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1:49:42

벡스코역

시립미술관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역명과 부역명이 같은 역에 대한 내용은 센텀시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벡스코역
파일:Busan2.svg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 도시철도 및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벡스코(시립미술관)

동 백
← 1.1 ㎞
2호선
(205)
호포 · 양산 방면

센텀시티
0.8 ㎞ →
벡스코역
부전 방면
센 텀
← 1.4 ㎞
동해선
(K119)
}}}}}}}}} ||
역명 표기
동해선 벡스코
BEXCO
釜山会展中心 / ベクスコ
동해선
2호선 벡스코 (시립미술관)
BEXCO
ベクスコ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호선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396 ( 우동)
동해선
동해선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351 ( 우동)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호선 센텀시티관리역 소속
제2운영사업소
동해선 보통역 (3급)
( 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호선 부산교통공사
동해선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해선 1996년 4월 1일~
2014년 1월 24일[1]
2016년 12월 30일[2]
2호선 2002년 8월 29일
동해선 2016년 12월 30일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호선 지하 2층(심도: 13.56m)
동해선 지상 2층 }}}}}}}}}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 2호선[3], 동해선[4])
철도거리표
부산진 방면
센 텀
← 1.4 ㎞
동해선
벡스코
영덕 방면
신해운대
4.5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3.1.1. 부산도시철도 2호선3.1.2. 동해선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해운대로 BRT 정류장6.2. 해운대로 가로변 정류장6.3. APEC로 BRT 정류장6.4. APEC로 가로변 정류장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벡스코역 스탬프.jpg
동해선 벡스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벡스코역사를 형상화했다.
우일 임시승강장에서 현대식 역사로
벡스코역은 1996년 4월 우일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12년 만에 여객취급을 중단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을 벡스코역으로 변경하였다. 옛 우일역은 네모난 컨테이너 박스처럼 보이는 임시승강장이었지만 통근열차가 오갔기 때문에 아침마다 주위 직장인들의 출퇴근길을 함께하는 일상의 일부였다. 역무원도 따로 없어 열차가 오갈 때면 해운대역에서 온 직원이 집표를 했다. 동해선 개통으로 새롭게 태어난 현재의 벡스코역은 지역 랜드마크인 BEXCO의 세련미와 호홉을 같이하며, 환승통로에만 4개의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는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벡스코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는 과거 역명 개칭 전 '시립미술관역' 시절에 만들어져 시립미술관역이라고 새겨져 있고 부산시립미술관을 역 대표 이미지로 새겨넣었다.

동해선 광역전철의 경우 영업이 종료되었던 우일역을 승계하면서 역등급이 임시승강장에서 정식 역인 무배치간이역으로 격상되었다. 전철 개통 당시에는 업무분담역이었으나, 이후 배치간이역으로 격상되면서 직영화되었다.

2. 역 정보

부산 도시철도 센텀시티역 다음 2번째로 역 이름이 외래어로만 구성되었다.

2.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파일:벡스코역 2호선.jpg
2호선 대합실
파일:205busanmuseum.jpg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시립미술관역 시절 역명판
벡스코(시립미술관)역은 올림픽교차로(구 수비교차로) 밑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다. 최초 계획 당시에는 올림픽동산역이었고 역 위치는 우2동우편취급국 앞이었으며, 1994년 노선계획 변동으로 현재의 위치로 최종 변경되었다. 이후 1997년 6월 12일에 승당역으로 변경, 2000년 9월 8일 인근에 부산시립미술관이 1998년에 개관해서 시립미술관역으로 명명됐다. 시립미술관역과 환승되는 동해선 우동역(가칭)의 역명이 벡스코역으로 확정되었기 때문에, 환승역의 이름을 통일하는 취지에 따라 2016년 11월 21일 벡스코(시립미술관)역으로 역명이 바뀌었다.

센텀시티 동쪽에 위치하며 벡스코 뒷 편과도 거의 붙어있으나 그 쪽으로 바로 드나들 수 있는 입구가 없기 때문에 꽤 돌아가야 한다. 2호선을 타고 간다면 한 칸 다음 센텀시티역에 내려서 1번 출구를 이용하자. 코믹월드에 처음 참가하는 덕후들이 이점을 잘 몰라서 가끔 내리는 역. 벡스코 후문이나 새로 지은 제2전시장은 이 역에 내려 7번 출구를 이용하는 것이 센텀시티역보다 확실히 가깝다. 그리고 센텀시티역보다 조금 더 멀다는거지 이 역도 벡스코에서 충분히 가까운 편이기 때문에, 만약 동해선을 타고 왔다면 2호선과의 환승통로가 길기도 해서 센텀시티역이 아니라 그냥 여기서 벡스코로 바로 가는 게 낫다.

동해선 광역전철 벡스코역과 막장환승역이다. 두 회사의 역의 직선거리가 400m 가량 되기에 서울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지하서울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 수준의 리얼 막장환승이 확정되어 있다.

여담으로, 환승역명 글자수가 3자리이다. 공교롭게도 부산 도시철도의 환승역은 이 역을 제외하면 모두 2자리 역명으로 되어있다. #

열차 도착 직후 승강장 스피커에서 다음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5]
동해선을 이용하실 고객은 환승 안내 표지에 따라 연결 통로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2. 구 동해남부선 시절

우일역
역명 표기
동해남부선 우일
Uil
佑一 / ウイル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025-106
관리역 등급
폐역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동해남부선 1996년 4월 1일~
2014년 1월 24일
철도거리표
부산진 방면
수 영
← 1.5 ㎞
구 동해남부선
우 일
(폐역)
포항 방면
해운대
1.3 ㎞ →
파일:400_123443698944528.jpg
파일:구 우일역 로드뷰.png
[clearfix]
현 벡스코역에서 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 있었던 임시승강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025-106번지 소재. 위치는 부산문화여고 정류장 인근이었다.

우1동에 있다고 해서 우일역으로 정하였으며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임시승강장을 설치하여 운영했던 역이다. 원래는 동서통근열차의 한 역으로 임시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역이었으나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된 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백역에게 많은 승객을 내주는 바람에 2008년 1월 1일 이후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이 때 입구에는 철조망을 쳐 놓아서 접근을 막았다.

2013년 12월 2일부터 수영역 기장역 간의 선로가 이설되면서 우일역으로는 더 이상 열차가 다니지 않는다. 이후 2014년 1월 24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제6조 임시승강장 항목에 우일역의 이름이 외고산역 가야선 주례역과 함께 삭제되었다. 그렇게 폐지되는 듯 싶었으나 영업거리표 상에는 폐지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고, 결국 2016년 들어 역명 변경이 되면서 벡스코역이 그 역사를 승계했다.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이 우일역 시절 이용객이 극히 적은 것으로 나온다. 다만 열차 승무원이 표를 발권할 때 우일역 도착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해운대 도착으로 표를 발권했기에 해운대 승,하차 승객으로 집계되었기 때문이다.[6]

구 우일역사는 2013년 이설 이후 약 2년 동안 방치되었으며 2016년 2월 22일에 철거되었다. 향후 우일역 부지를 포함한 신선 분기지점↔ 미포 사이 구간은 공원화되었다.[7] 올림픽교차로-기계공고삼거리 구간은 공원화가 완료되었으며 구 우일역은 이로 인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3. 동해선 광역전철

파일:bexcost.jpg 파일:1469282551780.jpg
<rowcolor=#fff> 동해선 벡스코역의 모습 벡스코역 역명판
센텀시티 동쪽에 위치하며 인근에 벡스코가 있다. 복선전철화 전에 있던 구 수영역이 있던 곳에서 100미터 정도 동쪽으로 벗어난 장소에 들어선 신설역이다. 센텀역은 1.3㎞ 가량 북쪽으로 이전하면서 구 수영역의 연혁을 물려받았고, 구 수영역은 교각이 아니라 토공으로 지어진 신선로에 정확히 깔려 흔적조차 남지 않았다.

과거 동서통근열차가 운행하던 시절 임시승강장으로 개업했다가 폐역된 우일역이 있었던 곳과 위치가 그리 멀지 않은데[8] 역명과 위치가 유사하지만 재송역 등 다른 여러 역들과는 달리 그 역명과 연혁을 직접 물려받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 우일역은 우1동에 있어서 우일역이었는데 이 우동역은 우2동에 있어서 그 역명은 직접 물려받을 수도 없다. 결국 형식상 연혁만 물려받고 이름은 벡스코역으로 바꾸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동해선 이설공사 초기에 동해선과 부산 2호선 간 역위치 문제로 부산시, 부산교통공단과 철도청이 서로 다투었다. 관련 기사 부산의 경우 동해선역을 수비교차로(현재 올림픽교차로)쪽에 건설하라고 하였고 철도청의 경우 부산 2호선역을 삼호가든교차로 쪽에 건설하라고 하였다. 결국 협상은 결렬되고 동해선은 삼호가든교차로, 2호선은 수비교차로의 현재위치에 짓고 환승통로를 길게 뚫는 것으로 확정하였다. 관련 기사

이 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벡스코역 간의 직선거리가 300m 가량 되기에 서울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지하서울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 수준의 막장환승이 확정되어 있다. 2호선 벡스코역 근처에다 동해선 역을 짓기에는 부지가 너무 작은 탓.

이 때문인지 다른 동해선 광역전철 역들과는 다르게 2호선과 동해선 역사의 출구 번호가 따로 매겨져 있다.

동해선 고정수요가 자리잡은 후 본 역과 교대역 사이 구간이 최대 혼잡구간이다.

2.4. 역명 문제

광역철도와 도시철도가 환승이 되는 데도 불구하고 이름이 다른 데다가 도시철도 쪽의 시립미술관이나 동해선의 우동 모두 압도적인 인지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9월 10일, 벡스코역이나 시립미술관 둘 중 하나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참조

2016년 2월 정부 정보공개사이트에 나온 결재된 공문에 따르면 동년 12월까지 동해선의 경우 벡스코역으로 개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참조

2016년 10월, 도시철도의 경우 시립미술관역을 벡스코(시립미술관)역으로 변경하기로 결정됐다. 기사

동해선의 경우 우동역이란 이름은 가칭 역명으로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시립미술관역과 환승이 될 예정으로 대한민국 광역전철 도시철도 환승역 대부분이 역명을 통일했던 전례에 따라 둘 중 하나는 역명이 바뀔 것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는 기존의 전례[9]를 따라 먼저 개통한 2호선의 역명과 동일하게 시립미술관역으로 통일할 것을 내세우고 있지만, 부산광역시와 지역 시민단체 측에서는 벡스코역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기존의 시립미술관역과는 275m나 떨어져 있어, 환승역이지만 사실상 별개의 역이라는 이유 때문.

결국 위와 같은 문제로 2016년 2월 12일에 있었던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 의결에서는 나머지 역명은 모두 확정되었으나, 이 역에 대해서만 심의가 보류되었다. 2월 내로 재심의에 들어가 고시하게 되어, 동해선 복선전철 1차 개통 구간(부전~일광) 가운데에선 역명이 가장 늦게 확정됨으로서, 확정 후에도 양측을 중재하는데 상당한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015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해운대역에서 철도 이용객을 대상으로 역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동역과 신해운대역, 벡스코역, 올림픽역 등이 후보로 나왔다. 출처

결국 국토교통부 고시에서 벡스코역으로 최종 확정이 났다. 벡스코 건물 자체는 이 역 바로 앞에 있지만 사실 벡스코 입구 기준으로는 센텀시티역이 더 가깝고 이미 센텀시티역의 부역명에 벡스코가 포함되어 있는데, 향후 조정이 필요할 듯하다. 부산광역시 역시 공문을 통해 동해선이 개통하는 11월까지 시립미술관역을 벡스코역으로 이름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10월 11일, 부산교통공사 측에서는 시민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부산지하철 2호선 시립미술관역을 벡스코(시립미술관)역으로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11월 21일 2호선 역명이 벡스코(시립미술관)역으로 변경되면서 역명이 통합되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벡스코역/역명 논란을 참고.

2.5. 환승통로

파일:bexcost2.jpg 파일:벡스코역환승통로.jpg
동해선 벡스코역의 환승 전용 게이트
동해선과 2호선의 환승통로
환승통로가 매우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간 연결통로가 존재하는데, 각각 게이트가 2곳 있어서 그 게이트 사이의 공간은 비운임구역(free area)이다. 그런데 만약 거기서 교통카드 잔액도, 돈도 없다면... 그대로 갇혀버리게 된다.[10] 만일 갇혔다면 당황하지 말고 직원을 호출하여 도움을 받자. 환승 통로를 만든 주제에 간접환승이다. 이뭐병 또한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독자요금제 시절 김포공항역도 그랬다. 그리고 1회권으로 그곳을 지나가면 환승 처리가 되지 않고 새로 표를 사야 한다. 사실 어차피 그렇게 소프트 환승으로 할 거면 새로 출구를 뚫는 게 나을 수도 있다.

더군다나 2호선 이용자가 가까운 출구가 동해선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2호선 8번출구로 나가서 300m를 도보로 이동하면 동해선 역사 앞으로 도착한다. 동해선 출구를 찾아 환승통로를 거칠 필요가 없으며, 즉 굳이 환승할인 횟수를 추가차감할 필요가 없다.[11]

3. 역 주변 정보

부산 2호선 역 쪽에는 벡스코, 부산시립미술관,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부산사회체육센터, 우동 지구대, 해운대센텀미진이지비아아파트, 동부올림픽타운 아파트, 해운대자이1단지, 의료법인 세광의료재단 성모안과병원, 해운대 농협 우동지점, 센텀마티안아파트가 있다.

동해남부선 역 쪽에는 강동초등학교, 강동유치원, 홈플러스 센텀시티점, SK네트웍스마리나 주유소, 국민건강보험공단해운대지사, 삼호가든아파트, 센텀삼환아파트가 있다.

3.1. 출구 정보

이 역은 동해선의 공식 환승역 중 유일하게 노선별로 출구 번호가 분리되어 있다. 교대역 거제역은 부산 지하철과 동해선의 출구 번호가 통합되어 있다.

3.1.1. 부산도시철도 2호선

<colbgcolor=#81bf48> 1 우동지구대
2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부산센텀여자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농협, 부산은행
3 중화인민공화국 주 부산총영사관, 수영로교회, 아르피나 유스호스텔
4 장산 터널, 공영주차장
5 부산시립미술관, 부산사회체육센터
6 우2동 행정복지센터, 새마을금고, 성불사, 삼환아파트, 센텀현대아파트
7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8 강동초등학교, 국민건강보험공단 해운대지사, 삼호가든아파트[12], 동해선 벡스코역
9 부산전시컨벤션센터( BEXCO)
11 홈플러스 센텀시티점

3.1.2. 동해선

<colbgcolor=#0054a6> 1 벡스코, B주차장
2 강동초등학교
3 해운대로
4 A주차장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1bf48><bgcolor=#81bf48> 연도 || 파일:Busan2.svg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bgcolor=#81bf48> 총합 ||<bgcolor=#81bf48>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11,245명 7,938명 26,843명 [13]
2003년 11,122명 비고
2004년 10,457명
2005년 9,966명
2006년 10,012명
2007년 9,542명
2008년 10,276명
2009년 10,314명 }}}}}}}}}
2010년 10,634명
2011년 10,880명
2012년 10,766명
2013년 11,631명
2014년 12,479명
2015년 12,555명
2016년 13,407명 4,179명 17,586명 [14]
2017년 17,209명 6,061명 23,270명
2018년 17,886명 7,259명 25,145명
2019년 18,905명 7,938명 26,843명
2020년 12,919명 6,294명 19,213명
2021년 14,292명 7,253명 21,545명
2022년 18,518명 10,651명 29,160명
2023년 20,477명 11,732명 31,849명
※ 각 노선의 자료는 서로간의 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출처
파일:Busan2.svg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5.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파일:20231130 205 벡스코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20241125 205 벡스코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파일:1205.gif
역 안내도
파일:bexco2.jpg
출입구 역명판[15]
동백
센텀시티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백· 해운대· 중동· 장산 방면
수영· 서면· 사상· 덕천· 양산 방면
센텀시티 방면의 승강장 끝자락에, 동해선 광역전철과의 환승을 위한 환승 통로가 마련되어있다. 2016.12.30일 부로 동해선이 정식개통되어 셔터문이 열린 상태고, 동해선 벡스코역에서 보여주었듯 운임 구역의 분리를 위해 개찰구가 추가로 설치되어있다. 승차권 자동발매기 윗쪽에 한국철도공사 관할 부산 도시철도 노선도가 부착되어 있다.

다른 지하역과 달리 천장이 높은 편이며, 2017년 즈음 천장공사를 했었다.

5.2. 동해선 광역전철

파일:bexcost1.jpg 파일:bexcost3.jpg
동해선 벡스코역의 개찰구 동해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파일:동해선 벡스코역 승강장.jpg 파일:동해선 벡스코역 역명판.jpg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후) 동해선 역명판
센텀
1 2
신해운대
1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 센텀· 교대· 부전 방면
2 신해운대· 기장· 태화강 방면

2022년 1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16] 2022년 4월 27일 부로 스크린도어가 작동되기 시작했다. #

6. 연계 교통

6.1. 해운대로 BRT 정류장

동해선벡스코역(09-715/09-716)
일반 [A] [A] [A] [A]
급행 [A]
벡스코·시립미술관(09-717)
일반
심야
올림픽교차로(09-719/09-720)
일반
급행
심야

6.2. 해운대로 가로변 정류장

동해선벡스코역(09-143)
일반
급행

6.3. APEC로 BRT 정류장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139회차

6.4. APEC로 가로변 정류장

동해선벡스코역.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09-376)
급행

7. 둘러보기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동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

[1] 우일역이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된 시점 [2] 동해선 광역전철의 개통과 함께 영업 재개. [3] 횡단 불가 [4] 횡단 가능 [5] 1호선 교대역에서 송출되는 안내방송 음원의 중간 부분("개찰구 밖으로 나가셔서")이 생략되었다. [6] 부산 관내의 이동이다 보니 기본운임으로 일률적이라 편의상 그리 끊은 것 같다. 이는 부전역 이용객으로 집계 된 남문구역이나 동래역 이용객으로 집계된 안락역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인지 우일역이나 안락역은 실제 이용승객이 다른 역에 비해 적게 집계되어서인지 재송역, 남문구역 등에 비해 적었다. 우일역이야 2호선 동백역의 영향이 있다고는 하나 안락역은.... 지못미(...) [7] 미포 송정역 구간은 선로를 재활용하여 관광열차를 운영하고 그 옆으로 산책로를 조성하여 운영중이다. [8] 우일역은 정확히 말하면 동백역과 벡스코역의 중간쯤에 있었다. [9]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과 환승시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상 신설역의 역명이 효창역이 아니라 효창공원앞역으로 정해진 것과 같다. [10] 교대역, 거제역은 환승통로를 각 노선 출입구가 있는 곳으로 이어놔서 환승통로를 들어갔다가 돌아와도 출구로 나갈 수 있다. [11] 아니면 그럴 경우에는 역무원을 호출하면 게이트를 열어준다. [12] 2028년 아크로 원하이드로 재개발 예정 [13] 2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8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4] 동해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5]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간접환승 취급한다. 이는 교대, 대저, 거제, 사상도 마찬가지 [16] 동해선 환승역 중에선 이 역이 첫번째이다. [A] 09-715 정류장만 정차 [A] [A] [A] [A]