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5-19 10:41:18

일반화 좌표계

일반화 운동량에서 넘어옴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 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 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 질량중심) · 속력( 속도 · 가속도) · 운동( 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 일률) ·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비관성 좌표계( 관성력) · 항력( 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 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 /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 각가속도) · 각운동량( 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 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 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 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 자유도) · 변분법{ 오일러 방정식( 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 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 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 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 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 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1. 개요2. 구속 조건과 자유도3. 일반화 운동량

1. 개요

해석역학에서 계를 편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정하는 좌표계이다.

2. 구속 조건과 자유도

고등학교 물리를 갓 배우기 시작한 학생이 있다고 해 보자. 등가속도 운동을 어느정도 풀 수 있게 되었고, 이제 뉴턴 역학의 [math(\mathbf{F}=m \mathbf{a})]를 배우려고 한다. 이 뉴턴 2법칙은 아주 쉬운 개념이다. 그냥 힘은 질량 곱하기 가속도라는 공식은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다. 직선 상에서 [math( m = 3 \, \rm{kg} )], [math( a = 2 \, \rm{m/s^2} )]일 때, 힘은 몇 뉴턴(N)인가? 라는 문제를 못 푸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학생이 수능 킬러 문제를 풀 수는 없다. [math(\mathbf{F}=m \mathbf{a})]를 배웠다고 해도 구속력(constraint force)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르래 문제는 그냥 중력만 작용하는 자유낙하 운동으로 풀면 안 된다. 왜냐하면 줄의 장력구속력으로 작용하여 두 물체의 위치를 맞춰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맞춰지는 것을 구속 조건(constraint)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경사면에서의 운동의 경우, 중력뿐만 아니라 수직항력구속력으로 작용하여 물체가 경사면 위에서만 움직이게 되는데, 이렇게 물체가 경사면 위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는 조건이 구속 조건이다. 원운동에서 물체가 원 궤도라는 구속 조건에서 움직이게 하는 구속력은 구심력이다.
운동 구속력 구속 조건 자유도
도르래 장력 한 물체가 내려가면 다른 물체는 같은 만큼 올라간다. 1
경사면 수직 항력 물체는 경사면 위에서만 운동한다. 1
원운동 구심력 물체는 원 궤도 위에서만 운동한다. 1

구속 조건식이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자유도는 1씩 줄어들게 된다. 자유도란 "차원"이랑 비슷한 개념인데, 물체의 운동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평면 위에서 운동하는 입자는 x,y좌표로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유도는 2이다.[1] 그런데 원운동이라는 구속 조건이 추가된다면 자유도는 1이 된다. 이제는 원에서 돌아간 각도 하나의 변수만 있으면 원운동에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니면 지구 상에 있는 생명체의 위치는 위도, 경도, 고도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유도는 3이다. 그런데 그 생명체가 땅을 파거나 날아다닐 수 없어서 고도가 지면에 고정된다면 자유도는 2가 된다. 이런 생명체가 다섯 마리 있으면 각 생명체의 위도, 경도가 각각 5쌍 필요하므로 자유도는 10이다.

따라서, 3차원에서 [math( n )]개의 입자와 [math( m )]개의 구속 조건이 있다면 자유도는 [math( 3n-m )]가 된다.

참고로, 뉴턴 역학에서 이런 문제를 풀려면 구속력을 생각해야 되는데 구속력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그런데 놀랍게도 라그랑주 역학에서는 구속력을 생각할 필요가 전혀 없고 구속 조건만 있으면 문제가 풀리게 된다![2] 따라서 라그랑주 역학에서는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그냥 구속 조건 뿐인데, 구속 조건은 일반화 좌표계로 아주 쉽게 풀 수 있다. 일반화 좌표계란 자유도가 [math( s )]인 계를 [math( s )]개의 좌표로 표현할 수 있는 좌표계이다. 예를 들어, 3차원의 입자가 xy평면 위의 원 [math( x^2 + y^2 = R^2 )] 위에서 운동한다고 하자. 이때, 구속 조건은 다음과 같이 2개이다.
(1) 입자는 xy평면 위에서 운동한다. 즉, [math( z=0 )]
(2) 입자는 원 [math( x^2 + y^2 = R^2 )] 위에서 운동한다. ([math( R )]은 상수)

따라서, 이 물체의 자유도는 1이다. 그러면 이 물체는 단 하나의 일반화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점을 중심으로 x축에서 돌아간 각도 [math( \theta )] 하나만 있으면 이 물체의 위치는 정해진다.
이때, 좌표 [math( \theta )]를 일반화 좌표라고 한다. 이것을 시간으로 미분한 [math( \dot{\theta} )]는 일반화 속도라고 한다.
입자의 좌표 [math( x,y,z )]를 일반화 좌표 [math( \theta )]로 표시하는 것은 쉽다.
[math( \displaystyle x = R \cos \theta, y = R \sin \theta, z=0 )]

시간으로 미분하면 입자의 속도도 일반화 좌표로 쓸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dot{x} = - \dot{\theta} R \sin \theta, \dot{y} = \dot{\theta} R \cos \theta, \dot{z}=0 )]

보통 일반화 좌표는 알파벳 x 대신에 q를 써서 [math( q_j )]로, 일반화 속도는 [math( \dot{q} _j )]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위의 예시처럼 자유도 [math( s )]인 계의 입자의 좌표 [math( x_{a,i} )]는 [math( s)]개의 일반화 좌표 [math( q_j )]와 시간 [math( t )]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3. 일반화 운동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그랑주 역학 문서
번 문단을
일반화 운동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열· 통계역학에서는 회전 운동까지 고려해서 자유도를 늘리기도 하지만, 여기서 회전이나 진동은 고려하지 않는다. [2] 보통은 그렇다. 라그랑주 역학에서 라그랑지언에는 퍼텐셜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보존력만 취급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과 같은 비보존력은 라그랑주 역학으로 풀기 힘들어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