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01:20:43

아일랜드 단식투쟁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아일랜드 관계 관련 문서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통일
외교
영국-아일랜드 관계,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아일랜드-스코틀랜드 관계
북아일랜드
정치성향·정체성 연합주의( 민주연합당, 얼스터 연합당), 민족주의( 사회민주노동당, 신 페인)
기타( 녹색당, 북아일랜드 동맹당, 반긴축동맹-이윤 이전에 인민)
주요 사건
아일랜드 대기근, 북아일랜드 분쟁, 벨파스트 협정, 브렉시트, 북아일랜드 의정서, 윈저 프레임워크, UEFA 유로 2028
아일랜드 독립운동
관련 인물 마이클 콜린스, 로저 케이스먼트, 에이먼 데 벌레라
관련 사건 영국의 자치권 이양, 부활절 봉기, 아일랜드 독립 전쟁, 아일랜드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피의 일요일 사건, 아일랜드 단식투쟁
}}}}}}}}} ||

1. 개요2. 배경3. 진행4. 결과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Irish hunger strike(영어) / Stailc ocrais(아일랜드어)

1981년 3월부터 IRA 활동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된 양심수들이 당시 영국을 이끌던 마거릿 대처 내각을 향해 자신들을 일반 범죄자가 아니라 정치범으로 대우할 것을 요구하면서 벌인 단식투쟁. 200일 이상 진행된 끝에 같은 해 10월 3일에 종료되었다. 수십 명이 참여한 가운데 이 중 주도자 보비 샌즈를 비롯한 10명이 결국 기아로 사망했으며 이 사건 이후 북아일랜드 분쟁은 한층 격화되었다.

2. 배경

IRA의 단식투쟁은 그 역사가 깊다. 아일랜드 독립운동이 한창이었던 1921년 테런스 맥스위니가 73일의 단식 끝에 아사한 것을 시작으로 3차례에 걸친 대규모 단식투쟁이 발생해 12명이 사망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IRA의 세력은 점차 약화되고 있었지만 영국 정부는 1971년 영국 육군을 동원하여 IRA에 가담한 인물로 의심되는 자들을 별다른 사법적 절차( 영장 재판 등) 없이 강제로 구금시키는 드미트리우스 작전을 강행하면서 북아일랜드 분쟁에 다시 불을 붙였고 이듬해 피의 일요일 사건이 터지면서 사태는 겉잡을 수 없이 확대되었다. IRA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관련 수감자들도 늘어만 갔는데 이들은 단식투쟁을 벌인 끝에 영국 정부로부터 IRA 관련 재소자들을 전쟁 포로와 동등하게 대우할 것을 약속받았다. 이러한 특별 대우를 통하여 IRA 재소자들은 죄수복을 입지 않으며 강제 노역에도 동원되지 않는 등의 권리를 얻게 되었지만[1] 1976년 3월 해럴드 윌슨 내각이 기존의 특별 대우를 폐지하고 이들을 일반 죄수와 동등하게 대우할 것을 지시하면서 다시금 갈등이 시작되었다.

수감자들은 곧바로 이에 대항하는 모포투쟁(Blanket Protest)을 시작했다. 수감자들이 알몸 또는 모포를 두른 상태로 지내면서 죄수복을 입는 것을 거부하는 모포투쟁은 죄수가 죄수복을 입지 않으면 감방 밖을 나갈 수 없도록 규정한 당시 영국 교도소의 규칙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것이었다. 영국 당국은 곧바로 감형을 취소해 버리고 식사를 형편없이 제공하는 등 맞대응에 들어갔다. 그 와중에 1978년 3월 교도관들이 재소자들을 폭행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모포투쟁은 불결투쟁(Dirty Protest)으로 진화했다. 교도관들의 폭행에 분노한 재소자들은 감방 내에 비치된 각종 가구들을 모조리 때려부쉈고 이에 영국 당국도 감방의 가구들을 싹 다 빼 버리는 것으로 맞대응하자 재소자들이 감방에서 나가기를 거부하면서 각종 생리현상을 자신의 감방에서 처리하고 배설물을 벽에 바르기 시작했던 것(...).

재소자들이 이러한 투쟁 과정에서 내세운 조건은 5가지였다.
1. 죄수복을 입지 않을 권리.
2. 노역에 동원되지 않을 권리.
3. 교육적 그리고 오락적 목적을 위해 다른 죄수들과 자유롭게 교류할 권리.
4. 주 1회 면회·편지·소포의 권리.
5. 시위 과정에서 상실된 감형의 완전한 복구

3. 진행

이러한 막장 상황은 처음에는 별로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재소자들을 면담하기 위해 수감소를 방문한 가톨릭 사제 토머스 오피어크가 큰 충격을 받고 수감소의 현실을 언론에 발표하면서 세상의 이목을 끌게 되었다. IRA가 재소자들이 수감된 교도소를 공격하는 일도 빈번했으며 이에 대항하여 왕당파 준군사조직 역시 IRA를 향해 빈번히 테러를 자행했다.

1979년 집권한 마거릿 대처 내각은 "테러리스트와는 협상하지 않는다."는 기조를 고수하면서 어떠한 협상도 거부했다. 다음해 6월 유럽 공동체 산하 인권위원회에서 재소자들의 모포투쟁 및 불결투쟁을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designed to enlist sympathy for the political aims) (..중략..) 이러한 상황은 스스로 자초한 것이다(conditions were self-inflicted)."라고 정의내리면서 대처 내각의 태도는 한층 더 강경해졌다. 이에 재소자들은 최후의 수단으로 10월 27일 단식투쟁을 시작했다.

IRA와 아일랜드 민족해방군(INLA)의 주요 간부 7명[2]이 참여한 단식투쟁은 초반에는 영국 정부와 투쟁자 사이의 팽팽한 기싸움으로 점철되었지만 두 달 가까이 진행된 투쟁 끝에 12월 중반 참가자 숀 매케나(Sean McKenna)가 중태에 빠지면서 양측은 부랴부랴 합의에 도달했고 이에 따라 12월 18일 단식투쟁은 일단 종료되었다.

하지만 대처 내각이 합의 사항을 이행할 마음이 없다는 것은 곧 분명해졌고 이에 따라 수감자들은 다시 한 번 단식투쟁을 결의했다. 재소자들은 (7명이 동시에 단식을 시작한 1차 투쟁 당시와는 달리) 릴레이 형식으로 단식을 진행하여 좀 더 강경하게 대처 내각을 밀어붙이기로 하고 3월 1일 IRA 출신 보비 샌즈가 단식을 시작했다. 연이어 프랜시스 휴스, 레이먼드 매크리시 등이 단식투쟁을 시작했다. 한편 4월에 열린 보궐선거에서 샌즈는 영국 하원의원 선거에 옥중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에 따라 수감자 측에서는 영국 정부와 좀 더 원활한 협상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였으나 대처는 눈도 깜짝하지 않았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까지 특사를 보내서 양측의 협상을 촉구했지만 영국 정부는 "만약 샌즈가 자살하려 한다면 그것은 그의 선택이다. 우리도 굳이 의학적인 치료를 그에게 강요하지는 않겠다(If Mr. Sands persisted in his wish to commit suicide, that was his choice. The Government would not force medical treatment upon him)"면서 비타협 의사를 명확히 했고 결국 5월 5일 샌즈는 66일의 단식투쟁 끝에 사망했다. 전세계적으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던 와중에도 대처는 "그 폭도들은 최근 몇 달 사이 자신들의 그릇된 신념의 실패에 직면하여서 자신들의 마지막 카드를 꺼내들었을 뿐이다(Faced with the failure of their discredited cause, the men of violence have chosen in recent months to play what may well be their last card)."라면서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이후에도 단식투쟁은 10월까지 진행됐으며 23명이 참가한 가운데 10명이 목숨을 잃었다. 단식투쟁은 10월 3일에 종료되었으며 10월 6일에는 영국 정부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의 5개조 요구 중 3~5조를 수용하겠다고 발표했다.

4. 결과

대처 여사는 영국군이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인을 무참하게 학살, 억압한데 대해 아무런 대가도 치르지 않을 수 없다는걸 오늘 배웠다. 오늘 그녀는 운이 좋았다. 그러나 대처 여사는 항상 행운이 따라야 하지만, 우리는 한번만 운이 좋으면 된다. 영국 제국주의가 아일랜드에서 꺼지지 않는 한 이런 상황은 영원할 것이다.
보수당 정치인 5명이 죽고 30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대처 본인도 죽을뻔한 1984년 브라이튼 호텔 테러 이후 IRA 군사 평의회
80년대 초 영국 당국의 우리(IRA)를 상대하는 전략은 소모전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군사력으로 우리를 조지는 한편 언론으로 우리를 단순 범죄자로 몰아가면 IRA 전체를 말려죽일 수 있다는 계산이었죠. 이 전략을 박살낸 게 두가지 사건이었는데 정치적으론 단식투쟁이었습니다. 그리고 군사적으론 여기 보복성으로 집행한 대처 암살 시도였죠. 브라이튼 호텔의 폭발로 영국 당국은 심지어 총리마저도 결코 우리에게서 안전할 수 없다는걸 알게 된 이후에야 우리를 보는 자세가 좀 더 진지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에 제 손에 억울하게 죽은 양민들에겐 사과하고 싶습니다만, 반대로 질문하고 싶습니다. 그럼 당시 영국 보수당 정권은 군대 보내서 우리에게 그런 짓을 저질러놓고 자기들은 아무런 대가도 안 치를거라고 진심으로 생각했던 겁니까?
브라이튼 호텔 폭탄테러 주동자이자 IRA 단원 패트릭 맥기의 성금요일 협정과 석방 이후 회고.
영국 정부가 북아일랜드의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에게 초강경 정책을 취하면서 북아일랜드의 아일랜드계에게 대처는 불구대천의 원수가 되었으며[3] 1970년대 후반에 들어가며 겨우 다시 진정될 기미를 보이던 북아일랜드에서는 다시금 유혈사태가 빈번해졌다. 대처 본인 역시 IRA의 주요 목표가 되어 1984년 브라이튼 호텔 폭파 사건에서 목숨을 잃을 뻔했다. 북아일랜드에 마침내 평화가 깃든 것은 이 사건으로부터 20년 가까이 지난 1998년 벨파스트 협정을 통하여 IRA와 신 페인당이 폭력투쟁을 포기하고 나서부터였다. 보비 샌즈의 옥중 출마에 주목한 신 페인당은 이후 적극적으로 대의정치에 참가하면서 21세기에는 북아일랜드에서 주요 정당 중 하나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단식투쟁에 앞서 재소자들이 내건 5개 조항은 결국 시간이 흐르면서 사실상 모두 수용되었다. 마지막까지 문제가 된 것은 바로 재소자들의 강제 노역 동원 문제였는데 이것도 1983년 9월 IRA 대원 38명이 집단으로 탈옥한 메이즈 교도소 탈옥사건 이후 노역장이 영국 정부에 의해서 폐쇄되면서 사실상 해결되었다.

보비 샌즈를 비롯한 단식투쟁의 희생자들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에게 순교자로 남았고 오늘날에도 해마다 5월이 되면 그들을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이 사건으로부터 30년 가까이 지난 2008년에는 스티브 맥퀸이 연출을 맡고 마이클 패스벤더가 보비 샌즈 역을 맡은 영화 < 헝거>가 개봉되면서 다시 한 번 이 사건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아일랜드 단식투쟁은 의학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단식을 하면 사람이 며칠을 버틸 수 있는지 의학적 정보가 제공되었다. # 46일차에 사망한 1명을 제외하면[4] 사망자들은 모두 59일~73일을 단식한 끝에 사망했다. 사람이 가장 오래 버텨낸 기간이 73일이며 대략 60일이 지나면 사람이 죽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사례에서도 교차검증된다.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afef>파일:마거릿 대처 투명.svg 마거릿 대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fef>생애 <colbgcolor=#fff,#1f2023> 생애 및 정치 경력
평가 평가
가족 아들 마크 대처
정책 및 사상 대처주의 · 신자유주의
지역구 핀칠리&골더스그린
사건사고 아일랜드 단식투쟁 · 힐스버러 참사
문학작품 철의 여인(영화) · 빌리 엘리어트 · 더 크라운 · 런던 프라이드
기타 마거릿 대처 내각 · 철의 여인 · 영국병 · 포클랜드 전쟁 · 홍콩 반환 · 불만의 겨울 · 영중공동선언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 자유지상주의 }}}}}}}}}




[1] 이는 제네바 제1협약 등에 명시된 전쟁 포로의 권리다. 엄밀히 말해 노역을 시킬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일당을 지급해야 하며 특정 노역에는 참가시킬 수 없다. [2] 부활절 봉기 당시 아일랜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숫자와 맞추기 위해 7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공식적으로 참여한 게 7명이고 그 외에도 자발적으로 참여한 조직원들도 수십명이었다. [3] 이때의 앙금 때문에 2013년에 대처가 죽자 북아일랜드를 비롯하여 아일랜드계 사람들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는 샴페인을 터뜨리고 환호성을 지르는 축제가 열렸을 정도였다. [4] 이는 급성 영양실조로 인한 수분 흡수 장애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의학자들이 정의한 단식에 부합하지 않아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