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러시아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11)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1] | |
2024년 12월 27일 23시 47분 37초 |
Mw 6.8 | 쿠릴 열도 해역 | Ⅴ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1]
USGS Shakemap 기준
|
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외부 링크는 미국 지질조사국 및 NOAA의 산출 근거 | ||||
<rowcolor=#fff> 순위 | 사망자(명) | 규모 | 명칭 | 진앙 | |
1 | 316,000 | M 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지역 | |
2 | 227,898 | M 9.1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해역 | |
3 | 87,587 / M 8.0 | 2008년 쓰촨성 대지진 | 중국 쓰촨성 지역 | ||
4 | 87,351 / M 7.6 | 2005년 카슈미르 지진 |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역 | ||
5 | 59,259 / M 7.8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쉬 지역 | ||
6 | 34,000 / M 6.6 | 2003년 밤 지진 | 이란 밤 지역 | ||
7 | 20,085 / M 7.7 | 2001년 구자라트 지진 | 인도 구자라트 지역 | ||
8 | 19,759 / M 9.1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 일본 산리쿠 해역 | ||
9 | 8,964 / M 7.8 | 2015년 네팔 대지진 | 네팔 구르카 지역 | ||
10 | 5,782 / M 6.4 |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자바섬 | ||
11 | 4,340 / M 7.5 | 2018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지역 | ||
12 | 2,946 / M 6.8 |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역 | ||
13 | 2,698 / M 6.9 | 2010년 위수 지진 | 중국 위수 지역 | ||
14 | 2,530 / M 6.3 | 2023년 10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북서부 지역 | ||
15 | 2,266 / M 6.8 | 2003년 부메르데스 지진 | 알제리 부메르데스 | ||
16 | 2,248 / M 7.2 | 2021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니프 지역 | ||
17 | 2,000 / M 6.1 | 2002년 힌두 쿠쉬 지진 | 아프가니스탄 | ||
18 | 1,313 / M 8.6 | 2005년 수마트라 지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인근 |
2023년 10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 |
<colbgcolor=#3d5f7e> 발생시각 (UTC+4:30) |
[1차] 2023년 10월 7일 15시 41분 03초 [2차] 2023년 10월 7일 16시 12분 50초 [3차] 2023년 10월 11일 09시 41분 56초 [4차] 2023년 10월 15일 08시 06분 00초 |
진앙 |
[1차]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주 북서쪽 37km[1] [2차]아프가니스탄 헤라트 주 북서쪽 40km [3차]아프가니스탄 헤라트 주 북북서쪽 28km [4차]아프가니스탄 헤라트 주 북북서쪽 32km |
진원 깊이 |
[1차] 14km [2차] 10km [3차] 9km [4차] 6km[2] |
규모 | Mw 6.3[3] |
최대 진도 | Ⅷ[4] |
해일여부 | 미발령 |
여진 횟수 |
최소 7회 최대 여진: M 5.9, 진도 Ⅷ |
피해 | 사망자: 최소 2,530명 |
부상자: 최소 9,240명 |
[clearfix]
1. 개요
|
2023년 10월 7일에 두 차례, 10월 11일에 한 차례, 10월 15일에 한 차례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주 북서쪽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6.3, MMI 진도 Ⅷ의 강진.
2023년 3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이후 약 7개월이 지나 같은 국가에서 발생한 또 다른 강진이며 이란 국경 근방에서 발생했기에 파키스탄 국경 근방에서 일어났던 지난 3월의 지진과 위치는 차이가 있다.
2. 전개 및 대응
- 지진 발생 이후 하루 만에 약 320명의 사망자와 1000여 명의 부상자가 UN에서 잠정 집계되어 보고되었다. 지역의 특성 상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헤라트주 재난관리당국 관계자가 우려를 표했다.
- 구조인력과 장비가 워낙 부족한 탓인지 아프가니스탄 국영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된 구조 장면에 탈레반 구조대원들이 폐허가 된 마을에서 어깨에 총을 메고 불도저를 이용해 잔해에서 벽돌을 끄집어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해 우려를 낳았다.[5] #
- 지진이 강타한 헤라트 주에서만 최소 12개 마을에서 주택 600여 채가 무너졌다. 이로 인해 사상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 국제구조위원회(IRC)는 지진 피해 현장으로 긴급대응팀을 급파했다. #
- 10월 11일 오전 9시 41분 경 이전 지진과 비슷한 지점에서 규모 6.3, 진도 Ⅷ의 강진이 다시 발생했다. 수 차례씩이나 큰 지진이 아프가니스탄 서부에서 반복되자 일각에서는 군집성 지진일 확률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상자가 끊임없이 속출하는 마당에 큰 지진이 다시 한 번 발생해 우려를 낳았다. #
- 10월 15일 오전 8시 6분 경 이전 지진과 비슷한 지점에서 또 다시 규모 6.3, 진도 Ⅷ의 강진이 다시 발생했다. 이상하리만치 진도와 규모가 일정한 지진이 비슷한 장소에서, 그리고 점점 얕은 지각으로 상승하듯 발생하고 있어 심히 우려되는 부분이다. # # # #
3. 반응
- 대한민국 정부는 아프간 지진과 관련하여 9일 외교부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깊은 위로와 애도를 표했다. #
- UN은 아프간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000명을 넘겼다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촉구했다. #
4. 기타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이 발생한지 1년도 지나지 않았고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이 발생해 세계에 충격을 가한 지 1개월이 채 되지 않아 또 다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지진이다.
- 공교롭게도 같은 날 이스라엘에서는 하마스의 침공으로 인해 이스라엘-하마스간 전쟁이 발발하였는데 국제적인 관심이 이스라엘 사태에 집중되거나 개도국이라 아프간 지진은 상대적으로 뒷전으로 밀려 주목을 받지 못했다.
- 해당 지진이 일어난 지역인 헤라트는 '아프간의 문화 수도'라고 불리며 190만명이 거주하는 인구 밀집 지역이다. 그러나 지역의 다소 미비한 내진 설계와 탈레반 집권 이후 끊긴 원조와 더불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진이 일어나 상당한 사망자가 발생하게 되었다. 덤으로 향후 관광자원으로써 개발될 곳도 손해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5. 관련 보도
아프간 북서부 규모 6.3 강진·사망 320명…유엔 "사상자 증가 예상"아프간 강진 최소 320명 이상 사망·1000명 부상…“사망자 훨씬 더 많을 것
아프간 6.3 강진에 사망자 2000명 넘어…부상자는 약 1만명(종합)
아프간 지진으로 최소 2천명 사망…"인명 피해 늘어날 것"
아프가니스탄에 강진‥"사망자 2천 명 넘을 것"
아프간 강진 이후 여진 8차례…외신 "2천여 명 숨졌다"
아프간 또 강진 “사망자 2천 명 이상”…원조 끊겨 위기 고조
맨손으로 땅 파헤쳐 희생자 수습…아프간 지진 2천여 명 사망
아프간 강진에 국제사회 외면‥주민들 맨손 구조 작업
아프간 지진 사망자 2천4백 명 넘어…국제사회 지원 절실
또 흔들린 아프간, 서부서 규모 6.3 지진…"붕괴지역 또 피해"...."지진 수습하던 구호대와 구조대 다시 배치해야 해"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 ||||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 [[틀:지진/2024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06.~ |
~ M 4.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
4
|
|
01. 09. | M 3.7 | 강화도 해역 지진 |
Ⅳ
|
|
01. 10. | M 7.9 |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
Ⅵ
|
|
01. 14. | M 5.6 | 네팔 지진(1월) |
Ⅶ
|
|
02. 06. | M 7.8 |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XI
|
|
M 7.6 |
Ⅹ
|
|||
02. 25. | M 6.1 |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
5-
|
|
03. 18. | M 6.8 | 에콰도르 지진 |
Ⅶ
|
|
03. 21. | M 6.5 |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
Ⅴ
|
|
04. 30.~ |
~M 6.5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
6+
|
|
05. 11. | M 5.4 |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
5+
|
|
05. 11.~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
5-
|
|
04. 23.~ |
~M 4.5[3]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
Ⅲ
|
|
05. 22.~ |
~ M 5.3 |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
5-
|
|
06. 11. | M 6.2 |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
5-
|
|
06. 16. | M 5.3 | 프랑스 니오르 지진 |
Ⅶ
|
|
07. 29. | M 3.5 | 장수 지진 |
Ⅴ
|
|
09. 07.~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
4
|
|
09. 07. | M 4.9 | 북한 어랑 해역 지진 |
Ⅱ
|
|
09. 08. | M 7.4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Ⅸ
|
|
10. 07. | M 6.3 |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
Ⅷ
|
|
10. 11. | ||||
10. 15. | ||||
11. 03. | M 6.4 | 네팔 지진(11월) |
Ⅶ
|
|
11. 17. | M 6.7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
Ⅷ
|
|
11. 30. | M 4.0 | 경주 지진 |
Ⅴ
|
|
12. 02. | M 7.6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
Ⅶ
|
|
12. 18. | M 6.2 | 중국 간쑤성 지진 |
Ⅷ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
[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