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20:42:00

조개구이


한국의 수산물 요리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생선류 간고등어 · 갈치구이 · 갈치조림 · 갈치찌개 · 고등어구이 · 고등어조림 · 고갈비 · 꼼장어구이 · 꽁치구이 · 꽁치조림 · 농어구이 · 대구탕 · 도리뱅뱅이 · 도미면 · 돔배기 · 동태찌개 · 멸치볶음 · 명태순대 · 민어 맑은탕 · 복어( 불고기 · 껍질 요리 · 찜 요리) · 북엇국 · 삼치구이 · 삼합 · 전유어 · 아귀찜 · 아귀탕 · 어만두 · 어죽 · 연어장 · 은어구이 · 장어구이 · 장어탕 · 조깃국 · 지리 · 짱뚱어탕 · 참치전( 참치 동그랑땡) · 추어탕 · 홍어앳국
어란 알밥 · 알탕 · 숭어어란
갑각류 게국지 · 게무침 · 게장 ( 간장게장 · 양념게장) · 게튀김 · 꽃게탕 · 따개비밥 · 따개비 칼국수 · 새우장 · 새우탕 · 새우튀김
조개류 거갑탕 · 굴튀김 · 굴국밥 · 굴전 · 꼬막비빔밥 · 바지락 칼국수 · 유곽 · 재첩국 · 조개구이 · 조개탕 · 홍합밥 · 홍합탕
복족류 골뱅이소면 · 다슬깃국 · 보말국 · 전복죽
두족류 갈낙탕 · 낙지볶음( 조방낙지) · 연포탕 · 오삼불고기 · 오징어 내장탕 · 오징어볶음 · 오징어순대 · 오징어튀김 · 충무김밥
해조류 김국 · 김자반 · 매생이국 · 몸국 · 미역국 · 미역줄기볶음 · 부각
기타 매운탕 · 멍게비빔밥 · 용봉탕 · 자라죽 · 해물찜 · 해물탕 · 효종갱
건어물 과메기 · 굴비 · · 노가리 · 오징어채 · 쥐포 · 코다리 · 풀치 · 한치 · 해각포 · 황태
젓갈 낙지젓 · 명란젓 · 밴댕이젓 · 복어(복어 알 젓갈 · 복어 이리 젓갈) · 서거리젓 · 새우젓 · 어리굴젓 · 오징어젓 · 식해 · 멸치젓
개불회 · 고등어회 · 굴회 · 광어회 · 멍게회 · 무침회 · 문어 숙회 · 방어회 · 복어회 · 빙어회 · 산낙지 · 세꼬시 · 연어회 · 오징어 숙회 · 오징어회 · 우럭회 · 참돔회 · 참치회 · 물회 · 해삼회 · 회덮밥 }}}}}}}}}

1. 개요2. 역사3. 요리법4. 여담5. 주로 쓰이는 조개

1. 개요

파일:조개구이.jpg

Grilled Clams, 貝焼き

조개를 불에 구워먹는 요리. 보통 각종 조개를 석쇠 따위에 올려서 입을 벌릴 때까지 구운 뒤 초장, 쌈장 등의 양념에 찍어 먹는다.

2. 역사

조개구이는 선사시대부터 이어져내려 온 유서깊은 요리다. 조개를 불에 굽기만 하면 되는 간편한 조리법 때문. 한국의 서해, 남해안의 패총(貝塚)에는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잔뜩 쌓여있다.

오늘날의 조개구이집은 경기도 오이도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조개구이가 유명한 곳으로는 소래포구, 오이도, 제부도가 손꼽힌다.

3. 요리법

소금물에 담가 해감한 각종 조개를 껍데기 째 불에 구운 뒤 초고추장 등의 양념에 찍어 먹는다. 모차렐라 치즈와도 잘 어울리는데, 미리 조개 위에 얹어 구워먹거나 은박 접시에 치즈를 수북히 담아 석쇠에 녹여 퐁뒤처럼 먹기도 한다. 식당에서 먹을 때는 사이드 메뉴로 라면이나 칼국수, 떡볶이 등 뜨거운 국물요리가 나온다. 청하, 소주 술안주로도 좋다.

조개 특유의 진한 감칠맛을 잘 느낄 수 있는 요리. 조개를 찌거나 삶으면 감칠맛을 내는 단백질 성분이 물에 녹아나는 반면, 구우면 상대적으로 맛을 내는 성분이 덜 손실되기 때문에 그렇다. 조개를 구울 때 껍질에 고인 육즙을 맛보면 감칠맛이 아주 풍부하고 짭조름하다.

바닷물이 맑고 모래가 깨끗한 해안에서 자라는 알 굵은 조개가 맛있다. 인천이나 부산 바닷가 앞 식당가에는 조개구이집이 다닥다닥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국 어디든 바닷가 근처에 가면 조개구이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집에서도 해먹을 수 있기는 하지만 재료 손질이 번거롭고, 가스레인지나 인덕션에선 굽기 어렵다. 그리고 껍데기가 많이 남아 처리가 곤란하다.[1] 때문에 조개구이를 먹을 때는 거의 조개구이 전문 식당에 가서 먹는다. 이 점을 고려하여 집에서 편하게 조개구이를 해먹을 수 있는 가정용 조개구이 그릴도 있다.

4. 여담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1998년 들어서 조개구이집의 창업붐이 일어난적이 있었다.[2] 번화가에는 점포가 한둘이상 보일 정도. 흔히 IMF 시절 폭발적으로 늘었던 자영업종으로 PC방을 거론하고 있지만 조개구이도 이에 포함된다. 당대 미투 창업아이템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당시 기준으로 창업자본금도 그렇게 많이 요구되지 않고 경영 난이도도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IMF 시절을 회고할 때 그 시절 많았던 조개구이집에 대해 기억하는 어른들도 간혹 있다.

바닷가라 하더라도 대부분 관광지 특수로 인하여 가격은 싸지 않은 편이다. 바닷가 근처라 신선한 조개를 바로 잡아 쓸 것 같지만 사실은 다 공판장 거쳐서 공급받는다.[3] 즉 도심에서 먹든 바닷가에서 먹든 조개의 신선도는 똑같다. 바닷가 조개구이집의 비싼 가격은 분위기값인 셈이다.

사실 이름은 조개'구이'지만 실제로는 찜이나 볶음에 더 가깝다. 조갯살만 발라 석쇠에 굽는 게 아니고 껍데기째 굽기 때문. 조갯살은 껍데기 안에서 익기 때문에 찜에 가까우며, 위에 치즈나 야채, 초고추장 등을 뿌려서 볶아먹기도 하니 볶음이라고 해도 어울린다. 다만 키조개 가리비 관자같은 큰 살덩이들은 따로 조리해 먹는 경우도 많은데, 치즈를 올리거나 버터를 둘러서 스테이크처럼 구워먹기도 한다.

과거 조개구이 식당에 공급되는 조개들 중 절반 가까이가 북한산이었다.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가 강화된 2008년 이후로 북한산 조개의 수입이 매우 어려워지는 바람에 IMF 시절부터 늘어났던 국내의 조개구이 식당들 중 상당수가 문을 닫았다.

북한에서는 조개에 휘발유를 뿌려 구워먹는다. # 남포에서 유명한 요리이며, 휘발유를 뿌려 불을 붙이고 조개가 입을 열때까지 구우면 먹을 수 있다. 북한 관련 프로그램에도 꽤 많이 소개되었고, 조개불고기라는 이름으로도 언급된다. 영화 공작에서도 접대용으로 등장한다.

5. 주로 쓰이는 조개


대체적으로 위 목록의 조개들을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으며, 식당에 따라 좀 더 고급 버전으로 우럭조개, 칼조개[8], 비단가리비나 국산 백합 등이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조개는 아니지만 새우나 산 낙지를 넣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무한리필 집의 경우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조개 종류를 간소화하는 경향이 큰데, 수요가 많거나 구색맞추기용으로 꼭 들어가야 하는 소수의 몇몇 큰 종[9]을 빼곤 잘 보면 꼭 홍가리비나 백생합 같은 지극히 싸구려 조개들로만 덕지덕지 도배하기도 한다.(...) 더러는 그마저도 비싸다고 무한리필 메뉴엔 넣어주지도 않고 단일메뉴로 따로 팔거나 싼 것으로만 대충대충 구성하여 엉망진창의 퀄리티를 자랑하기도 하는데, 당연히 위에 쭉 나열한 종류들은 대부분 들어가지도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면서 아무리 무한리필이더라도 매우 싼 중소형 저가 조개류들만 쓰는 주제에 물가상승이라는 핑계로 가격은 점점 올려받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게다가 관광지 특수라는 것 까지 들며 받아먹을 건 다 받아먹고 있다.(...) 물론 어쩌다 한 번씩 찾아먹는 일반인들 입장에야 뭔 종류를 먹든 크게 관심을 안 두며 불법도 아니긴 하지만 엄연히 퀄리티에 맞지 않는, 일종의 폭리라면 폭리다. 그래서 관광지 바닷가를 방문했다면 차라리 인근 수산시장 가서 모듬으로 골고루 사서 취사가 가능한 숙소에서 셀프로 구워먹는 게 더 나을 지경이다.
[1] 조개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기 때문에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 그러면 어패류 특유의 비린내가 심하게 나서 버리려고 쓰레기 봉투를 들고 가는 길에 주위 사람들로부터 좋지 못한 눈총을 산다. [2] 심지어 KBS 영상실록 1998에서도 짚고 넘어가던 사회현상이었다. #. 뉴스 원본 : #. [3] 사족이지만 동해안 쪽에서 주로 잡히는 가리비가 서해안 대부분의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도 공판장을 거치기 때문이다. [4] 초밥 등에 쓰이는 붉은 살은 자숙하여 냉동으로 유통하기 때문에 저렴한 편이지만, 큼지막한 활패류는 상당한 고급에 속한다. 성인 주먹 크기 이상으로 커지며, 주로 값비싼 일식집에서 초밥이나 오마카세용으로 애용한다. [5] 국산 백합은 보통 호일에 싸서 제대로 구운 다음 그 안의 육즙까지도 같이 먹는다. 백생합같은 값싼 종과는 취급 자체가 다르다. [6] 여름에도 간혹 보이긴 하지만 씨알이 작고 그나마도 수산시장에서 잘 안 보이며, 특히 큼지막한 동해안산은 더욱 잘 안 나오는 편이다. [7] 익히는 과정에서 껍데기가 엄청나게 튀기 때문이다. 사실 백합조개도 마찬가지인데, 껍데기가 여러 개의 얇은 층으로 만들어져 있는 종들은 직접적으로 열을 받게 되어 수분이 날아가면 패각 외피층이 자주 터지게 된다. [8] 표준명 비단조개. 접시조개라고도 부르며 동해안에서 나는 타원형의 둥글납작한 흰색 조개이다. [9] 키조개, 큰가리비, 대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