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
}}}}}}}}} |
익안대군 관련 틀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0%,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제국 태조의 황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
||
조선 개국공신
마한얀양공 | 馬韓安襄公 |
}}}}}}}}} | ||
|
|||
익안대군 영정[1] | |||
출생 | 1360년 | ||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이성계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
|||
사망 | 1404년 10월 29일 (향년 44세) | ||
묘소 | 경기도 개풍군 봉덕면 백전리 | ||
재위기간 | 조선 익안군 | ||
1392년 8월 25일 ~ 1398년 10월 10일 | |||
조선 익안공 | |||
1398년 10월 10일 ~ 1401년 2월 8일 | |||
조선 익안대군 | |||
1401년 2월 8일 ~ 1404년 10월 2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방의(芳毅) | ||
부모 |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
||
형제자매 |
부황 기준 8남 5녀 중 3남 모후 기준 6남 2녀 중 3남 |
||
배우자 |
|
||
자녀 | |||
종교 | 불교 → 유교 ( 성리학) | ||
자 | 태관(太寬) | ||
군호 |
익안군(益安君) → 익안공(益安公) → 익안대군(益安大君) |
||
시호 |
공정공(恭靖公) → 마한공정공(馬韓恭靖公) → 마한안양공(馬韓安襄公)[3] |
[clearfix]
1. 개요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초기의 왕족. 태조 이성계의 3남이며 정종의 동생이고 태종 이방원의 셋째 형이다.2. 생애
1392년 8월 25일( 음력 8월 7일) 조선이 건국되면서 이성계가 왕이되자 이방의는 익안군(益安君)에 봉해졌다.[4] 이어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되었다.1398년 10월 10일( 음력 9월 1일) 익안공(益安公) 중군 절제사(中軍節制使)에 봉해졌다.[5]
1398년 11월 9일( 음력 10월 1일) 정사 일등 공신(定社 一等功臣)에 책록(冊錄)되었다.[6]
1398년 음력 12월 15일(양력 1399년 1월 22일) 개국 일등 공신(開國 一等功臣)의 예(例)에 견주어 포상(褒賞)을 받았다.[7]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랐다.
1399년 경기도와 충청도의 지방군을 관장하였다.
1400년 2월에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병으로 집에 있다가 소식을 듣고 이방간의 모반을 개탄하면서 절제사직을 사임하여 이방원을 간접적으로 도왔다.
1401년 2월 8일( 음력 1월 25일) 익안대군(益安大君)에 책봉됐다.[8]
1404년 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태종은 크게 슬퍼하며 조회를 정지하고 직접 형의 장례식에 문상을 와서 형의 장례식에 후한 부조금과 지원을 해줬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성질이 온후(溫厚)하고 화미(華美)한 것을 일삼지 아니하였고, 손님이 이르면 술자리를 베풀어 문득 취하여도 시사(時事)는 말하지 아니하였다”고 적고 있다.
마한 공정공(馬韓 恭靖公)에 추봉되었다.
- 사후
부인 삼한국대부인 철원 최씨의 묘는 경기도 파주군 천현면 삼방리(現 파주시 법원읍)에 있다.
1864년 증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 부황: 태조 이성계 1335 ~ 1408
- 모후: 신의왕후 1337 ~ 1391
- 형: 진안대군 1354 ~ 1394
- 형: 영안대군 ( 정종(조선)) 1357 ~ 1419
- 남동생: 회안대군 1364 ~ 1421
- 남동생: 정안대군 ( 태종(조선)) 1367 ~ 1422
- 남동생: 덕안대군 미상
- 여동생: 경신공주 미상
- 여동생: 경선공주 미상
-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 정경옹주)[9]
- 장남: 익평부원군 안량공 이석근
- 첫째며느리 : 진한국대부인 화숙옹주 경주김씨, 월성군 김수(金需)의 딸
- 손자 : 신의군 이인, 당숙 순녕군 이덕근(진안대군의 아들)에게 입양
- 손자 : 원윤 증 신성군 의
- 첫째며느리 : 진한국대부인 김씨, 김영국(金永國)의 딸
- 손자 : 반남도정 이례
- 손자 : 종남도정 이지
- 손자 : 양진정 이신
- 손자 : 대림도정 이강
- 손자 : 백파도정 이상
- 장녀: 회인현주(懷仁縣主)[10]
- 첫째사위: 광산 김씨 첨총제 김한
- 외손자 : 김유돈(金有敦), 김유장(金有長, 직장)
- 외손녀 : 김경재(金敬哉)의 처, 정철반(鄭鐵攀)의 처
- 차녀: 미상
- 둘째사위: 한가경
- 외손자 : 한선(韓善)
- 첩부인: 부부인 고성 이씨(府夫人 固城 李氏)
- 차남: 영가정(永可正) 이승(李昇, 1390년 - 1445년 4월 15일)
3.1. 후손
4. 대중매체에서
왕이 된 적도 없고 정쟁에 뛰어들거나 휘말려 죽지도 않았고 핵심 인물도 아니었기 때문에 등장하는 작품이 별로 없고, 등장하더라도 비중이 작다.-
1996년
KBS 드라마 〈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최동준이 연기했다.
신의왕후 소생을 박대하는
태조와
신덕왕후에게 불만을 제기하는 것은 동생들인 회안군이나 정안군과 마찬가지지만[12], 불만을 겉으로 아예 드러내 놓고 다니는 동생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정작 중요한 순간에는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회안군이나 정안군과 달리
정도전의 억압에 이기지 못해 진법 훈련에 나가는 것이 좋은 예[13]. 그나마 이런 면이 부정적인 것으로 직접 언급되지는 않으며, 담력이 약해서 그렇다는 정도로만 설명된다.
1차 왕자의 난 이후에는 주로 회안군의 야심을 자제시키고 타이르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개경으로 다시 천도한 뒤로는 병으로 칩거하게 되며, 회안군이 끝내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진압된 뒤에는 정안군을 찾아와 비통해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던 군권을 통째로 양도한다. 또 정종과 함께 회안군을 찾아가 정안군에게 용서를 구하고 구명을 청하라고 간곡히 설득하는 장면도 있다.
조사의의 난이 진압된 이후 이후 태조가 태종과 화해하는 자리에는 이미 중병이 걸린 관계로 나오지 못했으며[14], 이후 곧 사망한다. "부처님 같으신 분" 이라는 말까지 들을 만큼 성품이 모난 데가 없어 여러 형제들과 두루 사이가 좋았으며, 그에 따라 병사했을 때 태조와 태종이 매우 슬퍼했다.
-
2021년
KBS 드라마 〈
태종 이방원〉에서는 배우
홍경인이 연기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방의(태종 이방원) 문서 참조. 진중하면서도 다소 유약한 모습이었던 〈용의 눈물〉과는 달리
태조 휘하에서 종군하면서 개성 시가전에 투입되어 형제들과 함께 방어진을 깨뜨리는 기병 돌격의 선두에 서기도 한다.
회안대군에게는 만만한 형으로 여겨지기도 하며[15],
정몽주 암살로 형제들과 같이 태조에게서 버림받은 이후에는 홧김에 기생을 끼고 술마시며 노는 모습도 보여주는 등, 〈용의 눈물〉에서보다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에 역사 왜곡이라고 볼 수도 있는 장면도 있는데, 2차 왕자의 난에서 회안군에게 설득당해 가담하려다가 거사 당일에 정안군이 두려워져 가담하지 않은 것. 작중에서는 익안군도 참여하려 했으나 정안군이 형을 배려하여 의도적으로 숨겼다고 본 것인데, 익안군이 회안군을 구명하기 위해 열심이었던 기록이 있기는 하나 난에 참여하려 했다는 구체적인 근거는 없으므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실제로 익안대군의 후손들이 드라마의 내용에 항의하여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기도 했고, 이에 KBS 측에서도 다시보기 서비스에서 이런 점을 변명하기도 했다.
[1]
이 영정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9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주 이씨 문중에서 소유하고 있었으나, 2000년 1월 도난을 당했다가 그해 4월 회수에 성공하여 보관 하던 중, 2009년에 재 도난을 당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2018년 10월 환수했다.
관련 기사
문화재청의 발표
정종과
태종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 귀한 영정이다.
[2]
사후 선혜옹주(善惠翁主)로 추증.
[3]
정종의 시호인 공정(恭靖)을 피휘.
[4]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책 136면
[5]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책 1권 51장, 1책 26면
[6]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책 138면
[7]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책 141면
[8]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책 195면
[9]
지간성군사 증찬성사 최인두의 딸
[10]
사후 선혜옹주(善惠翁主)로 추증됨.
[11]
공교롭게도 해당 배우는 드라마 〈
태종 이방원〉에서 익안대군의 숙부인
의안대군 이화를 맡았다.
[12]
정종 같은 경우 본작에서는 익안군 이상으로 소탈한 성품으로 묘사되는데다, 훗날 자신이 세자로 책봉되었을 때 사색이 되는 것으로 그려지는 데에서도 볼 수 있듯 세자 자리에 전혀 욕심이 없었기에 의안군이 세자가 된 것에도 딱히 불만을 품는 모습이 없었다.
[13]
회안군과 정안군은 어디서 정도전 따위가 왕자들에게 명령을 내리냐며 반발하여 나가지 않았으며, 이에 이들의 집사가 대신 곤장을 맞게 된다.
[14]
태조가 태종을 친히 제거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화해를 하는 환영연이 베풀어진 이후 태조와 정종 내외가 따로 만나는 장면이 있는데, 생물학적으로는 아들이지만 상왕인 만큼 존대를 하며 예를 갖추던 태조가 익안군이 자리보전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듣자 "뭐라고...? 익안이 중병에 걸렸다고...?" 라며 자신도 모르게 말을 놓는 대목도 있다.
[15]
그런데 회안군이야 원래부터 야망이 컸던 인물인지라 넘어간다 쳐도, 이지란의 아들 이화상에게까지 얕보이는 등의 굴욕도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