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3:54:59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시아 <colbgcolor=#ecebff,#020033> 동북아시아 <colbgcolor=#fff,#191919> 몽골 · 일본 · 중국( 홍콩, 상하이, 칭다오) · 타이베이[미승인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젯다) · UAE · 예멘 · 오만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미승인국]
유럽 서유럽 네덜란드 · 벨기에 · 룩셈부르크 · 아일랜드 · 영국 · 프랑스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에스토니아 · 핀란드
중유럽 독일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오스트리아 · 폴란드 · 헝가리
동유럽, 남유럽 교황청 · 그리스 · 러시아 · 루마니아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 포르투갈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분관]
아메리카
북미 미국( 로스앤젤레스) · 멕시코 · 캐나다
중미, 카리브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남미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서아프리카 가나 · 나이지리아 · 세네갈 · 코트디부아르
동아프리카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케냐 · 탄자니아
중앙 아프리카 가봉 · 앙골라 · 카메룬 · 콩고민주공화국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 짐바브웨
오세아니아
/ 태평양
오세아니아 호주 · 뉴질랜드 · [미국]
태평양 파푸아뉴기니 · 피지
국제기구 국제연합 UN
지역별 EU · ASEAN · 제네바
분야별 OECD, UNESCO, ICAO, NATO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주요 해외 외교공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장관급 대사 배치 외교공관
주미국대사관 주일본대사관 주중국대사관
주러시아대사관 주유엔대표부 주OECD대표부
차관급 대사 배치 외교공관
주영국대사관 주프랑스대사관 주독일대사관
주인도대사관 주아세안대표부 주벨기에, EU 대사관 겸 나토 대표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 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 6.3 항쟁
문민정부 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 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 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 한일관계 (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3월· 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Embassy of Republic of Korea in Japan
駐日本大韓民国大使館
파일: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휘장.png
파일: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발족 1949년 1월[1]
대사관 승격 1965년 12월[2]
소재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東京都港区南麻布1丁目2−5
1 Chome 2-5 Minamiazabu,
Minato-ku, Tokyo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사 박철희
상급기관 파일:외교부 MI.svg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역사3. 대사4. 직제5. 청사
5.1. 영사부
6. 휘하 영사관7. 이용가능한 대중교통8. 여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일본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도쿄에 위치해 있다.

2. 역사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조선 일본 사이에 근대 국제법에 근거한 외교관계가 성립되었으며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같은 해 관원 5명(민영준 공사, 김가진 참찬관, 전양묵, 안길수 서기관, 번역관 외 1명)으로 주일 조선공사관이 개설된 것이 시초이다.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에게 국권이 침탈되던 과정에서 대한제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한 외교활동을 추진했으나 성과는 미미했고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상실되면서 같은 해 12월 주일 조선공사관은 폐쇄되었다.

1945년 일제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고 이어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당시 한국과 일본은 외교관계가 없었지만 그렇다고 교류를 아예 안 할 수는 없었기에, 한국 정부는 이듬해인 1949년 1월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를 개설하기로 하고 정한경 초대 대사를 파견한다. 당시 한국은 가난한 나라라 정부는 주일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할 자금도 없었다. 1949년 1월에 정한경 대사가 재일 한국인 사업가인 조규훈[3]을 찾아가 500만 엔의 지원을 요청했다. 조규훈은 독립한 모국이 공관 사무실조차 마련할 돈이 없다는 호소에 자신의 돈과 친지들로부터 빌린 1,000만 엔을 기부하였고, 한국 정부는 이 자금으로 도쿄 긴자[4]에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당시 고무공장을 경영하던 조규훈은 그 뒤에도 공관 직원 관사용으로 300만 엔을 추가로 지원하는 등 대표부 운영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대표부는 본국의 사정이 워낙 어려워 운영자금마저 재일 한국인의 후원금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때마침 일본이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계기로 무상으로 사용중인 외국 공관의 관저 반환을 요구하면서 당시 대표부가 사용중이던 시나가와 관저를 돌려줘야 할 상황이 되자, 이승만 정부는 도쿄 아카사카에 있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의 저택을 돌려받아 공관으로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영친왕에게 의사를 타진한다. 그러나 영친왕은 경제적 궁핍 등으로 한국 정부가 제시한 낮은 매입가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저택을 일본인 사업가에게 매각하여 이 계획은 물거품이 된다.[5]

그러다가 방적 사업으로 크게 성공했던 재일 한국인 사업가인 서갑호 방림방적(현 방림) 회장이 자신이 소유한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에 위치한 토지와 목조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무상 대여하여 청사를 이전하게 된다. 이 땅이 지금의 대사관 부지인데 현재도 아자부는 일본의 황실 친인척 및 정 재계 인사들이 거주하는 요지 중 요지이다. 1962년에는 서갑호 회장이 부지 및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하면서 국유화된다.

대표부의 부지문제가 안정적으로 해결되고 나서 3년후인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정식 외교관계가 맺어져 대표부는 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파일:external/www.indiana.edu/KoreanembassyinJapan.jpg

이후 청사와 떨어져 있던 관저 부지와 대사관 근처 부지를 교환하여 청사와 관저를 미나미아자부로 통합하고 1979년에 새 청사와 관저를 완공했다.

3.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일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직제

5. 청사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3071700250007300_P2.jpg
우편번호: 106-0047
주소: 〒106-0047 東京都港区南麻布1-2-5
전화번호: 03-3452-7611

사진 속 청사는 기존에 있던 건물을 허물고 새로 건축한 청사이다. 기존 청사는 1979년 건축되어 노후한데다 장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직하지진 대비 및 비상 시 재외국민을 보호하기에는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한 정부가 재건축을 결정하여 2013년 완공했다. 건설하는 3년간 요츠야에 있는 주일한국문화원 건물을 빌려 사용했다.

파일:external/image.edaily.co.kr/PS13061800136.jpg
이 건물의 특징 중 하나는 미술관을 겸하는 대사관으로서 사실상 미술관 구실을 할 수 있게 건물 내부를 꾸민 점이다. 재외 공관에 미술 작품을 구비하는 것을 넘어 대사관 건물 자체를 새로운 방식의 문화 외교 공관으로 기획한 것은 전 세계 공관 중 주일대사관이 처음. 세계 주요 문화 선진국들이 재외 공관을 자국 문화를 알리는 전시장 역할을 하는 문화 외교의 장으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설계했다고 한다. 건물 자체도 한국 전통 이미지를 형상화해, 정면은 작은 천조각을 이어붙여 만드는 전통 보자기 이미지를 형상화했고, 건물 옆면은 반투명 주름 구조물을 햇빛 가리개로 설치해 얇은 모시치마를 겹쳐 입은 듯한 모습으로 디자인했다. 그리고 7층까지 뚫린 로비를 둘러싸고 ㄷ자형으로 사무공간이 들어서고, 가운데 비운 공간이 다양한 미술작품을 보여주는 감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기사

5.1. 영사부

우편번호: 106-0047
주소: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주소(일본어): 東京都港区南麻布1-7-32
근처 버스 정류장: 二ノ橋
전화번호: 03-3455-2601~3

아자부주반역 2번 출구에서 남쪽으로 쭉 걸어가다 보면 나온다. 주일대사관의 관할지역은 도쿄도, 치바현, 사이타마현, 토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이다.[6] 영사과 건물은 대사관 근처에 있는 민단 중앙본부 건물에 위치 해 있다. 여권이나 비자 등 영사 업무를 보러 갈 때 참고하자. 특히 도쿄도 및 앞서 언급한 5개 현 지역을 여행 하다가 여권을 잃어버렸을 경우 먼저 일본 경찰에 여권 분실 신고를 한 다음, 이곳 영사부로 가면 된다.[7] 대사관 본관으로 가면 헛걸음이며, 대사관 경비원이 영사부로 가는 길을 알려줄 것이다.

단순 관광 등 단기체재로 일본에 방문한 사람뿐만 아니라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각종 민원문서발급, 여권발급 및 수령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본인과의 혼인신고 등 일본정부에 제출이 필요한 서류를 발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본측에서 도장이 찍힌 서류를 요구하기 때문에, 온라인 발급 서류로는 해결이 되지 않아 방문발급을 하러 들르는 경우가 많다.

6. 휘하 영사관

공관명 연락처 주소 관할 지역 홈페이지 주소
주오사카 총영사관 06-6213-1401~5 〒542-0086
大阪市 中央区 西心斉橋 2-3-4
오사카부, 교토부, 시가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주나고야 총영사관 052-586-9221~3 〒450-0003
名古屋市 中村区 名駅南 1-19-12
아이치현, 미에현, 후쿠이현, 기후현 #
주후쿠오카 총영사관 092-771-0461~2 〒810-0065
福岡市 中央区 地行浜 1-1-3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가고시마현,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
주히로시마 총영사관 082-568-0502~3 〒734-0005
広島市 南区 翠5-9-17
히로시마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에히메현, 코치현 #
주요코하마 총영사관 045-621-4531~2 〒231-0862
横浜市 中区 山手町 118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 #
주니가타 총영사관 025-255-5555 〒950-0078
新潟市 中央区 万代島 5-1 万代島ビル8階
니가타현, 나가노현, 토야마현, 이시카와현 #
주삿포로 총영사관 011-218-0288 〒060-0002
礼幌市 中央区 北二条西 12-1-4
홋카이도 #
주센다이 총영사관 022-221-2751~3 〒980-0001
仙台市 青葉区 上杉 1-4-3
미야기현,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주고베 총영사관 078-221-4853~5 〒650-0004
神戸市 中央区 中山手通 2-21-5
효고현, 돗토리현, 오카야마현, 카가와현, 도쿠시마현 #
한국은 일본과 외교관계가 있는 나라 중 가장 많은 영사관을 두고 있다. 시코쿠를 제외한(...) 지방마다 하나씩은 영사관이 있으며, 특히 3대 도시권이 속한 간토, 긴키, 주부에는 대사관을 포함하여 2곳이 있다. 또한 센다이와 히로시마의 영사관은 지역 유일의 (명예가 아닌) 외국 공관이기도 하다. 이 중 주센다이 총영사관은 소재지가 센다이의 중심지 중 중심지라 센다이시청, 미야기현청이 지근거리에 있어서 한일 양국 행정업무를 편하게 볼 수 있다.[8]

주시모노세키 총영사관은 1997년 주히로시마 총영사관으로 이전했다. 때문에 주히로시마 총영사관은 약사에서 그 시작을 시모노세키 영사관으로 잡고 있다. 한편 히로시마 영사관과는 별개로 2016년 주시모노세키 명예총영사관이 설치되었다. 1989년 가고시마현에는 주가고시마 명예총영사가 임명되어 있다. 2017년에는 주시즈오카 명예총영사관을 설치하였다. 한편 오키나와는 본토와 떨어져 있는 관계로 영사관 재설치는 힘들더라도 출장소 정도는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9]

영사관에서는 직접 총영사관, 대사관에 가기 어려운 교민들을 위해 순회영사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한국문화 관련 행사(영화 상영, 책읽기 모임 등)를 열기도 한다.

7.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7.2. 철도

8. 여담

2013년 대사관 이전 과정에서 1950년대 한국 정부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명부와 관련 자료들이 대거 발견되었다.

대사 임명 이후 고구려 왕을 주신으로 모시는 코마 신사[10]를 참배하는 관례가 있다.

대사관 직원들의 응대가 상당히 좋지 않은 듯하다. 구글맵 리뷰를 보면 하나같이 불친절한 응대에 대한 악플 일색이다.[11]

9. 관련 문서



[1] 당시 대한민국 일본 사이에는 국교가 수립되어있지 않았으므로 주 일본 한국대표부로 공관이 설치되었다. [2] 이 해 체결된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정식 외교관계가 맺어지면서 주 일본 한국대표부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3] 1906~2000. 제주도 출신으로 1923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벌목사업과 고무공장 등을 영위하며 부를 쌓았다. 해방 이후에는 재일 한국인의 한국 귀환을 돕기도 했으며, 재일 한국인 교육을 위해 백두학원(白頭學院)이라는 교육재단을 만들었다. 이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회장 등을 역임. [4] 현 와코백화점. 긴자를 찍은 사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 백화점 건물이다. [5] 국내 귀국을 허가해주지 않았던 이승만 정부에 대한 반감도 작용했을 것이다. [6] 카나가와현 요코하마 영사관이 있으므로 그곳에 가자. [7] 분실접수표를 반드시 챙겨둘 것. 만약을 위해서 분실접수표에 분실신고를 한 날짜를 적어두고 사진을 찍어둘 것. 분실접수표가 없어도 신고일과 신고번호만으로도 어떻게 처리가 가능하다. [8] 사실 일본도 국내에 대사관을 제외하고 부산총영사관과 재주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특히 부산총영사관의 경우 웬만한 대사관 뺨칠 정도로 규모도 크고 업무도 많다. [9] 미국의 경우 주일미군 및 미국인들이 오키나와에 많이 살고 있어서 별도로 총영사관이 있다. [10] 한자로 고려신사. [11] 사실 타국에 주재한 대사관들도 평판이 그닥 좋진 않지만 주일대사관과 주중대사관은 도를 넘은 수준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