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5:43:59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알렉산더 아놀드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이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2024-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픽포드 · 2 워커 · 3 · 4 라이스 · 5 스톤스 · 6 게히 · 7 사카 · 8 알렉산더아놀드 · 9 케인
10 벨링엄 · 11 포든 · 12 트리피어 · 13 램스데일 · 14 콘사 · 15 덩크 · 16 갤러거 · 17 토니 · 18 고든
19 왓킨스 · 20 보언 · 21 에제 · 22 고메즈 · 23 헨더슨 · 24 파머 · 25 워튼 · 26 마이누
파일:UEFA EURO ENG.pn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파일:UEFA EURO ENG.png 스티브 홀랜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4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WAL.png 마틴 마겟슨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PFA_UK_logo.png
파일:프리미어 리그 심볼.svg
베스트팀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2018-19 · 2021-22
파일:PFA_UK_logo.png
2018-19 · 2019-20 · 2021-22
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
2019-20 · 2021-22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
}}} ||
파일:Alexander Arnorld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No. 8
<colcolor=#ffffff> 리버풀 FC No. 66
VC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Trent Alexander-Arnold
<colbgcolor=#d00027> 본명 트렌트 존 알렉산더아놀드[1]
Trent John Alexander-Arnold
출생 1998년 10월 7일 ([age(1998-10-07)]세)
잉글랜드 머지사이드주 리버풀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 체중 72kg
포지션 라이트백, 미드필더[2]
주발 오른발
등번호 잉글랜드 대표팀 8
리버풀 FC 66
소속 <colbgcolor=#d00027><colcolor=#ffffff> 유스 리버풀 FC (2004~2016)
프로 리버풀 FC (2016~ )
국가대표 28경기 3골[3] ( 잉글랜드 / 2018~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00027><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잉글랜드 대표팀 - 2[4], 8, 10[5] 18[6], 22
리버풀 FC - 66
후원사 아디다스, 레드불
종교 가톨릭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5.3. 개인 기록5.4. 출전 기록
5.4.1. 클럽5.4.2. 국가대표
6. 여담7. 알렉산더아놀드에 대한 언사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리버풀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국가대표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5.3. 개인 기록

5.4. 출전 기록

5.4.1. 클럽

시즌 클럽 리그 국내 컵[8] 유럽 클럽 대항전[9] 기타 컵 대회[10] 총계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경기 득점 도움
2016-17 리버풀 7 0 0 5 0 1 - - - - - - 12 0 1
2017-18 19 1 1 2 0 0 12 2 1 - - - 33 3 2
2018-19 29 1 12 - - - 11 0 4 - - - 40 1 16
2019-20 38 4 13 - - - 8 0 1 3 0 1 49 4 15
2020-21 36 2 7 1 0 0 8 0 2 - - - 45 2 9
2021-22 32 2 12 6 0 3 9 0 3 - - - 47 2 18
2022-23 37 2 9 2 0 1 7 1 0 1 1 0 47 4 10
7시즌 통산 198 12 54 16 0 5 55 3 11 4 1 1 273 16 71

5.4.2. 국가대표

소속 대표팀
연도
경기
득점
도움
잉글랜드 2018 5 1 0
2019 4 0 1
2020 3 0 0
2021 4 0 3
2022 2 0 0
2023 5 1 1
통산 23 2 5

6. 여담

7. 알렉산더아놀드에 대한 언사

알렉산더아놀드는 몇 년간 보지 못한 유형의 선수다. 풀백으로서 패스와 기술적인 자질을 갖췄다. 내 생각에 그의 크로스는 데이비드 베컴만큼 뛰어난 것 같다.
대니 머피
패싱 능력이 좋아 수비수 뿐만 아니라 미드필더로도 대성할 것이다.
제이미 캐러거
스피드, 공격성, 힘. 그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
마이클 빌[19]
월드클래스 선수다. 지금 알렉산더아놀드에게 중요한 것은 얼마나 꾸준히 기량을 유지할 수 있냐는 것이다. 리버풀 팬으로서 두 명의 풀백이 맹활약 하고 있기 때문에 정말 축복받은 것이다. 그들은 리버풀이 좋은 경기력을 할 수 있는 핵심 선수들이다.
나는 그가 이번에 (2021년 3월) 국가대표에 뽑히지 못한 것을 보고 놀라웠다. 나는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감독은 아니지만 그가 잉글랜드 최고의 라이트백이라고 생각한다.
스티븐 제라드
로버트슨과 알렉산더아놀드는 요즘 풀백의 공격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우고 있다.
개리 네빌
나는 알렉산더아놀드의 플레이를 즐겨본다. 그는 의심의 여지 없이 세계 최고 중 하나다. 뛰어난 풀백이자 내가 현역 시절에 했던 것과 비슷하게 한다. (중략) 언젠가 알렉산더아놀드가 발롱도르 수상자가 될 것 같다.
카푸
그 어느 소년이든, 현대 축구에서 오른쪽 풀백이 어떻게 뛰는지 알고 싶다면 알렉산더아놀드가 안필드에서 아틀레티코를 상대로 뛴 경기 전반 45분짜리 영상을 봐라. 그가 오른쪽 풀백으로 뛰면서 경기를 지배하는 방식은, 그런 식으로 뛰는 선수를 마지막으로 본게 아마 카푸였을 것이다. 그는 교과서에 나온 모든 패스를 구사한다. 아웃프런트 패스, 방향전환 패스, 넓게 멀리 뿌리는 패스, 뒷공간으로 찔러주는 패스. 그런 패스를 측면에서 보여주고, 뭐든지 할 수 있다. 알렉산더아놀드는 확실히 미친 축구선수다. 난 그가 리버풀에서 뛴다고 누가 말해줘도 신경 안쓴다. 이 소년은 축구를 할 줄 아는 놈이다. 게리 네빌도 이런 패스를 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네빌 정도 되는 선수조차 알렉산더아놀드만큼의 패스는 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이미 노련한 선수이기에 영국 국가대표도 아론 완비사카보다 알렉산더아놀드가 뛰는 것이 맞다.
리오 퍼디난드
대단히 환상적인 선수다. 스탯도 훌륭하고 경기력도 뛰어나다. 우리는 뛰어난 공격수를 보며 열광해왔지만, 풀백을 보고 열광한다는 점에서 지난 몇 년간 그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보여준다.
로이 킨
알렉산더아놀드보다 뛰어난 라이트백이 누가 있을까? 대체 어떤 풀백이 경기에서 이러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냐는 말이다. 수비력이 엄청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공격력은 훌륭하다. 그의 능력은 정말 미쳤다. (중략) 그는 앞으로 15년을 더 뛸 수 있다. 확실한 것은 그의 커리어 첫 5년이 매우 훌륭하다는 것이다.
위르겐 클롭
나는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를 아주 존경한다. 그는 환상적인 축구 선수다. 그는 월드클래스 기술을 가지고 있다.
다니 알베스
알렉산더아놀드는 지금 세계 최고의 풀백 중 하나이다.
호베르투 카를루스
나는 세트피스 상황에서 그 누구도 알렉산더아놀드를 의심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마이클 오언
알렉산더아놀드의 패스 능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그의 경기력은 진화하고 있다. 리버풀은 장기적으로 이득을 볼 것이다. 그는 최근 아스날과의 경기[20]에서 그랬듯이 경기장 어느 곳에서 정확한 패스를 연결하는 능력으로 화제를 모았다. 이제 그는 안드레아 피를로, 사비 알론소, 토니 크로스와 같은 방식의 패스를 구사하기 시작했다.
리버풀 에코

8. 같이 보기

[[알리송 베케르|1 {{{#fff A. 베케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 고메즈 · 3 엔도 · [[버질 반 다이크|4 버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5 코나테 · 7 루이스 디아스 · 8 소보슬라이 · 9 다르윈 · 10 맥 알리스터
[[모하메드 살라|11 M. 살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13 아드리안 · 17 존스 · 18 각포 · 19 엘리엇 · 20 디오구 J. · 21 치미카스 · [[앤디 로버트슨|26 로버트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8 카르발류 38 흐라번베르흐
42 클라크 · 43 바이체티치 · 46 R. 윌리엄스 · 50 도크 · 62 켈러허 ·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66 알렉산더아놀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78 콴사 · 84 브래들리 · - 필립스
파일:UEFA EURO NED.png 아르네 슬롯 · 파일:UEFA EURO NED.png 시프케 헐쇼프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리버풀 FC 2023-24 시즌 스쿼드
1 <rowcolor=white> 2 3 4(C) 5
알리송 베케르
Alisson Becker

파일:브라질 국기.svg | GK
1992.10.02.
2018~2027
조 고메즈
Joe Gomez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05.23.
2015~2027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파일:일본 국기.svg | MF
1993.02.09.
2023~2027
버질 반 다이크
Virgil van Dij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1.07.08.
2018~2025
이브라히마 코나테
Ibrahima Konat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05.25
2021~2026
<rowcolor=white> 6 7 8 9 10
티아고 알칸타라
Thiago Alcântara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1.04.11.
2020~2024
루이스 디아스
Luis Díaz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FW
1997.01.13.
2022~2027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Dominik Szoboszlai

파일:헝가리 국기.svg | MF
2000.10.25.
2023~2028
다르윈 누녜스
Darwin Núñez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FW
1999.06.24.
2022~2028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Alexis Mac Alliste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1998.12.24.
2023~2028
<rowcolor=white> 11 13 17 18 19
모하메드 살라
Mohamed Salah

파일:이집트 국기.svg | FW
1992.06.15.
2017~2025
아드리안 산미겔
Adrián San Miguel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1987.01.03.
2019~2024
커티스 존스
Curtis Jon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1.01.30.
2018~2027
코디 각포
Cody Gakpo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5.07.
2023~2028
하비 엘리엇
Harvey Ellio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3.04.04.
2019~2027
<rowcolor=white> 20 21 26(3C) 32 38
디오구 조타
Diogo Jot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1996.12.04.
2020~2027
코스타스 치미카스
Kostas Tsimikas

파일:그리스 국기.svg | DF
1996.05.12.
2020~2027
앤디 로버트슨
Andy Robertso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DF
1994.03.11.
2017~2026
조엘 마팁
Joël Matip

파일:카메룬 국기.svg | DF
1991.08.08.
2016~2024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Ryan Gravenberch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2002.05.16.
2023~2028
<rowcolor=white> 43 46 50 62 66(VC)
스테판 바이체티치
Stefan Bajčetić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4.10.22.
2021~2027
리스 윌리엄스
Rhys William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1.02.03.
2019~2026
벤 도크
Ben Doak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FW
2005.11.11.
2022~2025
퀴빈 켈러허
Caoimhin Kelleher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GK
1998.11.23.
2018~2028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Trent Alexander-Arnol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8.10.07.
2016~2025
<rowcolor=white> 78 84 - - -
자렐 콴사
Jarell Quansa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3.01.19.
2021~2025
코너 브래들리
Conor Bradley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 DF
2003.07.09.
2021~2026
- - -
리버풀 FC 2023-24 시즌 임대선수
<rowcolor=white> 22 28 45 47 72
칼빈 램지
Calvin Rams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DF
2003.07.31.
2022~2027
위건 애슬레틱 FC 임대
2025.05.31 복귀
파비우 카르발류
Fábio Carvalho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2002.08.30.
2022~2027
헐 시티 AFC 임대
2024.05.31 복귀
마르셀루 피탈루가
Marcelo Pitaluga

파일:브라질 국기.svg | GK
2002.12.20.
2020~2025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FC 임대
2024.11.30 복귀
나다니엘 필립스
Nathaniel Phillip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03.21.
2016~2025
카디프 시티 FC 임대
2024.05.31 복귀
세프 판덴베르흐
Sepp van den Ber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1.12.10.
2019~2024
1. FSV 마인츠 05 임대
2024.06.30. 복귀
구단 정보
감독: 아르네 슬롯 / 홈 구장: 안필드
출처: 리버풀 FC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1일
}}}}}}}}} ||

1 픽포드 · 2 워커 · 3 로즈 · 4 다이어 · 5 스톤스 · 6 매과이어 · 7 린가드 · 8 헨더슨 · 9 케인
10 스털링 · 11 바디 · 12 트리피어 · 13 버틀랜드 · 14 웰벡 · 15 케이힐 · 16 존스 · 17 델프
18 · 19 래시포드 · 20 델리 · 21 로프터스치크 · 22 알렉산더-아놀드 · 23 포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1 픽포드 · 2 워커 · 3 · 4 라이스 · 5 스톤스 · 6 매과이어 · 7 그릴리쉬 · 8 헨더슨 · 9 케인 · 10 스털링
11 래시포드 · 12 트리피어 · 13 포프 · 14 필립스 · 15 다이어 · 16 코디 · 17 사카 · 18 알렉산더아놀드
19 마운트 · 20 포든 · 21 화이트 · 22 벨링엄 · 23 램스데일 · 24 윌슨 · 25 매디슨 · 26 갤러거
파일:UEFA EURO ENG.pn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파일:UEFA EURO ENG.png 스티브 홀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4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WAL.png 마틴 마겟슨

2017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잔루이지 돈나룸마 킬리안 음바페 크리스천 풀리식 알반 라퐁 알렉산데르 이사크
마누엘 로카텔리 말랑 사르 펠릭스 파슬라크 마르틴 외데고르 티모시 포수멘사
다요 우파메카노 요시프 브레칼로 톰 데이비스 카이 하베르츠 라이언 세세뇽
세르히오 디아스 리스 옥스포드 뱅상 틸 모이스 킨 벤 우드번
저스틴 클루이베르트 무사 디아비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에세키엘 바르코 조나단 이코네
얀 카라모 로렌조 칼리가 니콜라스 스키아파카세 마테이스 더리흐트 토마스 코네치니
카를레스 알레냐 이스마일라 사르 링콩 이아니스 하지 후이 페드루
호아킨 아드리아스 엔젤 고메스 레안드리뉴 브라힘 디아스 아슈라프 하키미
안드레아 피나몬티 호세 고메스 마커스 에드워즈 두샨 블라호비치 피에트로 펠레그리
켈레치 은와칼리 니클라스 도르슈 두존 스털링 쿠보 타케후사 디에고 라이네스
}}}}}}}}} ||



[1]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인명을 표기할 때 줄표(-)를 무시한다. 줄표의 앞뒤를 별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 쓰지는 않되, 연음 등은 고려하지 않고 표기한다. [2]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3] 2024년 6월 26일 기준 [4] 카일 워커가 없을시 2번을 달기도 했다. [5] 주드 벨링엄이 없을 시 10번을 단다. [6]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18번을 부여받았다. [7] 앤디 로버트슨과 동률 [8] FA컵, 리그컵 [9] 챔피언스 리그 [10] FIFA 클럽 월드컵, 슈퍼컵, FA 커뮤니티 실드 [11] 실제로 레알 마드리드가 알렉산더아놀드를 강력하게 원했다. 엄청난 구애를 했음에도 트렌트는 프리시즌에 재계약을 해버렸다. [12] 출처 [13] 사미 히피아의 셋피스 상황 첫 골과 루이스 가르시아의 발리슛으로 2-1 승리를 거뒀던 경기. [14] 사실 체임벌린처럼 양성을 쓰는 선수들은 이름이 너무 길어지면 유니폼에는 어느 하나만 쓰거나 드물게는 아예 퍼스트네임이나 애칭을 쓰곤 하지만( SERGEJ 21이 그 예), 트렌트는 전부 쓰고 있다. 같이 국대 뽑힌 루벤 로프터스치크도 양성을 모두 쓰지만 그래도 하이픈 포함 12글자라서 트렌트보다는 덜하다. [15] 사실 66번, 33번, 99번 같은 같은 숫자가 반복되는 등번호는, 6번이나 3번, 9번을 달지 못한 선수들이 다는 것이기에 아주 드문 번호는 아니다. 다만 보통 주전경쟁에서 밀린 선수들이, 낮은 등번호를 받을 수 없어서 다는 것은 같다. 클라인이 나가고, 풀백이 선호하는 등번호인 2번을 쓸수 있음에도 그냥 66번을 유지중. [16] 아놀드가 로버트슨과 콘서트를 먼저 다녀왔는데 너무 재밌어서 그 후 벨링엄을 데려갔다고 한다. [17] 그냥 바지를 넣어 입는 것이다… [18] 복성중에 하나만 쓰는게 잘못 된 표기라고 할 수 없는게, 알렉산더아놀드 본인의 인스타 계정부터 trentarnold66로 표기하고 있으며, 한때 유니폼 마킹이 Alexander 였던적도 있다. 리버풀 선배인 옥슬레이드체임벌린은 시즌에 따라 Oxlade 또는 Chamberlain으로 마킹을 했었다. [19] 트렌트 1군 데뷔 시즌 당시 U-21 감독 [20] 21-22시즌 카라바오컵 준결승 2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