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0:17:48

하드라미인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북서셈족 히브리인( 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 우가리트†) | 칼데아인
남서셈족
(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 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 몰타인) |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 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 예멘 흑인( 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 바까라족)) | 무어인( 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서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아랍인 이란인 튀르키예인 투르코만 쿠르드인
미즈라힘 자자인 길란인 발루치인 페르시아 유대인
루르인 사마리아인 카슈카이인 아시리아인 시리아인
베두인 걸프 아랍인 오만인 사우디인 레바논인
예멘인 요르단인 이라크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인
아랍 흑인 이란 흑인 야지디족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호라산 튀르크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방글라데시계 중동인 이스라엘 아랍인 하드라미인
아크담족 소코트라인 히자즈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상세3. 여담4. 같이 보기

1. 개요

영어: Hadhrami people
아랍어: حضرمي

예멘 동부의 하드라마우트 지방에 거주하는 아랍인.

2. 상세

예멘은 고대부터 스와힐리 해안, 아프리카의 뿔, 인도, 동남아시아 간의 무역루트에 속했기 때문에 그 곳에서 이민오거나 그 곳으로 이민을 간 하드라미인이 있다. 서부의 예멘 아랍인과 달리 동아프리카 출신이 이민해 왔기 때문에 피부색이 짙은 편이고 일부는 니그로이드적인 특징이 있다.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하드라미인 후손들이 적지 않은 편이다. 인도네시아는 아랍계의 상당수가 예멘 하드라미인의 후손이기도 하다. 예멘의 수니파는 대개 샤피이파인데 동남아시아와 동아프리카가 샤피이파인 이유가 하드라미인이 해상무역으로 해당 지역에 진출했기 때문이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이슬람을 받아들일 때 하나피파에 속한 인도계 무슬림들의 영향 대신 예멘이나 이집트 출신 등 아랍계 무슬림들과 직접 교류를 택했던 편이었다.

문화인류학적으로 예멘 본토보다는 오만에 가깝지만 하드라미인들이 믿는 이슬람 수니파는 오만의 이바디파와는 종파가 완전히 다르고 영국의 식민통치 결과로 갈라지게 되었다.[1]

3. 여담

오사마 빈 라덴은 하드라미인의 후손이다.

4. 같이 보기


[1] 예멘 서부는 원래 히자즈 지방의 일부다. 19세기 말에 사우디아라비아 영국이 히자즈 지방을 둘로 분리해 점령했기 때문에 별개 지역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