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3:16:41

수국

자양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라(隋國)에 대한 내용은 수나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백합 국화 안개꽃 프리지아
6위 7위 8위 9위 10위
튤립 개나리 살살이꽃(코스모스) 벚꽃 진달래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벚꽃 안개꽃 국화 튤립
6위 7위 8위 9위 10위
개나리 프리지아 살살이꽃(코스모스) 진달래 무궁화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백합 라일락 수국 철쭉 해바라기
16위 17위
아까시나무 목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한식 }}}}}}}}}

🌻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colbgcolor=#00a495><colcolor=#fff>ㄱ 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셔스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 블루벨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계꽃 · 시클라멘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칼라 · 코스모스 · 크로커스
투구꽃 · 튤립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
수국
Chinese sweetleaf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ydrangea_macrophylla_02.jpg
학명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
층층나무목(Cornales)
수국과(Hydrangeaceae)
수국속(Hydrangea)
수국(H. macrophylla)
1. 개요2. 특징3. 쓰임새
3.1. 수국차
4. 비슷한 꽃5. 매체6.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수국은 수국과 수국속에 속하는 갈잎떨기 나무이며, 초 여름에서 무더운 여름 중순까지 이 핀다. 좁은 의미로 쓰일 때는 Hydrangea macrophylla만을 가리키나, 보통은 수국속에 속하는 모든 종을 가리키는 말이다.

2. 특징

한반도·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본래는 중국 원산이지만, 중국에서는 자생군락이 발견되지 않으며, 일본에서 품종 개량이 많이 되었다.[2] 미스 사오리, 치쿠의 바람, 만화경, 미카의 물떼새 등 특이한 이름으로 판매 중이다. 품종보호 탓에 시중에서 파는 수국보다 꽤 비싸지만(15cm 포트묘 기준 2만원 전후) 정말 풍성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개량된 품종들이 많다. 영국, 일본의 원예식물 콘테스트가 열릴 때마다 일본산 수국들은 상위권에 위치할 정도로 높이 평가받는다.

높이는 1m 정도이며, 정원용 수국은 1m를 넘을 수 있으며, 작은 화분에서 크는 화분용 수국은 15~20cm까지 자랄 수 있다.

잎은 톱니 모양이다.

그늘지거나 반그늘진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는 주로 화분에 심는데, 노지월동이 되는 편이다. 다만 그 해 난 가지에서 을 피우는 수국(당년지수국)이 아니면 중부지방에서 노지에 심을 경우 월동시 보온처리가 없으면 꽃을 보기 어렵고 깻잎만 무성한 걸 보게 된다.

꽃말은 냉정, 냉담과 무정,[3] 변덕, 변심이다.[4] 또, 위와는 다르게 진실한 사랑, 처녀의 꿈,[5], 진심,[6] 인내심이 강한 사랑이라는 꽃말도 존재한다.

또한 의 색으로 토양의 pH를 확인할 수 있는데 pH6.0~6.5 정도의 토양에선 핑크색, pH4.5 정도의 산성토에선 푸른색을 띈다. 토양이 산성에서 점점 중성으로 올라갈수록, 보라색, 자주색, 옅은 자주색, 분홍색으로 변한다. 품종에 따라서 색깔이 고정되는 경우도 있다.

피는 시기가 초 여름의 장마철과 겹치는데, 그 이유는 수국이 정말이지 을 엄청나게 먹어대는 식물이기 때문이다.[7] 기사

여름, 즉 6월 무렵에[8] 가지 끝에서 둥근 모양인 꽃차례를 이루어 이 핀다. 꽃은 처음에 초록빛 띈 흰색으로 피지만 점차 파란색, 보라색으로 변하는데 토양의 성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기사[9] 즉 자체적인 색소에 의해 꽃의 색이 결정되는 게 아니다.[10] 고정적인 특정색을 내려면 토양 관리를 잘 해줘야 한다.[11] 이런 수국꽃의 변화를 일으키는 성분은 ' 델피니딘(delphinidin)' 이라고 한다.[12]

그리고 수술과 암술은 퇴화하여 작고 열매는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야생형 수국은 열매를 맺는다.[13]

꽃을 피우고 저물때쯤 잘 잘라서 정리를 해줘야 다음해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2 ~ 3년간 그냥 깻잎을 키우게 될지도 모른다.[14]

상술했듯, 관상용으로 널리 알려지고 많이 개량되었기에 개량종 수국들은 그 꽃의 색감과 모양이 매우 다양해졌다.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수국 품종 목록. 등록된 품종만 해도 많지만 장미 국화처럼 계속 품종개발이 진행중이다. 품종에 따라 꽃의 기본색상과 모양 뿐만이 아니라 질 때의 색상까지도[15] 개량으로 세세하게 구분된다.

꽃 하나하나는 작지만 여러 개가 모여서 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크고 탐스러운 꽃다발을 이루어, 노지 관상용은 물론 실내 소품용으로도 쓰이거나 부케 등에도 애용된다. 꽃잎 부분만 작게 오려내어 가공해 하바리움 등에 쓰는 편이다.

향수엔 수국향을 표방한 상품들이 있지만 흔히 보는 관상용 수국은 씨 없는 수박의 꽃버전, 무성화이기에 향기가 없다. 이 때문에 꺾꽂이로만 번식할 수 있다. 동일조상에서 갈라지게된 산수국의 경우 차로 마시면 향이 있지만 이건 산수국꽃의 진짜 향이 아니라 잎을 가공해서 만든 차에서 나는 향이다.

토질에도 상관없이 화색이 고정된 품종이 나오고 있지만 토질에 따라 색이 바뀌는 꽃의 경우 품종으로 등록할 때 푸른색을 배제하고 등록한다고 한다.

학명은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 et Z.) WILS.이다. 범의귀과였다가 2016년 속씨식물 계통연구 그룹(APG·Angiosperm Phylogeny Group)의 분자생물학 연구에 기반을 둔 체계에 따라 수국과로 속을 바꾸었는데 인터넷 등지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게 많다.

부산 태종대 태종사, 거제도 해안도로 등이 수국으로 유명한 곳이다. 해외에서는 하코네 등산철도 주변의 수국이 유명하다고 한다. 사찰 주변에 잘 심는 꽃이며 기르기 쉬운 편이라 정원이나 조경에 잘 이용된다.

3. 쓰임새

의 생김새가 예쁘기 때문에 주로 관상용이나 장식용으로 쓰인다.

뿌리는 약으로 쓴다. 뿌리에 함유된 할로푸지논은 여러가지 자가면역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성분이다.

3.1. 수국차

수국과 식물 중 산수국/수국차(식물 이름 자체가 수국차)/ 감차수국(甘茶繡球)이라 부르는 특정 수국(Hydrangea serrata Seringe var. thumbergii)의 잎은 말려서 로 만들어 마실 수 있다. 일반 수국의 경우 독성이 있어서 함부로 식용하거나 차로 만들어 마시면 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수국차' 라는 식물로 만든 차를 수국차차 감로차(甘露茶),[16] 혹은 이슬차라고 한다. 주산지는 한국 기준 강원도 고산지대이다. 기사. 다만 가격은 좀 센 편에 속한다.

단맛이 나는 게 특징이다. 정말로 설탕 하나 없이 은은하고 자연스런 단맛이 난다. 수국차는 단맛이 남에도 당이 몸에 흡수되지 않기에 다이어트 중 단 음료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으며 단맛이 남에도 혈당이 오히려 낮아지는 효과까지 있어 당뇨병 환자들에게 좋은 차라고 한다. 이는 수국차의 감미성분[17] 필로둘신(phyllodulcin)[18]이라는 성분이기 때문인데, 필로둘신은 수국차의 잎이 건조되기 전엔 배당체의 형체로 함유되어 있다가[19] 수국차의 잎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효소작용으로 분해되면서 본격적으로 단맛을 내는 성분이 된다. 그래서 수국차를 적당히 우려내고 먹으면 은은하게 단맛을 느낄 수 있지만, 필로둘신의 단맛은 매우 강한 편이기에[20] 잠시 수국차를 달인 물을 방치하면 처음 먹을 때보다 매우 달게 느껴지는 걸 알 수 있다.[21] 그런고로 단 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그닥 맞지 않는 차다.

그렇지만 수국차의 경우 다른 차와 섞어서 타도 자연스러운 단맛이 나는데다가 향이 강하지 않은 편이어서 향기가 좋지만 쓰거나 신 차를 마시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의 경우 섞어서 타먹어도 된다.[22] 이렇게 티백 두 개를 담궈놓은 찻물 안에서 단맛이 살짝 우러나올 정도로만 수국차 티백을 담궈줬다가 컵 밖으로 빼면, 설탕없이도 단맛이 감도는 차를 맛볼 수 있다.[23]

주의할 점으로 수국차라면서 일반 관상용 수국을 쓰면 안 된다. 온통 쓰고 떫은 맛인데다 수국은 유독 식물이기 때문이다. 산수국(수국차)은 수국보다 식물체도 작고, 잎이 더 길다. 무엇보다 수국은 전부가 장식꽃으로 무성화이지만, 산수국은 꽃차례의 외곽부분만 무성화고 안쪽은 열매를 맺는 진짜 꽃이다. 산수국은 수국처럼 키우기도 하지만 공원 등에서 야생으로 자라기도 한다.

또한 수국차는 단맛이 난다고 너무 많이 마시지는 말아야 한다. 과다복용하면 담석이 생겨 탈이 나기 때문이다. 임산부가 마셔도 괜찮은 차이지만, 과다복용은 좋지 않다.

4. 비슷한 꽃

수국과 비슷한 식물이 몇 있는데, 수국이 유명하다 보니 이들이 수국으로 오인되는 일이 잦다.

가장 유명한 게 꽃모양이 유사한 불두화[24]라는 식물이다. 다른 식물이지만 백수국과 불두화의 꽃이 매우 흡사하다. 잎의 모양을 살펴보면 수국은 끝이 갈라지지 않은 깻잎 모양이고 불두화는 중도에 3갈래로 갈라져서 구분 가능하다. 그리고 수국과 불두화 모두 야생에 있는 원종을 개량해서[25] 가짜꽃 부분만 엄청 키운 채로 품종을 고정시켰기에 둘 다 종자번식을 못해 다른 식으로 인공번식시킨다.

이 밖에도 설구화, 백당나무 등이 수국과 비슷한 식물로 꼽힌다. 둘 다 꽃잎이 흰색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좀 더 확실하게는 백당나무는 뚜렷하게 나뭇잎이 세 갈래로 갈라지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설구화는 층층나무목인 수국과 달리 꼭두서니목으로 상당히 거리가 있음에도 수국과 대단히 비슷한데, 심지어 잎까지 깻잎과 비슷해서 행여나 수국이 흰색이라면 더욱 분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설구화의 잎이 좀 더 둥근 편이다.

5. 매체

한국이나 일본의 문학작품이나 영화에서 초 여름을 상징하는 으로 자주 등장하고 특히 꽃피는 시절이 장마철과 겹치므로 비를 맞는 남색 수국꽃이 서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름꽃이라 으스스한 전설에도 키 포인트로 자주 등장한다.

토질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 때문에 서브컬처계에서는 네토라레를 상징하는 은유적인 표현에 종종 쓰인다.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5f5f5,#2d2f34> 한국어 수국, 수국화, 수구화, 자양화(紫陽花), 팔선화(八仙花)
도체비고장( 도깨비꽃), 도체비낭(도깨비나무)(산수국)( 제주 방언)
한자 繡球(수구), 繡球花(수구화), (수국), 紫陽花(자양화), 八仙花(팔선화)
그리스어 ορτανσία(ortansía)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에스토니아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hortensia
독일어 Hortensie
러시아어 горте́нзия(gortɛ́nzija)
마인어 kembang bokor
베트남어 tú cầu
아랍어 هدرانج(hadranj)
영어 hydrangea
에스페란토 hortensio
이탈리아어 ortensia
일본어 [ruby(紫陽花,ruby=あじさい)](아지사이)·[ruby(四,ruby=よ)][ruby(葩,ruby=ひら)](요히라)[26]
중국어 繡球花/绣球花(xiùqiúhuā), 繡球/绣球(xiùqiú)
튀르키예어 ortanca
페르시아어 ادریسی
포르투갈어 hortênsia
hortensa( 갈리시아어)
히브리어 הידרנג'אה
네팔어 सुगन्धराज(sugandharaaj)
루마니아어, 북프리지아어 hortensie
리투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hortenzija
마케도니아어 хортензија(hortenzija)
말라가시어 hôrtenzia
말라얄람어 ഹൈഡ്രാഞ്ചിയ(hydranjiya)
미얀마어 ခြောက်လပန်း(hkraukla.pan:)
바스크어 hortentsia
벨라루스어 гартэнзія(hartenzija)
벵골어 হাইড্রাঞ্জিয়া(hā'iḍrāñjiẏā)
불가리아어 хортензия(hortenzija)
세르보크로아트어 хортензия/hortenzija
아르메니아어 Դրախտավարդ(drakhtavard)
아제르바이잔어 hortenziya
우즈베크어 gortenziya
우크라이나어 гортензія(hortenziya)
조지아어 ჰორტენზია(horṭenzia)
체코어 hortenzie
카자흐어 Шығысгүлі(Şığısgüli)
카탈루냐어 hortènsia
켈트어파 hiodrainsia( 아일랜드어)
roz-kaouled( 브르타뉴어)
trilliw ar ddeg( 웨일스어)
타갈로그어 ortensya
타밀어 ஹைட்ராஞ்ஜியா(haiṭrāñjiyā)
태국어 ไฮเดรนเจีย(Ḥị dern ceīy)
티베트어 དྲང་སོང་མེ་ཏོག(drang song me tog)
폴란드어 hortensja
헝가리어 hortenzia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한국에서 수국은 중국명의 수구(繡球)[27] 또는 수국()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보며, 옛 문헌에는 자양화(紫陽花)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다만 중국은 수구만을 사용하고 수국 및 자양화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일본어로는 紫陽花(자양화)라고 쓰고 アジサイ(아지사이)라고 숙자훈으로 읽는다.

영어 Hydrangea는 라틴어로 '물그릇'이라는 뜻이다. 을 좋아하는 수국의 특성에서 유래된 듯하다.
[1]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정한 정식 명칭. 국가표준식물목록이란, 혼란스럽게 통용되고 있는 식물의 이름을 표준화하고자 식물별 전문연구자가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식물명을 정리하고, 국립수목원과 한국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를 검토, 심의하여 결정, 정리한 목록이다. [2] 일본에서 예로부터 여름철 정원용 꽃으로 널리 쓰였기 때문이다. [3] 푸른 수국. [4] 흰 수국. 흰 수국은 넓은 마음, 관용 등도 있다. [5] 붉은 수국, 분홍 수국. [6] 보라빛 수국. [7] 오죽하면 원예가들 사이에서 ' 먹는 하마'라고 불릴 정도이니 여러모로 닉값을 하는 식물이다. 아예 상시 저면관수를 해주거나 매일매일 물을 들이붓다시피 주는 경우도 심심찮다. [8] 6월 중순쯤. 산수국은 6월 초순으로 더 일찍 핀다. [9] 땅에 알칼리 성분이 강하면 분홍빛이 강하고, 산성이 강하면 남색이 된다. 즉, 땅의 성질을 바꾸어 꽃의 색깔을 바꿀 수 있다. 담배연기에 반응하는 노랑코스모스, 아황산가스에 반응하는 나팔꽃과 함께 잘 알려진 지표식물이다. 이외에 방사능에 반응하는 자주달개비도 지표식물. 실제로 화산토양인 지대에선 야생수국들은 보통 파란색 계열의 꽃을 피운다. 화산토양은 산성을 띄기 때문. 화산섬인 제주도의 수국이 주로 푸른색인 이유이다. [10] 지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푸른색을 내는 색소를 지닌 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11] 같은 품종이어도 알칼리 때와 산성 때의 색이 달라지는 경우가 다반사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국용 비료는 꽃이 원하는 색이 될 수 있도록 성분이 다른 두 종류로 나오는 제품도 있다. [12] 델피다닌은 산성 토양에서는 알루미늄 이온과 결합하여 푸른색 계통의 색을, 알카리성 토양에서는 주성분 그대로 붉은색 계통의 꽃이 피고 품종개량된 흰색 수국의 경우에는 주성분(색소)을 제거하여 만든 것이다. [13] 산수국이 수국의 원종이라고 하는데 둘이 공통조상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종이지 어느 한쪽이 원종이 아니다. 그리고 연구결과 오히려 야생형 수국이 조상에 가깝다. 원래 수국은 수분이 불가능한 가짜 꽃잎과 수분이 가능한 진짜 꽃잎 2종을 만든다. 넓고 큼지막한 가짜 꽃잎이 작고 촘촘한 진짜 꽃잎을 감싸는 형태인데, 곤충들은 큼지막하게 잘 보이는 가짜 꽃잎을 보고 날라와서 근처에 있는 진짜 꽃잎으로 가서 꿀을 빨고 수분을 한다. 굳이 꽃잎을 두 종류로 만드는 이유는 수정이 가능한 진짜 꽃잎만 크게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 사용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 중 수분이 불가능한 가짜 꽃잎 생기도록 개량한 것이 현 수국이다. 때문에 수국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 [14] 만일 아파트 단지 내부나 자주 다니는 건물 화단에 수국이 피어있는데 매해 꽃이 잘 난다면 안 보여도 관리를 나름 한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15] 시기가 지나서 좀 저물어갈 때쯤이면 그린, 엔틱 등으로 꽃의 색갈이 기존과 확 달라진다. [16] 일본에선 감차(甘茶)라고도 하고, 아마차라 부른다. [17] 단맛을 내는 성분. [18] 감미료의 일종으로, 설탕보다 훨씬 더 강한 단맛(설탕의 1000배)을 낸다. [19] 그래서 이 때는 단맛이 나지 않는다. [20] 수국차가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지닌 것과는 별개다. [21] 심지어 수국차 티백을 두 번 우려냈다가 맹물을 많이 섞어서 마셔도 그 단맛이 은은하게 남아있을 정도다. [22] 그냥 수국차를 포함한 서로 다른 티백 두 개를 넣은 컵에 뜨거운 물만 부어주면 된다. [23] 히비스커스차같이 신맛이 강한 차와도 수국차의 단맛은 제법 잘 어울린다. 너무 시어서 못 먹는 차를 탈 때도 수국차를 함께 타서 살짝만 우려내고 티백을 꺼낸다. [24] (), 한자 뜻으로 풀이하자면 부처머리꽃으로 꽃의 형태가 둥글게 정리된 부처의 머리모양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5] 두 꽃 모두 야생의 원종은 유인용 가짜 꽃잎과 안쪽의 진짜 꽃을 함께 지닌다. [26] 꽃잎(はなびら)이 네 조각(ひら)이라서 그렇다. 그림자 복도 2의 부제목에서 이렇게 나온다. [27]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이란 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