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상고대 | 미탄니 | 히타이트 | 트로이 | 미케네 문명 | |||||
히타이트 | ||||||||||
신 히타이트 | 프리기아 | 리디아, 리키아, 카리아 등 |
그리스 ( 이오니아 / 도리스 / 아이올리스) |
|||||||
신아시리아 제국 | 리디아 | |||||||||
메디아 | ||||||||||
고전 고대 |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 |||||||||
마케도니아 제국 | ||||||||||
헬레니즘 국가 ( 안티고노스 / 리시마코스 / 셀레우코스 / 프톨레마이오스 / 아탈로스 / 비티니아 / 갈라티아 / 폰토스 / 카파도키아 / 콤마게네) |
||||||||||
로마 제국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중세 |
동로마 제국 |
||||||||
우마이야 칼리파국 | 동로마 제국 | |||||||||
아바스 칼리파국 | ||||||||||
동로마 제국 | ||||||||||
셀주크 제국 /
1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 스미르나 / 다니슈멘드 / 멩귀치 왕조 / 아르투크 / 샤아르멘 / 살투크) |
||||||||||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
룸 술탄국 | 동로마 제국 | ||||||||
룸 술탄국 |
니케아 제국 | 라틴 제국 |
트라페준타 제국 |
|||||||
동로마 제국 | ||||||||||
맘루크 |
2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 오스만 / 카라만 / 아이딘 / 잔다르 / 게르미얀 / 에레트나 / 멘테셰 / 사루한 / 카라시 / 하미드 / 둘카디르 / 에슈레피 / 자니크 / 아히 형제단) |
동로마 제국 | ||||||||
라마잔 | 카라만 / 잔다르 / 둘카디르 |
오스만 술탄국 |
근현대 | 오스만 제국 | |||
앙카라 정부 [[튀르키예 독립 전쟁| 그리스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
|
||||
튀르키예 공화국 | }}}}}}}}} |
헬레니즘 Ἑλληνισμός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스-헬레니즘 역사 | |||||
마케도니아 왕국 | 헬레니즘 제국 | 디아도코이 | 안티고노스 왕조 | 비티니아 왕국 | 폰토스 왕국 | |
셀레우코스 제국 | 페르가몬 왕국 | 콤마게네 왕국 |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인도-그리스 왕국 |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
・ 헬레니즘 시대의 전쟁 | ||||||
・ 헬레니즘 문화 | ||||||
・ 헬레니즘 미술 | }}}}}}}}} |
1. 개요
기원전 282년 ~ 기원전 129년현재 튀르키예의 페르가몬을 수도로 했던 왕국으로, BCE 268년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해 로마에게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역사
2.1. 건국
원래 페르가몬의 왕가의 시조가 되는 필레타이로스(BCE 282~BCE 263)는 리시마코스 왕조 트라키아의 페르가몬 방면 장군이었다. 그러나 필레타이로스는 셀레우코스 제국과 리시마코스 왕국간에 전쟁이 발발하자 셀레우코스 제국 측으로 반란을 일으켜 결국 리시마코스가 죽게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만들었다. 필레타이로스는 아직 정식으로 왕을 칭하지는 않고, 셀레우코스 제국의 제후 행세를 함으로써 셀레우코스 제국을 안심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착실하게 자신의 왕국의 기반을 닦았고, 그 일환으로 그리스 여러나라에 사절들을 보내 자신이 페르가몬의 지배자임을 널리 인정받았다. 그러나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에 만족하면서 계속 그들에게 충성했던 것 같다. 그의 치세에서는 독립을 향한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필레타이로스 자신은 어렸을 때 거세당해 아들을 낳을 수 없었기에, 동생인 에우메네스의 아들인 에우메네스를 양자로 들여 그를 후계자로 삼았다. 그가 바로 아탈로스 왕조의 제 2대 왕인 에우메네스 1세(BCE 263~BCE 241)이다. 에우메네스 1세는 필레타이로스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제후이자 장군으로서 삶을 마감한 것과는 달리,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해 반기를 들었다. 그리고 안티오코스 1세를 패배시킴으로써 독립을 달성하였다. 그의 갑작스런 반란은 아마도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의 책략인 것 같다. 그리고 그 전에 쓰던 셀레우코스 제국의 주화를 없애고 새로 필레타이로스의 주화를 만들어 왕국 내에 보급시켰다.2.2. 발전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의 반란이 성공하자 이제 페르가몬을 위협하는 세력은 없었다. 셀레우코스 제국과 이집트가 싸우는 동안 페르가몬 왕국은 착실하게 국력을 신장시켰다. 그리고 셀레우코스 제국 내에서도 끊임없이 반란을 선동하여 그들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국력이 약화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BCE 260년 경이 되자 마케도니아를 휩쓸었던 갈리아인들이 페르가몬 왕국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에우메네스는 그들에게 공물을 주어 현재의 갈라티아 지방으로 물러나게 했다. 에우메네스 역시 아들이 없어 사촌인 아탈로스를 후계자로 삼아 페르가몬의 왕위를 물려주게 했다.2.3. 전성기
기원전 188년 아파메아 평화 협정으로 로마의 동맹인 페르가몬, 로도스 왕국을 중심으로 재편된 아나톨리아
아탈로스 1세 소테르(BCE 241~BCE 197)는 페르가몬으로부터 공물을 갈취해가는데 맛을 들인 갈라티아를 중요한 전투에서 격파함으로써 구원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을 공격하여 에게 해 연안과 소아시아 내륙의 일부 영토를 획득했으며, 마케도니아 필리포스 5세와도 싸웠다. 마케도니와의 전쟁은 만만치 않아 처음에는 페르가몬 왕국도 잘 싸웠으나 결국에는 필리포스 5세의 군세에 페르가몬은 압도당하여 한때는 페르가몬이 마케도니아군에게 포위당한 적도 있었다. 나중에 밝혀진 일인데, 필리포스 5세의 대담한 작전은 사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 밀약을 맺고 서로 후방을 보호해주기로 했으며, 나아가 두 명의 팽창주의 군주가 페르가몬과 이집트를 분할하기로 합의했던 것이었다. 이를 알게 된 페르가몬은 로마에 도움을 요청하는 수밖에 없었다. 처음에 로마는 미온적이었으나, 제 2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발발하자 이들과 확실한 우호 동맹을 맺게 되었다. 이후 페르가몬 왕국은 로마의 충실한 동맹으로 남게 된다. BCE 197년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필리포스 5세가 패배함으로써 페르가몬은 구원받을 수 있었다. 필리포스 5세의 패배를 확인한 아탈로스 1세는 바로 급한 근심은 덜었다고 생각했는지 이듬해 편안히 눈을 감았다. 그 뒤를 이은 사람은 그의 장남인 에우메네스 2세(BCE 197~BCE 160)였다. 마케도니아 왕국으로부터의 위협은 사라졌으나 아직 셀레우코스 제국이 팽창주의 정책을 버리지 않고 있어 큰 위협은 항상 존재했다. 페르가몬은 다시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항하여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그리고 BCE 190년 로마가 마그네시아에서 안티오코스 3세에게 대승을 거두자 페르가몬은 마침내 한숨 돌릴 수 있었다. 에우메네스 2세의 치세에 그리 큰 특징은 없었으나 이 마그네시아 전투의 결과로 페르가몬은 아직 이 지역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던 로마에게서 타우루스 산맥 서쪽의 아나톨리아 반도를 모두 지배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이제 셀레우코스 제국의 위협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될 만한 국력을 갖추는 데 성공한 것이다. 에우메네스 2세는 이 지방을 탈환하기 위해 BCE 182년에 재차 침공해 온 셀레우코스 제국군을 물리치고 왕국을 잘 유지시킨 뒤, 그의 동생인 아탈로스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2.4. 페르가몬의 알렉산드로스, 화려한 문화 발전
아탈로스 2세 필라델포스(BCE 160~BCE 138)는 그렇게 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에우메네스 치하에서 마그네시아 전투 때 셀레우코스 제국군을 무찌른 것은 그의 공이 컸다. 아탈로스 2세는 왕위에 오른 뒤에 로마군이 주도한 갈라티아 원정에 따라갔으며, 문화인으로써 로마에 사절을 지속적으로 파견하여 원로원의 존경을 이끌어 내 로마인의 환심을 샀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에 맞서기 위해 페르가몬에도 대도서관과 극장 등 문화시설을 건립했다. 대도서관은 매우 발전하였으며, 양피지를 뜻하는 영어 단어를 유래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소아시아에서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알렉산드로스 발라스를 후원하여 결국 그가 정통 왕가의 데메트리오스 1세를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는 새로운 자수법을 개발하였으며, 왕국의 영토를 넓히고 요지에 아탈레이아와 필라델피아(두 도시 모두 당시보다는 동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를 건설하였다. 그는 문예와 학술, 예술의 후원자로서도 당대에 유명하였다. 통치 말년에는 장군 필로포이멘에게 의존하며 지냈다.2.5. 멸망
아탈로스 2세의 뒤를 이은 것은 에우메네스 2세의 장남 아탈로스 3세였다. 아탈로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 필로메토르(BCE 138~BCE 133)는 왕위에 별로 뜻이 없는 인물이었다. 그는 학자로서의 삶을 더 좋아했으며, 약학, 식물학, 원예에 대해 매우 깊은 지식을 지니고 있었던 당대의 대학자로 유명했다. 그는 아들이 없이 죽었으며, 죽을 때 자신의 왕국을 로마에 유산으로 남겼기에 로마는 이를 빌미로 페르가몬 병합에 나섰다.[1] 그러나 여기에 반발한 인물이 있었으니, 에우메네스 3세를 자처한 아리스토니코스라는 인물이다. 그는 아탈로스 3세의 동생임을 자처했으며 자신에게 왕위 계승권이 있다고 주장하며 로마의 지배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그는 로마의 집정관인 마르쿠스 페르페르나의 로마군에게 패배하여 붙잡혔으며, 개선식에 끌려다닌 후 처형되었다. 이로써 아탈로스 왕조 페르가몬 왕국은 멸망하였다. 그리고 그 영토는 대부분이 로마에게 할당되었고, 카파도키아 왕국, 비티니아 왕국에도 약간의 영토가 할양되었으며 나중에 이들도 모두 멸망하여 로마에 복속된다.3. 군주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2400, #ff4500 20%, #ff4500 80%, #ff24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700> 초대 | 제2대 | 제3대 |
필레타이로스 | 에우메네스 1세 | 아탈로스 1세 | |
<rowcolor=#ffd700>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에우메네스 2세 | 아탈로스 2세 | 아탈로스 3세 | }}}}}}}}} |
- 초대: 필레타이로스(기원전 282년 ~ 기원전 263년)
- 2대: 에우메네스 1세(기원전 263년 ~ 기원전 241년)
- 3대: 아탈로스 1세(기원전 241년 ~ 기원전 197년)
- 4대: 에우메네스 2세(기원전 197년 ~ 기원전 159년)
- 5대: 아탈로스 2세(기원전 160년 ~ 기원전 138년)
- 6대: 아탈로스 3세(기원전 138년 ~ 기원전 133년)
- 왕위 요구자: 아리스토니코스(기원전 133년 ~ 기원전 129년)
[1]
이때 국고에 들어온 아탈로스의 재산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놓고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와 원로원이 갈등을 빚었다. 당시 로마에서 예산안 결정은 원로원의 권한인데 그라쿠스는 아탈로스가 로마 시민에게 기증한다는 문구를 유언장에 넣었으니 호민관과 민회도 논의에 참여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