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5 16:50:20

장명부

장명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1958 1959~1960
나이토 코조 스기우라 류타로 오오타가키 요시오 하세가와 료헤이 비젠 요시오
<rowcolor=#ffffff> 1961 1962~1963 1964 1965 1966
카와무라 히데후미 오오이시 키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오오이시 키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아니야 소하치 오오이시 야타로 아니야 소하치 소토코바 요시로 오오이시 야타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1977 1978
시라이시 시즈오 소토코바 요시로 사에키 카즈시 소토코바 요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rowcolor=#ffffff> 1979 1980~1981 1982~1984 1985 1986~1989
후쿠시 아키오 이케가야 코지로 키타벳푸 마나부 오노 유타카 키타벳푸 마나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오노 유타카 나가도미 히로시 카와구치 카즈히사 키타벳푸 마나부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오노 유타카 야마우치 야스유키 오노 유타카 네이선 민치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2003~2007 2008 2009 2010~2012 2013
쿠로다 히로키 오타케 칸 콜비 루이스 마에다 켄타 브라이언 벌링턴
<rowcolor=#ffffff> 2014~2015 2016~2017 2018 2019~2023 2024
마에다 켄타 크리스 존슨 노무라 유스케 오세라 다이치 쿠리 아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 현대 유니콘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년~2007년
<rowcolor=#b21528> 1982 1983 1984 1985 1986
인호봉 장명부 최계훈 정성만 최계훈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임호균 김신부 정명진 양상문 김민태
1993 1994 1995 1996 1997 ~ 2000
양상문 안병원 정민태 위재영 정민태
2001 ~ 2002 2003 ~ 2004 2005 2006 ~ 2007
임선동 정민태 김수경 캘리웨이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6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1986 1987 1988 1989 1990
장명부 이상군 김용남 진정필 김대중
<rowcolor=#000> 1991~1992 1993 1994 1995~1999 2000
송진우 정민철 한용덕 정민철 한용덕
<rowcolor=#fff> 2001~2006 2007~2009 2010 2011~2012 2013
송진우 류현진 카페얀 류현진 바티스타
<rowcolor=#fff> 2014 2015 2016 2017 2018
클레이 탈보트 송은범 비야누에바 샘슨
<rowcolor=#fff> 2019~2020 2021~2022 2023 2024
서폴드 김민우 스미스 류현진 }}}}}}}}}

장명부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일본시리즈 우승 반지
1970 1971 1972 1979 198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1982 1983 1984 1985 1986
황태환
OB 베어스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92 1993 1994 1995 1996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이상훈
LG 트윈스
구대성
한화 이글스
1997 1998 1999 2000 2001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신윤호
LG 트윈스
2002 2003 2004 2005 2006
송진우
한화 이글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류현진
한화 이글스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김광현
SK 와이번스
로페즈
KIA 타이거즈
류현진
한화 이글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2012 2013 2014 2015 2016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니퍼트
두산 베어스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미란다
두산 베어스
2022 2023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페디
NC 다이노스
}}}}}}}}}}}}}}}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83 KBO 리그 베스트 10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83 KBO 리그 다승왕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58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68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역대 연봉 1위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 2400만원
장명부
삼미 / 1억 8000만원 (1)
장명부
삼미 / 2500만엔
장명부
삼미 / 1억 400만원
최동원
롯데 / 5800만원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 8910만원
최동원
롯데 / 8910만원 (2)
최동원
삼성 / 9000만원 (3)
선동열
해태 / 9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500만원
1992 1993 1994 1995 1996
선동열
해태 / 1억 2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김용수
LG / 1억 1000만원
1997 1998 1999 2000 2001
김용수
LG / 1억 2200만원
양준혁
삼성 / 1억 4000만원
정명원
현대 / 1억 5400만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종범
KIA / 4억 3000만원
이승엽
삼성 / 6억 3000만원
정민태
현대 / 7억 4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6억원
2017 2018 2019 2020 2021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추신수
SSG / 27억원
2022 2023
김광현
SSG / 81억원
구자욱
삼성 / 20억원
(1) 당시 언론에 발표된 금액은 계약금 4000만원, 연봉 4000만원을 합쳐 총 8000만원이었다.
실제로는 계약금 1500만엔(약 4500만원), 연봉 2500만엔(약 7500만원), 부대 비용 6000만원을 합쳐 총 1억 8000만원이었다.
(2)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9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35,862,750원이다. 최동원 90만원 사건 참조.
(3)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3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47,400,000원이다. 항목 참조.
}}}}}}}}}}}}}}} ||

보유 기록
시즌 최다 선발 44경기[1]
시즌 최다 완투 36경기
시즌 최다 이닝 427⅓이닝[2]
시즌 최다 승리 30승
시즌 최다 선발승 28승
시즌 최다 완투승 26승
최다 연속 경기 완투승 8승
경기 최다 피안타 승리 16피안타
시즌 최다 패전 25패
시즌 최다 연패 15패
특정팀 상대 연패 10패(vs MBC 청룡)
시즌 최다 피안타 388피안타
시즌 최다 실점 175점
시즌 최다 자책점 145점
}}} ||
장명부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21528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 등번호 34번}}}
결번 장명부
(1983~1984)
신태중
(1985~1986)
{{{#ffffff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청보 핀토스]] 등번호 18번}}}
김유동
(1984.7.2.~1984)
장명부
(1985)
이광근
(1986)
{{{#ffffff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19번}}}
팀 창단 장명부
(1986)
조용호
(1987~1989)
}}} ||
}}} ||
파일:external/sports.donga.com/40330692.7.jpg
후쿠시 히로아키
[ruby(福士, ruby=ふくし)] [ruby(敬章, ruby=ひろあき)][3] | Hiroaki Fukushi
한국명 장명부 (張明夫)[4]
출생 1950년 12월 27일
일본 돗토리현 야즈군 치즈초
본적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군 신창면 실옥리[5]
사망 2005년 4월 13일 (향년 54세)
일본 와카야마현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950~1974)

[[일본|]][[틀:국기|]][[틀:국기|]] (1974~2005)[6]
학력 돗토리현립 돗토리니시고
신체 183cm, 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68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요미우리)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68~1972)
난카이 호크스 (1973~1976)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77~1982)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1983~1985)
빙그레 이글스 (1986)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1988)
롯데 자이언츠 투수코치 (1990)
본관 나주 장씨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은퇴 후
4.1. 사망
5. 기타6. 연도별 주요 성적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삼미 슈퍼스타즈의 에이스 장명부.jpg
<colbgcolor=#88b7e1><colcolor=#000000> 삼미 슈퍼스타즈 시절 숭의야구장에서 역투하는 장명부
落ち葉は秋風を恨まない。
(낙엽은 가을바람을 원망하지 않는다.)
장명부가 죽은 곳에서 발견된 자필 문구.

한국계 일본인 출신의 야구인으로 너구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83시즌 무려 427이닝을 투구하여 20승을 넘어선 단일시즌 최다승 30승이라는 전무후무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유명하다.

만년 꼴찌팀이었던 삼미 슈퍼스타즈의 1983년 돌풍을 이끈 수호신이자 무리한 혹사로 인해 반짝 활약만 남긴 채 사라진 비운의 투수이다. 등번호는 34번(1983~1984)→18번(1985)→19번(1986).

2. 선수 경력

장명부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장명부/선수 경력
파일:NPB 로고.svg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1983년
}}}}}}}}} ||

3. 플레이 스타일

기교파로 유명하지만, 실제로 장명부는 NPB 시절에도 당시 리그에서 손에 꼽을 파이어볼러였다. 1979년 최고구속 149km를 기록하였는데, 투수들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130km/h대 수준이던 1980년대 한국프로야구에 최고구속 140 중반대를 찍던 구속과 완급 조절능력을 발휘했으니, 대한민국 타자들이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그럼에도 한국 진출 이후의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강속구가 아닌 제구력과 기교위주로 평가하는데, 이는 많은 이닝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완급 조절을 할 수밖에 없어 주로 설렁 설렁 던지다가 위기상황때 전력투구를 하여 타자들을 상대했기 때문. 실제로 한국프로야구 시절에는 대부분 130대의 느린 패스트볼을 던졌다고 한다.

4. 은퇴 후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8b608a79.jpg
삼성 라이온즈 투수 인스트럭터 시절 성준의 투구 폼을 지도하는 장명부.[7]

은퇴 후 그의 인생은 완벽하게 쇠락했다. 1987년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출국하려다가 김포국제공항에서 종합소득세 730만 원이 체납된 사실이 밝혀져 혼자만 대한민국에 발이 묶였고, 이후 이혼까지 당했다.[8] 이후 서울의 고등학교를 순회하며 투수를 지도했고 삼성 롯데에서 투수코치를 역임했다.[9] 고교 순회코치 시절에 그가 발굴한 투수 중 한 명이 LG 트윈스의 야생마 " 이상훈"이다.

하지만 롯데 투수코치 시절에 팬을 폭행했고, 1991년 5월에는 성낙수, 박찬 등과 함께 필로폰을 투약한 혐의가 드러나 마약사범으로 구속되어 한국프로야구계에서 사실상 추방당했다.[10] 그 해 7월에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풀려났지만, 결국 KBO로부터 영구제명된 후 대한민국 입국금지 조치를 당하며 죽을 때까지 다시는 대한민국에 돌아오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빌린 돈을 안 갚는다며 지인으로부터 사기 혐의로 피소당했다.

1991년 12월, 그는 추방 형태로 도쿄행 비행기에 오를 수밖에 없었고, 이후 일본에서 건설업과 건물 야간경비, 택시 운전 등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했다고 한다. 하지만 도무지 그의 행적은 찾기 어려웠으며, 김무종이나 주동식 등도 모른다고 말할 정도였다. 1995년 4월 27일 MBC에서 한선교, 신애라가 진행했던 <그 사람 그후>라는 프로그램 제작진이 그를 찾아서 인터뷰를 한 일이 있는데, 당시 오사카에서 '후쿠시 상사'를 운영하며 묘지매매와 무역, 중개업을 해왔다. 딱 봐도 얼굴이 푸석푸석한 검은 빛이 도는 등 건강이 안 좋아 보였고, 자택 안에선 야구인 시절을 잊으려고 글러브 모양의 소파를 뺀 야구 관련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부인 치에코는 이미 세 아들을 데리고 히로시마로 별거한 상태였다.[11]

그럼에도 야구의 끈은 놓지 못했다고 한다. 청각장애인 야구팀의 코치를 맡아 무료 봉사를 하고, 세계장애인야구연맹 부회장으로도 있었다고... 기사.

사후인 2023년 7월 3일에 일구회 회원에 가입되었고[12] 장명부 선수의 유족들에게 위로를 전함과 동시에 그동안 쌓인 게임사 성명권 금액을 김광수 일구회 회장이 오사카에 방문하여 전달했다.

4.1. 사망

파일:i10502652340.jpg
<colbgcolor=#88b7e1><colcolor=#000000> 2005년 KBS 스페셜에서 재현한 장명부의 친필 문구

그렇게 힘든 말년을 보내던 중, 2005년 일본 와카야마현의 미나베 마을에서 자신이 운영하던 마장 사무실 소파에서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사건현장 당시 벽에는 '落ち葉は秋風を恨まない' (낙엽은 가을바람을 원망하지 않는다.[13][14])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자살을 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한다. 향년 55세. 비록 전성기는 짧았지만 다시는 나오기 힘들 대기록을 남긴 주인공의 마지막 순간으로서는 너무나 초라했다. 사망 원인은 마약중독으로 대한민국에서 추방 당했을 당시 추방원인이 되었던 게 마약이었는데 결국 그 마약으로 인해 쓸쓸한 인생의 최후를 맞이했다.

참고로 '낙엽은 가을 바람을 원망하지 않는다'는 사실 영화에 등장한 표현이다. 가츠 신타로가 주연했던 영화 자토이치에 등장하는 표현인 것. 가츠 신타로 명언 봇이라거나, 관련 서적 등에서도 언급된다. 한국에서는 이걸 한자식 표현으로 바꿔서 "落葉不怨秋風"이라고 쓰기도하는데, 이 표현은 한국 웹에서만 검색된다. 여기서 한발 더 나가서 "落葉不怨秋風 但靜落爲更始"라는 대구까지 완성된 사례가 보이는데 이것은 네이버 지식인 답변을 통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5. 기타

6.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68 요미우리 1군 기록 없음
1969
1970 11 40⅔ 6 0 0 3.07 0 3 - - 38 4 18 32
1971 2 7⅓ 1 0 0 5.14 0 0 - - 6 1 3 6
1972 5 9 2 0 0 8.00 0 0 - - 17 4 4 2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73 난카이 27 140⅔ 18 6 1 2.87 7 0 - - 130 10 73 56
1974 26 139⅓ 18 5 2 3.04 9 7 0 - 130 10 43 59
1975 32 188⅔ 21 11 4
(1위)
3.00 11 12 0 - 185 10 60 66
1976 24 115⅓ 17 3 0 3.68 6 7 1 - 120 13 44 23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77 히로시마 46 100 6 0 0 5.13 6 6 5 - 129 11 45 39
1978 41 230 32 12
(1위)
2 3.60 15 8 0 - 236
(1위)
23 75 94
1979 37 163⅔ 25 4 1 3.57 7 9 1 - 156 24 47 109
1980 31 187 28 8 1 3.95 15 6 0 - 195 28 55 106
1981 35 201⅓ 28 7 1 4.03 12 9 0 - 211 22 81 116
1982 22 111⅓ 15 5 1 4.46 3 11 2 - 113 21 43 77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83 삼미 60
(1위)
427⅓
(1위)
44 36
(1위)
6
(1위)
2.36
(2위)
30
(1위)
16 6
(3위)
0 388 19 122 220
(1위)
1984 45
(3위)
261⅔
(2위)
25 15
(1위)
2
(3위)
3.30 13 20 7
(4위)
0 261 20 72 145
(4위)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85 청보 45
(3위)
246
(2위)
35 10
(4위)
0 5.30 11 25
(1위)
5 0 304 22 112 128
(3위)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선발 완투 완봉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1986 빙그레 22 108⅓ 17 3 0 4.98 1 18 0 0 130 12 50 48
<colbgcolor=#ffff88> NPB 통산
(15시즌)
339 1634⅓ 217 61 13 3.68 91 84 9 - 1666 181 591 785
KBO 통산
(4시즌)
172 1043⅓ 121 64 7 3.55 55 79 18 0 1083 73 356 541

1983년 장명부는 한국프로야구 역사에 길이 남을 대 기록을 세운다. 시즌 최다이닝 등판, 시즌 최다경기 완투, 시즌 최다승, 시즌 최다패의 기록은 지금까지 깨지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깨질 가능성도 희박하며, 최다 이닝 등판과 같은 기록은 절대로 깨져서도 안 된다.

사실 이런 그의 초인적인 기록은 한국프로야구가 출범 2년 밖에 안 된 초창기 시절이니까 가능한 일이지, 한국프로야구의 수준이 많이 올라간 지금은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있다.[30][31] 특히 한국프로야구 초창기에는 투수진의 분업이라는 개념이 없었던 시절이라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과거의 일이라고는 해도, 장명부가 세운 기록은 1983년의 장명부 단 한차례 있었다 .

장명부의 30승은 2019년 한국 야구인들이 투표한 'KBO리그 역사상 가장 깨기 힘든 불멸의 기록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32] 총 150표 중 가장 많은 36표를 받았으며, 24%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모두들 "투수 보직이 분업화된 현대 야구에서는 30승은 불가능한 기록"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

그치만 혹사로 1986년의 장명부는 1승 18패를 기록하고 쓸쓸히 은퇴했다.

장명부의 1983년 시즌의 WAR13.63으로 역대 KBO 투수 단일 시즌 WAR 2위의 기록이다.[33] #

7. 관련 문서


[1] 현재의 144경기를 기준으로 해도 무려 전체 리그 경기수의 30.6%이다(...). [2] 83시즌이 100경기, 정규이닝 900이닝이었으로 사실상 시즌 절반을 던졌다고 보면 된다. 150년 메이저리그 역사에서도 최후의 400이닝 투수는 1908년의 에드 월시 이후로 없었다. [3] NPB 입단부터 1978년까지는 마쓰바라 아키오([ruby(松原, ruby=まつばら)] [ruby(明夫, ruby=あきお)]), 1979년에는 후쿠시 아키오([ruby(福士, ruby=ふくし)] [ruby(明夫, ruby=あきお)])라는 이름을 썼다. 작명가의 조언을 받아 바꾼 이름이 바로 이 이름. [4] 한국에서는 한국명으로 활동하였으므로 등록명으로 본다. 즉 여기선 한국계라서 한국명이 아니라 외국인 선수의 등록명과 똑같이 다룬다. [5] 현재의 아산시 배미동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참조. [6] 부인과 결혼하면서 일본으로 귀화했다. 참조. [7] 뒤의 인물은 삼성의 2군 감독이던 박창용 씨. [8] 명목상 이혼 사유는 생활고였는데, 실제로는 장명부의 바람기가 원인이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장명부는 아버지의 바람기에 영향을 받은 것 같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9] 이 때 장명부를 롯데로 데려온 사람이 삼미 시절 장명부를 보살펴 주었던 김진영 감독이었다. 그리고 김진영 감독이 1990년 시즌 도중 성적 부진으로 해임당하자, 장명부도 같이 잘렸다. [10] 후술하겠지만 마약중독 때문에 결국 사망하고 만다. [11] 다만 장명부 사후 일구회와 접촉을 한 것을 보면 장명부와의 연을 아예 끊은 건 아닌 듯 하다. [12] 기사에 따르면 유족 측에서 먼저 가입 요청을 했다고 한다. [13] 낙엽이 꼭 가을바람 때문에 떨어지는 것이 아닌 그것이 자연의 섭리인 것처럼, 말년의 쓸쓸함 속에 자신의 과거와 열정을 그리워 하지만 그 역시 자신의 운명이며 섭리임을 말한 글이다. [14] 하지만 항목의 사진은 연출된 사진이고, 실제 현장사진은 아니다.(사실 자살현장 사진 치고는 벽이 너무 깨끗하고 글씨도 너무 반듯해서 진짜가 아님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나중에 사망소식이 전해져서 취재한거라 현장이 보존되어 있을리 없으므로, 보존된 현장을 언론이 취재한 적이 없기 때문에 진짜 사진은 없다. [15] 흔히 일본에서는 결혼과 동시에 아내가 남편의 성을 따르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데릴사위의 경우는 남편이 아내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일본 야구계에선 나카니시 후토시가 그 경우에 해당되며, 미하라 오사무 감독의 사위로 미하라 가문에 입적된 바 있다. 그래서 미하라 후토시가 그의 호적상 이름이다. [16] 그러나 임호균은 인천 출신인 자신이 장명부 가족이 살 집을 알아봐 줄 정도로 챙겼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워낙 실력 차이가 커서 국내 선수들이 콤플렉스를 느낀 부분도 있고, 장명부가 한국어를 거의 못해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있어서 원만하지 못한 게 아니었을까 라고 추측했다. [17] 1984년 시즌 막판 홍문종( 롯데), 김일권( 해태), 이해창( MBC) 세 명이 치열한 도루왕 경쟁을 벌일 때 장명부는 같은 재일동포인 홍문종이 누상에 나오면 견제를 게을리하여 베이스를 훔치는 데 은근슬쩍 지원해 줬고, 이에 열받은 김진우는 '당신이 그렇게 나오면 나도 지원할 사람이 있다 이거야' 라면서 김일권을 밀어 주었다. 참고로 당시 장명부는 주자견제 하면 타의 추종을 불허했고(지금으로 치면 거의 봉중근급) 김진우 또한 1983년 시즌 도루저지율 5할(120회 시도 중 60회 저지)을 기록한 데다 1984년에도 롯데 한문연의 뒤를 잇는 도루저지율 2위의 강견을 자랑하는 포수였다. 덧붙이자면 이해창은 지원해 줄 타팀 배터리가 아무도 없어 나름 열심히 뛰긴 했지만 결국 그해 도루왕 타이틀은 김일권에게 내줘야 했다(...). [18] 삼미의 국내 선수 중엔 포수 금광옥과 친했다. 장명부 등판 시에 사이가 안 좋은 김진우 대신 금광옥이 자주 마스크를 썼는데, 포수 리드가 공격적이라며 금광옥을 선호했다고 한다. [19] 다만 초반에는 김진우와 사이가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 장명부의 피칭을 받은 김진우는 "캐쳐 해먹기 좋다." 라고 감탄하며 높이 평가했었을 정도로 둘의 사이는 처음에는 나름은 원만했던 것으로 보이나 시합 중 모종의 이유로 사이가 나빠졌을 가능성이 크다. [20] 흔히 알려진 프로 및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유명한 투수 출신의 김인식과는 동명이인이다. 현재 독립야구단인 연천 미라클 감독직을 역임 중. [21] 장명부가 2005년 세상을 떠나자 김인식은 그와의 정이 많이 들었던 듯 인터뷰에서 장명부를 그리워하기도 했다. [22] 'LG의 야생마'였던 이상훈이 SK 유니폼을 입고 LG를 상대로 세이브를 올렸던 기막힌 사연의 경기였다. [23] 인천지역의 야구팬들, 특히 인천야구의 역사를 또렷이 기억하던 올드 팬들에게 장명부가 의미하는 게 상당했기 때문에... [24] 반면 어떻게 보면 라이벌인 투수 김일융은 야구 해설 등으로 너무 세간에 잘 알려졌고... [25] 10년뒤 고향에서 다시 시구했고 그로부터 6년뒤 고향팀은 첫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6] 감사용은 장명부가 세상을 떠나자 그를 진심으로 그리워하며 자신은 지금도 장명부를 존경한다고 밝혔다. 당연한 것이 83년에 장명부의 활약과 돌풍으로 한참 상승세를 이어갔었고 그 덕분에 팀 전체가 슈퍼스타 급의 대우를 받았다고 할 정도였으니. [27] 대마도 규슈 사이를 가르는 해협. 현재 한국에서 쓰이는 명칭은 대한해협이나, 현해탄이라는 단어는 일제강점기를 겪은 사람이나 재일교포들에게는 현 세대가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28] 일본은 1979년 처음 선수협이 결성되었고, 1985년 노동청으로부터 노동조합 지위를 인정받았다. [29] 히어로즈 팬이라고 한다. [30] 그도 그럴 것이, 투수진의 분업화가 완료된 지금은 144경기 기준 5선발 로테이션을 돌린다는 조건 하에 ND, 패배, 부상 없이 오로지 승리만 기록해도 30승을 기록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31] 비슷한 전개로 최동원, 백인천, 장효조 등의 기록도 폄하되는 경우가 인터넷 상에서는 종종 있다. 다만 그말대로면 과거 메이저리그에 활약했던 베이브 루스, 사이 영, 월터 존슨, 타이 콥과 같은 선수들 역시 인정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그저 인프라가 더 갖춰진 후세에 태어날 수록 대단하다는 말도 안되는 논리가 성립된다. 그러므로 옛날 기록이라고 낮게 평가되어서는 안 되며 그 당시 얼마나 잘했느냐가 중요하다. [32] 2위는 최동원의 한국시리즈 4승, 3위는 백인천의 4할 타율. [33] 1위는 1986년 시즌의 선동열(1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