의연금 순위표를 근거로 나돌아다니는 루머인데 대한민국의 성금은 대부분 적십자를 통한 기금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성격이 다른 의연금 순위에 없다. 적십자 순위에서는 5위로 나와 있다. # 하지만 고의성 여부는 차치하더라 아사히 신문의 의연금 순위는 넷우익들의 좋은 재료로 사용되어 혐한 감정에 이바지했으며, 도호쿠 지진으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까지도 '도호쿠 지진이 일어났을 때 한국에서는 성금을 보내지 않았다'고 알고 있는 일본인들이 존재할 정도다. -
만화가
오다 에이치로가 죽었다, 또는 15억 엔을 기부했다.
- 전자는 거짓이고 후자는 출처가 없다. -
일본 정부
대만 의연금 거부
- 거부한 적 없다고 한다. 항간에 돌아다니는 말에 의하면 대만 구조대가 이틀 정도 공항에 체류되어 있다가 나온 걸 가지고 소문이 확대되면서 퍼진 말이라고도 한다.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작전 관련 연설
- 역시 출처가 없다.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에 나오는 대통령 연설의 패러디로 추정된다. -
일본의 AV 배우
하타노 유이 등의 사망설이 한국 유명 언론에도 실렸다.
- 당시 아오이 소라는 빠르게 트위터에 안부 트윗을 남겨 루머가 금방 해결되었으나 별다른 연락이 없던 하타노 유이 사망설은 이후 중국 언론으로까지 퍼져나가기도 했다. -
미국의 구조용 항공모함
- 많은 사람들이 USS 조지 워싱턴과 USS 로널드 레이건을 헷갈리는데 USS 조지 워싱턴은 한국에 파견되었으나 일본의 요코스카시에 정박만 한 거고 일본에 지진 후 정식으로 파견된 항모는 USS 로널드 레이건이다. 로널드 레이건이 안 왔다는 것은 루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주변을 돌아다니다가 방사능에 노출된 것도 둘 다이긴 하지만.[57] 월스트리트 저널이 인증했고 미 해군에서도 공식적으로 발표한 사실이다. 관련 기사 / 일본에서 구조활 동중인 USS 로널드 레이건 / USS 조지 워싱턴의 소식
9. 기타
- 이 지진으로 일본 본토가 2.6m 동쪽으로 이동하고 자전축이 16.5cm 이동하여 지구의 자전주기가 1.8마이크로초(100만 분의 1.8초) 빨라졌다. #
- 쓰나미로 파괴되어 재건된 해안지역에는 원래 있던 방조제보다 더 큰 높이 10미터급의 해안 방조제가 새로 건설되었다.[58] 지진으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이와테, 미야기현의 해안지역은 새로 지어진 시가지와 방조제가 펼쳐져 있어 정작 바닷가에 사는데도 바다가 전혀 보이지 않는 묘한 분위기의 동네가 많다.
- 쓰나미로 쓸려나간 마을을 재건할 때 기존 시가지가 아닌 고지대로 이전하거나 부지가 여의치 않다면 기존 지형에서 10미터 이상 터돋움을 해 해발고도를 올리고 저지대에는 상업시설만 건설을 허용하고 있다.
- 해당 재해의 복구와 부흥을 위해 花は咲く라는 곡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당시 국가에서 장려하던 곡이기도 했으며 이후에도 상당한 양의 바리에이션이 나올 정도로 인기가 많다.
- GReeeeN은 해당 재해로 피해를 입은 재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Green boys Project'의 일환으로 Green boys라는 곡을 작곡해 무료 배포하였다.
- 마찬가지로 일본의 인디 파워 메탈 밴드인 403은 동일본 지진의 피해자들을 위로하기 위해 자신들의 대표곡인 Southern Cross의 2011년 버전을 새로 출시하였다. 403은 동일본 지진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이 곡을 무료 배포하였다.
-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지진을 소재로 다룬 게임 시리즈인 아이렘의 절체절명도시의 신작이 아예 발매 취소되어 버리고 전작인 1~3편도 생산 종료 및 전량 리콜 크리를 맞아버렸다.[59]
- 마찬가지로 세가를 대표하는 게임 시리즈인 용과 같이의 스핀오프작 용과 같이 OF THE END도 발매 연기가 되었다. 지진을 소재로 다룬 게임은 아니지만 폐허가 된 도시를 묘사한다는 점이 민감한 소재라고 판단된 듯. 예정보다 석 달 뒤인 2011년 6월 9일 발매되었으며 지진 피해 극복을 염원하는 '힘내라 일본' 패키지를 함께 발매했다.
- 댄스 댄스 레볼루션의 수록곡인 Tohoku EVOLVED는 대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악곡이다. Pray For All.
- 태고의 달인 시리즈도 대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서 악곡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Red Rose Evangel이다.
- 아틀라스의 페르소나 5가 이 지진으로 스토리 등의 게임 요소가 완전히 갈아엎어졌다. 원래는 일행이 다같이 전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스토리를 이어가는 식의 게임이었는데 설정 자체가 갈아엎어졌다.
- 위와 비슷한 사례로 토리야마 아키라는 드래곤볼 Z: 신들의 전쟁 제작진에게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비참한 이야기보다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다며 대규모 파괴씬이나 군중의 혼란 장면을 자제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래서 실제로 이 작품에는 별다른 파괴적인 연출이 없다.
- Wake Up, Girls! 역시 이번 재해의 영향을 받아 결성된 그룹이자 미디어 믹스다. 비록 멤버 모두가 도호쿠 지방 출신은 아니지만 결성 당시 콘셉트를 따라 공연, 행사 등은 도호쿠 지역 위주로 다니는 등 해당 지역을 응원하는 활동이 많았다.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프로야구 시합을 하다가 이 지진으로 인해 7회 초에 콜드 게임 선언으로 패했다.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소속된 도호쿠 프리 블레이즈는 안양 한라와의 결승전을 준비 중이었지만 이 지진으로 경기장이 손상되고 물까지 차서 안양 한라 선수단의 여권이 유실되는 사고가 벌어져 안양 한라 선수단은 고립되기까지 했다. 결국 결승전 취소와 11-12시즌 공동 우승으로 되었고 어찌저찌해서 안양 선수들은 무사히 한국으로 돌아갔다.
- 이 지진의 여진인 2016년 후쿠시마 지진이 2016년 11월 22일 새벽 5시 59분 59초에 일어났다.
- ONE OK ROCK의 정규 앨범 人生×僕=의 수록곡 Be the light는 이 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위한 추모곡이다.
- 센다이가 고향인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도 이 지진이 일어난 날 스케이트를 타고 있다가 아이스링크가 붕괴되어 변을 당할 뻔했다고 언급했는데 가까스로 빠져나왔다고 한다.
- 웨더뉴스 기상캐스터인 오시마 리논은 이 지진을 겪었다고 말했다,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던 그녀는 도서관에 있다가 책상 밑으로 숨어야 했다고 말했다.
-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분데스리가 소속팀 샬케 04의 서포터들이 후원해 주었다. 당시 해당 팀에서 뛰고있던 일본 선수인 우치다 아쓰토가 지진으로 고통받은 자국인들을 격려하는 말을 독일어로 적은 티셔츠를 경기 전에 준비하였다. 당시 같은 팀 소속이었던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가[60] 그 티셔츠를 입을 것인지 묻자 우치다는 "승리할 시 입고, 패배할 시 입지 않겠다"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노이어는 "꼭 이기겠다"고 약속했으며 바로 다음 경기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샬케는 승리를 거두었지만 자국민이 걱정되어 함께 기뻐하지 못했던 우치다를 발견한 노이어가 유니폼 안쪽에 그 티셔츠를 받쳐 입고 있던 우치다를 샬케의 서포터즈 앞으로 데려갔고 티셔츠를 본 서포터들에게서 후원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고 한다.
-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의 스토리 라인이 이 도호쿠 대지진의 은유라는 설이 있는데 작가의 인터뷰 내용으로 사실임이 확인되었다.
-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주인공은 어렸을적에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해 고향과 부모님을 잃고 지금은 다른 지역에서 자신을 거둔 이모와 사는 여고생으로 나오고 작중 프롤로그와 후반부에 나온 저세상의 장소는 당시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한 참혹한 비극의 현장을 재현한 곳이다.
-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AKB48과 소속사인 AKS에서는 참사 직후인 2011년 5월부터 정기적으로 자선 콘서트인 누군가를 위하여 라는 명칭의 프로젝트를 매번 개최하고 있다. 멤버들이 반반씩 나뉘어서 대지진으로 인해서 피해가 제일 많았던 지역인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의 3현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희생자들을 위한 묵념 및 추모 행사, 위문 공연과 같은 자선 콘서트, 재해 복구 지원 등과 같은 봉사활동을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재해지의 부흥을 위한 응원송인 손바닥이 말하는 것을 발표하였고 이에 앞서서 2011년 4월 1일에는 디지털 싱글인 誰かのために ~What can I do for someone을 발매하여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기도 하였다.
- 이 지진을 계기로 키즈나(絆)란 단어가 널리 유행하기 시작했다.
- 한 일본인이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는 중인데도 콜 오브 듀티를 하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 # 이 사람이 게임을 하는 동안 수십 수백의 사람이 죽어나갔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지간히 게임에 몰입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축구선수 다카하기 요지로가 이 지진으로 외할머니를 여의었다. 2014년 3월 11일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고 외할머니를 기리는 세레모니를 하기도 했다.
- 이 지진 이후 몇 년 동안 대한민국, 특히 영남 지방과 그 인근 지역에서 유리창이 흔들릴 정도의 지진이 상당히 빗발쳤다. 3월 28일에는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M3.2의 지진이 났고 4월 3일에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서 M2.7, 5월 29일에는 경상북도 청도군 지역에서 M3.2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2년 5월 11일에는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M3.9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2013년 2월 5일에는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M3.5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은 특이하게도 여진을 동반하기도 했다.
- 15.5m의 수문이 지어져서 사실상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마을이 있다. 당시 마을 사람들은 너무 높다고 반대했으나 마을의 촌장이었던 와무라 코토쿠는 "쓰나미에 두 번은 당했지만 세 번 당할 수는 없다"[63]며 수문 건설을 강행하였다. 자세한 것은 후다이의 기적 참고.
- 어두운 면으로 이재민 수용소에서 성폭력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이 9년 만에 밝혀졌다. # 단순히 개별적인 사건이 아니라 취약한 여성들에 대한 성착취 범죄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기업들은 부흥 자금을 받았는데 이걸 받아서 비자금 조성을 하였다. #
- 대지진 당시 자위대의 피해 및 재해복구 수습을 다룬 다큐멘터리 #
- 당시 해일이 추정치보다 높았던 이유가 단층 위에 있던 퇴적층이 급격히 튀어올라 7m 정도의 해일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 트랜센드의 육성 이벤트에서 3월에 고정적으로 나오는 그날 세계는 색을 잃었다라는 이벤트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해당 원본마가 지진이 일어난 2011년도에 활동한것을 고증을 하였다.
- 전세계적으로 중파방송이 중단되게 만든데 많은 영향을 주기도 했다. 중파방송의 송신소들은 평지나 해안에 설치되는데 이 지진의 쓰나미로 많은 중파 방송 송신소들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런것이 지진으로부터 2년 후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에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송출하던 549kHz의 라디오 마야크 방송과 810kHz의 라디오 로시가 폐국하였는데 블라디보스토크 자체가 환태평양 조산대와 가깝다. 그리고 대한민국 국내에서도 중파 방송 폐국이 논의되기 시작한 시점도 이 지진 이후이기도 하다.
10. 음모론
어째서인지 이 지진에 대해 해양 지각을 뚫어서 설치한 거대한 폭발물을 터트려 인공적으로 만든 지진일 것이라는 음모론이 돌았는데[64] 이 음모론의 배후에 대해 크게 일본배후설, 북한배후설, 미국배후설 이렇게 3가지로 나뉘었으며 세력이 아닌 기술적 배후로는 HAARP설도 있었다.- 가장 크게 퍼진 음모론(대한민국에서만 크게 퍼진 음모론)은 자민당이나 아베 신조 측에서 우경화와 정권 장악을 위해 해상자위대를 동원해서 지진을 터트리고 방사능 재앙까지 일으킨 뒤에 이를 빌미삼아 새로운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명분으로 헌법개정을 통해 보통국가화 및 한국을 비롯한 타국 침공까지 노린다는 내용이다.[65] 다만 당시 자민당의 총재는 온건보수 성향의 다니가키 사다카즈였고 아베는 강경보수로서 당내 비주류였다.
- 사실 이미 인공지진까지 아니더라도 자민당에서 간 나오토가 집권하는 민주당을 몰락시키고 자기들이 집권하기 위해 빠르게 진압할 수도 있었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도 고의로 방치했다는 끔찍한 음모론까지 나왔다. # #[66]
-
반면 대한민국의
음모론자이자
유사과학 신봉 단체인
남침땅굴을 찾는 사람들은 북한이 동해와 일본의 아래로 땅굴을 파고 들어가 핵을 터트려서 일으킨 지진이라는 주장을 했다. 당연히 반박할 가치도 없는 개소리.
#(삭제됨)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외부 링크는 미국 지질조사국 및 NOAA의 산출 근거 | ||||
<rowcolor=#fff> 순위 | 사망자(명) | 규모 | 명칭 | 진앙 | |
1 | 316,000 | M 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지역 | |
2 | 227,898 | M 9.1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해역 | |
3 | 87,587 / M 8.0 | 2008년 쓰촨성 대지진 | 중국 쓰촨성 지역 | ||
4 | 87,351 / M 7.6 | 2005년 카슈미르 지진 |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역 | ||
5 | 59,259 / M 7.8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쉬 지역 | ||
6 | 34,000 / M 6.6 | 2003년 밤 지진 | 이란 밤 지역 | ||
7 | 20,085 / M 7.7 | 2001년 구자라트 지진 | 인도 구자라트 지역 | ||
8 | 19,759 / M 9.1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 일본 산리쿠 해역 | ||
9 | 8,964 / M 7.8 | 2015년 네팔 대지진 | 네팔 구르카 지역 | ||
10 | 5,782 / M 6.4 |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자바섬 | ||
11 | 4,340 / M 7.5 | 2018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지역 | ||
12 | 2,946 / M 6.8 |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역 | ||
13 | 2,698 / M 6.9 | 2010년 위수 지진 | 중국 위수 지역 | ||
14 | 2,530 / M 6.3 | 2023년 10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북서부 지역 | ||
15 | 2,266 / M 6.8 | 2003년 부메르데스 지진 | 알제리 부메르데스 | ||
16 | 2,248 / M 7.2 | 2021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니프 지역 | ||
17 | 2,000 / M 6.1 | 2002년 힌두 쿠쉬 지진 | 아프가니스탄 | ||
18 | 1,313 / M 8.6 | 2005년 수마트라 지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인근 |
문서가 존재하는 2010~2014년 지진 | ||||
[[틀:지진/2000년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10~14년 → [[틀:지진/2015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2010년 | ||||
1. 12.
|
M 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X
|
|
2. 27.
|
M 8.8 | 2010년 칠레 대지진 |
IX
|
|
12. 22.
|
M 7.8 | 오가사와라 지진 |
4
|
|
2011년 | ||||
2. 21.
|
M 6.1 | 2011년 캄차카 지진 |
Ⅵ
|
|
3. 9.
|
M 7.3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5-
|
|
3. 11.
|
M 9.1 |
7
|
||
3. 12.
|
M 6.7 | 2011년 나가노 지진 |
6+
|
|
3. 15.
|
M 6.4 | 2011년 시즈오카 지진 |
6+
|
|
4. 7.
|
M 7.2 | 2011년 4월 미야기현 해역 지진 |
6+
|
|
4. 11.
|
M 7.1 | 2011년 후쿠시마 지진 |
6-
|
|
4. 12.
|
M 6.4 | 2011년 후쿠시마 지진(2차) |
6-
|
|
8. 1.
|
M 6.2 | 2011년 스루가만 지진 |
5-
|
|
8. 23.
|
M 5.8 | 2011년 버지니아 지진 |
Ⅷ
|
|
2012년 | ||||
2. 6.
|
M 6.9 | 2012년 필리핀 세부 지진 |
Ⅶ
|
|
12. 7.
|
M 7.4 |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 |
5-
|
|
2013년 | ||||
2. 2. | M 6.5 | 도카치 남부 지진 |
5+
|
|
2. 12.
|
M 5.1 | 2013년 길주 인공지진 |
Ⅵ
|
|
4. 13.
|
M 6.3 | 2013년 아와지시마 중부 지진 |
6-
|
|
4. 17.~
|
M 6.2 | 2013년 이즈 제도 군발지진 |
5+
|
|
4. 20.
|
M 7.0 | 2013년 쓰촨성 지진 |
Ⅷ
|
|
4. 21.
|
M 4.9 |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
Ⅳ
|
|
5. 18.
|
M 4.9 |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Ⅳ
|
|
10. 15.
|
M 7.2 | 2013년 필리핀 세부 지진 |
Ⅷ
|
|
2014년 | ||||
3. 14.
|
M 6.2 | 2014년 이요나다 지진 |
5+
|
|
4. 1.
|
M 5.1 |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
Ⅳ
|
|
5. 5.
|
M 6.0 | 2014년 이즈 제도 근해 지진 |
5-
|
|
11. 22.
|
M 6.7 | 2014년 나가노 지진 |
6-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지진/2011년, version=22, uuid=bd8582c6-dc7f-4983-b317-17654e4bcea9,
title2=틀:지진/2012년, version2=17, uuid2=87a5552e-063b-4e9a-b2e9-b7628c0bfba0,
title3=틀:지진/2013년, version3=24, uuid3=39149f86-e99a-430a-abba-c6c9747f4863,
title4=틀:지진/2014년, version4=22, uuid4=4b7f1f32-b515-4407-bd32-ea8ac82770b2, )]
<colcolor=#FFFFFF>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규모 9.0이상 거대지진 | ||
발생 날짜 | 규모 | 해당 지진 |
<colbgcolor=#3d5f7e> 1707. 10. 28. | M 9.3[1] | 호에이 대지진 |
1755. 11. 1. | M 9.0 | 1755년 리스본 대지진 |
1833. 11. 25. | M 9.0 | 1833년 남아시아 대지진 |
1952. 11. 5. | M 9.0 |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1960. 5. 22. | M 9.5 | 1960년 칠레 대지진 |
1964. 3. 27. | M 9.2 | 알래스카 지진 |
2004. 12. 26. | M 9.3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2011. 3. 11. | M 9.1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1]
USGS 29km
[2]
JMA 지진 사후해석 정보
[3]
USGS 2011년 도호쿠 대지진 정보
[4]
계측진도 4.7
[5]
계측진도 6.6
[6]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I부터 XII까지 로마숫자로 12단계), 해저 지진 특성상 MMI 9는 거의 한계치다.
[7]
미야기현,
이와테현,
후쿠시마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8]
그러나 실제로는 이보다 넓은 지역에서 강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당시 진도 4 이상이 관측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홋카이도, 도호쿠, 간토, 도카이, 니가타, 이즈제도)
[9]
처음엔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3곳에만 발령되었으나 시간이 지나 넓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10]
치바현의 동부 태평양 연안 지역.
[11]
시모키타 반도 일대.
[12]
도쿄 만 연안지역.
[13]
최초 관측인데 가장 높이가 낮아 서술.
[14]
이와테현 오후나토항에서 관측함.
[15]
대략 아파트 15층 높이에 달하는 매우 큰 규모의 쓰나미다.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료리 만에서 기록된 것으로, 일본 근현대 관측 사상 최대의 쓰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와테현, 미야기현 등에서 건물 4~5층까지 침수되었다고 하는데 이렇게 높이 차가 심하게 나는 이유는 해안/해저지형에 따라 크게 달라져서 그렇다.
[16]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20cm,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60cm
[17]
2021년 기준으로 현재까지도 여진이 발생하고 있다.
[18]
여진 중에는 규모 7.0이 넘는 지진도 있었는데 바로
2011년 4월 후쿠시마현(M 7.1),
2012년 12월 산리쿠 해역(M 7.4),
2016년 11월 후쿠시마현(M 7.4),
2021년 2월 후쿠시마현(M 7.3),
2021년 3월 미야기현(M 7.0),
2022년 3월 후쿠시마현(M 7.4)의 지진들이다.
[19]
2021년 3월 1일 기준
일본 경찰청 자료
[20]
일본 국외 사망자 2명 포함.
[21]
사망자의 90% 이상이 익사로, 직접적인 지진보다는 쓰나미로 인해 대부분 사망하였다. 또한 쓰나미와 지진으로 인해 마을이 잠겨 집, 차량 등이 떠다니고 전봇대가 무너지고 가스 폭발 등 화재도 발생했다.
고베 대지진 같은 경우는 지진이 새벽에 일어나 자다가 80%가 건물이 무너져 사망했다.
[22]
피난생활 중 건강악화 등으로 인한 사망자
#
[23]
직 간접적 사망자를 모두 합치면 당시 일본 인구 약 5천명 중 1명이 이 지진으로 인해 사망한 셈이다.
[24]
일본 국외 실종자 5명 포함.
[25]
2021년 기준으로는 41,241명
#
[26]
근대 이후 역사상 두번째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한 자연재해다. 환율 변동을 적용할 경우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쪽이 1등이다.
#
[27]
이는 2011년 일본 GDP(6.23조 달러)의 5.8%에 육박하는 거액이다.
[28]
발생 직후
[29]
2021년 3월 기준. 대부분이
후쿠시마현민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완전히 수습되지 않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30]
아사히 신문의 츠네나리 토시유키(恒成 利幸)라는 사진 기자가 찍은 사진으로, 이 사진으로 월드프레스의 2012년 제네럴 뉴스부문 3등상을 수상했다. 사진 속 여성의 이름은 '이토 아카네(伊藤 茜)'(당시 28세)이며
미야기현 나토리시에서 건설현장인부인 남자친구 및 그의 어머니와 동거하고 있었고 집에서 남자친구 및 그 어머니와 함께 10마리의 애완견들을 키우고 있었는데 지진 당시 급히 물품을 확보하려고 애완견들을 집에 두고 남자친구의 어머니와 마트에 다녀온 사이 쓰나미로 집이 무너져서 대부분의 애완견을 잃었다고 한다. 이 사진은 애완견들을 찾다가 지쳤을 때 무너진 집 앞에서 찍힌 사진이다. 남자친구 사이에서 아이가 없다 보니 애완견들을 자식들처럼 여겼고 애완견들을 잃었을 때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다행히 수소문 끝에 이때 잃어버린 애완견들 중 2마리와는 재회할 수 있었다.
이후 아카네는 애완견 미용사가 되기 위해 전문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고 한다.
[31]
도호쿠 대지진 당시 대한민국 방송 3사의 보도들.
KBS
MBC
SBS
[32]
1923년
관동 대지진의 규모인 M7.9, 1707년
호에이 대지진의 규모인 M8.6을 압도하며 1960년
칠레 대지진, 1964년
알래스카 지진,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다음으로 세계
지진 관측사 4위에 드는 세기의 위력이다.
[33]
NHK는 중간의 구분점 없이 붙여 표기중.
[34]
일본 국토 서남부는 유라시아 판에 있다. 일본 국토 중앙쯤을 세로로 지나는 판의 경계는 선이 아니라 영역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바로 Fossa Magna. 영역의 좌측 경계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이고 우측 경계는 가시와자키-지바 구조선이라고 한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포사_마그나. 참고로 링크를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도쿄도 이 영역에 포함된다.)
[35]
갑자기 해소된 이유로 뽑자면 해저에 있던 물과 슬로우 퀘이크라고 할 수 있다. 태평양 지구조판의 돌출부 주변에는 돌출부보다는 작은 접촉면들이 있는데 이 접촉면의 응력이 돌출부 응력보다 먼저 해소되면서 가뜩이나 응력이 축적되어있는 돌출부를 당겨버렸고 그 사이에 물까지 스며들면서 갑자기 응력이 해소되어 대륙판의 원래 운동방향으로 쌓여 있던 에너지만큼 움직이면서 지진이 난 것이다.
[36]
도호쿠 대지진의 위력이 예측을 가볍게 압도하였고, 전진 위력도 차원을 달리했기 때문에 규모 7 내외의 여진이 몇 번 발생했다.
[37]
이 지진 이후에도 산리쿠 해역에서 만 2일간 끊임없이 규모 4~5를 오가는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미 여기서 여진의 범주를 넘어섰다.
[38]
한국에는
일본인들이
지진에 제법 익숙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도쿄는 지진 발생 빈도가 많다고 해도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았기 때문에
국회가 위치해 있는 도쿄
치요다구에서 진도 5강을 기록하고 지속시간도 2~3분 이어지니 당연히 당황할 법도 하다. 아니, 애초에 지진이란 익숙해질 래야 익숙해질 수 없는 것이다.
[39]
방송 중에도 해당 자리에 있던 아나운서는 침착하게 보이지만 뒤에서 "흔들린다!! 도쿄 쪽을 비춰!!!"라는 다급한 목소리가 적나라하게 다 들린다. 물론 당시 아나운서 역시 사람인지라 무서움을 느낄 수 있겠지만 방송을 전달받을 국민들이 동요하지 않게 하기 위해 그것을 참고 방송하여 진정한 방송인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참고로 당시 스튜디오가 위치한 도쿄 시부야구는 진도 5약의 강한 흔들림이 감지되었고, 이 흔들림 속에서 속보를 처음 전한 이 아나운서의 이름은 이토 켄조(伊藤健三)라고 한다.
[40]
재일 한국-조선인들을 의식해서 중립적인 표현으로 '한국-조선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41]
일본계 브라질인
[42]
중계를 하는 아나운서는 웨더뉴스의 기상예보사인 우노자와 타츠야(宇野沢 達也). 2024년 기준으로 여전히 웨더뉴스에서 활동 중이다.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 때에도 2011년 때처럼 대해일경보가 발표되었음을 시청자에게 알렸다.
[43]
일본방송협회가 제일 먼저
긴급지진속보가 떴고(0분 12초), 뒤이어
닛폰 테레비와
TBS 테레비가 거의 동시에 속보가 떴으며(1분 49초), 이후
테레비 아사히(2분 19초),
TV 도쿄(2분 37초),
후지 테레비(4분 17초) 순으로 속보가 뜬다. 다만 특보체제 전환은
닛폰 테레비와
TBS 테레비가 거의 동시에 시작했으며(4분 6초 경),
후지 테레비가 10여초 후인 4분 19초 경에 시작했고
테레비 아사히는 4분 49초 정도 지나 시작한 반면
TV 도쿄가 7분 23초나 지나서야 시작했다(...).
[44]
인트로는 2010년 BBC News 버전, 본편은 2007년에 발표된 BBC World Countdown 3분 버전으로 작곡자 데이비드 로의 홈페이지에서도 공개하였다.
[45]
미야기현의
닛테레 계열 방송사다.
[46]
미야기현의
TBS 테레비 계열 방송사다.
[47]
한국의
경기도,
충청도처럼 '
도(道)'의 개념이다.
[48]
간단하게
한국과 마찬가지로
성남시,
춘천시와 같은 '
시(市)'의 개념이다. 자세한 설명은
시(市)를 참고.
[49]
진한 글씨는 현청 소재지다.
[50]
규모로 따지자면 한국의 '
읍(邑)'과 유사하지만 '시(市)'와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다. 자세한 설명은
정(町)을 참고.
[51]
규모상으로 한국의 '
면'과 비슷하지만 '정(町)'과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다. 자세한 설명은
촌(村) 참고.
[52]
이와테현의
닛테레 계열 방송사다.
[53]
후쿠시마현의
닛테레 계열 방송사다.
[54]
이날 오후 1시부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시합을 하고 있었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는 이날 1-3으로 지진 콜드패.
[55]
미야기현의
테레비 아사히 계열 방송사다.
[56]
격한 흔들림과 정전으로 보아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웠던 미야기현일 가능성이 높다.
[57]
USS 조지 워싱턴은 방사능이 검출된 후 대원들의 외출을 자제시켰다.
[58]
신설된 방조제의 총 길이를 합치면 약 400km에 이른다고 한다. 다만 특이한 사례로 후술할 후다이의 기적의 사례처럼 이 지진 이전부터 촌장의 고집이 전대미문의 대재앙으로부터 마을을 구한 경우도 있다.
[59]
이 중 2009년에 발매된
3편의 배경은 2011년 3월로, 이 지진을 정확히 예언함으로써 주목을 받게 되었다.
[60]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하여 주장으로 활약 중.
[61]
일본의 개봉일은 11월 11일 해외에서는 3월 중에 개봉하였다.
[62]
당장 대한민국 에서 일어난 참사인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특집 뉴스를 사고가 발생한 4월 16일부터 27일까지 12일 연속으로 특집 뉴스로 진행한 것을 비교해 보면 얼마나 심각했는지 알 수 있다.
[63]
해당 마을은 1896년, 1933년 두 번의 쓰나미를 겪으면서 참극을 경험했다.
[64]
참고로 인간이 만든 폭발물로는 이 정도로 강력한 지진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아래의 음모론들은 그냥 루머로만 알아두자.
[65]
하지만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일본의 국력이
대한민국이나
대만보다 우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침략전쟁을 수행하여 정복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 이 음모론이 사실이였으며 만에 하나 실제로 침공이 이루어졌더라도 한국은
서방권에서 미국을 제외한 최강의 육군 전력을 자랑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해공군력도 상당한 만큼 호락호락하게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때는 일본 자위대가 비대칭 전력(공격용 미사일)을 보유하지 않기도 했고. 또한
중국은 오히려 침공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으로 압도적인 격차가 벌어진다.
[66]
실제로
일본의 우경화나 반일 감정이 일본 커뮤니티에 전해지면서
혐한 성향도 이 지진과 원전 사고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다시 부각되었다.
[67]
다만 하마다 가즈유키는 이 과정에서 "
간 나오토의 친중성향을 보복하기 위한 미국의 공작"이라고 주장한 데다 당시 기준으로도 신빙성이 낮은
HAARP(지진 무기)를 운운했다가 물의를 빚었다.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
를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