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9:48:19

소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소주(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의 술에 대한 내용은 쇼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0e2f2,#0d1e2f> 양조주 <colbgcolor=#D4F4FA,#1F2023> 과일 사과주 · 포도주 · 야자술
곡물 단행복발효 맥주 · 크바스 · 치차
병행복발효 청주 ( 약주) · 탁주 ( 막걸리) · 사케 · 황주
기타 벌꿀술 · 아이락 · 풀케 · 킬유
혼성 과하주 · 주정강화 와인 · 합주
증류주 과일 라키아 · 람바녹 · 키르슈바서 · 애플 브랜디 ( 칼바도스 · 애플잭)
포도 브랜디 ( 코냑 · 아르마냑 · 피스코) · 포메이스 브랜디 ( 그라파 · 마르)
곡물 단행복발효 보드카 · 위스키 · 코른 · 포틴
병행복발효 증류식 소주 · 백주 · 쇼츄 · 아와모리
기타 ( 카샤사) · 데킬라 · 아드보카트 · 희석식 소주
혼성 리큐르 ( 담금주 · 리큐르 소주 · 비터스 · 큐라소) · 라크
아락 · 아쿠아비트 · 압생트 ( 파스티스) · 약소주 · 우조 ·
그 외 소주 · 양주 ( 대중 양주) · 칵테일 ( 폭탄주 · 소맥) · RTD 주류
맛술 ( 미림) · 술지게미 · 주정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F6F6,#000> 전통주류 한국의 전통주
일반주류 양조주 한국 맥주 · 한국 포도주
증류주 소주 ( 희석식 소주 · 담금소주 ) · 코리안 위스키
혼성주 리큐르 소주 · 매실주 · 복분자주 · 막사 · 폭탄주 ( 소맥 ) · 아이싱 · 편의점 하이볼 }}}}}}}}}

파일:2024 증류식.jpg 파일:소주 사진.png
각종 유명 증류식 소주 희석식 소주의 대표주자인 참이슬

1. 개요2. 특징3. 종류4. 북한의 소주5. 한자 표기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소주()는 한국이자 증류주의 한 종류다.

2. 특징

과거에는 소주라고 하면 당연히 진짜 소주인 증류식 소주를 가리켰지만 현대로 들어서는 원본인 증류식 소주를 흉내내서 만든[1] 녹색병 희석식 소주가 더 대중적으로 자리잡아서 오히려 오리지널 소주를 전통 소주, 증류식 소주 등으로 따로 구분하여 부른다. 방언으로는 쇠주, 쐬주, 쏘주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희석식 소주는 알코올 용량 대비 한국에서 가장 저렴한 술 가운데 하나이다.[2]

한국의 대중문화에서 심심찮게 등장하다 보니 대표적인 한류 음식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현대식 희석 소주는 저가형 술이므로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류를 대표하는 유명 한국 요리와 곁들여 대접할 만한 술은 아니다. 진짜 제대로 대접할 목적이라면 증류식 소주 및 여러가지 고급 전통주가 적당하다. 희석식 소주는 어느 정도 한국 생활에 적응한, 한국식 회식 문화에 익숙한,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적당하다. 한국내에서도 술은 즐기지만 희석식 소주는 싫어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으며 심지어는 '화학약품' 등으로 부르며 극혐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 주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희석식 소주는 맛이 없다'는 글이 종종 올라오며 많은 토론 댓글이 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 그러나 이 역시 케바케일수도 있는 듯 한데, 어느 외국인 대상 조사[3]에서는 한국술 인지도 1위는 '소주'가, 한국술 섭취 이유 1위는 '맛있어서'라는 통계가 나온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해외에서는 리큐르식 소주가 일반 희석식 소주보다 널리 판매되고 있다는 걸 생각해야 한다.

전통적인 증류식 소주는 그렇잖아도 비싼 청주를 증류하여 만들기에 다른 증류주와 마찬가지로 소주 역시 전근대에는 귀한 고급 술이었다. 현대에도 한국의 전통주 가운데 소주 및 약소주류가 가장 비싼 편이며 이와 걸맞게 높은 명성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술로 간주된다. 다른 고급 증류주와 마찬가지로 전통식 증류 소주는 양반이나 부자들이나 마실 수 있던 호화주류였으며 현대식 희석 소주와는 위상이 정반대였다. 가양주 형태로도 많은 소주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중국의 백주와 일본의 쇼츄와 형제격인 술이며 중국 백주는 당나라 시대에는 소주라고 불렸고 현대에도 소주라는 이명(異名)을 가지고 있다. 한자도 동일하다.

3. 종류

곡물을 발효해 만든 청주 밑술로 삼아[5] 소줏고리라고 부르는 단식증류기로 증류해 만들어진 소주인 증류식 소주, 증류탑을 이용해 대량의 95도 가량의 주정을 생산하여 이를 물로 희석하고 기타 첨가물을 추가해서 만드는 희석식 소주 두 가지로 나뉜다.

4. 북한의 소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주/북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한자 표기

소주의 정확한 한자 표기는 이다. 뜻은 말 그대로 '불사른 술'로, 즉 증류주라는 뜻이다. 또한 브랜디와 어원이 유사하다. 브랜디 역시 네덜란드어로 '불태운 와인'이라는 뜻인 브란데베인(Brandewijn)에서 앞쪽 발음만 살아남아 브랜디가 된 것이다.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프랑스어로 뱅 브륄르(Vin Brule)라고 불렸는데, 이 역시 브란데베인과 뜻이 같다.[6] 유사한 표현으로 화주(火酒)가 있는데 이건 증류랑은 관계 없이 알코올 성분으로 불을 붙일 수 있는 고도수의 술을 총칭한다.

안동소주 등의 병에 燒라고 한자 표기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소주는 '주'를 특이하게 적는 것으로 혼동하기 쉬우나, 그냥 酒로 적은 燒酒가 정확한 한자 표기이다. 국어사전 燒酒. 한국고전종합DB 燒酒.

[ruby(焼酎,ruby=しょうちゅう)]( 쇼츄)는 소주와 유사한 일본 증류주를 말하며, 한국의 소주를 지칭하는 [ruby(焼酒,ruby=しょうしゅ)](쇼슈)와는 발음도 다르다. 일본의 焼酎도 한국의 燒酒와 연원이 동일하고 제조법도 거의 같지만, '전국술(군물을 타지 않은 진국의 술)', '3번 빚은 술'이라는 뜻의 酎를 사용해 진한 술임을 강조하면서 다른 명칭을 갖게 된 것이다. 즉 원래는 동아시아 3국의 곡물 증류주 모두 燒酒라는 이름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한국의 것만 원래의 이름으로 남은 것이다.

한국 전통 문헌에 燒酎라고 쓴 용례는 1건[7]에 불과하다. 한국고전종합DB 燒酎.[8] 그러다가 일제강점기부터 일본의 영향으로 燒酎라는 표기가 섞여 들어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허시명의 우리술 이야기. 시판되는 안동소주의 겉포장과 술병에도 安東燒酎라는 일본식 표기가 쓰이고 있다. 안동소주는 전통주이고 제조자들도 이를 강조하는데 정작 표기는 일본식으로 해서 판매하고 있다.

6. 기타

7. 관련 문서



[1] 좋게 말하면 저가형이고 나쁘게 말하면 짝퉁 정도다. [2] 이과두주 및 저가형 보드카 일부가 희석식 소주의 알성비(?)와 견줄 만하다. 전자는 56도 125ml에 1500원 이하, 후자는 40도 700ml에 5000원 이하이다. 코스트코 회원권이 있다면 커클랜드 아메리칸 보드카가 40도 1.75L에 12000원 이하이니 진정한 알성비 최강자를 맛볼 수 있다. 셋 모두 어디서나 파는 희석식 소주와 비교하여 접근성에 한계가 있기는 하다. [3] 2023년 8~10월 해외 16개국 18개 도시 현지인 20∼59세 9천명 대상 [4] 대표적으로 독도소주 동해소주 등이 있다. [5] 탁주를 밑술로 삼아 만든 소주도 있으나, 청주를 이용해 만드는 것이 정석이며 탁주를 이용해 만든 소주는 청주를 이용해 만든 소주에 비해 하급품으로 취급받았다. [6] 세계의 증류주들을 보면 상당수의 이름의 유래가 소주/브랜디처럼 '불태운 xx'이거나 위스키/ 보드카처럼 ' 생명의 물'인 경우가 많다. [7] 2023년 3월 기준. [8] 개항기에 저술된 여재촬요라는 지리서에서 스페인의 술을 언급하면서 燒酎라고 표기한 적이 있을 뿐이고, 고려시대부터 개항 이전 조선시대까지는 燒酎라고 쓴 용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9] 후속 제품인 갤럭시 넥서스의 코드네임은 약주, 빌드 코드네임은 탁주이다. [10] 이와 반대로 양조주에 속하는 과실주 맥주, 탁주 등의 곡주는 유통기한이 존재하므로 유통기한을 꼭 확인하고 음용해야 한다. 특히 탁주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술인데다 미생물들이 배출하는 가스에 의한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병뚜껑에 미세한 틈을 열어둔 채로 유통되므로 유통기한이 3주를 채 못 간다. 탁주를 세워둔 채로 보관하라고 꼭 명시해 놓는 것도, 병뚜껑에 틈이 있어서 새어나오기 때문이다. 맥주도 도수가 낮은 탓에 일반적으로 품질유지기한이 1년 정도로 짧은 편이고 변질에도 취약하다. [11] 세제 사용량은 당연히 매장 규모가 크면 클수록 더 많아지고, 더 많아지면 그만큼 지출도 많아진다. 제대로된 효과를 보이는걸 20L 산다 치면 4만원~8만원 대 하는데, 매장 규모에 따라 이게 1~3개씩 필요하고 20L를 구비해도 그 자체는 길게써도 규모에 따라 5일~1주는 쓰는데 한달 4주를 꽉 채워 쓰려고 하면 가격도 4배로 뛰기에 이미 지출에서 업주들은 손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류 재사용으로 관련 용품 구매 조차 시도 안하면 사실상 그쪽 방면으론 지출이 0원이 된다. 이렇게 되면 그냥 소주를 재사용 하는게 순이익을 더 남기는 구조가 되는 것 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